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기능의 상관

        곽유림,이상봉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기능의 상관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D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124명을 연구대상으로 기술적 문제해결검사와 비판적 사고기능검사를 실시한 후 단순상관분석을 하였다.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검사는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구성요소를 기초로 만든 체험활동과제의 서술형 지필평가지와 완제품 평가를 위한 교사용 채점표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판적 사고기능 검사는 Ennis와 Millman(2005)이 제작한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X를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유의수준 .05에서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기능은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기술적 문제해결능력은 비판적 사고기능의 하위요소 중 ‘연역추론기능, 평가기능, 귀납추론기능’과 보통이상의 상관을 보인다. 셋째, 비판적 사고기능은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하위요소 중 ‘문제의 이해능력, 평가능력, 아이디의 탐색 및 개발능력, 실현능력’과 보통 이상의 상관을 보인다. 넷째, ‘문제의 이해능력-연역추론기능’, ‘평가능력-평가기능’은 강한 상관을 보인다. 다섯째, ‘문제의 이해능력-해석기능’, ‘문제의 이해능력-평가기능’, ‘아이디어의 탐색 및 개발능력-연역추론기능’, ‘실현능력-귀납추론기능’, ‘평가능력-연역추론기능’은 보통의 상관을 보인다. 여섯째, ‘문제의 이해능력-귀납추론기능’, ‘아이디어의 탐색 및 개발능력-귀납추론기능’, ‘아이디어의 탐색 및 개발능력-평가기능’, ‘실현능력-연역추론기능’, ‘실현능력-평가기능’, ‘평가능력-귀납추론기능’, ‘평가능력-해석기능’은 약한 상관을 보인다. 일곱째, ‘실현능력-해석기능’은 매우 약한 상관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bilities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 and critical thinking skill.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selected 124 students in second grade of D Junior High School in Gyeonggido to test for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skill and analysed the simple correlation. For the test of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is study used a paper test tool, developed by a researcher and inspected a validity by experts, based on components of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For the test of critical thinking skill, this study adapted and amended the Cornell Critical Thinking Test Level X by Ennis and Millman(2005) and used it. And this study used statistics software such as SPSS WIN 12.0 for statistical processing,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with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the substantial correlation between the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critical thinking skill. Second, the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has a substantial correlation with ‘deductive reasoning skill' and 'evaluation skill’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a moderate correlation with ‘inductive reasoning skill’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the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y has low correlation with ‘interpreting skill’ of critical thinking skills. Third, the critical thinking skill has a substantial correlation with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 and evaluating' of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moderate correlation and moderate correlation with 'ability of exploring & developing ideas and realizing' of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abilities Forth,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deductive reasoning skill’ and ‘evaluating ability–evaluating skill’ are related substantially. Fifth,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interpreting skill',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evaluation skill', 'ability of exploring & developing ideas–deductive reasoning skill', 'realizing ability–inductive reasoning skill', 'evaluating ability–deductive reasoning skill' are related moderately. Sixth, 'ability of understanding a problem–inductive reasoning skill', 'ability of exploring & developing ideas–inductive reasoning skill', 'ability of exploring & developing ideas–evaluation skill', 'realizing ability–deductive reasoning skill', 'realizing ability–evaluating skill', 'evaluating ability–inductive reasoning skill', 'evaluating ability–interpreting skill' are related lowly. Seventh, 'realizing ability–interpreting skill' are related negligibly.

      • 한방 홈 헬스케어 앱세서리 서비스 개발 연구

        유림(Yrim Jang),기쁨(Gi-ppeum Kwak),이지영(Ji-young Lee),신창범(Changbeom Shin)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한방 의료와 홈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가정 내에서 뜸이나 부항등을 통해 개인이 스스로 한방 치료를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 한방 홈 헬스케어 서비스의 필요성이 부상하고 있다. 가정에서 한방 치료를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용자 조사를 하였는데 사용자들이 한방 치료법에 대해 제대로 알고 치료를 하는 경우가 적었다. 특히 경혈의 위치를 잘 모르고 치료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잘못된 방법으로 치료를 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치료 효과도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뜸 의학과 전자 뜸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개인 환경에서 쉽고 편리하게 치료할 수 있는 한방 홈 헬스케어 앱세서리 서비스를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직접구 뜸 요법을 구현하는 열 자극 기기인 전자 뜸 기기와 연동되는 어플케이션이 치료 경혈의 위치와 치료 방법을 안내해주어 사용자는 가정에서 올바른 뜸 치료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방 산업 분야와 홈헬스케어 분야에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며, 한방 기술 표준화와 안전성 확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nd demand for Korean medicine and Home-healthcare. We are able to observe people applying cupping treatment and cauterizing with moxa at home. Korean medicine home care service is needed. We did user research about Korean medicine home treatment and found that most users don’t know right way to treat. Especially People often don"t know a position of meridian points. Therefore, we develop Korean medicine home-healthcare appcessory using moxibustion treatment and electronic moxa device which users can apply easily and conveniently moxibustion treatment in the individual"s environment. The application linked with electronic moxa device shows a position of meridian points and treatment methods. We expec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Korean medicine and Home-healthcare. But we have to study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medicine and the safety.

