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감사보수, 감사시간 및 감사품질에 감사파트너 고정효과가 존재하는가?

        최승욱 ( Seung Uk Choi ),이재은 ( Jae Eun Lee ),배길수 ( Gil S Bae ) 한국회계학회 2015 會計學硏究 Vol.40 No.1

        최근 일련의 연구가 기업의 의사결정이나 성과에 대해 개별 경영자의 성향이나 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는 개별 의사결정자의 고정효과를 회계감사의 측면에서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1) 개별 감사파트너의 고정효과가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및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2)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품질에 존재하는 파트너 고정효과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한다.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감사한 파트너 자료를 사용하여 발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감사보수에 체계적인 파트너 고정효과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감사파트너의 고정효과는 선행연구에서 발견한 감사보수의 결정요인과 회계법인의 고정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며, 또한 파트너 고정효과를 감사보수 모형에 포함하면 감사보수모형의 설명력이유의하게 높아진다. 파트너 고정효과가 유의하다는 결과는 표본을 대형회계법인으로 한정하거나 더 나아가 4개의 대형회계법인 각각을 사용한 분석에서도 일관성 있게 발견된다. 감사시간을 종속변수로 두고 분석한 결과도 감사보수와 유사하게 파트너 고정효과가 각 표본에서 모두 존재한다. 감사품질에서도 파트너 고정효과를 발견하였으나, 감사보수나 감사 시간을 대상으로 한 파트너 고정효과와는 달리 대형회계법인으로 표본을 한정하면 고정효과가 존재하지 않는다. 개별 대형회계법인을 각각 사용한 분석의 결과는 혼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또한 감사보수, 감사시간 및 감사품질에 존재하는 파트너 고정효과 사이의 체계적인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 존재하는 파트너 고정효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반면,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 존재하는 파트너 고정효과와 재량적발생액의 절대값으로 측정한 감사품질에 존재하는 파트너 고정효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이는 높은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이 높은 감사품질과 양의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분석으로 감사파트너 고정효과를 감사인 규모나 산업전문성 및 계속감사기간과 같은 회계법인, 파트너 특성변수와 관련하여 분석한 결과는 대상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상장시장을 구분한 분석과 소형회계법인을 대상으로 한 분석, 피감사기업의 고정효과를 통제한 후의 분석 및 감사품질의 다른 대용치로 발생액의 품질을 이용한 분석은 전술한 주요결과와 유사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공헌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는 감사파트너 수준에서의 고정효과가 있음을 밝혀 파트너의 특성이 피감사기업의 감사품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감사보수와 시간의 책정과도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둘째, 외국에서 최근에 들어서 감사파트너 수준에서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감사파트너와 관련한 연구가 미진한 상태임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자료를 사용하여 감사파트너가 추가로 고정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감사파트너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 결과를 제시하였다. 셋째, 외국에서는 감사시간이 공개되지 않아 파트너 고정효과가 감사시간과 관련해서도 존재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감사시간을 종속변수로 사용할 때도 파트너 고정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인 최초 연구의 하나이다. 넷째, 그 동안 품질관리감리, 비감사서비스 제한 및 지정감사인 등 규제기관의 감사인 감독규정은 주로 회계법인 수준에서 이루어져왔다. 동일 회계법인 내에서도 감사파트너별 감사품질이 상이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파트너의 감사품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이 품질관리감리 강화 등을 통해 회계법인의 품질관리 향상을 유도하여 간접적으로 감사파트너의 관리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everal recent studies in economics and finance have examined and reported significant individual fixed effects in numerous corporate decisions as well as corporate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extend the previous literature by investigating individual fixed effects in the auditing framework.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1) the individual audit partner fixed effect on audit fees, audit hours, and audit quality using the full sample, the sample consisted of Big 4 audit firms, and the sample consisted of each individual Big 4 audit firm; (2) whether there exists the systematic correlations among the partner fixed effect in audit fees, audit hours, and audit quality. Using a sample consisted of listed companies during the period of 2006 to 2011, we fi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exist significant individual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fees. More specifically, individual partner effects are collectively significant in the conventional audit fee model after controlling for the factors that are known to be related to audit fees and the audit firm fixed effect. Moreover, the inclusion of individual partner dummies in the model significantly improve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udit fee model. The significant individual partner effect is also present when the analyses are restricted to the partners who work for Big 4 audit firms. Further, individual partner fixed effects are observed within each Big 4 audit firm. The results are qualitatively similar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audit hours. That is, similar to the results using audit fees as the dependent variable, significant individual partner fixed effects are present in audit hours. We also find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individual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quality. However, when the dependent variable is audit quality, we find no evidence of partner fixed effects among partners who work for Big 4 audit firms. The results using individual Big 4 audit firm are mixed. More specifically, while the coefficients on individual partner dummy variables are insignificant, neverthel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audit quality model improves significantly when individual partner dummy variables are included in the model. We find that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as they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quality. Since audit quality is defined as the absolute value of the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the negative correlations indicate that partners who tend to charge more are likely to spend more audit hours and perhaps as a consequence they are likely to show higher audit quality in their audit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fixed effects and audit firm and audit partner characteristics is complex and mixed.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fees are positively related to audit firm industry expertise, but are negatively related to audit partner industry expertise. However,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fees a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artner tenure and experience measured by the number of years since the partner was registered as a certified accountant. On the other hand,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hours are positively related to audit firm expertise, negatively related to audit partner industry expertise and partner tenure. Finally,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quality are negatively related to Big auditor dummy and audit firm industry expertise whereas they are positively related to partner industry expertise and partner tenur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several important ways. First, we demonstrate fixed effects at the audit partner-level. This finding adds to the growing literature that examines individual fixed effects in a variety of different contexts. In particular, our work documents partner fixed effects in audit fees, which have not been previously identified. Second, although the number of studies that examine partner fixed effects is growing, there exists little evidence on audit partner fixed effects using the Korean audit markets. The scarcity of evidence is perhaps attributable to the unavailability of the partner-level data. Given the limited evidence in the Korean audit markets, our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itial understanding about the role of audit partners in Korea. Thir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partner effects indicates that partners deserve attention from regulators, who currently focus more on audit firms and audit offices.

