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휴대전화 용도별 이용빈도의 변화가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

        서미정(徐美正)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휴대전화 용도별로 이용빈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 평균적인 변화패턴이 중학교 2학년에서의 휴대전화 의존도, 주의산만,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및 우울 등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 초4 패널의 5개년 자료에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휴대전화로 가족소통을 위한 이용은 초4에서 높은 수준으로 시작하여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친구소통을 위한 목적에서 휴대전화 사용은 초4부터 중2까지 증가하였으며, 오락용은 초4부터 초6까지 급속한 증가를 보여 주다가 중2까지 안정적인 패턴을 유지하였다. 둘째, 가족소통의 용도로 휴대전화 사용이 시간 흐름에 따라 빠르게 감소할수록 중2에서 휴대전화 의존도, 주의산만,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및 우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친구와 소통하는 용도로 휴대전화 사용이 점차 증가할수록 중2의 주의산만,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및 우울 수준이 낮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오락용으로 휴대전화 사용이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할수록 중2에서 휴대전화 의존도, 주의산만 및 신체증상이 더욱 강화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휴대전화 이용의 변화양상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휴대전화의 이용 목적에 따라 다름을 밝힘으로써 휴대전화 사용의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종단적으로 확인한 데 의의를 둔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ajectory of mobile phone use by purposes as well as the effects of changes in mobile phone use on psychosocial maladjustment. It was analyzed data from the sample of 4th grades to 8th grade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level of mobile phone use for contacting family members decreased across time, on the other hand the levels of mobile phone use for contacting friends and entertainment increased across time.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more rapid decreases in mobile phone use for contacting family members over time had higher level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attentive problems, somatic symptom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8th grade.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more rapid increases in mobile phone use for contacting friends over time had lower levels of inattentive problems, somatic symptoms,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8th grade. Finally,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more rapid increases in mobile phone use for entertainment over time had higher level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attentive problems, and somatic symptoms in 8th grad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피체포자의 휴대전화 압수와 그 내용확인의 적법성

        최대호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1

        본 논문에서는 휴대전화에 저장된 정보의 특성을 감안하여 체포 시에 압수한 휴대전화에 저장된 디지털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는 행위에 대한 적법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Riley 판결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의 관점에서 수사기관이 휴대전화에 저장된 디지털 정보를 증거로서 수집・보전하는 데 있어 합리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휴대전화는 공통된 운영체계(OS)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제조사마다 메모리를 복제하는 방법이 다른 경우도 많을 뿐만 아니라 피압수자가 어떠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지 알 수 없는 수사기관으로서는 압수·수색 현장에서 압수하게 될 휴대전화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나 장비를 구비하는 것도 쉽지가 않다. 또한 휴대전화 메모리를 복제하는 경우, 삭제된 전자정보를 복원하고 범죄사실과 관련된 전자정보를 선별하여 압수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두고 논란이 있으며, 전자파의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기록저장매체인 휴대전화의 전자정보를 다른 매체에 복제・이전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휴대전화에 저장된 정보영역에서의 사생활 보호와 더불어 휴대전화 등 모바일기기에 대한 수사를 보다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법과 대책이 필요하다. 그래서 미국의 Riley 판결을 분석하고 그 방법과 대책을 제시하였다. 첫째, 긴급처분설과 부수처분설 모두 체포에 수반하여 압수된 휴대전화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 별도의 검증영장을 요구하는 논리를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영장을 요구하더라도 사생활을 실효적으로 보호하는 방법과 대책으로서 ① 2단계 과정을 바탕으로 한 최소화조치의 채용, ② 취득대상인 정보의 특정을 구체화, ③ 영장집행 시에 피의사실과 관련성이 없는 정보를 필더링하는 것, ④ 입법에 의한 정보의 보존・이용기간의 제한 등이 요구된다. 다만 ①과 ③의 경우는 수사기관 자신이 행하는 것보다도 알고리즘을 구축하여 자동화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체포에 수반하는 휴대전화에 저장된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는 데 영장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이해할 경우 휴대전화에 저장된 정보의 양이 많다는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적어도 ①, ③ 및 ④ 모두 입법을 통하여 수사기관의 의무로 규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상황에서는 영장에 의해 규율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즉 압수・수색영장에 의해 휴대전화를 압수하고 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시 검증영장을 발부받게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phone, we examine the legitimacy of checking the contents of the digital information stored in the cellular phone that was seized at the time of arrest. We analyze the Riley judg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look for a rational way to collect and preserve the digital information stored on the mobile phone as a proof from the viewpoint of the Korean Criminal Procedure Law. However, since mobile phones do not have a common operating system (OS),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replicate memory for each manufacturer. In addition, as an investigation agency that does not know what kind of cell phone the eavesdropper uses, It is not easy to have software or equipment suitable for the cell phone to be confiscated. In addition, when copying mobile phone memory, it is controversial whether it is technically possible to restore deleted electronic information and to sort and seize electron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crime fact. Since it is easily influenced by electromagnetic waves, It is very difficult to copy or transfer the electronic information of the telephone to other med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rivate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obile phone and measures and measures that can reasonably improve the investig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cellular phones. So I analyzed the Riley judg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suggested the method and measures. First, both the emergency disposal theory and the incidental disposal theory may adopt a logic that requires a separate verification warrant to confirm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ellular phone that has been seized with arrest. Secondly, even if a warrant is demanded, it require, as a method and measures to effectively protect private life, ① adopt a minimization measure based on a two stage process, ② specify specific information to be acquired, ③ Filtering the information, and (4) limiting the period of use and preservation of information by legislation. In the case of (1) and (3),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an algorithm and automate it rather than the investigation agency itself. for example, if you understand that you do not require a warrant to confirm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stored on your mobile phone with the arrest, if you seriously consider that the amount of information stored on your mobile phone is at least ①, ③ and ④ It shall be stipulated as the duty of the investigation agency. However, in the current situation, it is judged to be governed by a warrant.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o have reissued a verification warrant to seize the cellular phone by the seizure and search warrant and confirm its contents.

