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관계망과 한국 유학 연구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구축에 유의하여

        박학래 ( Hak Rae Park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한국 유학 연구에서 적용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론 중 최근 연구자들의 이목을 끄는 연구방법론 중 하나는 ``사회관계망 이론 및 분서``이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이 연구방법론은 관계적 인간관(relational concept of man)에 기초한다. 이 방법론에서 개인은 사회관계망 속에서 일련의 사람들과 서로 관계를 맺고, 이때의 관계망은 개인의 행위를 통해 (재)생산되고 유지되며, 개인들의 선택에 따라 형성된 관계망은 다시 개인들의 행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파악한다. 그리고 이것에 기초하여 개인의 속성과 사회 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 연구방법론은 기존의 한국 유학 연구에서 초보적인 형태로 적용되어 왔지만. 자료의 충분한 집적과 분석. 관계망의 구조 및 이에 따른 개인의 속성 간의 관계 등 의식적으로 이 연구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접근과 분석이 결여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사회관계망과 연관된 기존의 한국 유학 연구에 대한 경향에 유의하면서 사회과학의 일반화된 연구방법론 중 하나인 사회관계망 이론 및 분석 방법에 대한 대체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최근 한국 유학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에서 이 방법이 적용된 사례가 있음에 주목하여 한국 유학 연구에서 이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과 그 성과가 어떠할 수 있을까에 대한 탐색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검토의 전제에는 기본적으로 한국 유학의 특정한 학자나 학과의 유학사상은 그 형성과 전개가 고립 분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에서 출발한다. 특정 사상에 대해 수용적 태도를 가지든 아니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든한 인물이나 학파의 사상 형성과 전개는 개인 간, 집단 간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는 인식하에서 이 연구방법론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아울러 이 검토는 최근 구축되고 있는 「근현대 유학자 사회관계망 분석 및 자료수집 연구」에 유의하였음을 밝힌다. Social network theory and its analysis is one of the promising methodologies that contemporary researchers nowadays pay attention to in studying Korean Confucianism. This research methodology, which has been already generalized in social science, is based upon relational concept of man. In the methodology, an individual makes relationship with others within social network. The social network can be reproduced and maintained by behaviors of individuals. Moreover, the network formed by choices of individuals can influence their behaviors. Based upon this view, in a word, this method analyses a social structure as well as properties of individuals. This research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to Korean Confucianism at a beginning stage. The reason is because we have no systematic analyses and approaches to the method by lacking of sufficient data. This article examines social network theory and its analysis in relation to an established study on Korean Confucianism. By paying attention to individual researches taking the methodology, furthermore, I seek for applicability of this method to Korean Confucianism and delve into the result of it. The premise of my examination has basically a starting point that any scholars or schools in Korean Confucianism had never formed themselves independently. No matter how either an amicable or hostile attitude toward certain thought, formation of specific figures or schools is usually wrought at interactions not only between individuals but also between groups. Thus, I am convinced that the application of this method makes sense in analyzing social network of modern Korean Confucians.

