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湖南 性理學의 전개와 특징

        박학래(Park Hak-Rae)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본 논문은 19세기 호남 성리학에 대해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과 노사학파蘆沙學派를 중심으로 그 학문 활동과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조선성리학의 흐름 속에서 호남 지역은 기호나 영남과 비교하여 독자적인 학맥이나 학파, 그리고 학풍이 수립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19세기에 접어들어 호남 성리학은 기정진을 종장으로 하는 노사학파, 전우田愚를 종장으로 하는 간재학파艮齋學派 그리고 다수의 연재학파淵齋學派 문인과 화서학파華西學派 문인들이 활동하면서 조선성리학의 중심지역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기정진을 중심으로 하는 노사학파는 리理 중심의 일원적 세계 구성과 현실 인식을 통해 학술적 위상을 높였고, 기정진 사후에 빚어진 논쟁을 통해 학파적 동질성과 일체성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학파적 결집과 지향성은 학술논쟁에 그치지 않고, 한말의병으로 연결되는 실천적 의리구현에도 같은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면모를 이해하기 위해 본 논문은 19세기 이후 호남을 지역적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된 유학 사상을 기정진과 노사학파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특히 기정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노사학파의 위상을 호남사림이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시기의 그것과 관련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기정진의 성리설을 대략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저작을 둘러싸고 제기된 기호학파 문인들의 논쟁 과정과 추이 등을 정리하여 노사학파 성리설의 한 단면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대前代의 호남유학과 차별화된 19세기 호남 성리학의 구도를 확인하여, 시론적試論的인 접근이지만 이들의 학문과 활동이 호남 사림 형성기의 위상을 계승하여 독자적인 학파를 수립하고, 호남유학의 위상을 정초한 것으로 정리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d 19th century Honam neo-confucianism centering on Nosa Ki, jung-jin and his school scholar's doings and its meanings. It was mainly understood that In the current of neo-confucianism in Chosun Korea, there isn't any independent scholaristic school and culture in Honam region comparing to Kiho and Yeong-nam region. However, since the 19th century, Ki jung-jin and his school, jun woo and his students, and other Yeonjae school scholars and Hwaseo school scholars studied actively in Honam region and Honam region became one of the centers of Chosun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 Nosa school enhanced academic level by recognition of Li centered monistic world consitution and recognition of real world, and reinforced its homogeneity and unity through the academic debates after the death of Ki jung-jin. Furthermore their unity and orientation was embodied as the righteous army riots in the late chosun period. To understand these aspects, the nee-confucian schools in Honam region will be sorted out by centering Ki jung-jin and his schools. Especially, the Nosa schools' academic status will be acknowledged by comparing other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ols. Moreover, Ki jung-jin's sungri theory will be looked over and one aspect of Nosa schools' sungri theory will be revealed by sorting out the debates on Ki jung-jin's work among Kiho school scholars and Nosa school scholars.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ier Honam region nee-confucianism and 19th century Honam neo-confucianism, the Nosa school is tentatively understood as an independent school inheriting the formation movement and comprehended as a founder of Honam neo-confucianism