      • KCI등재

        감사투입시간이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세무조사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전병욱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4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audit quality, which is affected by audit hour, has an effect on corporate tax reporting and further the probability for tax investigation. In ordinary cases whether auditors do not provide the “auditor-provided tax service” (APTS), the increase in audit hour has contradicting effects, tax quality improvement effect, which reduces the probability for tax investigation, and taxable income reduction effect, which increases the probability, and thus the overall effect of the increase in audit hour needs thorough examinations. Furthermore, in other cases whether auditors provide APTS, the increase in audit hour has an additional effect on the probability, taxable income reduction effect, which reduces the prob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based on declared tax investigation cases of public firms, show that, out of two feasible effects of the increase in audit hour, tax quality improvement effects proves to be more dominant. That further implies that the risks from tax investigations could be defended by enough commitment of audit hour, and auditing itself has favorable functions on client firm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at APT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ability, and, when combined with the tax quality improvement effect, the original effect to reduce the probability no more stands. The detrimental effect of APTS on the probability implies that providing APTS itself could be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tax investigations selection process of the taxing authorities. Further analyses show that the tax quality improvement effect is mainly produced during normal audit hours, not during abnormal audit hours which needs special audit efforts. That further implies that as long as general audit hours are invested enough, the tax risks of client firms could be lowered substantially, and thus auditing itself should be more strongly founded. 본 연구는 대다수의 선행연구들과 같이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한 감사품질을 직접적인 분석대상으로 하는 대신 감사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감사품질이 이후의 법인세 신고에 영향을 미쳐서 최종적으로 대상기업의 사후적인 세무조사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감사인과 세무대리인이 다른 일반적인 경우에는 감사시간의 증가로 인해 향상된 세무조정의 품질로 인해 세무조사의 가능성을 감소하는 효과(세무품질 개선효과)와 함께 .우리나라와 같이 장부상 보고이익과 과세소득 간의 일치성이 높은 상황에서 나타나는 과세소득의 감소와 이로 인해 다시 감소하는 세금부담의 결과 세무조사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과세소득 감소효과)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감사시간의 증감으로 인해 세무조사 가능성에 미치는 전체적 효과는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여기에 더해서 감사인과 세무대리인이 동일해서 감사인 제공 세무관련 비감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장부상 보고이익과 무관하게 과세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으로 노력하는 효과(과세위험 관리효과)가 세무조사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장기업의 세무조사 사실 공시자료 등을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감사시간의 증가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가능한 두 가지의 기본적 효과들 중에서 세무조사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세무품질 개선효과가 더욱 현저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별도의 세무관련 비감사서비스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충분한 감사시간의 투입을 통해 세무조사의 과세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회계감사의 순기능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감사인 제공 세무관련 비감사서비스는 세무조사 가능성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서 감사인과 세무대리인이 동일한 경우에도 해당 기업의 세무조사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감소시키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감사시간과 감사인 제공 세무관련 비감사서비스의 회귀계수의 합계는 비유의적인 값을 나타내서 감사인과 세무대리인이 동일한 경우에는 이들이 다른 경우에 발생한 세무조사 가능성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는 감사인의 세무대리 사실 자체가 과세관청의 세무조사 대상 선정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취급되어서 세무품질 개선효과의 영향을 희석시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추가분석에서 감사시간 대신 감사인의 감사노력을 반영하는 비정상 감사시간을 설명변수에 포함시킨 경우에는 세무조사 가능성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체 감사시간의 세무조사 가능성 감소 효과가 대부분 감사인의 정상 감사시간 동안의 일상적인 감사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결과는 일반적인 회계감사 과정에서 정상 수준의 감사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더라도 세무품질 개선효과를 통해 대상 기업의 과세위험을 충분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감사시간 투입의 추가적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

        비상장기업에서 인지된 감사품질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 Big 4 감사인 선임의 정보효과와 보증효과를 중심으로