      • KCI등재

        연재학파(淵齋學派)의 형성과 전개 -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을 중심으로-

        박학래 ( Park Hak-r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0 No.-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구체화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화서학파(華西學派), 노사학파(蘆沙學派), 간재학파(艮齋學派), 연재학파(淵齋學派) 등의 문인 집단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들 학파의 문인들은 유교 문화의 수호와 계승을 지속하는 한편, 서구와 일제의 침탈에 맞서 위정척사와 의병활동, 항일운동 등의 대응 양상을 보이며 20세기 중후반까지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연재학파는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송병순(宋秉珣, 1839~1912) 형제의 강학 활동을 바탕으로 강학지인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수많은 문인을 배출한 근현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문인집단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송병선 형제의 문하에 배출된 직전 제자에만 초점을 맞추어졌고, 이에 따라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연재학파 문인들의 전모를 확인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연재학파 형성의 배경이 되는 송병선 형제의 학문 수수 및 교유 관계, 그리고 체계적인 강학 활동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송병선 형제 문하에서 배출된 1,100명의 직전 제자뿐만 아니라 이 문인들의 문하에서 배출된 2,458명의 재전 및 99명의 삼전 제자들의 지역별 연령별 분포를 정리 분석하여 20세기를 관통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한 연재학파의 전체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향후 연재학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가 후속되길 기대한다. Since the mid-19th century, the school divisions in Kiho Dao Learning lineag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into various groups of literary groups, such as Hwaseo School (華西學派), Nosa School (蘆沙學派), Ganjae School (艮齋學派), and Yeonjae School (淵齋學派). The literati belonging to these schools continued to defend and follow the Confucian tradition. In addition, they showed various aspects of countermeasures, such as movement of Wijeongcheoksa (衛正斥邪), the righteous army movement (義兵運動) and anti-Japanese activities (抗日活動), against Western trade pressure and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n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school continued to be in school until the late 20th century. The Yeonjae School studi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that produced numerous literary figures across the country, beyond the Chungcheong area, based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宋秉璿, 1836~1905) and Song Byeong-Soon (宋秉珣, 1839~1912).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the early disciples of the Kanjae school. Accordingly, it revealed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entire literary circle of the Yeonjae School, which was active until the late 20th century. In this paper,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I examined the academic completion, academic relationship, and systematic teaching activities of Song Byeong-Seon brothers' a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Yeonjae School, paying attention to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I summarized and analyzed the area and age distribution of 1,100 early disciples discharged through the Song Byeong-Seon brothers' education, and 2,557 next disciples who were discharged through the education of early disciples. I hope that this study will further revitalize the study of the faculties. Of course,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the Gyesanyeonwonrok (溪山淵源錄) published by the literary man of the Yeonjae school.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of the study of the Yeonjae school in earnest, and I hope that the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Korea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구봉(龜峯) 송익필(宋翼弼)에 관한 연구 현황 및 과제

        박학래 ( Park Hak-r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6 No.-

        16세기 畿湖 儒學을 대표하는 性理學者이자 문장가인 龜峯 宋翼弼(1534-1599)은 신분적 한계와 정치적 격변이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당대 어느 누구보다도 뚜렷한 학문적 성취를 이루었다. 특히 그가 이룩한 文學과 禮學 방면에서의 성취는 그의 사후에도 그 영향이 지속적일 정도로 기호 유학의 선구적인 업적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하는 근대적인 학문 체계 하에서 구봉의 학문 및 사상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이후 구체화되는 구봉의 학문에 대한 선도적인 연구를 통해 그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이 촉발되었으며, 이후 구체화된 80여 편의 연구 성과들을 통해 부족하나마 그의 문학과 사상이 가지고 있는 규모와 체계가 일정 정도 밝혀지고 있다. 본고는 1980년대 이후 본격화한 구봉에 관한 연구의 현황을 개괄하고, 그가 이룩한 학문적 업적에 대한 연구 성과를 분야별로 정리 분석하였다. 특히 구봉의 성리학 및 예학, 그리고 문학 방면에 대한 연구에서 드러난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과제를 제시하여 구봉 연구의 질적 제고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구봉의 문학 및 사상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결부한 성과에도 유의하여 향후 대중화 사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으며, 디지털 연구 환경에 부합하는 여러 과제도 제시하여 발전적인 연구 환경의 조성에 유의하였다. Gubong Song Yik-pil, a representative neo-Confucian scholar as well as a fine writer in sixteenth century, completed academic achievements more than anyone else despite of both his limitation of social ranks and political change. Especially the achievement in literature and ritual studies he did is very pioneering ones of neo-Confucianism in the Kiho region, which have had a persistent influence toward his followers after his death. However, concerns and researches on his thought have been limited Under the modern academic system since the mid twenty Century. Nevertheless, some leading researches on his scholarship, which are revealed since 1980s, make contemporary scholars to pay special attentions to him and to grasp the scale and system of his literature and thought through over 80 articles recently published. This paper will overview by sub-field current status of the researches on Gubong since 1980s and analyze the academic outcomes of his thought. Especially, I plan to improve the research qualities of Kubong studies by setting up mains issues on Gubong`s neo-Confucian philosophy, ritual studies and literature. Based upon this, I will provide with some research projects. By paying attention to outcomes linked to public concerns on Kubong`s literature and thought, furthermore, I will suggest my idea of how to popularize them in the near future. Finally, I make some comments on building up research environments with suggestions of some projects being accord with digital culture.