      • 嶺南地域에서의 蘆沙學派와 寒洲學派의 成立과 學說交流

        김봉곤 한국공자학회 2007 공자학 Vol.14 N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in Youngnam area was formed through Yeongnam Sarim(士林-gentlemen) increasingly keeping company with Nohron (老論-a political party). in the 19th century. Not only Jung Yeo Chang(鄭汝昌)’s family firmly tied with Kim In Hoo(金麟厚)’s family by marriage but also many scholars all around Jinju, Sancheong and Hapcheon including Jo Sung Ga(趙性家), Choi Sook Min(崔琡民), Jung Jae Gyoo(鄭載圭) and etc. Most of Nohsa Scholars’ families in Youngnam area tried to make scholarly achievement based on their economical success around the 19th century. They made strong connection with Nohron families in that area based on their scholarly power and extended their activity spaces by conducting various activities in that area where Jo Sik and Jung Yeo Chang were respected. Gi Jung Jin’s philosophy of Li-Yil-Li-Bun-Soo(理一理分殊) and idea of Wi-Jung-Cheok-Sa(衛正斥邪) deeply influenced Hanju Scholars’ Faction. For although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in 1870’s period was formed in Youngnam area by the scholars including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Lee Jeong Mo(李正模) etc, facing to Lee Hwang(李愰) scholars’ attact to the theory of mind equal to reason(心卽理), Hanju Scholars’ Faction wanted to firmly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aundation by suppoting Nohsa(蘆沙)’s theory. Therefore in the theory Hanju(寒洲) Scholars’ Faction was similar to Nohsa(蘆沙) Scholars’ faction and Heo Yu(許愈), Gwak jong suk(郭鍾錫) was deeply tied with Jung Jae Gyoo(鄭載圭) in the many sides including political, social, scientific activites. 본고는 19세기 후반 전반적으로 주리설이 확산되는 배경하에 영남지역에서 기호학파인 노사학파와 심즉리설을 주장한 한주학파가 어떻게 성립되었으며, 두 학파간에 어떠한 학술 교류를 진행하였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먼저 영남지역의 노사학파는 영남 사림들이 기호학통 계통의 인물들과 활발히 교유하면서 형성되었다. 기정진 대에는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장성의 김인후 가문이 혼반관계로 연결되어 있어서 함양의 사림들이 기정진을 자주 찾아오기 시작하였다. 이후 함양의 정여창 가문과 가까운 산청의 여흥민씨 가문을 비롯해서 진주의 趙性家, 崔琡民이 찾아오고, 합천에서 鄭載圭 등이 찾아오면서 노사학파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체로 영남의 노론가문 출신으로, 왜란 때 창의하였거나 이괄의 난 등을 토벌하는데 공을 세웠으나, 상당기간 동안 영락한 집안의 후손들이었다. 이들은 당대나 부친 대에 재산 형성에 성공하고 학문을 통해서 영남지역에 다시 두각을 나타내고자 한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학문적인 역량을 바탕으로 이 지역 노론 가문과 연대를 강화해 나갔으며, 조식과 정여창을 숭앙하는 기풍이 강한 이곳에서 그들의 선양 활동을 다양하게 전개해 갔다. 그러한 결과 하동, 진주, 산청, 함양, 합천, 의령 일대에 노사학파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지고,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한편 한주학파는 寒洲 李震相(1818-1886)이 1870년에 이르러서야 허유 등에게 비로소 적극적인 강학활동을 전개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영남 서부 지역은 오랫동안 퇴계학설의 영향이 깊은 곳으로 이진상의 심즉리설이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에 이진상은 자신의 심즉리설이 주자와 퇴계설의 근본 취지를 계승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이진상이나 그의 문인들은 정재규와의 논쟁을 통해 호남의 저명한 성리학자였던 기정진으로부터 자신들의 학설을 입증받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진상의 호발설이나 명덕, 지각설 등이 기정진에 의해서 검토되었고, 이진상이나 허유, 곽종석 등은 기정진의 학설중에 사단칠정을 리발로, 명덕을 리로, 지각을 리의 작용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영남 지역 노사학파는 지각설이나 심설에 대해서 이진상의 학설과 밀착되게 되어 기정진의 학설이 더욱 주리적인 경향을 띠게 되었다. 이러한 영남지역 노사학파와 한주학파는 이진상 사후에도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져 노사학파의 조성가와 최숙민, 정재규, 그리고 한주학파의 허유, 곽종석간에 밀접한 교분이 있게 되었다. 특히 정재규는 허유와 함께 삼가지역의 학문을 이끌면서 함께 조식을 크게 선양하였으며, 곽종석과도 자주 성리학과 시국에 대해 토론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호남지역(湖南地域)의 기정진(奇正鎭) 문인집단(門人集團)의 분석(分析)