        박종일 ( Jong Il Park ),남혜정 ( Hye Jeong Nam ) 한국회계학회 2014 會計學硏究 Vol.39 No.6

        본 논문은 비상장기업을 중심으로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기업의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Big 4 감사인의 인지된 감사품질과 부채조달비용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Mansi et al.(2004)의 방법에 따라 Big 4 감사인의 정보효과와 보증효과를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함께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라 이익과 부채조달비용 간의음(-)의 관계가 더 강화되는지를 정보효과와 보증효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연구는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40,362개 기업/연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g 4 감사인의 선임 효과를 정보효과 관점에서 살펴보면,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 변수를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기업신용등급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채조달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정 변수들뿐만 아니라 신용등급(또는 직교된 신용등급)까지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비상장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부채조달비용이 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연속변수보다 소수의 순위등급변수로 측정된 부채조달비용의 결과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채권투자자에게 보증효과뿐만 아니라 정보효과도더불어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상장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이익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음(-)의 관계가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상장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른 채권투자자들의 긍정적 반응은 감사의 총효과 중 주로 딥포켓(deep pocket)으로서의 보증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비상장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채권투자자들에게 감사의 두 가지 효과인 보증효과와 정보효과 모두를 제공한다는 실증적 증거를 보여주고 있어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른 차별적 감사서비스의 제공이 신뢰할만한 재무정보를 산출하여 이익 정보와 부채조달비용과의 음(-)의 관계를 더 강화시키고 있다는 결과 역시 감사품질에 관심 있는 학계뿐만 아니라, 실무계 및 규제기관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 더불어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than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non-Big 4 auditors. This paper further examines wheth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is reinforced when the firm receives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or not. To do this, we adopt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to discompose the effect of perceived audit quality into information and insurance effects on the cost of debt. Recently, researches related to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capital have progressed and provide a interesting evidence to related works. However, most studies related to the effect of audit on cost of equity still focus on listed companies and test a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ttributes and cost of equity, and audit quality (Francis et al. 2011; Minnis 2011; Allee and Yohn 2009). Even though a percentage of non-listed firms on market is relatively low, a number of non-listed firms has increased steadily over time and many policies related to financial supporting are provided for them. In addition, empirical findings on related to non-listed firms suggest that characteristics of reported earnings and governance structures of non-listed firms are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listed-firms. For example, Ball and Shivakumar (2005) find that non-listed firms are more likely to report less conservative earnings than listed-firms and earnings management from non-listed firms is more pervasive. Given the importance of non-listed firms in economic market 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eported earnings, it is somewhat surprising that there is a little study that investigate a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using non-listed firms. This study try to fill the gap.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using 40,362 non-listed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4 to 2009. This paper basically assum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and tests this relationship in terms of both information effect and insurance effect using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depending on the audit quality by appling both information and insurance effect from Mansi et al,(2004). Since our sample is based on non-listed firms which are not listed in the security market, cost of debt rather than cost of equity may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funding from debt-holders (Bharath et al. 2008; Jensen and Mecking 1976). We measure cost of debt as both loan interest rate and loan yield spread. The loan yield spread is calculated as deducting a 3-year treasury bond rate from loan interest rate. For a proxy for audit quality, we use a dummy variable as one if a firm received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otherwise zero. Findings of this paper are following. First, this paper identifies that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higher credit ratin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at affect the level of credit ratings. This result implies that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provides information effect in non-listed firms. Second, this paper finds that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lower cost of debt than non-Big 4 auditors after controlling for other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cost of debt. We further identifies this relationship still holds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formation effect of Big 4 auditors choice. That is, firms are evaluated favorably from debt-holders when they are audited by Big 4 auditors even though they have to pay more audit fees. This result suggests that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provides insurance effects to debt-holders. Taking together, big 4 auditors choice in non-listed firms is a good strategy to reduce the level of cost of debt and provides both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s to debt-holders. Additionally, when we test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oefficients of Big 4 variable from insurance effect model and from both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 model, the result from a fractional ranks variable is only significant.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at of Mansi et al. (2004). Thir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and cost of debt is more profound in firms with Big 4 audi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when a firm receives the audit from Big 4 auditors,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 it as a good signal in evaluating a quality of financial reporting, and then leads to a lower cost of debt. These results are still hold even after appling a fractional ranks variable rather than a continuous variable as a dependent variable. In sum, the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a differential audit demand still exists in non-listed firms, and a audi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for non-listed firm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better understand about the decision on auditor selection of non-listed firms. The findings in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auditing from Big 4 auditors is a effective strategy in funding with lower cost of deb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rnings quality and cost of debt in non-listed firms varies depending on audit quality. This result implies that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s the firm audited from Big 4 auditor more favorable. And non-listed firms audited from Big 4 auditor are rewarded for reporting high quality earnings with a lower cost of debt from debt-holders, which means that debt-holders evaluate firms based on earnings quality and audit quality as well. Therefore, these findings are very useful in understanding consequence of auditor choice and provide a lot of important implications to regulators, investors and creditors who are interested in non-listed firms.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is area can also apply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for the related studies.

