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旅軒學의 實用的 面貌: 道德 實踐과 우리 文化에 대한 主體意識 彈調

        朴鶴來 한국인물사연구소 2014 한국인물사연구 Vol.21 No.-

        In previous studies on his learning, many researchers have claimed that Yeoheon`s statecraft merely provided with ideal and abstract stances, and that it disregarded both social realities and historical tradition of his own country in the light of sinocentrism. By criticizing these previous researches, this paper examines a practical aspect of Yeoheon Chang Hyun-kwang`s learning. My approach is based upon a research paper that re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Yeoheon`s learning by inquiring into his compilation of geographies and concerns on fengshui. Yeoheon paid more special attention not only to current issues, but also moral practices of human beings than any other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Based upon Confucian view of the world, he had not only built his comprehensive academic system, but also sought for solution to overcome contemporary problems.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especially, Yeoheon actualizes more practical aspect of his learning by focusing on reconstruction of social order via moral practices. By taking a look at concrete realities of local communities, he made the contents of his learning worth, and tried to pay attention to recovery of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social order. Such efforts are key elements to highlight the practical aspect of his learning. After his death they come to fruition by his followers who devoted themselves into various cultural businesses Thus, they can be evaluated as certain momentum to revitalize new academic trend of neo-Confucian culture in Yeongnam area. 1n short, my paper will comprehensively examine the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Yeoheon`s learning by critically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 KCI등재

        기우만(奇宇萬) 문인들의 강학 활동과 노사 학맥(蘆沙學脈)의 지속

        박학래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1 儒學硏究 Vol.57 No.-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formed the center of Confucian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area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e Nosa school (蘆沙學派). Ki Woo-man (奇宇萬, 1846~1916), who worked at the center of the Nosa school after the death of Ki Jeong-jin (奇正鎭, 1798~1879), produced more than 1,500 literary discipl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al activities. And his disciples develop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focusing on educational activities, produced disciples, and contributed to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Nosa school. This paper first focused on the scale and activities of the 20th centur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which had been relatively different from the researchers' eyes. Then, the study examined the aspect of the school system centered on Ki Woo-man, who was the center of the flow of the Nosa school, one of the representative literary groups that created the flow of modern Confucianism centered on Honam area. Considering that this study is in the basic stage, this study first summarized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Ki Woo-man's disciples, who had the largest portion in the Nosa school. And the general scale and contents of the disciples produced by the disciples of Ki Woo-man, and the list of the literary works left by them were confirmed and presented. Through this, the status and role of succession of the Nosa school which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leaning in the overall scale of the Nosa school and the succession of the school were confirmed. Based on thi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continuation of the Nosa school, which passed through the 20th century and centered on the Ki Woo-man, were presented experimentally. 19세기 이후 근현대 호남 유학의 중심을 이룬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는 노사학파(蘆沙學派)였다. 기정진(奇正鎭, 1798~1879) 생전에 그 면모를 갖춘 노사학파는 기정진 사후에 노사학파의 중심에서 활동한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을 중심으로 학파의 외연 확대와 지속이 이루어졌으며,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직전 제자들은 다양한 학문 활동을 전개하며 재전(再傳), 삼전(三傳)으로 이어지는 문인을 배출하며 노사학파의 지속과 확장에 기여하였다. 본고는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연구자들의 시선에서 비껴있었던 20세기 정통 유림의 규모와 활동에 유의하여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근현대 유학의 흐름을 조성한 대표적인 문인집단 중 하나인 노사학파의 흐름 가운데 그 중심을 이룬 기우만 중심의 학맥에 관하여 그 양상을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 관한 연구는 초보적인 단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먼저 노사학파 내에서 가장 비중이 컸던 기우만의 직전 제자가 펼친 강학 활동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들 문하에서 배출된 기우만의 재전과 삼전 제자의 대체적인 규모와 활동 내용, 그리고 이들이 남긴 문집의 목록 등을 확인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노사학파의 전체적인 규모와 학맥의 계승 양상에서 기우만을 통해 이어진 학맥의 계승이 차지하는 위상과 역할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20세기를 관통하며 기우만을 중심으로 이어진 노사 학맥의 지속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시론적(試論的)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近現代 湖南儒學의 地形과 전개 양상 – 도학 계열 문인 집단의 형성과 지역별 분포에 주목하여 –

