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 폭로 환경에 따른 GGBFS 콘크리트의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비교

        윤용식,정기찬,권성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6 No.2

        In this study, the time-dependent chloride ingress behavior in GGBFS concrete was evaluated considering marine exposure conditions and the properties of concrete mixtures. The concrete mixture for this study had 3 levels of water to binder ratio and the substitution rate of GGBFS, and outdoor exposure tests were performed considering submerged area, tidal area, and splash area.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diffusion coefficient considering properties of concrete mixtures, as the substitution rate of GGBFS increased, the decreasing rate of the diffusion coefficient decreased based on exposure periods of 730 days(2 years). As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diffusion behavior according to the marine exposure conditions, the diffusion coefficient was evaluated in the order of submerged area, tidal area, and splash area. In tidal area, a relatively high diffusion coefficient was evaluated due to the repetition of wet and dry seawater.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GBFS substitution rate on the decreasing behavior of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was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exposure conditions and period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pparent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as output value and GGBFS substitution rate as input value. After 730 days of exposure, the effect of GGBFS on diffusion coeffici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Even for OPC concrete, after 730 days, the diffusion coefficient was as low as that of GGBFS concrete, so the gradient of the regression equ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t is thought that improved durability performance for chloride ingress can be secured before 730 days through the use of GGBFS. 본 연구에서는 해양 폭로 조건과 배합 사항을 고려하여 GGBFS 콘크리트의 시간의존적 염화물 확산 거동을 분석하였다. 사용 콘크리트 배합은 3 수준의 물-결합재 비 및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률을 고려한 콘크리트 배합이며 노출 조건으로는 침지대, 간만대, 비말대 총 3 수준을 고려하여 옥외 폭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평가 결과,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치환률이 증가할수록 노출 기간 730일(2년)을 기준으로 평가한 확산계수의 감소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노출 조건에 따른 확산거동을 평가한 결과, 침지대, 간만대, 비말대 순으로 확산계수가 평가되었다. 비말대에서는 해수의 건습 반복으로 인해 비교적 높은 확산계수가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률이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감소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노출 조건 및 기간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확산계수를 출력 값으로, 고로슬래그를 입력 값으로 설정한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노출 기간 730일 이후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감소하였다. OPC 콘크리트라 할지라도 730일 이후 GGBFS 콘크리트 만큼 낮은 확산계수를 나타냈기 때문이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사용을 통해 730일 이전에 뛰어난 초기 염해 내구성능 확보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뇌의 확산강조 영상에서 b-value의 변화에 따른 신호강도, 현성확산계수에 관한 비교 분석

        오종갑(Jong-Kap Oh),임중열(Jung-Yeol 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3

        Diffusion-weighted imaging (DWI)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 practical method for the diagnosis of various brain diseases such as acute infarction, brain tumor, and white matter disease. In this study, we used two techniques to examine the average signal intensity (SI)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of the brains of patients who ranged in age from 10 to 60 year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SI was the highest in amygdala (as derived from DWI), whereas that in the cerebrospinal fluid was the lowest. The average ADC was the highest in the cerebrospinal fluid, whereas the lowest measurement was derived from the pons. The average SI and ADC were higher in T₂-DW-EPI than in FLAIR-DW-EPI. The higher the b-value, the smaller the average difference in both imaging techniques; the lower the b-value, the greater the average difference.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rains of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cerebral infarction showed no distinct lesion in the general MR image over tims. However, there was a high SI in apparent weighted images. Analysis of other brain diseases (e.g., bleeding, acute, subacute, chronic infarction) indicated SI variance in accordance with characteristics of the two techniques. The higher the SI, the lower the ADC. Taken together, the value of SI and ADC in accordance with frequently occurring areas and various brain disease varies based on the b-value and imaging technique. Because they provide additional useful information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various brain diseases through signal recognition, the proper imaging technique and b-value are important for the detection and interpretation of subacute stroke and other brain diseases. 확산강종영상 (diffusion weighted image, DWI)은 급성 뇌경색, 뇌종양, 뇌백질 질환, 뇌 막질의 확산 정도 등 여러 뇌질환의 진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그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0~60대 환자들의 뇌를 대상으로 두 기법간의 신호강도, 현성확산계수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확산강조영상에서는 신호강도 평균값은 편도체부 (amygdala)가 가장 높고,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에서 가장 낮았다 현성확산계수의 평균값은 뇌척수액이 높고, 교뇌 (pons)가 낮게 측정되었다. 확산강조 신호강도와 현성확산계수의 평균값은 T₂-DW-EPI 기법보다 높고, b-value의 변화에 따른 평균값은 두 기법의 b-value에 모두 반비례하였다. 또한 뇌경색환자의 뇌의 시간 경과에 따른 분석결과, 초급성뇌경색 환자의 일반적인 MR 영상에서는 병변부분이 명확하지 않았으나 확산강조영상에서는 고신호강도로 나타났다. 출혈성 뇌경색, 급성 뇌경색 등 여러 질환별로 분석한 결과 그 두 기법의 특성에 따라 신호강도의 값이 차이가 클수록 현성확산계수는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뇌 질환이 자주 발생되는 부위와 뇌 질환의 환산강조 신호강도 및 현성확산계수 값은 b-value의 변환과 영상기법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정략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안정적인 기법과 적절한 b-value 값을 이용하여 검사를 한다면 여러 뇌의 질환 및 병변 등을 발견, 판독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상부위나 질환에 따른 기법별 신호의 인지를 통한 정확한 질병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교통문화지수 변화 시나리오 분석