      • KCI등재

        Big 4 감사인의 감사품질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효과 : 유가증권상장과 코스닥상장기업에 대한 실증적 증거

        박종일,남혜정 韓國公認會計士會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2

        본 연구는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부채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유가증권상장기업(KOSPI)과 코스닥상장기업(KOSDAQ)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상장기업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관찰된다면 이와 같은 관계가 채권자들에게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보증효과(insurance effect)에 따른 결과인지, 또는 정보효과(information effect)에 따른 결과인지, 아니면 두 가지 모두에 따른 총효과(=보증효과+정보효과)에 기인된 것인지를 Mansi et al.(2004)의 방법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Big 4 감사인 여부는 선행연구의 방법에 따라 Big 4 회계법인과의 제휴여부로 측정하였고, 부채조달비용은 부채차입이자율 스프레드로 측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으로 분석에 이용가능 했던 최종표본 10,479개 기업/연 자료를, 또한 KOSPI 표본은 5,036개 기업/연 자료이고, KOSDAQ 표본은 5,443개 기업/연 자료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에 따르면. 첫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경우 부채조달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변수뿐만 아니라, 신용등급(또는 직교된 신용등급)까지 통제한 후에도 Big 4 감사인을 선임한 상장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1% 수준에서 유의하게 부채조달비용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ansi et al.(2004)의 방법에 따라 Big 4 감사인의 선임 효과를 보증효과와 정보효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Big 4 감사인의 선임은 채권자에게 주로 보증효과에 기초해 부채조달비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채권자들에게는 Big 4 감사인이 딥 포켓(deep pocket)이라는 것에 기초한 결과로 보인다. 둘째, 전체 상장기업을 다시 KOPSI와 KOSDAQ 표본으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KOSPI 표본에서는 Big 4 감사인의 선임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달리 KOSDAQ 표본에서는 Big 4 감사인의 선임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1% 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관계로 나타났다. 즉 앞서 전체 상장기업의 경우 Big 4 감사인과 부채조달비용 간에 유의한 음(-)의 관계와 Big 4 감사인의 선임이 보증효과를 제공한다는 결과는 주로 KOSPI 표본보다는 KOSDAQ 표본에 기인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결과는 국내 채권시장의 채권자들은 KOSPI와 KOSDAQ 기업들에서 Big 4 감사인의 선임에 따른 인지된 감사품질 정보에 대해 차별적으로 반응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KOSDAQ에 속한 상장기업들이 부채차입을 통해 자금을 조달시 Big 4 감사인을 선임하면 채권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은 주로 Big 4 감사인의 보증효과에 대한 인지(perception)에 기초한 것이라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KOSPI 보다 기업지배구조가 상대적으로 열악하고, 재무정보의 신뢰성이 낮은 KOSDAQ에 속한 상장기업에서 감사품질이 높은 외부감사인의 선임은 보다 중요한 외부지배구조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채권자들이 평가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학계의 관련연구에 추가적인 공헌을 할 뿐만 아니라, 감사품질에 관심이 있는 실무계 및 정책당국에게도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debt in listed firms.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KOSPI and KOSDAQ listed firms on associations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driving factors of audit quality using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in determining whether the effect comes from insurance effect or information effect, or both. This approach may be differentiated our study from previous study, which only focus on audit quality.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or that reduces information asymmetries is one of the function of audit quality.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Big 4 auditors in the U.S. provide high quality audits to improve the firm’s brand reputation and to avoid costly litigation. Khurana and Raman (2004) shows that clients of Big 4 auditors have significantly lower ex ante cost of equity capital compared to clients of non-Big 4 auditors in the US but not in other Anglo-American countries. They argue that the perception of Big 4 performing higher quality audits than non-Big 4 is a function of the litigation environment. Their conclusion is that the threat of litigation is a stronger driver than reputation behind perceived audit quality, proxied by cost of capital. This conclusion implies that debt-holders primarily perceive audit quality in terms of the Big 4 auditor’s “deep pockets”. Also, Pitman and Fortin (2004) show that clients of Big 4 auditors have a lower cost of interest immediately after an IPO compared to clients of non-Big 4 auditors. In sum, it is general that big 4 auditors have the financial resources to better fulfill their monitoring, information and insurance roles than non-Big 4 auditors. In the context of this study this better fulfillment of these roles is expected to be reflected in a reduced cost of debt. In other words, to the extent that debt-holders perceive the Big 4 audit as providing a higher quality audits and more credible financial statement, firms audited by the Big 4 (relative to those audited by non-Big 4 auditors) are expected, ceteris paribus, to have a lower cost of debt. Specifically, we investigate whether Big 4 auditors are perceived as providing higher quality audits relative to non-Big 4 auditors in the debt market in Korea. To do this, we use 10,479 observations from 2001 to 2011 for 5,036 firm-year observations in KOSPI and for 5,443 firm-year observations in KOSDAQ. As a main variable, we measure Big4 audit firm dummy variable as proxy for audit quality. And we use the yield spread of interest rates as proxy for cost of debt. According to our analyses, we find that the first, firms audited by the Big 4 audit firm are more likely to associated with low cost of debt after controlling for control variables and corporate credit ratings. And we identify that when audit quality is divided into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 using Mansi et al. (2004)’s methodology, this result comes from insurance effect rather than information effect. This implies that debt-holders consider Big 4 audit firm as deep pocket. The second, when we divide samples into KOSPI and KOSDAQ,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s not significant for KOSPI while the relationship is significant for KOSDAQ.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mainly comes from KOSDAQ listed firms. The finding implies that hiring Big 4 auditors in KOSDAQ listed firms is perceived as sound governance mechanism to debt-holders and improves credi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contributions in several ways. The first, unfortunately, the research about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s rare in Korea. We believe that this work provides additional evidences about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cost of debt in Korea. The second, our study suggests that perception to insurance of Big 4 audit firms drive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n KOSDAQ.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suggest that Big 4 auditors provide high-quality audits, which improves financial reporting quality for KOSDAQ listed firms with poor governance compared to KOSPI listed firms. The third, this paper provides the evidence about driving factors of audit quality using Mansi et al. (2004) and find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udit quality and cost of debt is mainly caused by insurance effect rather than information effect. This result is not consistent with Mansi et al. (2004)’s findings that audit quality comes from both insurance and information effect. This inconsistency provides implications to related study in Korea. Finally, the results present the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at Big 4 auditor has an important role in alleviating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companies and external interested par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debt-holders in Korea tend to differently react to Big 4 audit firm and perceived audit quality. In sum, the results of this paper indicate that a differential audit demand still exists in listed firms, and a audit quality significantly influences a level of cost of debt for KOSDAQ listed firms.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better understand about the decision on auditor selection of listed firms in Korea. The findings in this study have various implications. This result implies that debt-holders in debt market perceive the firm audited from Big 4 auditor more favorable. Specifically, we show that the effect of audit quality attributes on cost of debt of client firms is limited to KOSDAQ listed firms. This suggests that the debt market in Korea perceives audit quality to be more important for smaller listed firms than for bigger ones. Therefore, these findings are very useful and provide a lot of important implications to academic as well as practitioner, investors, creditors, and regul

