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제주도에 분포하는 제4기 단성화산체의 형태적 분류 및 분포 특성 연구

        이정현(Jeong-Hyun Lee),윤성효(Sung-Hyo Yun) 한국암석학회 2012 암석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화산섬인 제주도에는 약 360여 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일려진 것보다 100여 개가 더 많은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가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총 455개의 단성화산체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해 본 결과, 분석구가 373개로 전체의 82.0%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나며, 분석구 외에도 정상부가 뾰족한 형태이면서 용암으로 구성된 것이 9개(2.0%), 순상화산체가 27개(5.9%), 응회환이 17개(3.7%), 응회구가 3개(0.7%), 마르가 1개(0.2%), 용암돔이 25개(5.5%)가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들 중 알오름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15개가 있다. 단성화산체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제주도의 서쪽에 비해 동쪽에 더 우세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수량과 같은 풍화 요인에 의해 분석구의 형태가 영향을 받는다면, 강수량이 월등히 더 많은 남부 지역에 한 방향으로 터진 말발굽형 화구를 가진 분석구나 초승달형 분석구, 불규칙한 형태의 분석구 등이 더 많이 분포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제주도에서는 오히려 강수량이 더 적은 북부 지역에 이러한 분석구들이 더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주도의 남북 간의 기후적인 요소의 차이가 분석구의 형태나 분포에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단성화산체 중 응회환, 응회구와 마르는 주로 제주화산섬의 지하 또는 해안가의 저지대에 위치하며, 분석구는 대부분이 해안에서 떨어진 섬의 내륙부에 위치한다. 이는 제주도 단성화산체를 형성한 화산활동이 물(지하수 또는 얕은 바닷물)과의 접촉 유무에 따라 수성화산활동(수증기마그마분화)을 하거나, 마그마성화산활동(스트롬볼리안분화 혹은 하와이안분화)을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단성화산체의 고도별 분포를 살펴보면 고도 300 m 이하의 해안저지대에 253개(55.6%), 고도 300~600 m의 중 산간지대에 110개(24.2%), 600 m 이상의 산악지대에 92개(20.2%)가 분포하고 있어 과반수 이상이 해안저지대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주화산섬에 분포하는 단성화산체들은 응력장 안에서 생긴 단층이나 틈을 따라서 틈새 분출을 통해 선상으로 배열되어 나타나는 것과 이러한 틈새와는 무관하게 독립된 단일 화구를 통한 중심 분출을 통해 생성된 것이 함께 나타남을 알 수 있다. Jeju island is the biggest volcanic island in Korea and there are over 455 Quaternary monogenetic volcanoes, of which approximately 373 volcanoes(82.0%) are cinder cones. Other volcanic forms in the island include sharp-pointed lava cone without crater(9 volcanoes; 2.0%), shield volcanoes(27 volcanoes; 5.9%), tuff rings(17 volcanoes; 3.7%), tuff cones(3 volcanoes; 0.7%), a maar(1 volcano; 0.2%) and lava domes(25 volcanoes; 5.5%). The monogenetic volcanoes include 15 small nested cinder cones(aloreum). The monogenetic volcanoes are more abunda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than in the western part. If the main cause of the weathering such as precipitation affected the shape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more monogenetic volcanoes(BC, CC, DC, etc.) are supposed to be present in the southern part that have more precipitation than in the northern part. But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shows no difference between the southern and the northern parts. So we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the climatic conditions did not affect the distribution or the shape of cinder cones. Tuff rings, tuff cones and a maar are distributed beneath the island or in the low-altitude areas along the shore although cinder cones are distributed in the interior of the island. This means that the volcanic activity which formed the monogenetic volcanoes resulted from either phreatomagmatic eruption or magmatic (hawaiian or strombolian) eruptions depending on the reaction with water (underground water or shallow waters). The distribution of the monogenetic volcanoes according to the altitude shows that 253(55.6%) volcanoes occur in low-lying coastal areas at an altitude below 300 m, 110(24.2%) in a middle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between 300~600 m and 92(20.2%) in a high mountainous area at an altitude above 600 m. So more than half of monogenetic volcanoes are distributed in low-lying coastal areas.