      • KCI등재

        고령층의 모바일 격차

        조주은(Cho Jooeun)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5

        휴대전화에 관한 이론 및 모델들은 대부분 젊은층을 중심으로 수립되었기 때문에 고령층을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고령층이 휴대전화를 채택 및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고령층 모바일 격차의 특성과 영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이동통신기술에서의 정보격차는 기존의 정보격차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인터넷과 달리 휴대전화는 고령층에게도 급속히 확산되어 접근격차는 문제시되지 않고, 이용 차원에서의 격차가 바로 문제로 대두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고령층 내부에서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는데, 휴대전화 채택과 수용에 있어서는 생활시간사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소극형 고령층은 주로 본인이 아니라 자녀의 동기에 의하여 휴대전화를 선물 받게 되고, 휴대전화를 집전화처럼 음성통화 위주로 이용하였다. 이와는 달리 자기향유형 고령층은 휴대전화의 채택과 수용에서 젊은층과 차이가 없었으며, 휴대전화는 그들의 삶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셋째, 문자메시지는 고령층의 휴대전화 이용격차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었는데, 전형적인 정보격차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사용법 학습환경’, 즉 가족형태가 결정적인 변수가 되었다. 이것은 휴대전화가 가족 및 세대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고령층의 가족형태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하는 것으로, 휴대전화가 가족 및 세대 차이를 해소하고, 관계를 강화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끝으로 휴대전화와 같은 상호작용 멀티미디어의 경우 ‘채택’을 기능의 이용여부보다 이용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ories and models on mobile phone acceptance and adoption have been constructed mainly around young users, which posits limits in understanding elderly users. The current study aims to explain how the elderly users accept and adopt mobile phones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users. Utiliz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discusses three main arguments. First, the elderly users show a distinctly different pattern from young users in accepting and adopting mobile phones, and the difference seems due to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mobile phone usage ability. Considerable variances exist among the elderly users, which can be explained by time use factors and subjects' environments to provide usage tutorials. Secondly, text messaging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in evaluating usage differentials. Acceptance and adoption of text messaging is unique compared to general aspects of digital divide in that 'learning environment' is the decisive variable. It suggests that an important factor to explain mobile phone usage by the elderly is not the lack of desire to use but their capability to fulfill the desire to use and the existence of environment to teach them how to use. Thirdly, due to their insufficient usage ability of mobile phones, the elderly users show high level of discordance between acceptance and adoption: those who want to participate if tutorial sessions are offered and those who feel mobile phones friendly and useful tend to show such discordance.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when evaluating the level of 'adopt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tools such as mobile phones, how much or to what degree one uses can be a better criterion than whether one uses certain functions or not.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초등학생의 휴대전화 이용유형분류와 의존도의 관계 검증

