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y in the Province of Ontario, Canada and the Republic of Korea

        김라나(Kim, Rana R.)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미래교육학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 및 제도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문헌연구이다. 양국의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교원양성 교육과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무엇을 성취하였는지 그리고 현재 직면한 문제점들의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양국 교원양성 교육과정은 교원전문성과 현장 적합성 향상을 위해 모두 사회적 변화에 유동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양국은 기본적으로 다른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교육에서 추구하는 이념이 다르기 때문에 교원양성 교육과정 변화 동력의 원천, 교원양성기관의 조직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수업내용면에서 상이한 특성을 보였다. 캐나다와 한국의 교원양성과정을 비교·대조함으로써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내실 있는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위해 각 나라의 고유한 맥락들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교원양성 교육과정과 실제 현장실습 학교의 교육연계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y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Province of Ontario in Canada and the Republic of Korea. The study covers the following areas: the histories of both curriculums, the achievements, and the issues pertinent to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Canada and Korea.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se three dimensions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the major findings are: (1)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both countries have been changing as a result of it adapting and meeting the needs of social change in order to demonstrate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site compatibility. (2) On the other hand, since both countries have essentially different socio-cultural contexts and educational ideologies, different characteristics ar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specific contexts of each countr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current trends within contemporary society. Third, it is imperative to build a link betwee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of the site of teaching practicum. Further, there is a need to demonstrate developing skills and competencies.

      • KCI등재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손민호 ( Minho Shon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2

        본고에서는 총체성으로서의 역량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할 때 아이덴티티의 의미가 어떻게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행 역량기반교육과정에 관한 설계는 대체로 역량을 기능별로 구분한 채 가법적인 교육과정 목표모형을 따르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 관점과 맞닿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의 취지를 무력화시킬 가능성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비하여 공동체주의의 따뜻한 역량에 관하여 정리하고 여기서 말하는 역량의 총체성이 어떻게 아이덴티티의 문제로 접근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달라진 세계의 여건 하에서 아이덴티티는 교육과정 이해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 아이덴티티로 재개념화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설계에 있어서 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과 어떻게 다른 접근을 요구하는지 제시해 보았다. 아이덴티티의 논리와 모형에 관한 추후 연구는 교육과정 연구에서 이해의 패러다임과 개발의 패러다임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해법 또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visiting competence in favor of communitarianism, this study criticizes functionalism in the model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developing the competence curriculum model, functionalism has been postulated along with liberal thought, which presents a parti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Respecting the totalistic nature of competence, I propose a metaphor of identity as a post-functionalistic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ith a warm-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term “identity” has taken on a great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literature. I sketch out but one approach that draws on a consistent strand of participation. I propose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identity-based curriculum, as follows: First, personalized curriculum should be seen as a life project. Designing a personalized curriculum does not mean developing customized courses; instead, the courses should involve self-directed, deep, and long-term learning.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take support for individual learning portfolios as a primary principle in its development.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subject and non-subject contents.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quires a critical perspective related to the dualism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favor of situated practice. The separation of the subject from non-subject curriculum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hird, a community-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Living community features a classroom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aring based on practical ethics and the accountability of community members. A learning community allows the school to be transformed into a learning organization where members of the community form their identiti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fashioned that represents its own character. Competence is encouraged to develop through participation in a culture; this conditions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 KCI등재

        초등무용교육과정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이윤경,조미혜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무용교육과정의 과거를 탐색하고 현재를 분석하여 미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러한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1차에서 2015개정 체육교육과정 문서와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하는 문헌연구 를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고, 분류분석틀을 기준으로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초등무용교육과정 의 내용영역별 변화흐름, 둘째, 초등무용교육 영역 구성별 변화흐름을 파악한 후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셋째, 미래 초등무용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무용교육 영역구성과 관련한 무용교 육 내용영역별 시사점을 도출한 후, 미래 무용교육과정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토대로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future direction on da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explor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of it. To achieve this goal, the trend by dance contents category and the area about dance in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were analysed. In this study,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physical education for first curriculum to 2015 revised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was done by building an analytic framework for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s analysis. In the forth section was consist of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dance contents category and area which were examined by past and present. The final section of this study was consist of future direction on da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education by the results.