      • KCI등재

        단성학교로의 자기선택과 학업성취도 효과

        이정민,박윤수 한국응용경제학회 2021 응용경제 Vol.23 No.4

        본 연구는 학생의 고등학교 선택 내역을 고려하여 고등학교 배정이 실시된 2010학년도 서울 고교선택제를 활용하여 단성학교로의 자기선택과 단성학교 재학의 학업성취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인이 지원한 학교로 배정된 학생들의 경우 단성학교 재학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반면, 본인이 지원하지 않은 학교로 배정된 학생들의 경우 단성학교 재학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사전적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이 단성학교를 선호하는 경향이 존재하고, 이러한 자기선택 문제를 적절히 통제하지 못할 경우, 단성학교 재학의 학업성취도 효과가 과대평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We examine self-selection into single-sex schools and the effects of single-sex school attendance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y using the choice-based high school lottery program in Seoul in 2010. For students assigned to schools that they chos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ingle-sex school attend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ontrast, no such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students assigned to schools that they did not choose. This suggests that students with high prior academic ability tend to prefer single-sex schools, and if this self-selection problem is not controlled, the academic achievement effect of single-sex school attendance may be overestimated.

      • KCI등재

        1862년 丹城抗爭의 원인과 金麟燮의 사회적 실천 자각

        전병철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ause and development of an uprising that occurred in Danseong, Gyeongnam in 1862 with materials left by Kim Inseop, one of the key figures of the event. Regarding the outbreak of the Danseong Uprising, this author traced the time flow grounded on 『Dangyeilgi(端磎日記)』. Next, with the material called 「Danja(單子)」 contained in 『Gamjeongrok(勘定錄)』,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matters that the Danseong villagers urged the governmental agency to rectify. Gamjeongrok is mentioned in 『Ganjeongilrok(艱貞日錄)』, Kim Ryeong’s exile diary, so the name has been known until now. This author found it recently and decided to introduce it in this thesis for the first time. Since Dangyeilgi was written in the form of briefly recording events that took place each day, it is possible to know what happened without detailed information. Contrarily, as Gamjeongrok is a book arranging documents related to the Danseong Uprising, we can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Danseong and the position of its villagers then in detail. Therefore, in considering the cause and development of the Danseong Uprising generally, these two materials are equipped with complementary value and are expected to be employed usefully afterward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of the Danseong Uprising in 1862 and Kim Inseop’s critical mind grounded on two materials, 『Dangyeilgi』 and 『Gamjeongrok』, this study has found an aspect of Kim Inseop in that he considered the mission to be carried out in the late 19th century that was the period of upheaval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Korea. Although he passed the exam of Mungwa at the age of 20 and held posts like Seonggyungwan Jeonjeok or Saganwon Jeongeon in succession, in the situation that the maternal relatives of Andong Kim’s family were engaged in manipulation of state affairs, he left from government service at the age of 36 and went down to the countryside and spent the rest of his life exploring sciences and teaching his disciples there. Even if he quit being involved in government affairs as one of the officials, he looked squarely at realistic issues that took place in the country and the people’s hardships and never lost his will to practice social justice himself. We can understand that the Danseong Uprising was the very event in which such agony and practice of his came to be expressed symbolically. 이 논문은 『端磎日記』와 『勘定錄』이라는 두 자료를 통해 1862년 경남 단성에서 일어난 항쟁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고찰했다. 단성항쟁이 발생한 과정에 대해선 『端磎日記』에 근거해 시간적 흐름에 따라 추적했다. 다음으로 『勘定錄』을 통해 단성 주민들이 관청에 시정을 촉구한 문제들이 어떠한 것들이었는지 분석했다. 『감정록』은 김령의 유배일기인 『艱貞日錄』에 언급되고 있어 현재까지 그 이름만 알 려졌을 뿐 실존 여부를 알 수 없었는데, 근래에 필자가 발견하여 이 논문에서 처음 소개 했다. 『단계일기』는 冊曆에 매일 일어난 사건을 간략하게 기록하는 형식으로 작성되었 으므로, 어떠한 일이 있었는지는 확인되지만 그 이상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비해 『감정록』은 단성항쟁과 관련된 呈文과 題音을 정리한 책이므로, 당시 단성의 현실 상황과 주민들의 입장을 자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단성항쟁의 원인 과 전개 과정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이 두 자료는 상호 보완적인 가치가 있다. 『단계일기』와 『감정록』이라는 두 자료에 근거해 1862년 단성항쟁의 전개 과정과 김인섭의 문제의식을 살펴본 결과, 19세기 후반 국내외의 격변기 속에서 그 시대에 감당 해야 할 사명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김인섭의 한 단면을 볼 수 있었다. 20세에 문과 급제하여 성균관 전적·사간원 정언 등을 역임했지만, 안동김씨 외척 세력이 정권을 농단 하는 상황에서 관직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평생 향촌에서 학문을 탐구하고 후학을 가르쳤 다. 그러나 조정의 관리로서 공무를 수행하는 일은 그만두었지만, 향촌에서 일어나는 현실적 문제와 백성들의 고통을 직시하고 스스로 사회적 정의를 실천하려는 의지마저 버리지는 않았다. 이러한 고뇌와 실천이 상징적으로 표출된 사건이 바로 단성항쟁이었다 고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공립학교에서의 단성교육(單性敎育)의 헌법상의 쟁점 -미국에서의 단성교육의 현황을 중심으로-

