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에코뮤지엄개념을 적용한지역문화유산의 관광자원화방안: 천안시 삼태리 마애불을 대상으로

        김주호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0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lan for utilizing local culturalheritage as a tourism resource by applying the concept of an ecologicalmuseum centered on Maaebul in Samtae-ri, Cheonan-si. Through theconcept of the eco-museum, cultural heritage should be well-managed andpreserved in the administrative or institutional sectors, and many people,including tourists, should try to experience the value of heritage and findways to use it to sympathize with the sustainability of heritage. This paper,which was developed to establish and discuss ways to utilize the MaaeBuddha statue located in Samtae-ri, Cheonan-si, suggests that it should be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co-museum, including the resourcesof the community who have spent many years with Maaebul. The studybegan with a discussion on the concept of an eco-museum and analyzeddomestic and foreign cases with similarities to Samtae-ri Village. Afterthat, the village resources of Samtae-ri were reviewed, and information onthe standing of Maaeyeorae in Samtae-ri was examined. Finally, after re-defining the concept of an eco-museum centered on village resources inSamtae-ri, an application plan was proposed in terms of tourism resources. The application plan reflected the concept of an eco-museum that establi-shed Maaebul as its final destination based on Samtae-ri’s natural, social,and cultural resources. At the core, it was proposed that the road leadingto Maaebul, centered on the village, should reflect each theme and charac-teristics. As a result, Maaebul alone is given not only the value of religiousheritage but also the value of village heritage that has been with the riseand fall of the village for a long time and can be expanded to the role ofinteresting and colorful attrac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plan for the co-existence of cultural heritage and local communitiesthrough an eco-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m in a plan to utilizecultural heritage that increases in importance. 본 연구는 천안시 삼태리 마애불을 중심으로 생태박물관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문화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목적이 있다.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통해 문화유산이 행정 또는 제도적인 부문에서 잘 관리되고 훼손되지 않은 채 보존되어야 한다는 것에서그치지 않고, 관광객을 비롯한 많은 이가 유산의 기능과 역할을 누리는기회를 얻음으로써 유산의 가치를 체험하고 대중이나 지역사회에서도유산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공감할 수 있게 되는 유산의 활용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대상으로 천안시 삼태리에 소재한 마애여래입상을 설정하고 활용방안을 논하기 위해 전개한 본고는 에코뮤지엄의관점에서 마애불과 오랜 세월을 함께한 지역사회의 자원을 포함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에코뮤지엄의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것을 시작으로 삼태리 마을과 유사점을 가진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후 삼태리의 마을자원을 고찰하고 삼태리 마애여래입상의 정보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삼태리의 마을자원을 중심으로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재정의 한 후 관광자원의 측면에서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적용방안은 삼태리의 자연, 사회, 문화적 자원을 기반으로 종착지로 마애불을 설정하는 에코뮤지엄의 개념을 반영하였다. 핵심적으로 마을을 중심으로 마애불로 이어지는 길은 각각의 주제를 반영하여 특색을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마애불은 단독으로 종교유산의 가치뿐만 아니라 오랜 기간 마을의 흥망과 함께 해온 마을유산의 가치를 부여받게 되며 흥미롭고 다채로운 매력물의 역할로 확장되어나아갈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요성이 높아지는 문화유산 활용방안에서관광의 관점으로 에코뮤지엄을 통해 문화유산과 지역사회의 공존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충남 반출문화유산 제자리 찾기방안 연구