      • KCI등재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 교육과정 기술 영역에서 표준 교육의 내용 체계와 체험활동 개발

        이상봉,곽유림 한국기술교육학회 201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는 2009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표준 교육 내용 체계와 체험활동을 개발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표준 교육의 내용을 선정 및 조직함으로써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이에 맞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중학교 표준 교육 내용 체계는 ‘표준의 정의’, ‘생활 속 표준’, ‘제품 개발과 표준’으로 구성하였으며, 관련 체험활동 과제로 ‘표준화된 벽돌을 이용하여 집을 지어요’, ‘나만의 스마트폰 UI’,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 ‘언제든, 어디서든 부딪히지 않아요’, ‘진짜 한우가 맞을까?’라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표준 교육 내용 체계는 ‘표준의 특성’과 ‘지식재산권’으로 구성하였으며, 관련 체험활동 과제로 ‘높이가 달라도 옮길 수 있어요’라는 체험활동 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체험활동 과제는 문제의 인식, 연구와 개발, 실현, 평가의 설계 과정으로 구성하였으며, 중학교 기술․가정 과목 및 고등학교 공학 기술 과목의 실습, 방과후 학교, 발명반 등에서 가르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onceptual Framework for standardization education and its hands-on activities for the Technology par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ccording to ‘09 Revision Curriculum. The standardization education conceptual framework was set by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s of standardization and hands-on activitie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the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The developed hands-on activities were related to the conceptual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that was consist of ‘The definition of standardization’, ‘Standardization in my life’, ‘Developing products and standardization’,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Characters of standardization’, ‘Intellectual property’. The theme and/or title of the hands-on activities were ‘Build the structures using the standardized blocks’, ‘My only UI’, ‘Plug that can be used anywhere’, ‘You don’t bump at anytime, anywhere’, ‘Is it a real Korean native cattle?’, ‘Design the conveyor system’. The developed hands-on activities were involved in design process. And they can be used in practice of the subject ‘Technology․Home Economics’ or ‘Engineering Technology’, in the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class of invention and so on.