        이종근 ( Jong Geun Lee ) 대한교육법학회 2016 敎育 法學 硏究 Vol.28 No.1

        지난 15여년간 미국에서는 공립의 교육기관에서 단성(單性)교육을 하는 학교가 증가해 오고 있다. 단성학교가 이렇게 증가하게 된 것은 단성교육을 허용하거나 옹호하기까지 하는 것으로 인식된 아동낙오방지법 하에서의 규제변화에 크게 기인한다. 그러나 어떻게 인종이나 성을 기준으로분리하여 취급하는 것을 헌법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나라에서 성(性)에 근거하여 분리하는 교육이허용될 수 있을 것인가는 문제이다. 단성교육에 찬성하는 사람들은 남학생과 여학생은 배우는 방법에 있어서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고 주장한다. 때로는 이러한 차이로 인하여 교육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접근방법이 요구되기도 한다고 한다. 단성교육에 반대하는 일부의 견해에 의하면 단성교육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서로 함께 일할 기회를 감소시킨다고 한다. 성인의 세계에서는 남성과 여성이 함께 어울려 일해야 하는데, 오로지 단성학교에서만 교육을 받은 남학생과 여학생은 성(性)의 교차에 의한 상호작용에 대하여 준비가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경우에는 단성교육이 허용되는 근거로서 NCLBA와 같은 실정법적 근거나 심리적·교육적인 근거 이외에 1996년 Virginia 사건 판결의 법리에서도 단성교육의 근거를 찾고 있다. 헌법재판소에 의하면, 학부모에게는 초·중·고등학교에 다니는 미성년자인 자녀를 교육시킬 권한이 있고 이 자녀교육권에는 학교선택권이 포함된다. 즉,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권은 헌법에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헌법 제36조 제1항, 제10조 및 제37조 제1항에서 나오는 기본권이며, 이러한 부모의 자녀교육권이 학교영역에서는 자녀의 교육진로에 관한 결정권 내지는 자녀가 다닐학교를 선택하는 권리로 구체화된다. 따라서 단성학교에서 교육을 받을 권리 또한 학교선택권의한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초·중등학교에서나 고등교육기관에서나 단성교육이 헌법적으로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ast half and a decade single-sex education in public schools has been on the rise in the U.S. This increase can be attributed to the No Child Left Behind Act, allowing single-sex education under the conditions that a few requirements are fulfilled. But, there is still a question of whether how single-sex education could be allowed under the Constitution which prohibits sexual or gender segregation. On the supporting side of single-sex education, some maintain that there are some major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method of learning. Owing to these distinctions, in some cases,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re required. But some opponents argue that single-sex education decreases opportunities for boys and girl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Launching into the social circles, boys and girls need to work together. However, the students who studied in the single-sex schools would be unprepared for the cross-gender interaction. Under the circumstances in the U.S., they find grounds for single-sex education not only in the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aspects, but also in the legal aspect of positive law such as NCLBA and the precedent of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 in United States v. Virginia. According to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parents have a right to educate children including power to select schools for their children. Although parents` right to educate children is no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it is a fundamental right stemming from article 36 (1), article 10, article 37 (1), actualized through the power to settle the children`s route or choose schools which their children will attend.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 it is implied that a right to educate children in a single-sex education is a component part of parents` right to educate children. Namely, single-sex education is not prohibit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 KCI등재