      • KCI우수등재

        감사인의 명성효과와 타 감사인에 대한 전이효과

        하석태 ( Seok-tae Ha ),조성표 ( Seong-pyo Cho ) 한국회계학회 2018 회계학연구 Vol.43 No.3

        감사인의 감사품질은 피감사기업의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들이 있는데 이를 명성효과라고 한다. 따라서 감사인이 감사실패를 경험하게 되면 감사품질에 대한 명성이 훼손되어 당해 감사인에게 감사를 받은 피감사기업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로 국내 한 대형감사인이 감리와 영업정지 및 유죄판결을 받게 되었다. 감사인에 대한 감리와 영업정지, 유죄판결은 감사인의 명성이 훼손되는 감사실패의 한 증거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의 감사실패가 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명성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특정 감사인의 감사실패가 다른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감사실패를 의미하는 감리와 영업정지, 유죄판결에 관련된 사건일 여섯 개를 선정하고, 각 사건일과 직전일의 피감사기업들의 초과수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리시작일(2015년 12월 30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은 음(-)의 초과수익률을 보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대형감사인(이후 Big3)의 피감사기업과 비대형감사인(이후 non-Big4)의 피감사기업은 유의한 음(-)의 값이 나타났다. 형사기소일(2016년 12월 27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과 non-Big4의 피감사기업이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감리결과 발표일(2017년 2월 23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만이 아니라 모든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서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영업정지 건의일(2017년 3월 24일)에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과 Big3의 피감사기업이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으며, 영업정지 의결일(2017년 4월 5일)에도 유사하게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과 Big3의 피감사기업에서 양(+)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으나, 오직 Big3의 피감사기업에서만 유의한 양(+)의 값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1심 선고일(2017년 6월 9일)에서는 세 번째 사건일인 감리결과 발표일과 동일하게 모든 표본에서 유의한 음(-)의 초과수익률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각 사건일에 감사실패 감사인과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초과수익률이 유의성 유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 감사인의 감사실패로 인한 감사품질의 저하는 당해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명성효과가 있으며, 이와 함께 다른 감사인의 감사품질에도 영향을 미쳐서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전이효과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 대한 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이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 대한 가치관련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실패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비기대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은 다른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사실패 감사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명성이 훼손되어, 이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에 대한 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각 사건일에 Big4를 구성하는 대형감사인들의 피감사기업들의 주가반응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 대형감사인의 감사실패는 당해 감사인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Big3의 피감사기업들의 기업가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자본시장에서 한 대형감사인의 감사실패는 당해 감사인만이 아닌, 다른 감사인의 감사품질에도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증거는 자본시장에서 대형감사인들의 감사품질이 상호간에 차별적이기보다는 동질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 대형회계법인의 감사실패가 당해 회계법인만의 문제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회계법인 전반에 걸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감사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특정 감사인을 개별적으로 제재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감사품질을 제고할 수 있는 환경과 인프라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audit failure on auditor reputation. Specifically, we examine clients’ stock market impact surrounding six dates on which audit procedure and independence were under severe scrutiny, prosecution or juridical decision. We also examine stock market impact of the clients of other auditors surrounding the event dates. We identify six events: enforcement actions, prosecution, fraud recognition, penalty suggestion, penalty decision and first trial. In addition, we compare the value relevance of operating incomes of audit failure auditor’s clients and that of other auditors’ clients. We find that the clients experienced a statistically negative market reaction on the dates of prosecution, fraud recognition and first trial, suggesting that investors downgraded the quality of the audits performed by auditor under severe scrutiny. We find that the clients of other auditors also experienced a statistically negative market reaction on the dates of fraud recognition and first trial, suggesting that audit failure of an auditor has spillover effects to other auditors’ audit quality. Additionally, we find that the value relevance of unexpected operating incomes of audit failure auditor’s clients is lower than that of other auditors’ clients. The evidence suggests that investors consider audit quality of Big 4 auditors to be homogeneous rather than discrimin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for external auditing as well as sanction individual auditors in order to improve the audit quality.