        김연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0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heritage leaked abroad or to other regions in Korea among the culturalheritage of Chungcheongnam-do, and to propose a plan for returning theleaked cultural heritage of Chungcheongnam-do. As of January 2023, the number of Korean cultural heritages exportedout of the country reached about 229,600 pieces in 27 countries. As of June2019, 449 pieces of cultural heritage of Chungcheongnam-do were takenout of the country. It is presum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taken out was smuggled out orlooted during the national crisis. As with the decision of the appeals courtagainst the seated gilt-bronze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n Buseok-sa Temple, Seosan-si, the return of cultural heritage is not easy and takesa long time because it is affected not only by domestic policies but also by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environment. In order to recover the taked out cultural heritage, the following is pro-posed. First, as a way to protect and manage cultural heritage taken out of thecountry, the lending and exhibition of cultural heritage taken out of thecountry should be activated. Second, build a digital archive using digitaltwin technology. Third, prevent illegal leakage of cultural heritage bystrengthening regulations on people who illegally own cultural heritage anddistributors. Fourth,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negotiations,actively seek the return of plundered cultural heritage. Lastly, support shouldbe expanded for research groups that conduct research on the currentstatus of the taked out cultural heritage, the circumstances and illegality ofthe taked out cultural heritage, and private organizations that carry outpractical activities for return. 본 연구는 충남의 문화유산 중 국외 또는 국내의 다른 지역으로 반출된 문화유산의 실태를 파악하고, 반출된 충남의 문화유산 환수 방안을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3년 1월까지 밝혀진 국외로 반출된 한국문화유산은 27개국에 약 22만 9천 6백 점에 이른다. 국외로 반출된 충남의 문화유산은 2019년 6월 기준으로 449점이다. 문화유산의 국외유출 경로는 대부분 국난 시기에 밀반출되거나 약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서산시 부석사 금동관음보살좌상에 대한 항소심 판결과 같이 문화유산의 환수는 국내 정책은 물론 국제 정세와 정치외교 환경의영향을 받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리고 쉬운 일이 아니다. 반출된 문화유산을 되찾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국외반출 문화유산의 보호와 관리 방법으로 국외반출 문화유산의 대여 전시를활성화한다. 둘째, 디지털 트윈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디지털 아카이브를구축한다. 셋째, 불법으로 문화유산을 소유한 사람과 유통업자에 대한규제 강화로 문화유산의 불법 유출을 막는다. 넷째, 국제적 협력과 협상을 통해 약탈된 문화유산 환수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마지막으로 반출문화유산에 대한 현황조사, 반출 경위와 불법성 등을 연구하는 연구단체와 반환을 위한 실질적 활동을 수행하는 민간단체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서천 마량리 당제(堂祭)의 역사와무형문화재적 가치