        유전자알고리즘에서 단성생식과 양성생식을 혼용한 번식을 통한 개체진화 속도향상

        정성훈(Sung-Hoon J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3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알고리즘에서 단성생식과 양성생식을 혼용하여 개체진화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제안한다. 단성생식은 암수의 구분이 없는 세균이나 단세포 생물이 두 개의 개체로 분열되는 방법으로 유전적으로 지역적 탐색에 유리하며 양성생식은 암수의 구분이 있는 개체가 만나 생식하는 방법으로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이러한 특성은 유전자알고리즘에서 개체의 진화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적절히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된 개체가 상대적으로 좋은 개체의 경우 진화를 위하여 지역적 탐색을 강화하는 단성생식을 하게 하고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개체의 경우 유전자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전역적 탐색을 강화하는 양성생식을 하게 하였다. 단성생식의 경우 지역적 탐색을 강화하기 위하여 돌연변이 확률을 기존의 유전자알고리즘 보다 낮추었으며 양성생식의 경우 유전자의 다양성 확보를 위하여 돌연변이 확률을 기존의 유전자알고리즘 보다 크게 높였다. 4가지 함수최적화 문제에 적용해본 결과 3개의 함수에서 성능이 매우 좋았으나 전역 최적해가 분산되어 있는 4번째 함수에서는 성능이 좋지 못하였다. 이는 전역최적해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 안정적 진화에 혼란을 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accelerate the evolution speed of individuals through hybrid reproduction of monogenesis and gamogenesis. Monogenesis as a reproduction method that bacteria or monad without sexual distinction divide into two individuals has an advantage for local search and gamogenesis as a reproduction method that individuals with sexual distinction mate and breed the offsprings has an advantages for keeping the diversity of individuals. These properties can be properly used for improvement of evolution speed of individuals in genetic algorithms. In this paper, we made relatively good individuals among selected parents to do monogenesis for local search and forced relatively bad individuals among selected parents to do gamogenesis for global search by increasing the diversity of chromosomes. The mutation probability for monogenesis was set to a lower value than that of original genetic algorithm for local search and the mutation probability for gamogenesis was set to a higher value than that of original genetic algorithm for global search. Experimental results with four function optimization problems showed that the performances of three functions were very good, but the performances of fourth function with distributed global optima were not good. This was because distributed global optima prevented individuals from steady evolution.

      • KCI등재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김은애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5 생명윤리정책연구 Vol.9 No.1

        Under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to ensure bioethics and safet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hereinafter referred to as ‘IRB’) has to be established not only the Human Research Institution and the Human Material Research Institution, but also the Medical Institution Producing Embryos, the Human Material Bank, the Embryo Research Institute, the Somatic-cell cloning embryo research institute, and the Parthenogenic Embryo Research Institute. The functions of the general IRBs such as the IRB of the former research institutions are to review the research whether to decide the approval and to inspect and supervise the progress and outcomes of the IRB approved research. But, in Korea, some IRBs such as the IRB of the latter medical institution and research institutes ha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its roles, so these IRBs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IRBs. First, the Medical Institutions Producing Embryos mainly provides the medical treatment for the infertile persons, so it obtains the human gametes to create the human embryos. And, if necessary, it obtains the donated human gametes(especially, women’s oocytes) for the infertile persons. Also it can serve the residual human embryos and gametes to the research institutes. Second, the Human Material Bank secures the donated human materials and related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to supply them to the researchers. Therefore, the IRBs of the Medical Institutions Producing Embryos and the Human Material Bank have to perform the roles related to these works. Third, the researches conducted in the Embryo Research Institute, the Somatic-cell cloning embryo research institute, and the Parthenogenic Embryo Research Institute are very special because the residual human embryos and oocytes containing the ethical issues have to be used. So, the IRBs of these research institutes must have the capacity to review and to inspect and supervise these researches more professionally. But, some provisions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related to these IRB’s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ts roles are a little incomplete and inadequate to support these IRB’s activities as the voluntary self-regulation. Of course, it is a false belief that everything can be solved by the law. However, the law, especially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has to be able to present standards to ensure bioethics and safety because both the establishment of these IRBs and the conduct of its roles are based on the law in Korea. So, some provisions related to these IRBs will be able to be amended to support the remarkable activities of these IRBs. 우리나라에서는「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바에 따라 인간대상연구기관과 인체유래물연구기관 외에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체세포복제배아연구기관, 단성생식배아연구기관도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를 설치하여 운영하여야만 한다. 일반적인 IRB는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연구에 대해 심의하고 연구의 진행과정 및 결과에 대해 조사·감독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그런데, 배아생성의료기관에서는 연구가 아니라 체외수정시술을 받는 사람들을 위해 생식세포를 채취하여 배아를 생성하는 일, 임신을 위해 자신의 생식세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다른 사람들로부터 생식세포를 기증받고 이를 제공해주는 일, 그리고 배아연구, 체세포복제배아연구, 단성생식배아연구를 위해 사용될 잔여배아와 잔여난자를 제공해주는 일이 이루어지고, 인체유래물은행에서는 연구도 이루어지지만 주로 연구를 위해 인체유래물과 관련 정보 등을 제공해주는 일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이들 기관의 IRB는 이러한 일들과 관련된 역할을 주로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연구기관의 IRB와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배아연구기관·체세포복제배아연구기관·단성생식배아연구기관에서는 배아와 난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연구보다 윤리적 쟁점이 더 많은 특수한 연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 기관의 IRB는 일반적인 연구기관의 IRB에 비해 보다 전문적인 심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생명윤리법」에 규정되어 있는 배아생성의료기관의 업무, 인체유래물은행의 업무, 배아연구기관·체세포복제배아연구기관·단성생식배아연구기관에서의 연구 및 관련 법적 기준 등을 확인하여 이러한 기관들의 IRB가 일반적인 연구기관의 IRB와 달리 가지고 있는 특수성이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특수성에 맞게 IRB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고려하여야 할 사항과 이와 관련한 법적인 측면에서의 개선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海寄翁 金欞의 한시연구 - 艱貞日錄의 유배시를 중심으로 -