      • KCI등재

        고등학교 윤리와 사상의 교육 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교육과정 중 한국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박학래 ( Hak Rae Park ) 한국윤리학회 2011 倫理硏究 Vol.83 No.1

        Ethics and Thought` is the course for establishing proper ethical views on current life as well as forming ethical ways of thinking by systematically studying main social and ethical thoughts of the East and West. Due to the purpose of building up the ethical view with Korean identity, especially, it is no wonder that the part of Korean ethical thought sh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course of ``Ethics and Thought``. In this paper, I shall critically examine the structure of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each specialized part by focusing on ``Korean ethical thought`` in the curriculum of ``Ethics and Thought``, which will be applied to high schools since 2012. On the structure and requisites for the contents, first, I shall investigate the status of Korean ethical thought in the midst of East Asian thought with overall considerations for the big picture, but not highlight on Korean ethical thought. Second, I shall review the scope and suitability of the contents being applicable to Korean ethical thought among the specialized parts like Confucianism, Buddhism, Daoism and indigenous religions.

      • KCI등재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의 문인 집단 형성과 전개 - 『채미연원록(茝薇淵源錄)』을 중심으로 -

        박학래 ( Park Hak Ra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19세기 후반 위정척사운동과 의병 운동을 주도한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6)은 화서학파 문인 가운데 가장 거대한 문인 집단을 형성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40세를 전후한 시기부터 강학 활동을 전개하여 생전에 6백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 집단을 형성할 정도로 활발하게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자신의 근거지인 경기 포천과 말년에 이거한 정산(현 충남 청양)을 중심으로 펼쳐진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직전 제자들은 그와 함께 의병 활동의 전면에서 활약하였을 뿐만 아니라 최익현 사후에도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문인 양성에 몰두하여 1천5백여 명을 상회하는 재전 제자를 배출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최익현의 학맥은 사전 제자에까지 2천5백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 집단으로 그 외연이 확대되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최익현의 강학 활동과 그의 문인 집단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같은 시기에 활동한 다른 학파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나마 진행된 것과 달리 최익현의 문인 집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한 것이 학계의 현실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고, 아울러 20세기에 접어들어 활동한 각 학파의 문인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계 상황을 고려하여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진 최익현의 문인 집단에 대해 지역별 연령별 분석을 통해 그 대체적인 모습을 정리하였다. 문인 집단 분석에 앞서 문인 집단 형성의 근본이 된 최익현의 강학 활동을 그의 행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자료는 1967년 최익현의 직전 제자 및 재전 제자가 중심이 되어 간행한 『채미연원록(茝薇淵源錄)』이며, 이 문인록에 앞서 간행된 『면암선생문인록(勉菴先生門人錄)』 등 기타 자료도 참조하였다. 『채미연원록』의 문인들에 대한 분석 결과, 최익현의 학맥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계승되었으며, 최익현의 문인들은 일제강점기와 근현대사 전개 속에서 유학의 도를 수호하고자 하는 의식적인 노력 이외에 강한 항일 정신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면모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최익현의 문인들은 지속적으로 내부의 결속을 강화하는 한편, 다른 화서학파 학맥과 구분되는 인식과 면모를 보여 ‘면암학파(勉菴學派)’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SinceIn the late 19th century, Choi Ik-hyun(1833~1906), who led the movement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nd the righteous army movement(義兵運動), was one of the biggest literary groups among the Hwaseo school literary people. He has actively conducted his academic activities since he was around 40 years old and has formed a group of literary people who already exceeded 600 people in his lifetime. He developed his academic activities around his hometown Pocheon(抱川) area and Jeongsan(定山, currently Cheongyang; 靑陽) area, which moved to old age, and his disciples worked with him on the front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addition, they continued to carry out anti-Japanese movement after Choi's death, an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training of their disciples in their study sites and produced more than 1,500 disciples. Through them, Choi’s academic tradition continued to the fourth stage of discipleship, and the appearance was expanded to a group of literary people exceeding 2,500. In the meantime, academia has not paid attention to Choi’s teaching activities and his literary group. Unlike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other schools that were active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research on Choi’s literary group.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se previous studies, and considering the relatively poor interest in the literary group of various schools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general aspects of Choi’s literary group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to-late 20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region and age. Prior to Choi’s analysis of literary group, I examined the activities of Choi’s teaching,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literary group.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ChamiYeonwonrok(茝薇淵源錄) published by Choi’s disciples in 1967 and other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Myeonamsunsaengmuninrok(勉菴先生門人錄) published earlier were also refer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ry figures in Chaemi Yeonwonrok, it was confirmed that Choi’s academic tradition was inherited mainly by literary figures in Honam area, and that Choi’s successors showed practical aspects based on strong anti-Japanese spirit as well as conscious efforts to protect Confucianis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mid-20th century. In particular, Choi’s successors continu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while showing the recognition and aspect distinguished from other Hwaseo school(華西學派) academic tradition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alled the ‘Myeonam school’(勉菴學派).