        박학래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78

        호남 유학은 16세기 이후 율곡학파의 절대적인 영향력 아래에 성장하였지만, 기호학계 전반에 걸쳐 중심 역할을 담당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학계의 문호 분립과 학파 분화에 따라 여러 문인 집단이 호남을 배경으로 성장하면서 호남 지역은 20세기 중후반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현대 유학의 중심 지역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그간의 근현대 호남 유학 연구는 각 학파의 종장을 비롯하여 개별 문인에 대한 연구에 한정되거나 문인 집단을 분석하면서도 직전 제자에 한정하여 문인 집단을 분석함으로써 1960년대 이후까지 학파의 면모를 유지하며 활동했던 각 학파의 전체 규모를 확인하는 데에도 일정한 제한점을 보여 왔다. 본고에서는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면서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학계를 주도한 도학 계열 문인 집단의 활동 중심지 중 하나인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여러 학파의 형성과 문인 분포 등을 전반적으로 정리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에 앞서 19세기 이전까지 기호학계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호남 지역이 19세기 이후에 기호학계의 중심지 중 하나로 부각된 배경 중 하나가 19세기 전반기에 기호학계의 여러 학자들이 호남 지역에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 시기의 호남 지역을 배경으로 활동한 여러 학자들의 활동을 검토하였으며, 蘆沙學派를 비롯하여 기호학계를 주도한 여러 학파들이 19세기 중반 이후에 어떻게 호남 지역과 연계되어 문인 집단을 형성하였는지를 각 학파의 문인록에 등재된 문인들의 지역별 분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 결과, 19세기 중반 이후 호남을 배경으로 활동한 문인 집단은 蘆沙學派와 艮齋學派 등 기존의 이해를 넘어 崔益鉉의 勉菴學派, 宋秉璿의 淵齋學派, 그리고 영남 계열인 郭鍾錫의 俛宇學派, 許傳의 性齋學派 등이었으며, 근 1백여 년에 걸쳐 호남 지역을 배경으로 형성되어 학맥이 유지된 문인 집단 내에는 2만여 명에 육박하는 문인들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Confucianism in Honam area grew under the absolute influence of Yulgok school(栗谷學派) since the 16th century, but it did not play a central role throughout the academic world of the Kiho region. However,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school of Yulgok, various literary groups grew up in the background of Honam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Honam area became the cent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ism in Korea until the mid-20th centur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certain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overall size of each school that has been active in maintaining the aspect of the school until the 1960s by analyzing the literary group only by the disciples of the previous period while analyzing the literary group or the study of individual literary students including the central scholars of each school.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of various schools and distribution of literary figures in Honam area, one of the activity centers of the New Confucian literary group that led the Yulgok school since the mid-19th century,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Prior to this review, it was noted that one of the backgrounds that Honam area, which had stayed in the periphery of Yulgok school until the 19th century, became one of the centers of Yulgok school since the 19th century was that various scholars of semiotics had expanded their academic influence in Honam area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nd how various schools leading the academic world Kiho area including Nosa school(蘆沙學派) formed literary groups in connection with Honam area after the mid-19th century was organized based on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iterary people listed in each school's literary record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ry group that has been active in the background of Honam since the mid-19th century was not only the Nosa school and Ganjae school(艮齋學派) but also the Myeonam school(勉菴學派) of Choi Ik-hyun(崔益鉉), the Yeonjae school(淵齋學派) of Song Byung-sun(宋秉璿), and the Myeonwoo schoo(俛宇學派)l of Kwak Jong-seok(郭鍾錫), a Toegye school(退溪學派).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about 20,000 literary people in the literary group that was formed in the background of Honam area for about 100 years and maintained the academic background.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iterary group research in Honam area, which was active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will be activated.