        김효경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0 No.34

        In Maryang-ri, Seo-myeon, Seocheon-gun, Chungcheongnam-do, thereis a tradition of holding a Dang-je(堂祭) at a Village Shrine where awooden statue is enshrined as a deity. The case of enshrining a statue ofa god as a wooden statue is a very rare case in village faith, and it is amajor factor that tells the character of the Maryangri Dang-je(堂祭). Inorder to understand the tradition of Maryangri Tang Festival, the historicalcharacteristics of Maryangri were identified. Maryang-ri is the main strategic point of the coast where Geojin(巨鎭)was installed, one of the naval forces established for coastal defense duringthe Joseon Dynasty. It was a Geojin managed by the chief naval commanderof the third rank among the naval bases. It was installed on a protrudingpromontory at the entrance of Biin Bay, where it is easy to view the coast. Vessels passing through this place held ancestral rites as if announcingtheir arrival and departure from Maryangjin, and beat drums to announcetheir passage. The object of their rites is the deity that governs the watersof Biin Ba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rites were held in the sea area itself,but at the time, it was a major place in Biin Bay, and the speciality of theprotruding cape space, military dignity, and religious symbolism were har-monized, and the altar in Maryangjin must have established itself as animportant space. As can be seen from the story of the performance of the MaryangriDang-je(堂祭), the origin of the Maryangri Dang-je(堂祭) is derived froma shrine built by the Sugun Cheomjeoljesa. After the death of Cheomsa,the residents carried on the tradition and enshrined the god of the sea inthe shrine, transforming it into a village altar to pray for a good catch andsafety at sea. Maryang-ri Shrine is the only shrine in Chungcheongnam-dothat continues the tradition of governmental rites. Inside the altar, unlikethe spirit tablets and spirit paintings enshrined in village houses, woodenstatues were replaced with spirit tablets during the Confucianization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the wooden statue was restoredafter it was destroyed, it is clear that the wooden statue tradition is amajor object to understand the solidity of faith. ln addition, Maryang-ri Dang-je continues the tradition of Danggut-type Dang-je, which is found in important ports and fishing forward basesamong the Dang-je in the coastal area of Chungcheongnam-do. It also hasthe typicality of coastal village beliefs structured with the rites of Cheongsin(請神) - main ceremony - Daenaerim – Songsin(送神). Although the village shrine and wooden statue in Maryang-ri have beendamaged and restored several times, it can be said to be a treasure troveof local culture because Maryanggoti has military and religious importance.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is that it has the most developed ritualstructure among the rituals with the tradition of dang-je in coastal villagesin Chungcheongnam-do. 충남 서천군 서면 마량리에는 목상(木像)을 신령으로 봉안한 당집에서당제를 올리는 전통이 이어오고 있다. 신상을 목상으로 봉안한 사례는마을신앙에서 매우 드문 사례로, 마량리 당제의 성격을 알려주는 주요한요소이다. 마량리 당제의 전통을 이해하기 위해 마량리가 지닌 역사적성격을 파악하였다. 마량리는 조선시대 해안 수비를 위해 설치한 수군(水軍) 중 절제사가 다스리던 거진(巨鎭)이 설치된 해안의 주요 요충지이다. 수군진 중 종3품의 수군첨절제사가 관리하던 거진이다. 비인만의초입에 해안을 조망하기에 용이한 삐죽이 나온 곶(串)에 설치되었다. 이곳을 지나는 선박들은 마량진에 이출입을 알리듯이 제사를 지내고,북을 쳐서 자신이 항행(航行)을 알렸다. 이들이 제사를 지내는 대상은비인만의 해역을 관장하는 신령이다. 해역 자체에 제사를 지냈을 가능성도 있지만, 당시 비인만의 주요 거진이며, 삐죽하게 삐져나온 곶이라는 공간이 지닌 특수성, 군사적 위엄성, 거기에 종교적 상징성이 어우러지며 마량진의 제당은 중요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을 것이다. 마량리 당제의 연기설화에서 볼 수 있듯이 마량리 당제의 연원은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가 만든 신당에서 유래되었다. 첨사 사망이후주민들이 그 전통을 이어 당집에 해신(海神)을 봉안하면서 풍어와 해상에서의 안전을 기원하는 마을 제당으로 변신하였다. 마량리 제당은 현재까지 충남에서 유일하게 관치제(官治祭)적 전통을 잇는 제당이다. 제당 내에는 마을의 당집에 봉안한 위패나 당신도와 달리 조선시대 유교화 과정에서 위패로 대체된 목상(木像)이 봉안되어 있다. 비록 목상이소멸된 후 복원되었다고 하지만 목상 전통은 신앙의 고형을 이해하는주요한 대상임에는 분명하다. 아울러 마량리 당제는 충청남도 해안지역 당제 중 중요 포구나 어업의 전진기지 등에서 확인되는 당굿형 당제의 전통을 잇고 있으며, 청신(請神)-본제-대내림-송신(送神)의례로 구조화된 해안 마을신앙의 전형성도 갖추고 있다. 비록 마량리 당집과 목상은 여러 차례 훼손되어 새롭게 복원되었지만마량곶이가 지닌 군사적, 종교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기에 지역문화의보고라 할 만하다. 충청남도 해안 마을의 당제 전통을 지닌 의례 중 가장 발달한 의례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도 주요한 특징 중 하나이다.

      • KCI등재후보

        三韓疆域考와 百濟慰禮城考

        최은영,최유림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1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0 No.-