      • KCI등재

        회계제도 개혁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 감사인 지정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우진,김세희,백복현,이우종 한국공인회계사회 2022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pital market consequences of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in 2017. We first examine how Korean audit market changes following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by investigating the changes in audit fees and market share of Big 4 auditors. We find that audit fees in Korean audit market significantly increase following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relative to those in U.S. and Japanese audit markets. We further find that the market share of Big 4 auditors in Korean audit market slightly decreases after the amendment. These results suggest some evidence that the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affects the structure of Korean audit market. We then examine the effects of auditor designation on both audit and capital markets, by investigating audit fees, accounting quality, cost of capital, liquidity, and foreign ownership. We classify the auditor designation into precautionary designation and revisionary designation based on the reasons for the designation. We find that the precautionary designation has positive consequences as evidenced by changes in liquidity, foreign ownership, and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cost of debt. By contrast, the revisionary designation has negative impacts, as shown by changes in discretionary accruals, the cost of debt, and credit rating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cautionary designation has certification effects, while the revisionary designation results in disciplinary effects. More importantl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by using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ology. The result suggests that audit fees and audit hours increase for the firms that are subject to periodic designation after the designation relative to the firms that are not. However, we do not find the differential impact on discretionary accruals. In addition, we conduct a survey to the interested parties, including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equity analysts, credit analysts, and external auditors, to examine the market participants’ assessments on the amendment of External Audit Act.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positively assess the capital market consequences of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Moreover, positive responses are more salient for credit analysts, who tend to focus more on the downside risk relative to upside opportunity.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External Audit Act amendment has positive capital market consequences in some aspects. 본 연구는 2017년의 회계제도 개혁이 여러 자본시장 관련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지정 감사인제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감사인 지정 사유를 상장예정이나 주기적 지정에 따른 예방적 지정(precautionary designation)과, 부실 기업 등에 대한 교정적 지정(revisionary designation)으로 구분하여 감사인 지정이 감사보수, 회계투명성, 그리고 자본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여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예방적 지정에서는 감사시간, 비용, 시간당 보수는증가하나, 재량적 발생액, 부채비용은 감소하며, 유동성 및 외인보유비율은 증가하는 긍정적인 효과가관측되었다. 반면 교정적 지정 이후에는 감사비용, 시간당 보수 뿐만 아니라 재량적 발생액, 감사시간및 부채비용도 증가하며, 신용등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방적 지정 이후에는 인증 효과(certification effect)가 존재하는 반면, 교정적 지정은 부정적인 시장반응(disciplinary effect)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본 연구는 보완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체감하는 회계제도의 개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본시장 종사자 39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1.4%가 회계제도 개혁이 자본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대답하였으며, 긍정적인 답변은 주로 하방위험(downside risk)을 평가하는 신용평가업계 종사자로부터 많이 발견되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감사인 지정 사유 중 상장 예정이나 주기적 지정에 따른 예방적 지정은 감사시장과 자본시장에서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며,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전반적으로 회계제도 개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회계제도 개혁 이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보수주의 및 감사효과

        김우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0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0 No.-