      • KCI등재

        艮齋 田愚의 유학사적 위상과 그 영향

        박학래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50 No.-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who led the academic debate in all directions and led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in the academic division that accelerated from the 19th century regardless of Kiho and Yeongnam academia is Ganjae Jeon Woo. He was more intense than anyone else in his consciousness to inherit the academic views and heritage of the Yulgok school. He was more intense than anyone else in his desire to inherit the academic views and heritage of the Yulgok School. Therefore, he not only criticized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proposed by Lee Hang-ro and Ki Jeong-jin of Yulgok's lineage, but also raised bold criticism against the theory proposed by Lee Jin-sang of Toegye's line. And through this, he took the lead in inheriting and protecting Yulgok's studies, which he understood as the orthodoxy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he presented his theory through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review of the theory of Confucianism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senior Confucian scholars. He also criticized his theory against the criticism of other schools at that time and paid close attention to establishing his theory. In addition, he expanded his academic influence by producing disciples nationwide, unlike the leaders of other schools who produced disciples within a geographically limited range. Through lectures that lasted for about 50 years, he promoted academic unity and homogeneity within the school and constantly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on academic topics with nearly 2,000 disciples, through which he tried to confirm and inherit the orthodoxy of Joseon Confucianism. And his disciples continued this academic position and view not only when he was alive, but also after his death, and decorated the tradition of studying in Korea. In this paper, I tried to confirm the position of Ganjae Jeonwoo's academic position and broad academic activities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through his academic background, academic awareness, and his academic fellowship. And his academic status wa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his academic debate, and his academic influence was to be confirmed through the size of the disciples of the Ganjae school, the distribution by region, and the activities of the disciples. 기호 학계와 영남 학계를 불문하고 19세기 이후 가속화한 문호 분립과 학파 분화 속에서 전방위적으로 학술 논쟁을 이끌며 근현대 한국 유학의 맥락을 이끈 대표적인 학자 중 한 사람은 田愚(1841∼1922)이다. 누구보다 율곡학파의 학문 전통과 유산을 계승하고자 하는 의식이 강렬하였던 그는 같은 율곡 계열의 李恒老, 奇正鎭 등이 제기한 성리설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퇴계 계열의 李震相이 제시한 성리설에 대해서도 과감한 비판을 제기하며 스스로 주자학의 정통이라 이해한 栗谷學의 계승과 수호에 앞장섰다. 그뿐만 아니라 주자학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선배 유학자의 성리설에 대한 체계적 검토를 통해 ‘性師心弟’, ‘性尊心卑’ 등 자기 학설을 구체화하였으며, 자신의 학설에 대한 당시 다른 학파의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하며 自家說 확립에 깊은 관심을 기울였다. 지역적으로 제한된 범위 내에서 문인을 배출한 다른 학파의 宗匠과 달리 전우는 전국적으로 문인을 배출하며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한 학자였다. 50여 년 동안 지속된 강학을 통해 그는 학파 내 문인들의 학문적 결집과 동질성을 도모하며 2천여 명에 육박하는 문인들과 끊임없이 학문적 주제에 대해 문답을 주고받았고, 이를 통해 조선 유학의 정통을 확인하고 계승하고자 하는 뜻을 분명히 하였다. 그의 문인들은 전우가 생존하였을 때는 물론, 그의 사후에도 이러한 입장을 지속하며 조선 유학 전통의 대미를 장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우의 학문적 입장과 폭넓은 학문 활동이 조선 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그의 학문 연원과 학통 인식, 그리고 그의 학문 교유 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의 학문적 위상을 그가 펼친 학술 논쟁과 연관하여 검토하고, 그의 학문적 영향력을 간재학파 문인들의 규모와 지역별 분포, 문인들의 활동 등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松沙 奇宇萬의 학문 활동과 蘆沙 性理說의 계승