        원동욱(WON, Donguk),도명식(DO, Myung Sik),김규호(KIM, Gyu-Ho)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지 Vol.4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복잡한 사회현상을 구조화하고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 분석기법을 이용해 교통문화 확산모형을 개발하고, 교통문화지수(Traffic Culture Index)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 수행하는 것이다. 확산모형은 이론적 근거를 갖고 있는 배스의 확산모형(Bass Diffusion Model)에 기초해 구축하였으며, 혁신에 의한 확산과 모방에 의한 확산, 2가지를 모형에 반영하여 혁신계수와 모방계수를 도출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혁신에 의한 확산요인으로는 차량기술수준 변수를, 모방에 의한 확산 요인으로는 교통안전투자 변수를 고려하였다. 이 2가지 변수를 고려해 향후 교통문화지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산모형에서 혁신계수는 0.0005, 모방계수는 0.03625로 산정되었다. 시나리오 분석에서는 차량기술수준 변화에 따른 교통문화 확산수준의 경우, 차량기술수준 ±10% 변화시 교통문화지수가 ±0.058% 범위에서 증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통안전투자 변화에 따른 교통문화 확산수준은 교통안전투자 ±10% 변화시 교통문화지수가 약 ±0.26% 범위에서 증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문화 확산요인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지자체 등에서 교통문화지수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traffic culture diffusion model using the system dynamics analysis technique used to structure and analyze complex social phenomena, and to perform scenario analysis on changes in the traffic culture index. The diffusion model was built based on the Bass Diffusion Model, which has a theoretical basis, and focused on deriving the innovation coefficient and the imitation coefficient by reflecting two types of diffusion by innovation and diffusion by imitation in the model. The vehicle technology level variable was considered as the diffusion factor by innovation, and the traffic safety investment variable was considered as the diffusion factor by imitation. In consideration of these two variables, a scenario analysis was performed on how the future traffic culture index will change. In the diffusion model, the innov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s 0.0005 and the imitation coefficient as 0.03625. In the scenario analysis, in the case of the diffusion level of transportation culture by innov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vehicle technology level, it was analyzed that the transportation culture index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range of ±0.058% when the vehicle technology level changed by ±10%. As for the level of spread of traffic culture by innov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raffic safety investment, it was analyzed that the traffic culture index increased or decreased in the range of ±0.26% when the traffic safety investment changed by ±10%.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 transportation culture index by local governments, etc. through additional research on factors that spread transportation culture in the future.

      • 신경망 이론과 마이크로 모델링을 통한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해석

        권성준(Kwon Seung-Jun),송하원(Song Ha-Won),변근주(Byun Keun Joo),박찬규(Park Chan Kyu)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7 No.1A