        ( Kim Bong Go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4

        19세기 중엽 호남지역에는 기정진의 강학활동에 의해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그의 문인집단은 기정진의 뛰어난 학문능력과 거의 40여년에 걸친 가르침에 의해 형성된 것이었지만, 호남지역에서 정조 이후 많은 가문들의 충절과 효행의식이 고양되었고, 광주와 장성 일대가 점차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교통의 중심지가 되면서 많은 교육적 수요가 발생하였으며, 筆巖書院 일대의 기정진 가문이 세도정치기에 호남 지역의 노론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한 것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기정진과 사제관계를 통해 그들은 중앙정계의 인물이나 기호지방의 저명한 유학자와 연결될 수 있었고, 사회적 지위나 학문적인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많은 인물들이 찾아와 수학하였기 때문이다. 기정진의 문인들은 노론 외에도 소론, 남인, 평민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기정진이 특정 당파나 신분에 구애없이 문인들을 받아들 였기 때문이었다. 기정진의 문인들은 과거시험에 합격한 자는 많지 않았지만, 기정진의 가르침을 통해 성리학에 대해 이해하고 향촌 사회를 이끌어갈 학문적인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그들은 자신들의 거주지에서 열심히 강학에 전념하여 재전 삼전으로 가면서 문인 수가 많이 늘게 되어, 노사 학파가 굳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비록 호남 지역에 근대학문이 점차 보급되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신학문을 일제의 침략으로 간주하여 성리학과 국권을 수호한다는 의무감으로 열심히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기정진의 문인집단은 기정진의 주리론과 유교적인 예속을 강하게 주장하고 실천하였다. 특히 宋秉璿과 田愚의 문인들이 기정진의 주리론을 李珥의 학설에 위배된다고 공격하였을 때, 기정진의 문인들은 기정진의 철학이 오히려 李珥 철학의 근본 정신을 계승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기정진의 문인들은 기정진의 주리철학의 영향을 받아 토지 개혁 등 근본적인 사회 경제개혁책을 주장하였으며, 위정 척사 운동을 전개해갔다. 한말에는 萬國公法을 받아들이고, 평민층과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의병 운동을 일으켰다. 奇參衍이 죽은 후에 그들은 대부분 자정운동을 전개하였지만, 일제하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언론활동,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하여 국권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도 많았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운동들은 일제하에 민족주의를 고취시키고 한국의 민주화에 크게 공헌하였다고 할 수 있다. From the mid nineteenth century, Gi Jung Jin taught many disciples who were from most parts of the Honam region. Basically, the group of his disciples formed due to his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his long, 40-year teaching career. Not only that, the formation was closely related to several other reasons: 1) the sens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were called for more than before, 2) the educational demand increased as GwangJu(光州) and JangSeong(長成) became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and developed economically, and 3) Gi`s family that was founded on PilamSeowon(筆巖書院) grew to the influential center of Nohron(老論-one of the parties) in the Honam region. Since being one of his pupils meant that a person could get som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tatus, and he could thus be connected with the prominent scholars in the GiHo(畿湖) region, many prospective students sought after to him. Besides Nohron, Gi`s disciples consisted of the members of Sohron(少論-one of the parties), Namin(南人-one of the parties), and the common people. That was because he accepted disciples no matter what parties they were from or which social class they belonged to. Although among his disciples, there were not many who passed “Kwago,”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Choson Dynasty, they could comprehend Sung Confucianism fully and obtained the ability to lead their local communities.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ir studies their original place of residence. Then the number of these people was remarkably increased through generations so that the school of Nohsa(蘆沙學派) was established firmly in the Honam region. Even when modern science was spreading gradually in Honam, they considered it as an invasion from Japan, and kept to their studying and teaching with a sense of duty to protect their sovereignty and Sung Confucianism. Gi`s disciples held his philosophy of Ju-Ri (主理論) and the Confucian custom and carried them out. Particularly, when the followers of Song Byong Seon(宋秉璿) and Jeon Woo(田愚) attacked Gi`s Ju-Ri philosophy as running counter to Lee Yi(李珥)`s philosophy, Gi`s disciples claimed that Gi`s theory succeeded the essence of Lee Yi`s philosoohy. In addition influenced by Gi`s Ju-Ri, they called for the social reforms represented by land reform, and carried on the movement of Wi-Jung-Cheok-Sa(衛正斥邪運動). Late in Joseon, they accepted the World General Public Law(萬國公法), and rallied the troops associated with common people resisting against the Japan``s occupation. After Gi Sam Yeon died, they took the self-purification act, but many of them made efforts to regain sovereignty by establishing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or by making mass-media or socialist movements against Japanese oppression. These new movements boosted national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ributing to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 KCI등재

        鄭載圭의 講學 活動과 蘆沙學의 계승

        박학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The differentiation of Confucianism in Joseon, which was embodied since the mid-19th century, continued through the lecture activities of literary people of each school until the middle and late 20th century. The study of each school in this period,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characteristic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ism and the critical review of the issues of the Neo-Confucianism theory of the previous era, became the basis of practical response to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is aspect continued by the disciples of each school. Through this study, I reviewed th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of Jeong Jae-Gyu, who represents Gangwoo region among the Nosa school disciples who have formed in the background of Honam area and expand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In addition, I analyzed the disciples who were educated by him comprehensively and confirmed the succession of Nosahak. Jung Jae-Gyu was already evaluated for his academic ability when Ki, Jeong-Jin was alive, and l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of Nosa school after Ki, Jeong-Jin's death. Through this, he became a key disciple of the Nosa school, and continued his educational activities and produced special disciples in Gangwoo region. In particular, he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center of succession of Nosahak, representing the Nosa school literary figures and responding to criticism of Nosahak in the process of controversy over Ki, Jeong-Jin’s theory, which was carried out with a new version of Nosajip. In addition, he has conducted extensive academic fellowship and lecture activities with other scholars in order to promote Confucianism in Gangwoo region. His disciples, who were produced through various education and lecture activities of Jung Jae-Gyu, continu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Confucian topography in Gangwoo region. In this study, I tried to summarize the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that Jung Jae-Gyu has conducted extensively and to summarize various materials about the disciples who were released through his lecture activities. And I tried to analyze the general scale and contents of his disciples together. 19세기 중반 이후 구체화하는 학파 분화는 이후 각 학파의 문인들이 펼친 강학 활동을 통해 그 학맥이 20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졌다. 주자학에 대한 특징적인 해석과 전 시대 성리학적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구체화한 이 시기 각 학파의 학문은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 대처하는 실천적인 대응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각 학파의 문인들에게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본고에서는 호남 지역을 배경으로 형성되어 그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奇正鎭(1798-1879)의 蘆沙學派 문인 가운데 강우 지역을 대표하는 鄭載圭(1843-1911)의 강학 활동과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정진 학맥의 계승 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기정진 생전에 이미 학문적 역량을 평가받은 정재규는 기정진 사후에 펼쳐진 노사학파의 다양한 학문 활동을 주도하며 노사학파의 핵심 문인으로 자리 잡았으며, 지속적인 교육 활동을 통해 특기할만한 문인들을 강우 지역에서 배출하였다. 특히 『蘆沙集』 重刊을 계기로 촉발된 기정진 학설에 관한 논쟁 과정에서 그는 노사학파 문인을 대표하여 蘆沙學 비판에 대응하는 반비판을 주도하는 등 노사학 계승의 중심에서 활약하였다. 뿐만 아니라 그는 강우 지역의 儒風을 진작시키기 위해 타 학파 문인들과의 광범위한 학문 교유와 강학 활동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정재규의 다양한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그의 문인들은 이후 계속 이어져 강우 지역 유학 지형의 한 축을 담당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재규가 폭넓게 진행한 강학 활동을 입체적으로 정리 분석하고, 그의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문인들에 대해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여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도 정재규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펼쳐 20세기 중후반까지 적지 않은 문인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며 기정진으로부터 연원하여 정재규를 통해 이어진 노사학파의 학맥을 계승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정재규의 再傳 및 三傳 제자들의 대체적인 규모와 내용도 함께 정리 분석하였다.