        박학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1 No.-

        본고는 奇正鎭(1798-1879) 사후에 蘆沙學派의 嫡傳으로 평가받으며 세 차례에 걸쳐 진행된 『蘆沙集』 간행을 주도하는 등 노사학파의 결집과 확산을 주도한 松沙 奇宇萬(1846-1916)의 학문 활동과 蘆沙學 계승 면모가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그의 성리설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기존의 기우만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그의 의병 활동 내지는 문학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져 그의 생애 및 활동도 학문 활동보다는 의병 내지 문학 활동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하지만 기정진 사후인 19세기 말부터 기우만은 호남 유림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받는 등 학문적 영향력이 상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강학을 통해 수많은 문인을 배출하며 노사학의 계승 및 확산에 주력한 인물이었다. 특히 영남과 호남을 넘나들며 펼친 그의 학문 활동은 理를 중심으로 한 노사학의 계승 면모가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상대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기우만의 학문 활동과 그의 성리설에 초점을 맞추어 그 구체적인 내용을 정리 분석하였다. 성리설과 관련한 별도의 저작을 남기지 않았고, 『노사집』 三刊 당시에 노사의 성리설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던 기호학계의 논쟁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표명하지 않을 정도로 신중한 태도를 견지하였지만, 기우만은 문인과의 강론 과정에서 지속해서 자신의 성리학적 입장을 구체적으로 드러내었다. 특히 그는 리의 실현에 초점을 맞추어 실천 지향적인 심성론을 제시하여 도덕 실천 및 의리의 구현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성리학적 입장은 새로운 이론적 모색이나 변론이 아니라 善의 실현을 위한 방향에 주안점이 두어졌으며, 이것은 당시 혼란한 세태를 극복하고 유학적 질서의 회복과 국난을 극복하기 위한 방향점으로 제시된 것이었다고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다각적으로 전개된 그의 학문 활동과 성리설을 통해 그의 위상은 노사학파의 핵심이자 근현대 호남 유학의 상징적인 학자라 평가할 수 있다. Songsa(松沙) Ki Woo-Man(奇宇萬) wa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literary figure of the Nosa school(蘆沙學派) after the death of Nosa(蘆沙) Ki Jeong-jin(奇正鎭), and led the publication of the Nosajip(蘆沙集) that was conducted three times. Through this process, he developed academic activities that led to the gathering and spread of Nosa school, and presented neo-Confucian theories that show the succession of Nosa Studies(蘆沙學). The existing studies on Ki Woo-Man were mainly focused on his righteous or literary activities, and his life was not relatively interested in academic activities. However, since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fter the death of Ki Jeong-jin, Ki Woo-Man wa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Honam Confucian Scholars and had a considerable academic influence. In addition, he was a person who focused on the succession and spread of Nosa Studies by producing numerous literary people through systematic and continuous lecture. In particular, he has been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across Yeongnam and Honam areas, and the succession of Nosa studies centered on principles has been clearly revealed. This study summarizes and analyzes the specific contents of Ki Woo-Man's academic activities and his Confucian theories, which were not relatively significant in the past. He did not leave a separate work on neo-Confucianism in the Songsajip(松沙集), and he maintained a cautious attitude so that he did not express his position on Confucianism theory in detail even in the process of controversy in Kiho academia that was developed around the theory of Confucianism at the time of the third publication of Nosajip. However, he continued to express his views on Confucianism in the course of his lecture with his disciples. In particular, he emphasized the implementation of moral practice and righteousness by presenting a theory of practical mind-oriented mind-set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principles. In this regard, his view on neo-Confucianism theory was not a new theoretical search or argument, and the focus was on the direction for realizing the Confucianism, which was presented as a direction to overcome the confused situation at the time and to overcome the restoration of the Confucian order and the national crisis. Through his various academic activities and neo-Confucianism, his status can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Nosa school and a symbolic scholar of modern and contemporary Honam Confucianism.