        이영숙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남명학연구 Vol.48 No.-

        Ganjeongilrok is an exile journal of Haegiong Kim Ryeong, covering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he was arrested as the leader of Danseong Strife, through the year when he was exiled to Island Yimja, Jeolla Province between June 4, 1862 and December 30, 1863, to the years in his hometown after his exile was lifted. It is a single-volume book, in which he wrote down his daily life every day with no space between the lines except for the first couple of days since he started to record his experiences. The term "Ganjeong" was borrowed from Zhouyi, meaning "There will be no collapse if you keep your mind right even in hardship"[Ganjeongmugu]. There are 130 Chinese poems in the journal, and he created them at diverse occasions when he became the first one to write and read a poem while drinking alcohol with his friends, tried to unburden himself mentally, received a request from people around him, and had trouble falling asleep. Those poems reflect his human aspects that had not been known to the world. Kim Ryeong left a huge legacy in history, leading Danseong Strife. It was, however, impossible to understand him since he left no collection of his works. His Chinese poems in the journal depict his human aspects that had not been known much including the ones as the head of household that was gentle and kind, as a Confucian scholar that deplored the irrationalities of reality, and as an intellectual that tried to resolve his anguish. He was strong to the powerful and gentle to the weak, trying to improve the irrationalities of reality on the side of the weak. His human aspects reflected in his Chinese poems in Ganjeongilrok also reveal the hidden side of his leadership in Danseong Strife. 『艱貞日錄』은 해기옹 김령이 단성항쟁의 주모자로 체포되어 1862년 6월 4일부터 1863년 12월 30일까지 전라도 임자도에 1년간 유배되었다가 해배되어 고향으로 돌아와 지낼 때까지의 일상을 기록한 유배일기이다. 한 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신이 겪은 일들을 기록하기 시작한 며칠을 제외하고, 날짜에 따라 매일의 일상을 행간의 구분 없이 기록하였다. ‘艱貞’이란 『周易』에 나오는 말로 ‘어려운 가운데서도 마음을 바르게 가진다면 허물이 없어진다[艱貞無咎]’는 의미이다. 『간정일록』에는 130여 편의 한시가 실려 있다. 그 시들은 벗들과 술자리에서 수창할 때, 마음속의 회포를 풀려고 할 때, 주위의 요구가 있을 때, 잠을 이루지 못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서 지어진 것들이다. 이 시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김령의 인간적인 면모들이 담겨 있다. 김령은 단성항쟁을 주도하며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가 남긴 문집이 없음으로 인해 그의 면모를 알 길이 없었다. 『간정일록』의 한시에는 온유돈후한 가장의 모습, 현실의 부조리에 대해 개탄하는 유자(儒者)의 모습, 고뇌를 타개해 나가려는 지식인의 모습 등 알려지지 않았던 김령의 인간적인 면모들이 나타나고 있다. 김령은 강자에겐 강직하며, 약자에겐 온유한 인물로 약자 편에 서서 현실적인 부조리를 개선하고자 했다. 『간정일록』에 수록된 한시에 나타난 이러한 김령의 인간적 면모들을 보면 그가 단성항쟁을 주도한 그 이면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설곡 정보선생 사적 변증