        津田左右吉은 일본 기후현[岐阜縣] 미노카모시[美濃加茂市] 출신으 로, 1873년 태어났다. 1891년 와세다 대학의 전신인 도쿄전문학교를 졸 업한 이후 白鳥庫吉의 지도를 받았다. 1908년 南滿洲鐵道株式會社에 서 식민지 경영을 목표로 한 만선사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滿鮮歷史地 理調査部를 설치하면서 촉탁으로 근무하였다. 이때 津田左右吉이 白鳥 庫吉의 권유를 받아 집필한 책이 朝鮮歷史地理이다. 충청학과 충청문화의 이번 호에서 소개할 자료는 조선역사지리 1권 중에서도 ‘三韓疆域考’와 ‘百濟慰禮城考’이다. 津田은 ‘三韓疆域 考’에서 고대사회 강역의 구획과 분기에 자연지리적 조건이 크게 작용 했다는 전제 하에 삼한에 대한 역사와 그 안에서 백제의 강역을 기술하 였다. 津田은 대방군이 한강 유역에 위치했다고 보았기 때문에, 마한의 강역을 안성과 평택・직산・진천 일대를 경계로 하여 금강 및 그 지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주지하듯 津田은 古事記와 日本書紀의 연구에서 근초고왕 대 이전 三國史記 기록을 부정하였다. 하지만 그 실체까지는 부정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百濟慰禮城考’에서는 三國志 韓傳에 기록된 伯 濟國이 百濟의 전신임을 염두에 두고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 이에 처음 부여씨가 자리한 곳은 마한의 강역 중에서도 북쪽에 해당하여 한강 유 역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더불어 근초고왕 대 이후 韓語였던 慰禮城(남한산)이 漢式化 되어 漢水로 명명되었고, 개로왕 대까지 두 명칭이 함께 사용되었다고 보았다. 즉 津田은 세종 11년(1429) 이래 三國遺事에 근거하여 백제 첫 도 읍지를 직산으로 본 ‘위례성=직산설’은 부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렇지만 두 논고를 종합하여 보면, 초기 백제의 강역을 한강과 금강 사 이의 어디쯤에서 찾아야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안정복과 정약용 이후로 백제 초기의 북계를 대동강 이남(황해 도 평산, 猪灘)이나 예성강 유역으로 보고 있는 것과 인식이 다르다. 또 한 지금 학계에서 마한의 영역을 경기・충청・전라도 일대로 비정하여 한 성 백제 초기 영역을 한강 유역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과도 견해를 달리 한다. 이렇듯 津田의 학설은 현재 크게 지지되고 있지는 않다. 그렇지만 津田의 인식과 논증 과정은 백제의 기원과 그 영역 범위를 고찰하는 데 연구사와 연구방법론의 측면에서 다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천안의 문화 자원과 활용 방안 연구

        이종수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2 No.-

        이 글은 지금까지 천안지역에서 이루어진 문화재 조사 현황을 정리해 보고, 각 시대별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보존 및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 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천안에서의 유적조사는 1963년 두정리유적을 시작으로, 목천토성, 사 산성, 청당동유적, 위례산성 등이 차례로 발굴되었다. 1990년대 이후부 터는 산업단지와 대규모의 택지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백석동, 두정동, 용원리, 불당동, 용곡동, 신방・통정동, 백석동 고재미골, 삼룡동, 정촌리 유적 등이 조사되었으며, 직산 위례산성, 봉선 홍경사지, 천흥사지, 동 성산성 등 학술조사도 함께 이루어져 천안의 역사・문화적 정체성과 위 상을 확립할 수 있는 자료들이 축적되었다. 시대별 특징은 청동기시대의 경우 남한지역의 최대 규모 취락인 백석 동유적으로 대표된다. 백석동유적은 노태산을 중심으로 서쪽에는 취락 이 입지해 있고, 동쪽은 무덤이 위치해 있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노태산에서는 청동기시대 유구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 람과 신의 중간지대로 제사공간으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 향 후 이 지역 개발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원삼국시기는 곡교천 주변의 청당동유적을 중심으로 한 주구토광묘 유적들과 정촌리유적으로 대표된다. 주구토광묘 유적들은 마한의 목지 국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정촌리유적 산 정상부 환호유구는 삼 한시기 제사구역인 소도일 가능성이 높다. 삼국시대는 백제 초도 직산 위례산성으로 대표된다. 그동안 성벽의 축조시기가 통일신라시기로 확 인되어 논란이 제기되었으나, 2016년 위례산성 내부 우물터에서 백제 시대 목곽고가 발견되어 이러한 논란을 종식시킬 수 있게 되었다. 향후 안성천 주변 원삼국・백제시대 유적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다면 직산 백제 초도설은 언젠가 증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려시대의 천안은 태조 왕건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려는 후백제 와의 전쟁에서 천안을 전초기지로 활용하였고, 천안이란 지명 역시 당 시에 처음 사용되었다. 천안에는 지금도 태조 왕건과 관련된 지명과 설 화가 많이 남아 있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홍경사지와 천흥사지의 경우 조사가 진행되고 있어 그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천안의 문화유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이고 생산 적인 방안을 찾는 작업이 우선되어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는 학술 발 굴조사의 확대 및 지속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두 번째는 천안박물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 문화유산을 홍보하고 보존해야 한다. 세 번 째는 시민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개발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며, 천안 역시 역사문화 도시로 새롭게 도 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내포지역 교우촌의 입지 조건 및 특징