      • KCI등재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이 청소년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

        신재한 ( Jae Han Shin ),권택환 ( Taeg Hwan Kwon ),강윤정 ( Yun Jeong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인문사회 21 Vol.6 No.4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올바르고 건전한 인성을 함양하고 자신의 삶을 독립적이고 창조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적용함 으로써 청소년들의 인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본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2015년 1월부터 11월까지 벤자민인성영재학교 재학생 376명(남학생 216명, 여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KEDI 인성지수 즉, 자기존중, 성실, 정직·용기, 지혜, 자기조절, 예의, 정의, 배려·소통, (사회적)책임, 시민성 등 10개 영역, 70개 문항으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회성에 그치는 기존의 인성프로그램과는 달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인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은 교과, 창의적체험 활동 등 교육과정 시간뿐만 아니라, 학교 행사, 방과후학교 등 교육과정 외 시간에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뇌교육 기반 인성교육과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체험활동 형태의 수업뿐만 아니라, 플립러닝(Flipped Learning)형태의 수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the index of adolescents’ personality by developing and applying personality-education based on braineducation cultivating the right and sound personality and making their lives independent and crea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376 enrolled students(216 male, 160 female) in Benjamin School for Character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aim of the study from January, 2015 to November, 2015.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esting tools are used that are composed of 70 items regarding the ten aspects in the KEDI personality index, such as self-respect, sincerity, honesty, courage, wisdom, self-regulation, manners ,justice, consideration, communication, social responsibility, citizenship, etc.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nlike the established one-time personality program, the personality-education based on brain-education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onduct the education consistently. Second, it needs to be employed not only in the curriculum such as subjects, creative-activities, etc but also in the other extra hours such as school events, after-school programs, etc. Third, to maximize its effect, not only courses of hands-on activities, but flipped learning course needs to be implemented rather than one-way lecture courses.

      • KCI등재

        2015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권영락(Youngrak Kwon),이재영(Jaeyoung Lee),김찬국(Chankook Kim),안재정(JaeJung Ahn),서은정(EunJung Seo),남윤희(Yunhee Nam),박은화(Eunwha Park),최소영(Soyoung Choi),안유민(Yumin Ah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방향과 주요 내용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은 기존의 환경 교육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추구한 통합성의 강화와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내실화 기조를 유지하면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교과 핵심역량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을 핵심개념과 교과역량이 결합된 형태로 진술하였다. 또한 학습량의 감축을 위해 학교급간 내용중복을 최소화하였으며, 학교급간 연계성과 위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접근 방법의 차별화를 시도하고, 이를 위해 중 · 고등학교 내용 체계 간의 동일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한편, 학생의 흥미를 유도하고 재미있는 학습을 위해 이전 교육과정 문서 체제와 달리 영역별로 교수 · 학습 방법 및 평가가 신설되었는데, 이는 환경 과목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에 적용되었다. 앞으로 개정 환경 교육과정이 의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의 사례개발 및 보급과 지역적 여건이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안마련 등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major changes in development of the 2015 revised Environment’ curriculum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inforcement of integrative approaches and the highlights of substantiality have been pursued in this curriculum revision. A set of achievement criteria for the Environment subject has been proposed in connection between key concepts and core subject competencies. To minimize duplication of conten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s, it was attempted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differentiate the approaches based on school levels while maintaining the linkage, hierarchy, and framework of contents as a subject. In middle school level, exploring local environment in schools or communities is highlighted as a meaningful teaching-learning approach. In high school level, constructive approaches such as project-based and issue-based inquiries and newly introduced event-based inquiry are incorporated for higher level competencies.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기범 ( Park Kee Bur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토대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진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을 두어 2015개정 초등 사회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 목표 측면에서, 성취기준이 사실적 지식과 개념적 지식에 편중되어 있다. 인지 발달을 고려하여 5-6학년군에서는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현재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절차적 지식의 비중을 높이면, 인지 과정 측면에서 `적용하기` 목표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학년군별 지식 목표와 인지 과정 목표별로 비중의 차이가 없었다. 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서 학년군별로 차별성이 드러나야 한다는 관점에서, 5-6학년군에서 는 `이해하기`에 중심을 두면서, 이보다 복잡한 인지 과정인 `적용하기`와 `분석하기` 활동의 비중을 현재 보다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인지 과정 진술의 위계 문제이다.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위계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면, 초·중·고 학습자의 인지 발달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사회과교육은 `이해하기`와 `적용하기`에 중심을 두고 성취기준을 진술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넷째, 인지 과정 진술의 일관성의 문제이다. 인지 과정을 포괄적으로 서술할지, 아니면 구체적 인지 과정으로 적시해야할 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다섯째, `이해하기` 활동에서 특정 `하위 인지 과정`의 편중 현상이다. 이해하기 인지 과정의 하위 인지 과정을 학습자가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성취기준의 행동 요소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성취기준의 진술은 사회과교육의 목표, 내용 선정 및 조직, 교육 방법, 평가에 이르는 교육의 전 과정의 지표가 된다. 성취기준의 진술에 대한 정교한 전략이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by Bloom `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atement of futur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Bloom `s new education goal taxonom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knowledge, achievement standards are concentrated on factual knowledge and conceptual knowledge.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rocedural knowledge at the 5-6th grade level.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es by grade level. From the viewpoint that the achieve standards of the grading group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cognitive development level,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weight of the application and analysis activity, which is a more complex cognitive process than the understanding in the 5-6th grade group. Third, it is a hierarchical problem of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I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focuses on the hierarchy, consider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learner, it is reasonable to state the understanding and applying -centered achievement standard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Fourth, the adequacy of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is a problem. There is a need to discuss whether the cognitive process statements should be comprehensive or specific. Fifth, it is a biased phenomenon of specific sub-cognitive processes in understand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behavioral el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so that the learner experiences variously the sub-cognitive process of understanding cognitive process. The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s an indicator of the whole process of education, from social studies education goals,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education methods, and evaluation. A sophisticated strategy for statements of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실행 인식 및 실행도 분석