        염해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가장 중요한 열화요인중 하나이다. 염해에 대한 정량적인 평기를 위해서는 자유염화물의 확산거동을 직접적으로 지배하는 확산계수가 정확하게 도출되어야 하지만 다양한 배합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경비가 필요하다. 기존에 사용되는 물-시멘트비에 대한 회귀분석식으로 표현되는 확산계수식은 주로 겉보기 확산계수이며 시멘트량, 골재량 등의 다양한 배합변수를 고려할 수 없으므로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확산계수 도출에 사용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염화물 확산계수의 도출과 이를 고려한 혼화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혼화재료(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 애쉬, 실리카 퓸)를 사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에 대하여 시간에 따른 염화 물 촉진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염화물 이온의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확산계수에 대해서 7개의 배합인자 및 수중양생기간을 뉴런으로 설정한 뒤,30개의 배합, 120개의 확산계수측정값에 대하여 오차 7%의 학습을 수행하였다. 이후 신경망 이론을 통하여 도출된 확산계수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을 나타내는 다상수화발열모델과 공극구조 형성모델에 기초한 염화물 침투 해석에 이용되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염화물 해석방법은 기존의 혼화재료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침투 실험지료에 대해 적용한 결과, 타당한 해석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hloride attack is one of the major deteriorations in concrete structures. In order to quantify chloride behavior in concrete, accurate prediction of ditfusivity coefficient of chloride ion is necessary. In conventional prediction equations, the apparent diffusivity coefficient is expressed only with the water to cement ratio (W/C), i.e., the detailed mix proportions of concrete are not considered to obtain the diffusivity coefficient of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s. In this study, a numerical technique for chloride penetration in the concrete with mineral admixtures using diffusivity coefficient from neural network algorithm is proposed. In order to obtain the comparable data set considering various mineral admixtures such as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GGBFS), fly ash (FA) and slica fume (SF), a series of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s are performed and a limited number of diffusivity coefficients are obtained. Total eight neurons (seven material components in trial mixture designs and curing period in submerged condition) are used for neural network. Through the neural network, 120 diffusivity coefficients from 30 mixture designs are obtained and the average of analyzed data is evaluated to be about 7%, which can be statistically acceptable. Finally, an evaluation technique for chloride penetration in the HPC is also developed by utilizing multi component hydration heat model (MCHHM) and micro pore structure formation model (MPSFM) along with obtained diffusivity coefficients from neural network.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technique is also verifi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with experimental results as well as other data.

      • KCI등재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구수명 확보를 위한 최적 배합 도출에 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

        권성준(Kwon Seung-Jun),이성칠(Lee Sung Chil)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0 No.5A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의 제어는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확보에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목표 내구수명을 만족하는 목표확산계수를 도출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최적배합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동일한 골재 및 혼화재를 사용한 30개의 배합과 그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를 분석하였으며, 27개를 대상으로 확산계수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확산계수 예측식의 변수로는 물-결합재비, 단위 혼화재량(슬래그, 플라이 애쉬, 실리카퓸), 단위 시멘트량, 단위 잔골재 및 굵은 골재량을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나머지 3개의 배합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최적 함수식은 27개의 배합에 대하여 평균 18.7%의 오차와 16.0%의 변동계수를 보이고 있었다. 주어진 3개의 확산계수에 대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도출된 배합은 0.3%~12.2%의 오차범위를 가지며 각각의 배합인지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내구성 설계변수(목표내구수명, 피복두께, 표면염화물량, 흔화재량)와 노출환경(온도 및 습도)을 가정하여 목표 확산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만족하는 최적화된 콘크리트 배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내구성 콘크리트 배합도출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제안된 기법은 다양한 확산계수의 범위를 가지는 광범위한 자료구축을 통하여 개선될 것이다. A control of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is very essential for service life of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 attack so that much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this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tended diffusion coefficient which satisfies intended service life and propose a technique for optimum concrete mixture through genetic algorithm(GA). For this study, 30 data with mixture proportions and related diffusion coefficients are analyzed. Utilizing 27 data, fitness function for diffusion coefficient is obtained with variables of water to binder ratio(W/B), weight of cement, mineral admixture(slag, flay ash, and silica fume), sand, and coarse aggregate. 3 data are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results from GA. Average error from fitness function is observed to 18.7% for 27 data for diffusion coefficient with 16.0% of coefficient of variance. For the verification using 3 data, a range of error for mixture proportions through GA is evaluated to 0.3~9.3% in 3 given diffusion coefficients. Assuming the durability design parameters like intended service life, cover depth, surface chloride content, and replacement ratio of mineral admixture, target diffusion coefficient, where exterior conditions like relative humidity(R.H.) and temperature, is derived and optimum design mixtures for concrete are proposed. In this paper, applicability of GA is attempted for durability mixture design and the proposed technique would be improved with enhancement of comprehensive data set including wider range of diffusion coefficients.

      • KCI등재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특성에 미치는 물-시멘트비 및 양생조건의 영향

        배수호(Bae Su-Ho),이광명(Lee Kwang-Myong),김지상(Kim Jee-Sang),정상화(Jung Sang-Hwa)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6 No.4A