      • KCI등재

        蘆沙學派의 형성과 蘆沙學의 계승

        박학래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0

        In the division of the school of Kiho academia that has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19th century, Ki Jeong-jin(奇正鎭) embodied ‘Nosa school(蘆沙學派)’ through lecture activities. And the Nosa school was the cent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maintaining the system of the school from the mid 19th century to the late 20th century. In addition to presenting the study focusing on the principle-centered theory of Neo-Confucianism, Ki Jeong-jin presented the idea of ​​the Wijeongcheoksa based on the appearance of domestic demand. Accordingly, the influence was expanded around Honam and western Gyeongnam areas and formed a literary group early on. After that, his disciples expanded their influence of the Nosa school by carrying out a wide range of lecture activities. In particular, in 1902, when the Nosajip(蘆沙集) was published for the third time, the Nosa school disciples developed a counter-criticism against the criticism of Kiho academic circles. Through this, literary disciples led the unity of the school and confirmed the academic homogeneity, creating a more academic unity than other schools. In the meantime, the study of Nosa school has been limited to the study of literary groups composed of primary disciples, or focused on the study of specific disciples among the primary disciples. Accordingly, it showed a certain limit to confirm and analyze the scale and system of the whole Nosa school, covering the entire Nosa school. This study is to pay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total scale and system of the Nosa school that passed through the 20th century, and the perception and response aspects of reality presented by them. The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summarize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Nosa school, the academic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disciples including Ki Jung-jin and their successors, and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continuously developed Nosa school disciples. Under these goals, more than 8,000 disciples were continuously released from Honam region to western Gyeongnam region, and their activities continued until the late 20th century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activities of Nosa school disciples were the center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onfucianism. 19세기 이후 본격화하는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 속에서 奇正鎭(1798~ 1879)의 강학 활동에 따라 구체화된 ‘蘆沙學派’는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후반까지 학파적 면모를 유지하며 근현대 한국 유학의 중심 중 하나를 이루었다. 理 중심의 성리설을 중심으로 구축된 기정진의 특징적인 학문과 內修外攘을 바탕으로 제시된 그의 위정척사 사상은 호남 및 서부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그 영향력을 확대하여 일찍부터 문인 집단을 형성하였고, 이후 직전 제자들의 폭넓은 강학 활동을 통해 학파의 외연이 확대되었다. 특히 1902년 『蘆沙集』 三刊 당시에 불거진 기정진 학설에 대한 기호학계의 비판에 맞서 반비판을 전개하면서 직전 제자들은 학파 문인들의 단결을 이끌며 학문적 동질성을 확인하는 등 어느 학파보다 학파적 일체감을 조성하였다. 하지만 그동안의 노사학파에 관한 연구는 직전 제자들로 구성된 문인들에 관한 연구에 한정되거나 직전 제자 가운데에서도 특정 문인에 관한 연구에 집중되었다. 이에 따라 노사학파 전체를 아우르며 학파 전체의 규모나 체계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데에는 일정한 제한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20세기를 관통하며 이어진 노사학파의 전체 규모와 체계, 그리고 이들이 제시한 현실 인식 및 대응 양상 등을 고찰할 필요성에 유의하여 노사학파의 형성 배경을 비롯하여 기정진을 비롯한 문인들의 학문적 입장과 특징, 그리고 지속적으로 전개된 노사학파 문인들의 학문 활동 등을 포괄적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호남을 중심으로 서부 경남에 걸쳐 8천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들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었으며, 이들의 활동이 중단 없이 20세기 후반까지 이어져 근현대 한국 유학의 중심지 중 한 곳이 노사학파 문인들이 활동한 호남을 비롯한 서부 경남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老洲 吳熙常의 性理說 硏究 — 19세기 전반기의 호락논쟁에 유의하여