        조현주,박윤정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인식을 파악하고 중·고등부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과정 실행도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각 실행 집단이 실행 인식에서 가지는 특징을파악하고자 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전국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 22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기술통계 및 집단 간 차이 분석을 위해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교육과정 이해 및 실행 인식과 재구성 실행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중·고등부 교사 모두 기본 교육과정 해당 학년군 내용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고등부 교사가 생활기능과 진로와 직업교육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한다는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육과정 실행 및 재구성지원 요구는 중·고등부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실행도 집단 간 실행인식의 차이는 비실행 집단이 다른 상위 수준의 실행 집단에 비해 교육과정 실행 인식 영역전반에 걸쳐 낮은 실행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이러한 특수학교 중·고등부 특수교사의 기본교육과정 실행 관련 인식의 특징을 토대로 중등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및 교육과정재구성 역량 강화, 교사교육 자료와 연수 홍보 및 확대, 과정별·학년별 전문적 학습 공동체운영 등을 통한 인식 및 실행도 제고 방안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operating under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in terms of perception. A total of 222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middle and high special schools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an online survey.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group differences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major result, first, among the three sub-areas of perception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the perception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reconstruction were moderate. The demand for support about the implement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was high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based on the level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non-executing groups showed a lower level of perception for implementation in all sub-areas of perception compared to other higher levels of executing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special schools, way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teachers for curriculum literacy and reconstruction, promote the dissemination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materials and workshops, and operat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each course and grade level were discussed to improv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이상봉,곽유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상의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변천의 특성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시기별 과목명의 변천과 주당 이수시간의 변화, 각 교육과정별 교육 목표, 주요 내용,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을 비교 분석하여 변화 추이를 알아보았다. 교육과정의 시기별 구분은 기술 과목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느냐, 통합과목의 일부 영역으로 존재하느냐에 따라 ‘독립 과목기’와‘통합 과목기’로 구분하였다. 독립 과목기는 제1기(1969.9.4.개정교육과정시기), 제2기(1973.8.3.개정교육과정시기), 제3기(1981.12.3.개정교육과정시기), 제4기(1987.3.31.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고, 통합 과목기는 제5기(1992.6.개정교육과정시기), 제6기(1997.12.개정교육과정시기), 제7기(2007.2.개정교육과정시기), 제8기(2011.8.개정교육과정시기), 제9기(2015.9.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 및 지도상의 유의점을 분석하여 변천의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교 기술교육의 목표는 단순한 기술적 지식, 태도, 기능을 함양하는 것에서 기술 활용 능력, 기술시스템 설계능력,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역량을 함양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중학교 기술교육의 내용은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교육에서는 설계, 제작과 같은 조작적 학습 경험과 창조의 경험을 계속적으로 중요하게 여겨 왔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학교 기술교육의 지도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적 활동을 위한 시설, 설비, 도구 및 재료가 필요하며, 기술교육의 평가에 있어서는 활동의 결과뿐만 아니라 활동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더욱 강조되고 있어 단순하고 획일적인 방법의 평가보다는 다양한 평가의 방법이 활용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roces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t Korean middle school and to compare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period when the technology subject was an independent course and the period when it was a part of the integrated course, educational objectives, main contents, guidance and evaluation.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independent subject’ and ‘integrated subject’ depending on whether the technology subject exists independently or whether it exists as a part of integrated subject. The independent subject period i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69), the second period (revision curriculum in 1973), the third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81), the four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87). The integrated courses are divided into the 5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92), the 6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97), the 7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2007), the 8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2011), the 9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goals, contents, evaluation and guidance points of the curriculum by period. First, the goal of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from cultivating simple technical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 to cultivating competencies such a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technological system design abi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society. Third, facilities, equipments, tools and materials for various technological activities are needed to guide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activities as well as the results of technological activities is more emphasized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utilized rather than simple and uniform method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한자(漢字)"영역(領域)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 내용(內容) 분석(分析)