      • KCI등재후보

        湖南地域의 奇正鎭 門人集團의 分析

        김봉곤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4

        From the mid nineteenth century, Gi Jung Jin taught many disciples who were from most parts of the Honam region. Basically, the group of his disciples formed due to his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his long, 40—year teaching career. Not only that, the formation was closely related to several other reasons: 1) the sense of loyalty and filial piety were called for more than before, 2) the educational demand increased as GwangJu(光州) and JangSeong(長成) became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and developed economically, and 3) Gi's family that was founded on PilamSeowon(筆巖書院) grew to the influential center of Nohron(老論—one of the parties) in the Honam region. Since being one of his pupils meant that a person could get some degre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tatus, and he could thus be connected with the prominent scholars in the GiHo(畿湖) region, many prospective students sought after to him. Besides Nohron, Gi's disciples consisted of the members of Sohron(少論—one of the parties), Namin(南人—one of the parties), and the common people. That was because he accepted disciples no matter what parties they were from or which social class they belonged to. Although among his disciples, there were not many who passed “Kwagŏ,”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Chosŏn Dynasty, they could comprehend Sung Confucianism fully and obtained the ability to lead their local communities. They committed themselves to their studies their original place of residence. Then the number of these people was remarkably increased through generations so that the school of Nohsa(蘆沙學派) was established firmly in the Honam region. Even when modern science was spreading gradually in Honam, they considered it as an invasion from Japan, and kept to their studying and teaching with a sense of duty to protect their sovereignty and Sung Confucianism. Gi's disciples held his philosophy of Ju—Ri (主理論) and the Confucian custom and carried them out. Particularly, when the followers of Song Byong Seon(宋秉璿) and Jeon Woo(田愚) attacked Gi's Ju—Ri philosophy as running counter to Lee Yi(李珥)'s philosophy, Gi's disciples claimed that Gi's theory succeeded the essence of Lee Yi's philosoohy. In addition influenced by Gi's Ju—Ri, they called for the social reforms represented by land reform, and carried on the movement of Wi—Jung—Cheok—Sa(衛正斥邪運動). Late in Joseon, they accepted the World General Public Law(萬國公法), and rallied the troops associated with common people resisting against the Japan's occupation. After Gi Sam Yeon died, they took the self—purification act, but many of them made efforts to regain sovereignty by establishing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or by making mass—media or socialist movements against Japanese oppression. These new movements boosted national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ributing to the democratization of Korea. 19세기 중엽 호남지역에는 기정진의 강학활동에 의해 많은 문인들이 배출되었다. 그의 문인집단은 기정진의 뛰어난 학문능력과 거의 40여년에 걸친 가르침에 의해 형성된 것이었지만, 호남지역에서 정조 이후 많은 가문들의 충절과 효행의식이 고양되었고, 광주와 장성 일대가 점차 경제적으로 성장하고 교통의 중심지가 되면서 많은 교육적 수요가 발생하였으며, 筆巖書院 일대의 기정진 가문이 세도정치기에 호남 지역의 노론의 중심세력으로 성장한 것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기정진과 사제관계를 통해 그들은 중앙정계의 인물이나 기호지방의 저명한 유학자와 연결될 수 있었고, 사회적 지위나 학문적인 성취를 이룩할 수 있었기 때문에 많은 인물들이 찾아와 수학하였기 때문이다. 기정진의 문인들은 노론 외에도 소론, 남인, 평민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이는 기정진이 특정 당파나 신분에 구애없이 문인들을 받아들였기 때문이었다. 기정진의 문인들은 과거시험에 합격한 자는 많지 않았지만, 기정진의 가르침을 통해 성리학에 대해 이해하고 향촌 사회를 이끌어갈 학문적인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이후 그들은 자신들의 거주지에서 열심히 강학에 전념하여 재전 삼전으로 가면서 문인수가 많이 늘게 되어, 노사 학파가 굳게 자리를 잡게 되었다. 비록 호남 지역에 근대학문이 점차 보급되어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신학문을 일제의 침략으로 간주하여 성리학과 국권을 수호한다는 의무감으로 열심히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기정진의 문인집단은 기정진의 주리론과 유교적인 예속을 강하게 주장하고 실천하였다. 특히 宋秉璿과 田愚의 문인들이 기정진의 주리론을 李珥의 학설에 위배된다고 공격하였을 때, 기정진의 문인들은 기정진의 철학이 오히려 李珥 철학의 근본 정신을 계승하였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기정진의 문인들은 기정진의 주리철학의 영향을 받아 토지 개혁 등 근본적인 사회 경제개혁책을 주장하였으며, 위정척사 운동을 전개해갔다. 한말에는 萬國公法을 받아들이고, 평민층과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의병 운동을 일으켰다. 奇參衍이 죽은 후에 그들은 대부분 자정운동을 전개하였지만, 일제하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언론활동,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하여 국권을 되찾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도 많았다.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운동들은 일제하에 민족주의를 고취시키고 한국의 민주화에 크게 공헌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老柏軒 鄭載圭의 蘆沙學 계승과 主理論의 심화