        홍순석(Hong, Soon-Seuk) 포은학회 2015 포은학연구 Vol.15 No.-

        설곡 정보는 단종조의 충신으로 정조로부터 “살아 있는 사육신”이라는 평까지 받은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의 사적이 일실되어 별반 주목되지 못하였다. 그의 사적을 변증하기 위하여 ≪설곡선생실기≫, ≪조선왕조실록≫,≪연려실기술≫ 등 여러 문헌을 바탕으로 정보의 출생지와 시기, 참화사건, 단성 유배와 졸년 시기, 묘소, 사후 신원과 배향 등을 추정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보는 생몰연대조차 기록이 없으나 여러 문헌을 살핀 결과 정보의 졸년은 1460년(세조5, 경진) 쯤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정보의 졸년을 근거로 출생연도를 환산하면 포은의 순절 이전 개성에서 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건국 이후 정보가 거주하였던 곳은 중부 견평방이었다. 정보는 포은의 유학(儒學)을 가통으로 전해온 가학을 전수하였으며, 성품이 올곧고, 구속받기를 싫어하였다는 평을 받는다. 절친하였던 인물이 성삼문・박팽년이라는 사실에서도 그의 성품을 짐작할 수 있다.그를 평하는 말로‘방랑불기(放浪不羈)’,‘강의(剛毅)’,‘당직(戇直)’이라는 용어가 쓰인다. 정보는 세종 때 사마시에 급제하여 문종 즉위년인 1450년에 사헌부 감찰로 재임하였으며, 이후 6-7개월간 외직인 예안현감에 재임하다가 퇴직하였다. 정보는 포은의 손자이기에 세종 때부터 각별한 시혜를 받았다. 왕실과 통혼할 정도로 영일정씨 가문에서 가장 전성기를 이룬 시기에 활동하였다. 그러나 사육신의 옥사를 계기로 정보의 일가는 일대 전환점을 맞았다. 정보는 성삼문・박팽년을 정인군자로 옹호하는 발언을 하여 세조의 친국을 받았다. 이 당시 정보의 나이는 70을 넘은 때이다. 환형(轘刑)에 처해졌다가 포은의 손자라는 사실 때문에 죽음을 면하여 영일에 유배되었다가 다시 단성문태촌으로 이배되었다. 정보의 참화는 그의 가산을 적몰하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일가친척들이 모두 역률에 연좌되어 처벌되었다. 정보의 묘소는 1460년(세조5) 무렵 졸서하여 단성의 문태산 기슭에 가매장 하였다가 이후 포은선생의 묘소 아래 반장(返葬)하였을 가능성이 짙다. 정보는 단종이 복위되고, 사육신이 포숭된 이후 1703년(숙종29)에 신원되고 이조참의에 증직되었다. 1791년(정조15)에 충렬서원과 옥산서원에 배향되었다. 1736년(영조12) 영월 유생이 상소하여 팔현사 현판을 청할 때 정보 또한 팔현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었다. 근대시기에 이르러 이건하, 남정철 등의 노력으로 1906년(광무10)에는 정2품 자헌대부 내부대신에 추증되었다. Seolgok Jeongbo is a loyalist in the era of King Danjong, even addressed as a Living One of Six Martyred Ministers by King Jeongjo. Nonetheless, he hasn’t made a mark on history since his record was all lost. Based on several documents such as ≪Seolgokseonsawngsilgi≫,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Yeonryeosilisul≫ Jeongbo’s birthplace, time of birth, the ravages, exile to Danseong, time of death, his tomb, and identity and canonizing after death are estim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no records of Jeongbo’s time of birth and death. As a result of surveys from many references, his death is estimated to be around 1460 (King Sejo 5, Geongjin year). To infer his birth from the time of death, he was born in Gaseong before Poeun’s martyrdom. He resided in Gyeonpyeongbang, the middle of Jose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Joseon Dynasty. He studied Poeun’s Confucianism handed down in his family lineage, and had a reputation for being forthright and unconstrained. The fact that Seong Sammoon and Park Paengnyon were his intimate friends can be grounds to guess his personality.‘Bangrangbulgi(放浪不羈)’‘Gangeui(剛毅)’‘Dangjic(戇直)’are the words used to describe him. He passed Samasi examination in King Sejong era and served as an inspector in Sahunbu in 1450, the year of King Munjong’s accession. Afterwards, he had served as Yean Governor for 6~7 months until his retirement. Jeongbo had received particular benefits Since King Sejong because he was Poeun’s grandson. During his working period his family, Yongil Jeong Family, enjoyed its prime so much as to intermarry with the royal family. However, his family met a turning point due to the death of Six martyred ministers. His statement supporting Seong Sammoon and Park Paengnyon as Jeongingunja caused King Sejo’s interrogating. He was over 70 years old at that time. He was sentenced to death by wheel, and exempted by reason of Poeun’s grandson. He was exiled to Yongil and then to Danseong Muntaechon. All of his family fortune was confiscated, and his relatives were punished by collective punishment. It is possibly estimated his body was buried temporarily at the foot of Muntaesan Mountain in Danseong after his death in 1460(King Sejo 5) and moved to under Poeun’s tomb. Jeongbo posthumously rehabilitated himself and was promoted to Yijochamui in 1703(King Sukjong 29) after king Danjong’s restoration and Six martyred ministers’ rehabilitation. He was enshrined in Chungryol Seowon and Oksan Seowon in 1791(King Jeongjo 15). In 1736(King Yeongjo 12), he was also enshrined as one of Eight wise ministers by appeals of Yeongwol Confucianists when designating a stela of Palhyeonsa Shrine. In recent times, he got a posthumous promotion to Jeong 2 Pum Jaheondaebu Naebudaesin in 1906(Kwangmu 10) by the effort of Lee Gunha and Nam Jeonchol.