        임병조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5 No.-

        ‘신앙의 못자리’로 일컬어지는 ‘내포’는 한국 천주교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한양・경기 지역과의 지리적 인접성과 발달한수로 교통 등이 그 배경이 되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지리적 배경들이내포 천주교 교우촌의 형성과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형적 특징과 양인 중심의 마을 공동체, 근대시기 다양한 국내・외 정세 등의 지리・역사・문화적 요소들을 교우촌의형성・변화와 연결하여 설명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내포교우촌은 세계사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독특한 문화 유산이다. 둘째, 18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빠르게 변화하던 국내외정세를 반영한 역사적 산물이다. 셋째, 양인 중심의 신자 구성과 밀접한관련이 있다. 넷째, 박해 정도에 따라 평야와 산지를 오갔으며, 입지가변화함에 따라 마을의 기능과 경관도 함께 변화하였다. 다섯째, 편마암산지의 생태적 잠재력, 협곡 등 독특한 자연환경을 반영하였다. Naepo, ‘The Seedbed of Catholic Faith’ is an important region in thehistory of Korean Catholic. There are two major backgrounds that makeNaepo as a significant region. Naepo is not only geographically close toHanyang and Gyeoungi Province, also had developed water transportsyste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nding out how those geographicalbackgrounds make and change a village of catholic believers in Naepo. Also I will explain about geographic, historical and cultural factors, such astopographical features, a village based on commoners and various domesticand foreign circumstances in modern period, that influence forming andchanging a village of catholic believers in Naepo. As a result, the following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was a unique cultural heritage that is almost unparalleled inworld history. Second, it was a unique historical product that was created by rapidlychainging domestic and foreign circumstances from the end of the 18th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Third, it was formed by commoners(low and middle class people). Fourth, Depending on the level of persecution, the location of it movedback and forth between the plains and mountains, and as the location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such as functions and land-scapes, changed. Fifth, it was formed against the backdrop of a unique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ecological potential of the gneiss mountain and thecanyon topography.

      • KCI등재후보

        발굴조사를 통해 본 백령성의 구조와 기능

        최병화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1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0 No.-

        Baekryeongseong in Geumsan is a representative fortress that clearly identifies the structure of Baekje’s piled with stone Fortress.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ototype at the time of the initial construction due to the serious damage caused by the long use of the fortress. However, Baengnyeongseong was used and discarded during the single period of Baekje, and various facilities and textual materials were identified, giving a sense of the specific archetype and construction period of the fortress. Baengnyeongseong Gate is an attic gate structure that reflects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Baekje Fortress Gate, unlike the attic gate of silla fortress. In addition, the fortress walls also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 fortresses, such as base composition, stone trimming, and body-building construction.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by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wall-building materials and the contents of text instruments excavated from the fortress indicate that Baengnyeongseong was already built and used by the end of 6C. Baengnyeongseong, meanwhile, has a geopolitical importance in the area of Daejeon and Geumsan, the winter of Baekje. After King Seong’s death in the mid-6th century due to the Battle of Gwansanseong, it is believed that it was built in the middle of a battlefield pushed and pushed back by Silla to secure defense and necessary bridgehead. As such, Baengnyeongseong is located in the middle of a historical event and is a rare relic with good residual conditions. Above all, it is a monumental example in archaeological history that presents important criteria for the study of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ancient fortresses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n the future, we hope that in-depth research and research on Baeknyeongseong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veal the unfinished ancient fortress and historical events. 금산 백령성은 백제 석축산성의 축성구조를 뚜렷하게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산성이다. 산성은 오랜 사용으로 훼손이 심해 초축 당시의 원 형 파악이 어려웠다. 하지만 백령성은 백제 단일시기 사용・폐기되고, 다 양한 성내시설과 문자자료가 양호하게 확인되어 산성의 구체적인 원형 과 축성시기까지 가늠할 수 있다. 백령성 문지는 현문 구조로서 신라산성의 현문과 달리 백제산성 문지 의 입지와 구조가 반영된 특징을 지닌다. 성벽은 기저부 조성・성돌 다 듬는 방식・체성 축성구조(편・협축) 등에서 일반적인 백제산성의 특징을 보인다. 또한 성벽 축성재료 구성비율에서 확인되는 특징과 성내에서 출토된 간지 명문와의 내용을 분석하면 백령성은 6세기 말엽에는 이미 축성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백령성은 백제 동계인 대전과 금산일원에 자리한 지정학적인 중 요성이 있다. 6세기 중엽 관산성 전투로 인한 성왕 사후, 신라와 밀고 밀리는 전장의 한가운데 자리하여 대 신라 방비 및 필요한 교두보 확보를 위해 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백령성은 역사적 사건 한가운데 위치하면서도 잔존현황이 양 호한 보기 드문 유적이다. 무엇보다 백제 단일시기의 석축산성 원형을 그대로 보여주는 자료로서, 고대 산성의 구조와 기능 및 축성시기 연구 에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는 고고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사례라 할 수 있 다. 앞으로 백령성에 대한 심도 깊은 조사・연구를 통해 미진했던 고대 산성과 역사적 사건을 밝힐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겠다.