        김봉곤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Since the late 19th century, the philosophy and ideology of Nosa(蘆沙) Gi, Jeong-jin (奇正鎭, 1798-1879), which was said to be one of 6 great experts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has blossomed in the Yeongnam region. This paper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Philosophy of Nosa (蘆沙學) in the Yeongnam region, and analyzed the ‘Sasang Gimun(沙上記聞)’ left by Jeong, Jae-gyu and academic activities in the Yeongnam area. Jeong, Jae-gyu visited Gi, Jeong-jin and learned 「Napryangsaeui (納凉私議) and 「Oepil (猥筆)」 that reflected his unique thought of rationalism (唯理論的) as well as study of he Classics (經學) and study of ritual (禮學). He succeeded to Gi, Jeong-jin's unique thinking system of the one principle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理一分殊) and idea of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through this, and based on Nosa studies, he understood the theory of Sinmyeongsado(神明舍圖) in Nammyeong and the theory that Hangju(寒洲) Lee JinsangYi(李震相) claimed that the mind was reasonable. Since then, Jeong, Jae-gyu has deepened the aspect of the theory of Li in the theory of Nosa having academic discussions between alumni and academic arguments with Ganjae Jeonwu. He established the aspect of the theory of Li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and mind as well as the theory of i and ki by expanding the one principle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more. He integrated mind of supervision and wonderful operation with human nature as systematic organization (條理) and true nature (實體) saying that mind is supervision and suggestion, nature of humaneness, rightness, ritual decorum, and wisdom means when mind is expressed and gets to be different, which is the expansion of the theory of one principle with different manifestations. Accordingly, for divine beings (神明) and numinous emptiness (虛靈), he defined divine beings as Body of Li, numinous emptiness as Use of Li, and Myeongdeok as Li (理). Like this, the viewpoint to combine mind and nature with each other and consider Myeongdeok as Li deepened Nosa's theories of human nature and mind and i and ki. the Deepening Process of the Theory of Li (主理論) represses self- interest, restores courtesy, and has the significance of administration theory that emphasizes human order. For this reason, Jeong Jae-gyu and his literary men strongly developed the movement for protecting the orthodox and repelling the heterodox with the spirit of defending great enlightenment desperately (守死善道) 19세기 후반 이래 영남지역에서는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일컬어졌던 蘆沙 奇正鎭(1798-1879)의 철학과 사상이 활짝 꽃을 피웠다. 본고는 이러한 영남지역에서의 노사학의 수용과 발전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작성된 것으로서, 기정진의 수제자 정재규(1843-1911)가 남긴 「沙上記聞」과 영남지역에서의 학술활동을 분석하였다. 정재규는 기정진을 찾아가 경학과 예학은 물론 독특한 유리론적 사고가 반영된 「納凉私議」와 「猥筆」을 전수받았다. 이를 통해 정재규는 노사학의 독특한 理一分殊 사유체계와 衛正斥邪사상을 계승하였으며, 노사학을 바탕으로 南冥 曹植의 神命舍圖나 寒洲 李震相의 心卽理說을 이해하였다. 이후 동문간의 학술토론이나 노사학의 정합성에 관한 艮齋 田愚와의 논쟁에서도 정재규는 노사학설의 주리적 측면을 더욱 심화시켜갔다. 그는 이일분수론을 확장하여 이기론 뿐만 아니라 심성설에서도 주리론을 확립하였다. 이기론 뿐만 아니라 심성설에서도 주리설을 확립하였다. 主宰하고 常定하는 것은 心이고 심이 발출하여 같지 않은 것이 仁義禮智의 성이라고 하여, 主宰와 妙用의 心과 條理와 實體로서의 性을 일체화시켰는데, 이것 또한 理一分殊論의 확장인 것이다. 이에 따라 神明과 虛靈에 대해서도, 신명은 理의 體, 허령은 理의 用이라고 규정하여 명덕에 대해서도 理로 규정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처럼 심성을 일치시키고, 明德을 理로 보는 관점은 기정진의 心性理氣說을 한 단계 심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정재규의 주리론의 심화는 사리사욕을 억누르고 禮義廉恥를 회복하며, 人倫秩序를 중시하는 경세론적 의의를 함께 지닌 것이다. 이 때문에 정재규와 그의 문인들이 守死善道의 정신으로 主理論과 衛正斥邪運動을 강인하게 전개해 간 것이다.