        朴鶴來 동양고전학회 2014 東洋古典硏究 Vol.0 No.54

        老洲 吳熙常(1763-1833)은 18세기 후반기부터 19세기 전반에 걸쳐 洪直弼과 더불어 당시 기호 낙론을 대표하는 산림학 자이다. 그는 栗谷으로부터 비롯되는 기호학파의 학설을 충실히 계승하는 한편, 金昌協으로부터 연원하는 낙학의 이론 적 입장을 보다 명확히 하면서 낙론의 종지를 확고히 하였다. 호락논쟁의 연장선상에서 湖論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 시하는 것은 물론, 18세기 중반 이후 낙론 내부에서 제기된 異說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며 낙론의 학문적 입장을 굳건히 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오희상의 성리설을 사상사적인 맥락을 중심으로 그 내용과 위상을 확인하고, 그의 학문 활동이 주로 호락논쟁의 연장선상에서 놓여 있었던 만큼 그의 호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에 유의하면서 그의 성리설 체계를 고찰하였다. 그가 가졌던 문제의식의 중심에는 인간 도덕성 실현을 위한 현실적 근거의 체계화가 자리하고 있다. 인간의 순선한 도 덕성의 실재성과 이의 구체적인 실천을 정초하기 위해 세계 구성과 도덕의 실천을 리기론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그 는 특히 도덕 실천의 근거로서 리의 순선성과 실재성을 확인하고, 그것의 현실적 실현을 위한 주체의 정초를 위해 리기 관계의 상함성에 주목하였다. 그가 심성에 대한 리기론적 이해를 통해 심성의 논리적 관계와 가치적 측면에 대한 해명 을 제시한 것은 순선한 도덕성의 현실적 기반 구축과 이것의 실현, 즉 수양의 체계를 수립하는 데로 이어졌다. 따라서 오희상의 논의는 적어도 원리적 차원에서 만큼은 순선한 도덕성의 실재성과 본선한 도덕 주체의 확립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방향이었으며, 현실적 측면에서도 이를 담보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갔다고 평가할 수 있다. Noju Oh Hui-sang(1763-1833) is one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representing with Hong Chik-pil the Kiho-Nak School from the late 18th to the early 19th century. He did sincerely not only succeed theories of Kiho School originated from Yulgok, but also strengthened the main view of the Nak faction by clarifying the theoretical stance of it derived from Kim Chang-hyop. Not only he does suggest critical points of view against Ho faction in terms of Horak Controversy, but also criticizes heterodox account, which raised by an inner circle of Nak faction. In this vein, Oh established the neo-Confucian ways of realization of morality and ideal society by setting up his own points of view on mind and bright virtues that are followed by various issues of Horak Controversy. My paper will examine the values of Oh’s account of Nature-Principle in the light of intellectual historical context by paying a special attention to his critical views of Ho faction. Oh’s main idea is how to systematize practical foundation of realizing morality. Thus, he wants to theoretically explain both the practice of morality and the reality of pure moral mind in order to establish concrete practices of them in the real world. In doing so, he pays attention to mutual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Matter(ki: 氣). The mutual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exactly appli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Nature. So, the realityof moral principle explicitly implies the pure goodness of moral agency. Furthermore, his elucidation of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Nature and its values via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m is to set up a system of cultivation, i.e., realizing practical foundation of pure moral mind. In conclusion, we can evaluate that Oh’s account of Nature-Principle, at least, aims not only at establishment of moral agency and its reality in a theoretical dimension, but also at a guarantee of their realization in the world.