      • KCI등재후보

        18~20세기초 아산만 포구의중심 이동과 둔포시장권의 변화

        박범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0 No.34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central port of Asan Bay has beenGongjinpo. Gongjinpo was able to have a centrality thanks to the Jounsystem. However, problems with the shipping system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Act brought about changes. As grains were trans-ported from other ports, Baekseokpo, which was growing as a fishing base,emerged as a major port. As several inlets in the Asan Bay basin appeared, the central governmentand the royal family also began to seek profits. In the process, the newport that appeared was the dunpo. Dunpo was a port and a space equip-ped with all markets. While Baekseokpo only played the role of a fishingbase, Dunpo developed a market where fish and salt were collected anddistributed. As the muzzle of the dunpo developed, a group of peddlersappeared. A large market area centered on Dunpo was formed. The change in the market area centered on Dunpo was the laying of theGyeongbu Line railroad. When a market was opened in front of Pyeong-taek Station, major goods were moved there. It was not until the end ofthe 19th century that a large market was formed, but the rise and declineof Dunpo did not last long. 조선초기 이래 아산만의 중심 포구는 공진포였다. 공진포는 조운 제도 덕분에 중심성을 가질 수 있었다. 그러나 조운 제도의 문제와 대동법의 시행으로 변화가 나타났다. 다른 포구에서 곡물을 운송하게 되자어업 기지로 성장하고 있던 백석포가 주요 포구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아산만 유역의 여러 포구가 등장하면서 중앙정부와 왕실에서도 그 이익을 노리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포구는 둔포였다. 둔포는포구이면서 시장을 모두 갖춘 공간이었다. 백석포가 어업 기지의 역할만 담당한 데에 반하여 둔포는 어염이 모여 유통이 되는 시장이 크게발달하였다. 둔포의 포구가 발달하면서 보부상 집단이 등장하였고, 둔포를 중심으로 하는 큰 시장권이 형성되었다. 둔포 중심의 시장권에 변화를 야기한 요인은 경부선 철도의 부설이었다. 평택역 앞에 시장이 개설되면서 주요 물품은 평택장으로 집산되었다. 이처럼 둔포장은 19세기말이 되어서야 대시장권을 형성할 수 있었으나, 둔포의 성쇠는 오래가지 못하였다.

      • KCI등재후보

        충남역사박물관 소장『신미통신일록』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

        서흥석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1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1 No.-