      • KCI등재

        로사(蘆沙) 기정진(奇正鎭) 시에 나타난 애고(哀苦)의 시정(詩情)

        박세인 ( Park Se-in ) 택민국학연구원 2018 국학연구론총 Vol.0 No.21

        본고는 蘆沙 奇正鎭(1798, 정조 22~1879, 고종 16)의 시문학에 드러난 감성적 발현에 주목하고, ‘슬픔과 고통[哀苦]’의 내면과 그 감성의 양상을 탐색한 논문이다. 기정진은 조선 유학계에 큰 자취를 남긴 韓末의 대표적인 主理 성리학자이다. 이 때문에 그 동안 기정진에 대한 연구도 대체로 철학가 혹은 사상가로서의 특장과 그 학문적 특질을 규명하는 데 집중되었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시인 기정진의 면모와 시 세계에 보다 적실히 다가가기 위해서는 蘆沙詩의 다양한 감성적 변주에 대한 고찰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노사시에 드러난 병증과 쇠락의 悲哀, 이별과 죽음의 哀傷, 毁道와 混世의 哀歎이라는 감성적 특징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기정진은 어렸을 적 천연두로 왼쪽 눈을 실명하고 장성해서도 다양한 병증으로 고생하는 등 병과 밀접한 삶을 살았다. 이 때문에 기정진의 시에는 병증을 소재로 하거나 병을 앓으면서 가졌던 심사를 토로한 내용들이 많이 보인다. 이러한 시들에서는 홀로 병과 싸워야 하는 외로움과 쓸쓸함, 병증으로 쇠락하는 유약한 존재로서의 무력감 등이 발견된다. 그런데 기정진은 이와 같은 비애적 감성으로만 일관한 것이 아니라, 병증에 대한 달관과 수용의 태도를 터득함으로써 삶의 의지를 다시 세우는 생의 전환을 이루어 내고 있다. 다음으로, 기정진의 삶에서 가족이나 절친한 友人의 죽음, 혹은 이별의 체험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많은 시편들이 이를 소재로 창작되었다. 특히 여기서는 양반이나 관료뿐 아니라 평민에 이르는 광범위한 교유 관계에 주목하였다. 평소 기정진은 신분과 지위를 경계짓지 않고 그 학문적 성취에 따라 한미한 신분이라도 문인으로 받아들였다. 이에 따라 그의 주변에는 다채로운 인적 관계망이 형성되었으며, 이들과 나눈 시들에서 기다림으로 인한 그리움, 헤어짐으로 인한 아쉬운 감성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또한 친밀한 정을 나눈 벗들의 죽음 앞에서는 깊은 상처와 슬픔을 진솔하게 토로하고 있다. 기정진이 주로 활약하던 19세기는 조선의 체제가 대·내외적으로 도전을 받는 격변의 시기였다. 따라서 쇠락해가는 조선의 현실 또한 기정진에게 哀苦의 감성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현실에 감응한 시편에서 기정진은 백성들의 곤궁한 삶에 대한 염려, 이를 야기한 바르지 못한 세력에 대한 비판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프랑스가 무력을 앞세워 조선의 국토를 침탈한 丙寅洋擾가 일어나자, 이에 맞서 거병한 제자들을 격려하는 시에서는 서구 제국주의에 대한 분기와 항거의 정당성을 강하게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etic expression of emotions, in particular, that of sorrow and pain, by Nosa Gi Jeong-jin(1798, King Jeongjo 22~1879, King Gojong 16), who is one of the renowned Neo-Confucianists at the end of Joseon Dynasty. Scholars have studied Gi’s philosophy much more than his poetry. But to study his poetry is able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im. This paper thus examines Gi’s poems in which he expresses a variety of emotions such as the woe caused by illness and debility, the sorrows of parting and death, and the lamentations over a confused political system and distortion of the truth. Gi suffered from many diseases all his life. For this reason, his poetic world is full of ailments and pains. He often expresses how lonely he battles with his diseases and how he feels helpless against them. Despite such depression and woe, he has his will to live and shows that he takes his diseases philosophically. Gi also mourns over the deaths of families and friends and expresses the pain of parting in his poems. These poems show that he is not class-conscious when he makes friends. He expresses his longing for his beloved people and his aching heart for parting with them. He laments the deaths of his bosom friends with the deep and painful sorrows. Nineteenth-century Joseon was a time of upheaval, fac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Joseon in decline evoked sorrow and distress in Gi. He worried about people in wretched conditions and criticized the authorities that were responsible for such agony. During Byungin Yangyo, he wrote poems to denounce western imperialism and encourage his pupils who organized loyal troops against French invaders.