        Preliminary earnings are the earnings disclosed by managers with board of directors’ approval before audit, and audited earnings are that after the audit. A CPA is supposed to correct and to recalculate the earnings again if accounting treatment of preliminary earnings has any disobedience in GAAP. As the CPA corrects the preliminary earnings, there is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solely from CPA's audit without any involvement of other information. The CPA's audit effects may have three cases: 1) the case that audited earnings are less than preliminary earnings, 2) the case that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have almost the same, 3) the case that audited earnings are larger than preliminary earnings. In this study, I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as audit effect, and inspect the difference of audited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differences with conservative model. I also indirectly investigate audit quality showing that such an audit effect is reflected in the difference between Big4 and non-Big4. In this study, I analyze the audit effects investigating how the conservatisms in three group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ccording to the types of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from 2000 to 2008. In the case that audited earnings are less than preliminary earnings, audit effect may be meaningful only if conservatism of audited earnings is less than that of preliminary earnings. For the verification, I do the regression analyses introducing grouping-divided dummies into Basu model(1997), and I do F-test for verifying the difference of conservatism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by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servatism of audited earnings is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preliminary earning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at auditing firm in Korea does conservative audit. In the case of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non-conservatism of preliminary earning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hen preliminary earnings are greater than audited earnings after the audit and non-conservatism of audited earnings is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auditors significantly devaluate the preliminary earnings when the manager’s preliminary earnings are highly reported. On the contrary, the conservatism of preliminary earnings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groups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are almost same with audited earnings, but conservatism is not observed in the audited earnings after the audit. It can be understood as auditing is done for the adjustment of conservatism which goes against GAAP when the preliminary earnings are almost same with audited earnings. Compared with other groups, I cannot find any conservatism i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in the case that preliminary earnings are smaller than audited earnings. This means that accounting information is not distorted even if auditor makes audited earnings greater through the adjustment of preliminary earnings. The results of additional test to verify the different audit effects between Big4 and non-Big4 show that Big4 makes lower non-conservatism of preliminary earnings when preliminary earnings are greater than audited earnings, that Big4 makes the more conservative audit than non-Big4 even in the case that they are almost the same with each other, an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Big4 and non-Big4 when preliminary earnings are smaller than audited earnings. From these, I summarize that Big4 prefers the more conservative accounting treatment compared with non-Big4. Therefore we can say that Big4’s audit quality measured with conservatism is higher than that of non-Big4. Measuring the audit effects through conservativ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this study indirectly proves that auditor effectively adjusts managerial discretion with accounting audit even if managers make conservative or non-conservative reports on preliminary earnings. This study makes points from the fact that I measure audit effects with conservatism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earnings, and that I indirectly prove audit quality improvement through audit effects. 잠정이익은 감사를 받기 전에 이사회의 승인을 얻어 경영자가 공시하는 당기순이익이고, 보고이익은 감사를 받고 주주총회 결의를 거친 당기순이익이다. 잠정이익의 회계처리가 기업회계기준의 위배가 있다면, 공인회계사는 이를 수정하여 이익을 다시 산출하게 된다. 공인회계사가 잠정이익을 수정하게 되면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은 차이를 보이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차이를 감사효과라 정의하고,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차이 형태별로 감사효과의 차이를 보수주의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감사효과가 Big4와 non-Big4 간에 차이가 있는지도 실증함으로써 Big4의 감사효과 차별성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차이 형태에 따라 표본을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집단 별로 보수주의가 다르게 나타나는 지를 검증함으로써 감사효과를 연구하였다. 검증은 Basu(1997)의 보수주의 모형에 집단을 구분하는 더미를 도입하여 회귀분석을 하였고,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보수주의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잠정이익의 보수주의보다 보고이익의 보수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우리나라 회계법인은 보수적으로 감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차이로 구분하는 경우, 잠정이익이 보고이익보다 큰 경우에는 잠정이익의 비보수주의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보고이익의 비보수주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경영자자 잠정이익을 높게 보고한 경우로 감사인에 의해 잠정이익이 유의하게 하향 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하여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이 거의 같은 경우는 잠정이익의 보수주의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감사 후의 보고이익에서는 보수주의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거의 같은 경우에는 GAAP을 위반한 보수주의가 조정되도록 감사를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잠정이익이 감사 후의 보고이익보다 작은 경우에는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에서 보수주의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비록 감사인이 잠정이익을 조정하여 보고이익을 크게 하더라도 회계정보가 왜곡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Big4와 non-Big4간에 감사효과의 차별성을 살펴본 결과는 잠정이익이 보고이익보다 큰 경우는 Big4일수록 잠정이익의 비보수주의를 낮추는 것이 발견되었고,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이 거의 같은 경우에도 non-Big4보다는 여전히 보수적으로 감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잠정이익이 보고이익보다 작은 경우에는 Big4와 non-big4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Big4일수록 non-Big4에 비하여 더 보수적인 회계처리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잠정이익과 보고이익의 보수주의 차이를 이용하여 감사효과를 측정함으로써, 경영자가 잠정이익을 비보수적으로 보고하거나 보수적으로 보고하더라도 감사인은 회계감사를 통해 효과적으로 경영자의 재량권을 억제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잠정이익과 보고이익 간의 보수주의를 이용하여 감사효과를 측정하였고, 감사효과로 인해 감사품질이 높아진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실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현황 진단 및 효과성 검토