      • SCOPUSKCI등재

        단성생식종 벼물바구미 (Lissorhoptrus oryzophilus)와 양성생식종 쌀바구미 (Sitophilus oryzae) (바구미과 : 딱정벌레목) 생식기관계의 형태비교

        김제욱,한성식,유문일,최귀문 한국곤충학회 1992 Entomological Research Vol.22 No.3

        단성생식종인 벼물바구미 (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와 양성생식종인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 L.)의 생식기관계를 해부현미경 및 광학현미경하에서 비교 관찰하였다. 벼물바구미는 한쌍의 난소, 수란관, 수정낭, 수정낭선 및 부속선들로 이루어진 암컷 내부생식기관만을 갖고 있었다. 수정낭은 하나의 관(spermathecal duct)에 의하여 실과 연결되어 있었으며, 내강은 비어있었다. 부속선에서는 하나의 관으로 시작하여 말단부에서 2개로 분지된 후 각각 측수란관에 연결되어 있었다. 영양구는 난소의 성장과 함께 신장되었으며 영양핵의 수 역시 증가하였다. 쌀바구미의 암컷에서도 한쌍의 난소, 수란관, 수정낭 및 부속선 등이 관찰되었으나 벼물바구미와는 달리 수정낭선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쌀바구미의 수정낭은 두개의 관(spermathecal duct)으로 분지되어 각기 양쪽 측수란관과 실에 연결되지만 측수란관으로 연결될 때에는 다시 양쪽으로 나누어졌다. 그리고 쌀바구미의 부속선은 4개의 관으로 분지되어 측수란관과 실에 각각 2개씩 연결되어 있었으며, 측수란관과 연결되는 관은 수정낭에서 시작되어 말단부에서 분지된 관과 합쳐졌다. 쌀바구미의 수컷은 한쌍의 정소, 한쌍의 부속선, 한쌍의 저정낭, 그리고 사정관으로 구성되었다. 정소 내부의 각 cysts에는 각 성숙단계의 정세포들 혹은 정자들로 충만되어 있었다. To compare reproductive systems of both parthenogenetic and gamogenetic species, rice water weevil (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 and rice weevil (Sitophilus oryzae L.) were selected and observed morphologically by stereo and light microscope.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 of rice water weevil was consisted of paired ovarioles, oviduct, spermatheca, spermathecal gland and accessory gland. While the empty spermatheca and the vagina were connected by a spermathecal duct, a single duct from the accessory gland ran toward the oviduct and finally divided into two small duct, and then attached to each lateral oviducts. Germarium was elongated and trophocytes were increased in number during ovary maturation. After the oviposition, the number of trophocytes were decreased.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 of rice weevil was similar to that of the former species except no spermathecal gland. However, the spermathecal gland was divided into two ducts, one was directly connected to the vagina, and the other was branched into two small ducts before connecting with two lateral oviducts. Additionally, the accessory gland of rice weevil was separated four ducts; two were attached to both lateral sides of vagina, and the other two were fused into each spermathecal ducts of the spermathecal and connected to lateral oviducts each other. Germarium was compactly filled with small trophocytes, except the caudal portion containing liquid substance.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of rice weevil was consisted of a pair of testes and an ejaculatory duct. Each of testis contains a seminal vesicle and accessory gland. Testis was formed two hemispheral structure to fuse each other and surrounded by testicular epithelium, and many cysts in the testis were repleted with sperms in the various stages of maturation. Although the similarity was shown on two materials, their number of spermathecal ducts and the duct from the accessory gland, and position of adherence were quite different between two species.