      • KCI등재

        기우만(奇宇萬) 문인들의 강학 활동과 노사 학맥(蘆沙學脈)의 지속

        박학래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7 No.-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formed the center of Confucian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area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Ki Woo-man (奇宇萬, 1846~1916), who worked at the center of the Nosa school after the death of Ki Jeong-jin (奇正鎭, 1798~1879), produced more than 1,500 literary discipl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his disciples develop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focusing on educational activities, produced disciples, and contributed to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Nosa school. This paper first focused on the scale and activities of the 20th centur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which had been relatively different from the researchers' eyes. Then, the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the school system centered on Ki Woo-man, who was the center of the flow of the Nosa school,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created the flow of modern Confucianism centered on Honam area.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in the basic stage, this study first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 Woo-man's disciples, who had the largest portion in the Nosa school. And the general scale and contents of the disciples produced by the disciples of Ki Woo-man, and the list of the literary works left by them were confirmed and presented. Through this, the status and role of succes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leaning in the overall scale of the Nosa school and the succession of the school were confirmed. Based on thi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continuation of the Nosa school, which passed through the 20th century and centered on the Ki Woo-man, were presented experimentally. 19세기 이후 근현대 호남 유학의 중심을 이룬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는 노사학파(蘆沙學派)였다.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생전에 그 면모를 갖춘 노사학파는 기정진 사후에 노사학파의 중심에서 활동한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을 중심으로 학파의 외연 확대와 지속이 이루어졌으며,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직전 제자들은 다양한 학문 활동을 전개하며 재전(再傳), 삼전(三傳)으로 이어지는 문인을 배출하며 노사학파의 지속과 확장에 기여하였다. 본고는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시선에서 비껴있었던 20세기 정통 유림의 규모와 활동에 유의하여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근현대 유학의 흐름을 조성한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인 노사학파의 흐름 가운데 그 중심을 이룬 기우만 중심의 학맥에 관하여 그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 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먼저 노사학파 내에서 가장 비중이 컸던 기우만의 직전 제자가 펼친 강학 활동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들 문하에서 배출된 기우만의 재전과 삼전 제자의 대체적인 규모와 활동 내용, 그리고 이들이 남긴 문집의 목록 등을 확인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노사학파의 전체적인 규모와 학맥의 계승 양상에서 기우만을 통해 이어진 학맥의 계승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20세기를 관통하며 기우만을 중심으로 이어진 노사 학맥의 지속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사학파의 명덕(明德) 개념 - 기정진과 최숙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순자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조선 성리학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학파로 분기하는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사상을 종지로 삼는 노사학파가 그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정진과 그의 직전 제자인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 1837~1905)의 명덕(明德)을 고찰한 것이다. 기정진은 명덕을 본심(本心)이라고 규정함으로써 명덕이 심 성 정을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개념이 아니라 마음의 역량임을 분명히 한다. 하지만 기정진은 명덕을 리(理) 또는 기(氣)로 규정하는 것을 경계한다. 왜냐하면 본심은 기의 지반을 떠나 성립할 수 없으므로 본심은 단순히 기라고 할 수 없지만 리라고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숙민은 기정진이 명덕을 본심으로 보는 관점을 이어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심을 리라고 봄으로써 스승과는 다른 입장을 취한다. 최숙민은 명덕을 “거짓이 없는 참된 본체[無妄之眞體]”로 규정하면서 기가 전혀 섞이지 않는 상태로 설명한다. 또한 최숙민은 ‘령(靈)’ 개념 분석을 통해 그의 ‘심즉리(心卽理)’를 완성한다. 왜냐하면 심을 주기론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학자들이 주목하는 개념이 허령(虛靈)이기 때문이다. 최숙민은 령을 저(底)와 처(處)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신령스러운 것[靈底]은 리, 신령스러운 곳[靈處]은 기와 연관시킨다. 최숙민은 령은 ‘저’의 측면에서는 리이지만 ‘처’의 측면에서는 기이며, 더 나아가 ‘저’는 주인이고 ‘처’는 노복에 해당한다고 본다. 그런데 기정진은 ‘령’을 리와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만약 령을 리라고 하게 되면 자칫 잘못하여 기를 리라고 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최숙민은 자신의 심과 명덕에 대한 입장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스승인 기정진의 영향을 받은 측면도 있지만 스승의 주리적인 경향을 더욱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시 말하면 최숙민이 스승과 달리 ‘심즉리(心卽理)’의 노선을 선택한 이유는 심을 통해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증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In the 19th century, Neo-Confucianism of Joseon diverged into various schools, and one of them was the Nosa School, which pivoted around the ideas of Nosa Ki Jung-jin (1798-1879).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mingde of Ki Jung-jin and his previous disciple, Gyenam Choi Sook-min (1837-1905). By defining mindge as the true mind, Ki Jung-jin made it clear that mingde is not a total concept encompassing xin, xing and qing, but a capacity of the mind. However, Ki Jung-jin was wary of defining mindge as li or qi. This is because the true mind cannot exist outside the ground of the qi, so it cannot be simply called as qi or li. However, Choi Sook-min took a different position from his teacher by considering Ki Jung-jin's true mind as li even though he inherited the view of mindge as his true mind. Choi Sook-min regarded mindge as a "true body without lies" and explained it in a state where qi is not mixed at all. In addition, Choi Sook-min completed his theory of “xin is li.”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ing(靈).’ This is because xuling (虛靈) is the concept that the qi-centered theorists paid attention to. Choi Sook-min divided the ling into two parts, di[底, thing] and chu[處, place], and associated a spiritual thing with li and a spiritual place with qi. Choi Sook-min believed that ling is li in terms of thing but qi in terms of place and furthermore, di is the owner and chu is the salve. However, Ki Jung-jin opposed discussing 'ling' in connection with li. This is because if we say “ling is li.”, it is almost same as if we say “qi is li.” In conclusion, Choi Sook-min was influenced by his teacher Ki Jung-j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position on mind and mingde, but it is evaluated that he further strengthened the li-centered ideas of his teacher. In other words, unlike his teacher, Choi Sook-min chose the line of "xin is li" because he wanted to prove li’s presidency of qi through xin.