        김경익 ( Kyong Ick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새 교육과정은 별도의 해설서가 개발되지 않았다. 국가 수준의 한문과 교수·학습이나 평가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고, 학교 한문 문법이 제정되지 않아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세부 진술 내용이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현실에서 해설서의 不在는 교육과정 실행 과정에서 紛紛한 해석을 야기할 것으로 예측된다. 마침 개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은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적합성과 활용도를 提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글은 새 교육과정의 대영역 ‘한문 지식’ 중 중영역 ‘한자’ 영역의 학습 내용성취기준의 세부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에 따른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아울러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의 이해를 돕기 위해 평가문항을 예시하였다. 교육과정 영역별로 제시된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은 한문 학습의 출발점과 도달점 설정, 한문 학습의 위계 구분 등의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련 연구는 추후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내용의 수준과 범위 설정을 위해 반드시 진행되어야 할 분야이다. ‘한자’ 영역의 학습내용 성취기준과 성취기준의 학교급별, 과목별 수준 구분의 주요 근거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범위이다. 餘他의 영역과 다른 한자 영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다. A new curriculum manual is not published separately. Its absence will express various view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researche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on nationwide scale are insufficient and the details of description of the manual sub for the role since school grammar has been enacted. It is expected that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developed pursuant to the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 2009 at this juncture will enhance suitability and availability. This paper analyses details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domain of ``Chinese character,`` one of the intermediate domains, which is included in ``grammatical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one of the advanced domains, on new curriculum. And also questions are given as an example to help people to underst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offered by the domain of curriculum are expected to encourage discussion about establishment as both the first step and terminus ad quem, and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set levels and scale of content during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later. Achievement standards and its classification by a course and subject are based on the scop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 fo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이정우(LEE JUNG WOO)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이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있는 세계시민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세계시민교육 관련 주제는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급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히 등장하였다. 초등학교 3-4학년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다양성 및 소수자와 관련된 내용으로 세계화 관련 내용이 제시되기 시작하였다. 둘째, 인지, 정서, 행동 영역 중에서는 전반적으로 인지적 영역에 대한 강조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초등학교 5-6학년 군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이 거듭될수록 인지, 정서, 행동 영역에 대한 강조가 고르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3-4학년군은 상대적으로 정서 영역이, 중학교 급은 인지 영역에 대한 강조가 강하게 나타나는 등 학교 급별 차이가 있었다. 셋째, 관점 면에서는 국가주의적 관점이 지배적인 가운데 세계정의와 거버넌스, 신자유주의 관점이 혼재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n comparative analysis study abou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in the socials studies curriculum from the 6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6th curriculum, the themes related with GCED has been appeared in 5th-6th grades and 7th-9th grades. From 2007 revised curriculum, 3rd-4th grades also have dealt with GCED in the standards related with culture or minority . Second, cognitive domain was the most predominant goal of GCED among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Third, overall predominant perception is national but world justice and governance , ‘neoliberalism’ are also reflected in the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