      • KCI등재

        朝鮮時代 湖南儒學의 전개 양상과 의의

        朴鶴來(Park Hak-rae)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9 No.-

        본고는 호남유학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호남 유학의 전개양상과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고, 지방분권화 시대에 있어 호남지역 유학사상의 의미 및 현재적 의의를 제시하여 향후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호남유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호유학이나 영남유학에 비해 그 독자적 영역이나 의미에 대해 소홀히 취급한 감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대체적으로 조선 성리학을 이해할 때 주로 李滉와 李珥를 중심으로 그 학맥과 理氣論의 경향, 그리고 지역과 정치적 입장이 결합되는 구도 하에서 크게 기호와 영남으로 나누어 이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17세기 이후 노론 정국 하에서 정치·사상계가 학맥을 바탕으로 지방이 결합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시기에는 어느 정도 타당한 점이 있지만, 그 이전 시기나 19세기 이후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호남유학이라는 명칭을 통해 퇴계학파나 율곡학파처럼 학문적 동질성을 공유하면서 지역적 기반을 함께하는 학파가 있었는가를 究明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이라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유학사상의 맥락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한국사상 흐름 전반에 걸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의미를 갖는가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호남 유학의 사적인 흐름을 통해 호남 유학의 특징적 면모를 사림정신 발현과 실천적 의리정신의 표출, 다양한 학파의 공존과 대립, 개혁지향의 실천적 학문관, 문학적 풍모와 예술정신의 발현, 소통과 개방의 학문관 등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 특징적 면모는 호남유학에만 드러나는 면모는 아니지만, 호남유학에서 드러난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고, 이것은 결국 호남 지역의 문화를 특징짓고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며, 동시에 지역민의 동질적 유대감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호남 유학에 대한 관심은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호남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열과 관련이 깊다. 호남 유학을 비롯한 호남학에 대한 연구는 초보 단계이기는 하지만, 일련의 학계와 지방자치단체의 움직임으로 볼 때 보다 진전된 형태로 드러날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새로운 학문의 틀을 만드는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과제인 만큼 연구방법론을 비롯한 다양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basing on the results of earlier researche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s trying to find the aspect of development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and its distinctive features. Moreover, the further study task will be revealed by showing the meaning of the Confucian thoughts in the times of decentralization. In the mean time, the academic circle had little attention to the realm and the meaning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comparing to the other Confucian thoughts such as the Kiho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Confucian thoughts. This phenomenon derived from the academic circle’s structure of understanding on the Chosun neo-Confucianism which is regionally understood such as the Kiho school and the Yeongnam school. And this understanding is influenced by the division of the Yi-hwang and Yi-i schools, the influence of li-qi theory, and the composition of the mixture of political situation with the regions. However, this understanding only relevant from the 17th century to 18th century under the ruling of Noron Party when the political and the ideological circles consolidated regionally by academic schools. Accordingly, rather than finding the regional Confucian school - such as the Teogye school and the Yulgok school which had homogeneity in academics - by naming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the context and identity of Confucian thoughts in the Honam province will be confirmed and what kind of impact affected to the whole current of Korean thoughts by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and its meaning and significance will be found in this study. By studying the history of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it was summed up that the Homan Confucian thoughts had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manifestation of the spirit of Sarim, the expression of practical principle of righteousness, the coexistence and antagonism among various schools, innovative and practical academic view, the manifestation of literary appearances and artistic spirits, communicative and opened academic attitude. It is concluded that these distinctive traits, which were not the only traits of the Honam Confucianism though, featured the Honam culture, confirmed the regional identity, and simultaneously aroused the sense of bond of its people. It is deeply related with the scholars active interest on the Honam study that the interests on the Honam Confucian thoughts. Not only the Honam study but also the study on Honam confucian thoughts are in the initial stage, the future of these studies are promising thanks to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academic circles and the local government.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various perspective and dimensions on research methodology in framing new Honam study which is an experimental and creative task.