      • KCI등재

        귀도, 존, 마르케토의 선법 이론에 대한 연구

        이귀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6 이화음악논집 Vol.10 No.2

        The present study aims at an investigation of modal theories presented in Guido's "Micrologus(1026)", John's "De Musica(1100)", and Marchetto's "Lucidarium(1317 or 1318)". The modal theories descussed in these treatises are based on the modal theories used from the 9th century. The modes used in the medieval period are called Protus, Deuterus, Tritus and Tetrardus, and each mode is divided into authentic and plagal modes, thus making 8 modes all together. Marchetto divides the modes further into perfect, imperfect, mingled and mixed modes according to the melodic range. Guido and John also talk about the extension of melodic range, but their treatises do not contain detailed explanations. In Guido's treatise, the theory of the affinities of notes in which the possibility of melodic transpositions up a 5th are described, takes much space. This idea was initially presented in Hucbald's De Harmonica Institutione in early 10th century. John and Marchetto also agree that the lower ranged melodies can be transposed up a 5th without ruining the interval relations of the melody. But they do not discuss the affinities of notes based on theoretic relations. All three theorists examined for the present research deal with modal functions and thus refer actual chants in order to make their theoretic points clear. Therefore, their treatise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analyzing medieval chants. 본 연구의 목적은 11세기 초 이태리의 이론가인 아렛조의 귀도의 논서 "미크로로구스"와 그로부터 거의 1세기 후반에 저술된 존의 "음악서" 그리고 14세기 초반에 또 다른 이태리의 이론가 마르케토에 의해 저술된 단성성가 예술에 대한 "루치다리움"에서 논의된 선법이론을 연구하는데 있다. 귀도의 "미크로로구스"는 다성 음악과 단성 성가를 논하는 음악 실습에 대한 최초의 논서로 중세기의 수도원 성가대를 훈련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논서였다. 위의 세 논서들은 선법 이론의 기본 틀에서 공통점을 지니지만 더 구체적인 면에서 차이점들을 보여준다. 귀도는 음들의 유사성 이론을 통하여 선율의 이도가 가능함을 보여 준다. 존은 정격과 변격 선법이 가지는 공통 음들과 그렇지 않은 음들을 구별하며, 각 선법에 따른 테노르 음 지정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마르케토는 선법의 종류를 음역에 따라 더 세분화하며, 각 선법에서 성가를 시작할 수 있는 음들과 종지할 수 있는 음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성가 선율은 특정 음들의 관계에 따라 선법을 판단할 수 있다는 이론에 따라 각 선법의 음계 중 처음 다섯 음 중 어떤 음이 생략되어도 선법 결정에는 이상이 없음을 선율의 중단(interruption)이론을 통하여 전개해 나간다. 이 세 이론가들은 선법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 문헌에서 예들을 발췌했으며, 따라서 중세의 성가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좋은 자료를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