        정규형,이민주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latent groups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phone usage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irst grade panel data of the elementary school in the Korea Children 's Youth Panel in 2016. The results found 3 latent classes of mobile phone usage: family and friend concentration (Type1), family concentration low level (Type2) and essential (Type3).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typ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 Type 2 showed more dependency than the Type 1, and the Type 1 showed more dependency than the Type 3. These findings provided basis for the guideline of mobile phones use and for proper intervention to prevent mobile phone dependen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휴대전화 이용유형에 따라 잠재계층으로 분류하고 휴대전화 의존도와의 관계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016년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초등학교 1학년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휴대전화 이용유형에 따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가족&친구 집중형, 2)가족집중 저수준형, 3)필수이용형의 3개 유형으로 나뉘어졌다. 휴대전화 이용 유형과 휴대전화 의존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결과 1)가족&친구 집중형보다 2)가족집중 저수준형일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필수이용형보다는 1)가족&친구 집중형일수록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휴대전화 이용유형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휴대전화 사용의 초기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위한 올바른 휴대전화 이용과 과의존 예방을 위한 개입 방안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김경호(Kyung Ho K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특히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자아존중감이 보호요인으로 기능하는지 확인함으로써 휴대전화 의존 문제와 관련된 개입방안의 마련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 자아존중감, 휴대전화 의존 사이의 매개효과 관계를 가정하는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아동ㆍ청소년 패널조사의 중1패널 제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높을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더 심각하였다. 둘째, 중학생의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더 높았다. 셋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휴대전화 의존이 더 낮았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휴대전화 통화ㆍ문자메시지 빈도와 휴대전화 의존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변수로 기능하고 있다. 끝으로, 이상의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개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특히 올바른 휴대전화 이용 교육과 자아존중감의 제고에 개입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e mobile phon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ol and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link between effects of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on mobile phone depend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3rd wav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 proposed structural model in relation to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self-esteem,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a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econd,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ird, self-esteem could have a negative effect on mobile phone dependency. Fourth, self-esteem could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frequency of mobile phone call and text messaging and mobile phone dependency.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coping with the mobile phone dependency problem as well as enhancing self-esteem.

      • KCI등재
      • KCI등재

        휴대전화 사용 유형에 따라 분류된 청소년 집단 간의 또래 관계 차이 연구

        원지영 ( Won Ji Yo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7 청소년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방식과 의존도가 또래애착의 형성과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 휴대전화 사용과 또래관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0년부터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중1패널 데이터 중 조사대상자가 중학교 1학년, 중학교3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이던 1, 3, 5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성별, 휴대전화 사용빈도, 휴대전화 의존도를 포함한 군집 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은 크게 휴대전화를 사용한 게임빈도와 휴대전화 의존도 높은 남자 청소년 집단(집단2)과 여자 청소년 집단(집단4), 휴대전화를 사용한 게임빈도와 휴대전화 의존도가 낮은 남자 청소년 집단(집단1)과 여자 청소년 집단(집단3)의 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게임 빈도와 휴대전화 의존도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동시에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사용에 차이가 발생함을 보여준다. 또한 이들 네 집단의 또래애착 수준의 차이와 그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에서 또래애착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휴대전화 사용에 따른 또래애착 수준의 격차는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게임과 휴대전화 의존도가 높은 집단에서 또래 애착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휴대전화의 잦은 사용이 의존으로 이어지기 쉽고, 이러한 휴대전화의 무절제한 사용은 청소년기 또래관계의 확대와 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association between mobile phone use and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adolescents` mobile phone us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on development and changes of peer attachment. The 1st, 3rd, and 5th wave data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in 2010 which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were analyzed. Cluster analysis technique was used to categorize adolescents into 4 groups by gender, the way of mobile phone us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Group 1(G1) and Group 2(G2) were males and Group 3(G3) and Group 4(G4) were females. G2 and G4 showed that they frequently played the mobile phone game and highly depended on the mobile phone. On the contrary G1 and G3 seldom or never played the mobile phone game and both groups` mobile phone dependency was low. In other word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ying game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lso, it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the way of mobile phone use. Additionally, peer attachment increased as adolescents advanced into the higher grades but the extent of difference in peer attachment among four groups still existed. It draws the conclusion that the frequently using the mobile phone can lead to the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reby it prevents adolescents from expanding and strengthening their peer relationship.