      • KCI등재

        미호(渼湖) 김원행(金元行)의 성리설(性理說) 연구(硏究) -18세기 중반 락론(洛論)의 심성론에 유의하여

        박학래 ( Hak Rae Par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1 No.-

        본고는 渼湖 金元行(1702-1772)의 性理說을 湖洛論爭의 주요 쟁점에 유의하여 정리 분석한 것이다. 그동안 김원행의 성리설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그의 사상사적 위상과 영향에 비추어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는 18세기 중반 이후 낙론의 핵심적 논의를 주도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통해 19세기로 이어지는 기호 낙론의 학설 흐름의 중심을 이루었다. 따라서 그의 성리설에 대한 검토는 18세기 호락논쟁 및 이후 논의에 대한 계통적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먼저 그의 성리설이 가지는 사상사적 위상을 18세기 중반 낙론계 동향에 유의하여 검토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性과 心, 그리고 明德 등 호락논쟁의 핵심주제에 관한 그의 입장을 정리 분석하고, 그것의 의미와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는심과 성에 대한 리기론적 이해의 과정에서 리기의 本然性에 주목함으로써 그것의 실재성과 근원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실 세계에서 선의 실현 가능성을 담보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의 성리설에서 주목되는 것은 기의 본연으로서 ‘鬼神’에 주목함으로써 심의 主宰的 측면을 강화하여 인간의 도덕 실천의 원리적 가능성을 확보한 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analyze Miho Kim Wonhaeng’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n the light of main issues of Horak Debate. So far, most of scholars did not pay attention to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too much while his significance and influence to the history of idea are magnificent in the midst of 18th century. Since the era of setting up a regional opposition between Ho-ron and Nak-ron, however, he led fundamental discourses of Nak faction, but also formed main stream of Kiho Nak School by consistently teaching students. Thus, the review of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s necessary in order to figure out genealogical landscape of Horak controversy and its later discourses. First, I examine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n terms of the Korean history of ideas by focusing on academic trend of Nak School at the mid-18th century. Based up on this, I investigate the meaning of his idea and influence by analyzing his stance to such key issues on Horak Controversy as Nature, Heart-Mind, and Illuminous Virtue etc. Kim basically gives shape to his ideas of Heart-Mind and Nature based on li-qi in the light of obtaining possibilities of moral practices and realities of moral principles. By paying attention to naturalness of li-qi in understanding Heart-Mind and Nature in terms of the theory of li-qi, Kim tries to establish reality and naturalness of Nature and Heart-Mind. Through this, he wants to guarantee possibilities of realizing goodness. Especially, what we have to look at his idea of nature and principle is ghost(gui-shen) as naturalness of qi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emperamental and the mental energy. This is to strengthen the presidential aspect of Heart-Mind for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moral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