        최종원 ( Jong Won Choi ),박주형 ( Ju Hyoung Park ) 한국회계학회 2023 회계저널 Vol.32 No.3

        2018년 외부감사법이 개정되면서 감사위원회의 전문성 유지 및 강화를 목적으로 감사위원회에 교육을 제공하고 이를 기업공시서식 작성 기준에 포함하여 공시하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현황을 진단하고 효과성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서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에 대한 감사위원회 교육 현황 자료를 기술적으로(descriptive) 분석하였다. 감사위원회 교육의 대상이 되는 감사위원회는 대다수가 3인,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고, 공인회계사 전문가 유형을 가장 많이 선임하고 있었다. 또한, 표본의 과반수 이상이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을 1회 이상 실시하고, 외부교육을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하고 있었다. 외부교육 주체로는 BIG4 회계법인과 감사위원회 포럼이 많았고, 회계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내용을 주로 교육하고 있었다. 특히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교육 실시 기업 및 외부교육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회계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내용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다음으로 감사위원회의 운영적 측면을 검토해본 결과, 감사위원회 교육을 실시하는 기업일수록 감사위원회의 활동횟수가 높고, 감사위원회 내에 더 많은 사외이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가 다양한 전문가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감사위원회 대상 교육의 효과성을 검토해본 결과 감사위원회의 교육은 회계이익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사위원회의 교육 및 외부교육 실시횟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회계이익의 품질과 뚜렷한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교육을 다룬 국내외 연구가 극히 드문 상황에서 감사위원회 교육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는 데 유용성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감사위원회의 교육이 입법 취지에 따라 운영되려면, 기업 스스로가 교육의 실시횟수를 높이고, 다양한 경로에서 외부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 더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and effectiveness of education for audit committees. 'The External Audit Act' mandates education for audit committees to enhance their expertise and requires disclosure. We collected and analyzed data from the business reports of listed companies from 2018 to 2020, specifically focusing on audit committee education. Most audit committees consist of three outside directors, with an average of one or two types of experts, primarily CPAs. We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companies conducted audit committee education at least once, with external education being implemented relatively more frequently than internal education. External education was primarily organized by the BIG4 accounting firms and audit committee forums, and the main topics covered were accounting audits and internal control systems. Particularly, we found tha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companies conducting education and external education over the past three years, and the topics of accounting audit and internal accounting control systems have shown a consistent upward trend. We also foun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audit committee educ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ir activities, the number of outside directors, and expertise diversity. Additionally, audit committee education appears to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 earning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limited research on audit committee education and provide meaningful data for future discussion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audit committee education, companies should increase training sessions and utilize various forms of external education.

      • KCI등재

        외부감사법 개정 전후 비적정의견 비율 변화 및 감사의견에 대한 주가반응 변화 분석

        김희정,최수미 한국회계정보학회 2020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0 No.4

        [연구목적]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처벌을 강화한 2018년 11월 시행된 신외부감사법의 시행에 따라 실무에서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동법의 시행 효과를 다음과같이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증가는 감사의견의 보수화로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둘째, 감사의견 공시에 대한 누적초과수익률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신외부감사법 시행이 정보유용성에 기여하였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외감법시행 전에 비해 비적정의견 비중이 낮게 나타나 예상과반대의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증가 및 처벌을 강화하는 새로운 조항은 감사의견의 보수화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동법 시행에 대비한 기업들이 건전한 재무자료를 공시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신외감법 시행이후 장기간이 경과하지 않아 아직 그 시행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을 수도 있어이는 향후 연구에서 장기간의 표본을 통하여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신외감법시행 이후 회계이익의 정보효과가 높게 나타나 신외부감사법이 시행됨에 따라 자본시장에서 감사의견의 신뢰도를 높여 감사의견의 정보유용성이 높아졌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 신외감법 시행이후 회계정보의 정보효과가 높아졌다는 점은 회계정보의 유용성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어, 신외감법 시행의 효과성을검증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감사위원회 제도가 이익의 정보효과에 미치는 영향

        조문기,김종 韓國公認會計士會 2005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1 No.-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정부는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통하여 기업경영의 투명성과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감사위원회 제도를 도입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위원회의 효과를 경영자의 이익조정 측면이 아닌 자본시장에서의 이익의 정보효과 측면에서 분석함으로써 감사위원회 제도의 도입과 특성이 회계정보의 유용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수익률-이익(return-earnings) 모형을 이용하여 감사위원회의 도입이 이익의 정보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 둘째, 감사위원회의 특성과 이익의 정보효과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셋째,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이익의 정보효과를 감소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감사위원회의 도입은 이익의 정보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사위원회의 특성 중 독립성과 전문성만이 이익의 정보효과와 정(+)의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는 이익의 정보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인해 감사위원회 제도는 경영자의 재량적 의사결정을 감소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udit committee was introduced to enhance management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rough reform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fter the 1997's financial crisi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audit committe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effect of the audit committee on earnings informativeness, which is measured by the coefficients representing return-earnings relations. Second, this study looks into the effect of both the introduction of audit committee and its characteristics on informativeness of earnings: characteristics of audit committee are defined as its independence, competency and activity level. Third,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discretionary accrual(DA) decreased earnings informativenes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roduction of the audit committee and informativeness of earnings. That is, firms that have established the audit committee reveal improved return-earnings relations. This result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the introduction of audit committee has improved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Second,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independence and competency of the audit committee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arnings informativeness of a firm. However, the activity level of the committee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earnings informativeness. Finally, earnings management significantly decreases informativeness of earn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doption of audit committee enhances reli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by mitigating the discretionary earnings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