      • KCI등재

        노사(蘆沙)의 기정진(奇正鎭)의 성리설(性理說)을 둘러싼 기호학계의 논쟁 : 「외필(猥筆)」을 중심으로

        박학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民族文化硏究 Vol.48 No.-

        한말에 접어들어 기호학계는 이전 시대에 비해 학파의 분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19세기 중엽 이후 가속화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단순히 학통의 전승에만 머무르지 않고 학파별로 차별화된 성리학적 입장이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기호학계는 전대 성리학의 계승과 분화라는 특징적 면모를 드러내었다. 그리고 각 학파의 차별화된 학문적 입장은 타 학파에 의해 문제가 제기되어 시비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한 기정진의 性理說, 특히 그의 理氣論的 입장이 집중적으로 나타난 「猥筆」에 대한 논쟁도 연재학파 문인들에 의해 처음 문제가 제기되어 논쟁의 주체가 기호학계 전반으로 확대된 논쟁이었다. 그리고 이 논쟁은 19세기 이후 뚜렷해진 학파의 분화가 20세기에 접어들어 어떠한 학문적 차별성을 보이는 가에 대한 단초가 되는 논쟁이기도 하다. 논란이 촉발되고 지속되면서 논쟁이 학파 간 대립과 연대라는 구도 하에서 진행된 만큼 20세기 기호학계의 지형을 구축하는 데도 일정한 영향을 미친 논쟁이라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20세기 기호학계의 최대 논란 중 하나인 기정진 성리설에 대한 논쟁을 「외필」을 중심으로 그 경과와 논란의 추이, 그리고 주요 논쟁점을 대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논란의 발단과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논쟁의 주체가 확대되어가는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기호학계의 학파 간 구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 한 논란의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각 학파의 리기론적 입장을 통해 기정진을 비롯한 주요 학자 및 학파의 리기론적 입장 차를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논쟁은 기본적으로 기정진의 리기설이 율곡의 리기설에 대한 비판이라는 혐의를 받고 촉발되어 진행된 만큼 기호학계 내부에서 율곡설에 대한 계승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기호학계의 율곡설 계승의 분화 양상을 검토하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Kiho畿湖 school notably started to differentiate into sub-schools. After mid-nineteenth century, the specification of Kiho school was accelerated and each sub-schools not only inherited the neo-confucian tradition, but also concretely differentiated their viewpoints on neo-confucianism. Furthermore, the difference frequently induced disputes which were raised by other sub-school members. The dispute in Eopil猥筆 which intensively reveals Ki, Jung-jin奇正鎭's view on neo-confucianism in Rigiron 理氣論 standpoint, was also raised questions by Yeonjae sub-school scholars initially, and the dispute was spreaded to the whole Kiho school. It was a initial dispute that the sub-schools started to differentiated and this difference was risen to the surface by this dispute after 19th century. Moreover, it had considerably shaped the topography of the Kiho school of 20th century that the confrontations and solidarities among sub-schools on this dispute. Accordingly, the dispute on Ki Jung-Jin's neo-confucianism, which was one of the main disputes in the 20th century, will be examined in terms of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dispute and main disputing points. By examin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dispute, the aspect of expansion of subjects in the dispute will be reveal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sub-schools in Kiho school will be confirmed as a result. Moreover, the viewpoint differences in the dispute among main scholars, for example Ki Jung-jin, and sub-schools will be identified. In addition, because the dispute was started and developed as basically Ki Jung-jin's Igiron was recognized as a criticism on Yul Kok's Rigiron, the difference in inheritance of Yul Kok's doctrine among sub-schools in Kiho school can be revealed. As a result,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to identify the differentiated aspect of inheritance of Yul Kok's doctrine among the sub-schools of Kiho school.