      • KCI등재

        대곡(大谷) 김석구(金錫龜)의 성리설(性理說) 연구

        박학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民族文化硏究 Vol.43 No.-

        본 논문은 조선 말기를 대표하는 성리학자인 蘆沙 奇正鎭(1798~1879)의 제자 중 한 사람인 大谷 金錫龜(1835~1885)의 성리설에 대해 이기론을 중심으로 검토한 것이다. 생존 당시부터 호남을 중심으로 서부 경남지방을 아우르는 거대한 문인집단을 형성한 기정진 문인들은 스승인 기정진과 격의 없는 학술토론을 통해 理氣, 心性, 知行, 出處 등 성리학 전반에 걸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성리설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특징적인 성리설을 전개하였다. 그동안 기정진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었지만, 그의 문인들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동시대의 華西學派 및 寒洲學派 문인들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증가하고 있지만, 노사학파 문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노사학파 문인들에 대한 개별 연구의 하나로 기정진 문하의 嫡傳으로 평가받는 김석구의 성리설을 리의 주재성 계승과 강화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리 일원적 체제 하에서 제기되는 선악문제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a neo-confucian theory of Kim seok-ku (金錫龜, pen name : Daegok大谷), who was a pupil of great neo- confucian scholar of late Cho-sun period, Ki jeong-jin(奇正鎭, pen name : Nosa蘆沙). The Nosa school(蘆沙學派), comprised of neo- confucian scholars who followed Ki jeong-jin’s thoughts on neo- confucianism mainly lived inHo-nam(湖南)and western Yong-nam (嶺南) regions, had numerous debates about neo-confucian topics, such as li and chi(理氣), mind and nature(心性), knowledge and action(知行), government and seclusion(出處), with their mentor Ki jeong-jin. Furthermore, thanks to these debates, they could deepen their understandings on neo-confucianism and develop particular neo-confucian theories. So far, much works has been done on topics of Ki Jeong- jin’s neo-confuciantheories,but little hasbeen done on the Nosa school, inthe face of growing works on the contemporary other neo-confucian schools such as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and theHanjuSchool(寒洲學派).In the present paper, we shall see how Kim seok-ku, evaluated as a Ki jeong-jin’s orthodox successor, succeeded and reinforced the superintendency of li in his neo- confucian theory. Especially, the virtue and vice problem under li monistic structure will be a focal point of this arti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