      • KCI등재

        고등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이상봉,곽유림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roces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t Korean high school and to compare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period when the technology subject was an independent course and the period when it was a part of the integrated course, educational objectives, main contents, guidance and evaluation.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independent subject’ and ‘integrated subject’ depending on whether the technology subject exists independently or whether it exists as a part of integrated subject. The independent subject period i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69), the second period(revision curriculum in 1974), the third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81), the four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88) and the 5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92). The integrated courses are divided into the 6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1997), the 7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2008), the 8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2011), the 9th period(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goals, contents, evaluation and guidance points of the curriculum by period. First, the subject name of high school changed from 'Technology' to 'Technology․Home economics'. Second, in terms of quantitative aspects,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is lowered. Third, in terms of qualitative aspect, we changed the method of constituting the content of technology education centered on core concept from the fact that the unit was set up based on the area of technology. Fourth, the goal of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from emphasizing technological ability related to job to emphasizing technological literacy as general education. Fifth, the teaching method and evalu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from knowledge transfer, traditional practice, result-based evaluation to activity-based instruction and performance-based and process-based evaluation of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에서의 기술교과 교육의 변천 과정상의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변천의 특성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시기별 과목명의 변천과 주당 이수시간의 변화, 각 교육과정별 교육 목표, 주요 내용,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을 비교 분석하여 변화 추이를 알아보았다. 교육과정의 시기별 구분은 기술 과목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느냐, 통합과목의 일부 영역으로 존재하느냐에 따라 ‘독립 과목기’와 ‘통합 과목기’로 구분하였다. 독립 과목기는 제1기(1969.9.개정교육과정시기), 제2기(1974. 12. 개정교육과정시기), 제3기(1981. 12. 개정교육과정시기), 제4기(1988. 3. 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고, 통합 과목기는 제5기(1992. 10. 개정교육과정시기), 제6기(1997. 12. 개정교육과정시기), 제7기(2008. 9. 개정교육과정시기), 제8기(2011. 8. 개정교육과정시기), 제9기(2015. 9. 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 및 지도상의 유의점을 분석하여 변천의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교육은 제1기부터 제5기까지는 ‘기술’과의 명칭으로 독립된 과목으로 존재하다가 제6기부터 ‘기술․가정’과로 과목명이 바뀌면서 다른 교과와 통합된 형태로 변화하였다. 둘째, 양적인 측면에서 시수의 감축 및 필수교과에서 선택교과로의 변화 등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기술교육이 차지하는 중요성이 점차 낮아졌다. 셋째, 질적인 측면에서 기술의 영역을 중심으로 단원을 설정하였던 것에서 핵심 개념 중심으로 기술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기술교육의 목표가 직업에 관련된 기술적 능력을 중시하던 것에서 일반교육으로서의 기술적 소양을 강조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다섯째, 기술교육의 방법과 평가방법이 지식의 전달이나 전통적인 실습,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학생의 활동 중심 수업과 수행 및 과정 중심 평가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이상봉,곽유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상의 특징을 찾고, 그 특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변천의 특성에 따라 시기를 구분하고 시기별 과목명의 변천과 주당 이수시간의 변화, 각 교육과정별 교육 목표, 주요 내용,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을 비교 분석하여 변화 추이를 알아보았다. 교육과정의 시기별 구분은 기술 과목이 독립적으로 존재하느냐, 통합과목의 일부 영역으로 존재하느냐에 따라 ‘독립 과목기’와‘통합 과목기’로 구분하였다. 독립 과목기는 제1기(1969.9.4.개정교육과정시기), 제2기(1973.8.3.개정교육과정시기), 제3기(1981.12.3.개정교육과정시기), 제4기(1987.3.31.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고, 통합 과목기는 제5기(1992.6.개정교육과정시기), 제6기(1997.12.개정교육과정시기), 제7기(2007.2.개정교육과정시기), 제8기(2011.8.개정교육과정시기), 제9기(2015.9.개정교육과정시기)로 구분하여 시기별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평가 및 지도상의 유의점을 분석하여 변천의 특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학교 기술교육의 목표는 단순한 기술적 지식, 태도, 기능을 함양하는 것에서 기술 활용 능력, 기술시스템 설계능력, 기술적 문제해결능력과 같은 역량을 함양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중학교 기술교육의 내용은 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술교육에서는 설계, 제작과 같은 조작적 학습 경험과 창조의 경험을 계속적으로 중요하게 여겨 왔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학교 기술교육의 지도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적 활동을 위한 시설, 설비, 도구 및 재료가 필요하며, 기술교육의 평가에 있어서는 활동의 결과뿐만 아니라 활동의 과정에 대한 평가가 더욱 강조되고 있어 단순하고 획일적인 방법의 평가보다는 다양한 평가의 방법이 활용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 process of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at Korean middle school and to compare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e period when the technology subject was an independent course and the period when it was a part of the integrated course, educational objectives, main contents, guidance and evaluation. The period of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independent subject’ and ‘integrated subject’ depending on whether the technology subject exists independently or whether it exists as a part of integrated subject. The independent subject period is divided into the first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69), the second period (revision curriculum in 1973), the third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81), the four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87). The integrated courses are divided into the 5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92), the 6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1997), the 7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2007), the 8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2011), the 9th period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goals, contents, evaluation and guidance points of the curriculum by period. First, the goal of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from cultivating simple technical knowledge, attitude and function to cultivating competencies such as technology utilization ability, technological system design ability, and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society. Third, facilities, equipments, tools and materials for various technological activities are needed to guide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activities as well as the results of technological activities is more emphasized and various evaluation methods should be utilized rather than simple and uniform methods.

      • KCI등재

        성별, 연령, 혀 길이에 따른 국내 건강한 성인의 구강안면근의 차이 : 구강안면근력의 예비 표준화 연구

        원영식,곽유림,김도희,차은영,문종훈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0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5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orofacial muscles according to the sex, the age, and the length of the tongue in Korean healthy adults. The present study was enrolled in Three hundred healthy adults in Korea. All subjects measured the length of the tongue first, and then measured the strength, the endurance, the accuracy and the timing of the orofacial muscles using the Tongue Pressure Strength-100 (TPS-100). In order to select the subjects, a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check the cognitive function and to measure the strength, the endurance, the accuracy, and the timing of the orofacial muscl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ender except for anterior tongue elevation and cheek compression (p>.05), and there was a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orofacial muscles and the age (p<.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ngue length and the tongue strength, the endurance, the accuracy, and the timing (p<.01). The current study provides to the literature on normal orofacial muscles strength, the endurance, the accuracy, the timing and indicates that the improvement on swallowing ability in persons with dysphagia by comparing patients with crit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