      • 휴대전화 사용과 삶의 만족도, 자아탄력성의 관계 분석 -아동을 중심으로-

        이은경,김갑종,동윤정 글로벌경영학회 2016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2

        2000년대 이후 대한민국이 IT 강국이라는 말처럼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국민이 휴대전화를 보유하면서 휴대전화는 전통적인 전화 이상의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에 현대인에게 있어 없어서는안 될 휴대전화는 사용자의 삶에 편리함을 가져다주는 것과 동시에 사용자와의 관계를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되었을 만큼 상당히 밀착되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흡연이나 마약처럼 중독성을 보이며 중독과 관련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동의 휴대전화 사용에 있어 기성세대의 시각에서는 좋지 않는 방향으로 이끄는 수단으로 변질 될 우려가 있으나 다른 측면으로는 오히려 아동의 안전 확인은 물론 위급 상황이나 즉시 연락이 필요할 경우 그 수단이 될 수 있는 도구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휴대전화와 아동과의 관계를 부정적으로만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며 휴대전화의 사용에 대한 긍정적인 면에 대한 연구를 제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휴대전화 보급률이 매우 높은 수준에서 실제적으로 아동의 휴대전화 사용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분석하고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통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대부분의 부정적인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아동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닌 긍정적인 면을 연구하고자 함에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아동측면에서 휴대전화 사용이 무조건 필요악이라고 주장하는 이론들을 반박하는 한편, 자아 탄력성은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와 새로운 관심과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휴대전화 사용은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그 부분에서 자신의 생각을 집중시키고 조절할 수 있는 통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끝으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 자살률이 매우 높은 나라 중의 하나로 아동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일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는 삶의 만족도가 높은 아동은 자살을 시도하는데 낮은 확률을 보이는데서 휴대전화의 사용과 자아탄력성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있어 많은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즉, 적당한 휴대전화 사용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한 삶의 만족도 또한 높아지며 특히, 우울한 생각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생각으로 전환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휴대전화 사용과 대인관계 유지에 미치는 영향

        황유선 ( Yoo Sun Hwang ),김주환 ( Joo Han Kim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인 휴대전화를 자주 사용하는 것이 사회적 대인관계 유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휴대전화 음성통화의 빈도 및 휴대전화에 대한 친숙도를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는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세대별 인과관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도 함께 밝혔다. 분석결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대전화 사용빈도 및 휴대전화 친숙도에도 정적인 효과를 가졌다. 매개변인으로서의 휴대전화 사용빈도는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휴대전화 친숙도는 대인관계 유지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지는 않았으나 휴대전화 사용빈도에는 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세대별로 휴대전화에 대한 친숙도가 휴대전화 사용빈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랐으며 30대 이상의 세대에서 휴대전화 사용빈도와 갖는 관계가 더 컸다. 이로써 휴대전화의 사용은 개인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frequent use of mobile phone to mainta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 analyzed the effect of the frequent interaction through mobile phone and the mobile affinity to enh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also compared the differences for each generation in th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ly affected to enhance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use of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affinity. The frequent use of mobile phone as a mediated variable helped to enhance and maintain individual social networks. However the mobile affinity only affected the frequent use of mobile phone with larger effects on the age group of over 30. The results implies that the frequent use of mobile pho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broa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CI등재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과 예측 요인

        구현영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3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를 알아보고,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고등학교 1, 2학년생 469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중독, 자기 통제력, 자기 효능감, 우울, 사회적 지지, 인구학적 특성 및 휴대전화 사용 특성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기술 통계, t test, 일원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은 휴대전화 과다 사용군이 7.5%, 중독군이 4.1%였고, 휴대전화 중독은 즉각적 자기 통제력, 자기 효능감, 우울, 또래 지지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휴대전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말 문자메시지 수신 횟수, 즉각적 자기 통제력, 주된 사용 기능(문자메시지), 평일 일회 통화 시간, 음악 청취, 성별(여), 평균 휴대전화 요금, 우울, 통화를 주로 하는 대상(친구), 자기 효능감이었고, 39%의 설명력을 가졌다. 고등학생의 인구학적 특성과 휴대전화 사용 특성 및 심리적 특성은 휴대전화 중독의 유의한 예측요인이므로, 휴대전화 중독 예방과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예측 요인을 기초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접근뿐 아니라 실제 사용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관한 추후 연구를 격려하고,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 예방과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추후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우리나라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 정도와 심리∙사회적 특성을 파악하는 반복확대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고등학생의 휴대전화 중독 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