      • KCI등재

        근대 이행기 畿湖 道學 系列 儒林의 동향과 현실 대응 - 衛正論的 시각에 주목하여

        박학래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4 No.1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s of Confucian group of the Kiho Dao Learning lineage among the Confucian intellectuals devoting themselves to protect Confucian ideology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era. Especially, I shall investigate how the logic of adoring Right Learning and Attacking Heresies can be materialized within the lineage of Dao Learning after the mid-19 century, search how derivative debates are unfolded and organize activities of Confucian group in local communities, which are based upon the logic. Even though their group has been diverged in accordance with their academic stances after the mid-19 century, the Confucian intellectuals reaffirm the fundamental ideology of Choson Confucianism and their academic stance and seek the reestablishment of Confucian order. Furthermore, they show the practical attitude toward social environments like Appeal to king and activities of Righteous Armies against the invasion of imperialistic countries. These movements are based on Guarding the Right and Attacking the Wicked. They pay a special attention to a support of Confucian order, which is getting weaken in local communities, and new understanding of Confucian ideology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the Guarding the Right. They tries to rectify the conflicts within the Kiho School, which have been raised since the early 19 century, to secure a single directing point of Confucian schools, and to concentrate on prolifer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the local communities. By rearranging the main scholars of Kiho school, who were ahead of the Horak Controversy, at that time, main figures in the Kiho school tries to rebuild the scholastic line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troversy. By strengthening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lineage, they tries to set up unified directing point in the Confucian group. However, because of their different interpretation and succession to Yulgok’s theories, they reproduced metaphysical debate on human nature and exposed certain limitations in their academic efforts to establishment of the Right Learning. Nevertheless, their common perspectiv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Learning leads to reaffirmation of Confucian ideology in local communities and shares the same stances on activities of materializing the ideolog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fucian ideology, they try to unfold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upon this, they concentrate on rebuilding local academies and publishing the complete works written by their colleagues and friends in order not only to expand Confucian ideology but also to reproduce Confucian scholars. 본고는 근대 이행기를 거치면서 유교 이념의 수호와 이를 위한 활동에 전념한 유학적 지식인들 가운데 기호 도학 계열 유림의 동향을 살펴본 것이다. 특히 도학 계열 내부에서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 도학 계열 유림들의 공통적인 인식인 ‘崇正學 斥異端’의 논리가 어떻게 구체화되고, 이와 부수된 논의들이 어떻게 전개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전개된 향촌 사회 내에서의 유림들의 활동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기호 도학 계열 유림들은 19세기 중반 이후 본격화하는 門戶 分立과 學派 分裂 속에서도 조선 유학의 근본이념과 학문적 입장을 재천명하면서 유교 질서의 재정립을 모색하였으며, 위정척사라는 시대 인식을 바탕으로 제국주의의 침략에 맞서 상소 운동과 의병 활동을 전개하는 등 실천적 지향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들은 위정론적 시각에서 유교 이념의 재인식 및 저변화, 그리고 향촌 사회에서 약화되어 가는 유교 질서의 扶植에 주목하였다. 19세기 전반기부터 구체화된 기호 학계의 갈등과 대립을 정학의 수립을 통해 일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림들의 일치된 지향점을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향촌 사회 내에서 유교 이념의 확인과 확산에 주력하였다. 당시 기호학계의 중심인물들은 호락 갈등으로부터 연원하는 당시 기호학계의 분열을 호락 이전의 기호학계 중심인물을 중심으로 학통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인식의 강화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림의 통일된 지향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율곡 학설에 대한 상이한 계승과 이해의 차이에 따라 성리 논쟁이 재현되는 등 정학 수립을 위한 학문적 노력은 일정한 한계점을 노정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정학 수립에 대한 공동의 인식을 기초로 향촌 사회 내에서 유교 이념을 재확인하고 구체화하는 일련의 활동에서는 대체로 일치된 입장을 취하였다. 유교 이념의 부식을 위해 기호학계 유림들은 각 학파의 종장을 비롯한 핵심 인물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교적 지식인을 재생산하고 유교 이념을 확산하기 위해 문집 발간 및 서원과 사우의 복설과 신설에 주력하였다.

      • 조선시대 호남 유학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

        박학래 (재)한국연구원 2019 한국연구 Vol.0 No.3

        본고는 호남 유학에 대한 선행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호남 유학의 전개 양상과 특징적면모를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검토한 것이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호남 유학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호유학이나 영남유학에 비해 그 독자적 영역이나 의미에 대해 소홀히 취급한 감이 없지 않았다. 그 이유는 대체적으로 조선 성리학을 이해할 때 주로 이황李滉과이이李珥를 중심으로 그 학맥과 이기론(理氣論)의 경향, 그리고 지역과 정치적 입장이결합되는 구도하에서 크게 기호와 영남으로 나누어 이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17세기 이후 노론 정국하에서 정치·사상계가 특정 학맥과 지역이 결합하는 현상이 뚜렷해진 시기에는 어느 정도 타당한 점이 있지만, 그 이전 시기나19세기 이후에까지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호남 유학이라는 명칭을 통해 퇴계학파나 율곡학파처럼 학문적 동질성을 공유하면서 지역적 기반을 함께하는 학파가 있었는가를 구명究明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이라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고 전개되었던 유학사상의 맥락을 확인하고, 한국사상 흐름 전반에 걸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의미를 갖는가를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호남 유학의 사적인 흐름을 통해 호남 유학의 특징적 면모를 사림정신 발현과 실천적 의리정신의 표출, 다양한 학파의 공존과 대립, 개혁지향의 실천적 학문관, 문학적 풍모와 예술정신의 발현, 소통과 개방의 학문관 등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 특징적 면모는 호남 유학에만 드러나는 면모는 아니지만, 호남 유학에서 드러난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고, 이것은 결국 호남 지역의 문화를 특징짓고 지역의 정체성을 확인시키며, 동시에 지역민의 동질적 유대감을 일깨우는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