        The 『ShinMiTongShinIlRoc』 was created by Kim Yi-kyo, a collection of documents related to ShinmiTongshinsha, which he visited as a representative of the envoy. Records of 190 days starting with Gangjeong negotiations on August 27, 1809, just before dispatch, until the Tongshinsha incident delivered the credentials to Tsushima Island and returned are included by subject. It contains Mayor of Dongnaebusa's Janggye document, which is related to negotiations on the dispatch of Tongshinsha companies, as well as diplomatic documents such as credentials, and letters exchanged between Joseon and Japan. It also contains all the official details of ShinmiTongshinsha, including the quota setting and appointment process of speculative groups, the allocation of various items and things in between, the burden of expenses while moving from Hanyang to Busan, and the number and allocation process of predictions exchanged with Japan. Based on the comparison of ShinmiTongshinsha with Kyujanggak's 『Tongsinsadeungroc』 compiled by Yejo Jeongaeksa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speculated that the 『ShinMiTongShinIlRoc』 compiled by Kim Yi-kyo contained more than three times more information, so its historical value would be higher. If a translation of the 『ShinMiTongShinIlRoc』 is published in the fall of 2022, I think research on ShinmiTongshinsha will gain further momentum in the future. 본고는 김이교가 정사로 다녀온 신미통신사에 관련한 문서를 모아 편찬한 『신미통신일록』에 대한 해제 성격의 글이다. 신미통신사 파견 직전 단계인 1809년 8월 27일자의 강정(講定) 교섭부터 시작하여 통신사행이 대마도에 가 국서를 전달하고 돌아올 때까지의 190여 일에 대한 기록이 주제별 총 3책에 걸쳐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통신사 파견에 대한 교섭과 관련된 동래부사의 장계와 중앙에서 내려온 문서를 비롯하여, 실제로 국서와 같은 외교문서, 조선 측과 일본 측 사이에 주고받은 서한들이 함께 실려 있다. 또한 통신사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행단의 정원 설정과 임명과정, 각종 물건의 배정과 그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들, 한양에서 부산까지 이동하는 중의 경비부담, 일본과 주고받는 예단의 수량과 배정과정 등 신미통신사행의 공식적인 모든 것들이 담겨져 있다. 신미통신사에 관해 조선시대 예조 전객사에서 편찬한 규장각 소장 『통신사등록』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김이교가 편찬한 『신미통신일록』이 3배 이상 많은 정보를 수록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더 높을 것이라는 추측해 보았다. 2022년 가을 『신미통신일록』 번역본이 발간된다면 향후 신미통신사에 대한 연구가 한층 탄력 받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나동욱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에서 시・발굴조사 된 읍성의 체성 내벽을 중심으로 한 변화 과정과 부속 시설물로서 등성계단의 축조수법을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읍성은 조선 태종조에서 연산군조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의 읍성은 세종 20년(1438)에반포된 「축성신도」와 세종 25년(1443) 이보흠의 「축성신도」를 보완한내용과 근사한 것으로 조선시대 읍성과 수군진성의 축조에 기본이 된것으로 이해된다. 이보흠의 「축성신도」의 보완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읍성의 석축화과정에서 도성의 축조기법에 의하여 축조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비록세부적인 축성수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축성신도」반포 이전인 태종 17년(1417) 축성된 하동읍성이나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남벽 조사에서 체성의 면석 내부를 층단식 석축으로 뒤채움 한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해안지역 읍성의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보면 조선초부터 도성의 체성 축조기법과 같이 지방 읍성의 체성 내벽도 「축성신도」의 내용처럼 층단식 석축으로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종년간에 축조한 창원 합포성지・거제 사등성지・창원 웅천읍성 등의 발굴조사 결과 축성신도의 규식에 충실한 층단식 석축 뒤채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천읍성에서는 축성신도의 보완책에 부합하는 층단식 석축뒤채움 안쪽으로 토사를 경사지게 덮은 성벽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웅천읍성(단종 1년(1453) 증축) 동남벽, 거제 고현읍성(문종 원년(1451))북벽, 울산 언양읍성(연산군 6년(1500)) 북벽 등의 발굴조사를 통하여내벽 안쪽을 토사로 경사 내탁하는 기법은 동일하나 체성의 내벽 뒤채움 구조가 기존 층단식 석축에서 수직상의 석축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체성 내벽 축조기법은 동래읍성(영조 7년(1731))이나 통영성지(숙종 4년(1678)) 등을 통하여 체성외벽의 지대석이 시공되지 않고 체성 면석 안쪽에 일정한 너비로 잡석을 채우고 토사로 적심을 채우는 기법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체성 축조기법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하동읍성과 거제 사등성지에서는 부산 천성진성등의 내벽에서 성상부로 연결되는 등성계단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