        염해환경 하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표면 염소이온 농도, 염소이온 확산계수 및 임계 염화물량 등이 주요 인자로 사용된다. 이들 중 염소이온 확산계수는 콘크리트 품질 및 주변 환경조건 등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내구수명을 예측하는데 가장 중요한 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콘크리트 내의 염소이온 침투ㆍ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정성적인 주요 인자로는 물-시멘트비, 재령, 양생조건, 주위 환경의 염소이온 농도 및 건습조건 등을 들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염소이온 확산실험을 통해 물-시멘트비와 양생조건이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위치를 이용한 촉진시험법에 의하여 확산셀을 통과한 전위차를 측정한 후, Andrade의 모델에 의하여 전압강하량을 고려하여 3종류의 물-시멘트비를 갖는 콘크리트의 염소이온 확산계수를 구하였다. 또한, 양생조건별로 물시멘트비 및 재령 효과를 고려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염소이온 확산계수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To predict service life of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 attack, surface chloride concentration,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and chloride corrosion threshold value in concrete, are used as important factors. Of these, as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for concrete is strongly influenced by concrete qual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tructures and may significantly change the service life of structures, it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rvice life prediction. The qualitative factors affecting the penetration and diffusion of chloride ion into concrete are water-cement (W/C) ratio, age, curing conditions, chloride ion concentration of given environment, wet and dry conditions, etc.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W/C ratio and curing conditions on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chloride ion in concrete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chloride ion diffusion test. In the test, the voltages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cell were measured by accelerated test method using potential difference, and then with the consideration of IR drop ratio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for concrete with different W/C ratios were estimated by Andrade's model. Furthermore, under different curing conditions formulas for the estimation of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have been propos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the effect of W/C ratio and age.

      • KCI등재

        확산법칙을 이용한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의 분석

        최은정,이신의 한국안광학회 2011 한국안광학회지 Vol.16 No.4

        Purpose: To study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diffusion depth in tinted lenses using the law of diffusion. Methods: The measured values taken from experiments were fitted with the theoretical fitting curve induced on the basis of Fick's second law of diffusion. Results: The fitting curves were in very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d values. As the results, we found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mass of dye solution diffused into the tinted lens per unit area and dyeing time, and evaluat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dye in tinted lens, diffusion depth, etc. Conclusions: The dyeing mechanism of tinted lenses can be well described by diffusion theory. 목적: 확산법칙을 이용하여 착색렌즈에서의 농도분포와 확산깊이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방법: Fick의 제2확산법 칙을 바탕으로 유도된 이론적 맞춤곡선을 측정값에 맞춤한다. 결과: 맞춤곡선은 측정값과 매우 잘 일치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착색렌즈의 내부로 확산되어 들어간 단위면적당 착색용액의 질량과 착색시간 사이의 관계, 착색렌즈 내 착색염료에 대한 농도분포, 확산깊이 등을 평가할 수 있었다. 결론: 착색렌즈의 착색기전은 확산법칙으로 잘 설명될 수 있다.

      • 콘크리트의 투수 및 확산에 미치는 균열효과

        박상순,이학수,권성준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2014 청운대학교 건설환경연구소 논문집 Vol.9 No.1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CDC) and Water Permeability (WP) are very important since theygovern mass transportation in concrete. When crack occurs, they increase significantly. This studyis for obt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CDC and WP in cracked concrete. For this work, variouscrack widths are induced in concrete specimens and CDCs (steady and non steady state) and WPsare experimentally evaluated. With increasing of crack width to 0.4mm, CDC increases non-linearlyand WP increases to 400 times for sound concrete. An increasing ratios of CDC and WP due tocrack width are evaluate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CDCs and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CDC and WP is obtained with exponential form. 콘크리트 내구성에서 염화물 확산계수와 투수계수는 물질이동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하다. 균열이 발생한 콘크리트에서는 염화물 확산계수와 투수성이 크게 증가한다. 본 연구는 균열을가진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염화물 확산계수와 투수계수의 관계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 실린더 시편에 다양한 균열을 도입한 후, 촉진염화물 확산계수(정상 및 비정상)와 투수계수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균열폭이 0.4mm로 증가하면서 촉진염화물 확산계수는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투수계수는 최대 400배 이상의 증가하였다. 균열에 따른 촉진확산계수 증가분과 투수계수의 증가분간의 관계가 도출되었다. 정상 및 비정상 촉진 확산계수간의 관계는 선형적으로 나타났으나,투수계수와의 관계는 비선형적인 지수함수형태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촉진 염화물 시험결과를 이용한 비말대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평가

        김정수,권성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3 No.5

        In order to evaluate service life of RC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 attack, chloride penetration analysis is required referred to the chloride diffusion coefficient from the actual mix proportions. In this work, accelerated diffusion coefficients are obtained from NT BUILD 492 and ASTM C 1202 and the relate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s are derived via the previously proposed relationship for RC structures near to sea shore.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the mix proportions and the most conservative analysis conditions like critical and surface chloride contents, service lifes in column and exterior wall member are evaluated through conventional program LIFE 365 ver.2. The different built-up period of 10 and 15 year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life. The results from mix proportions with slag show longer than 75 years of service life with the help of higher time dependent parameter and lower initial diffusion coefficient.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 배합을 통하여 확산계수를 평가하고 이를 이용한 염화물 침투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말대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촉진 확산계수를 NT BUILD 492 및 ASTM 1202를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겉보기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 사용배합의 특성과 가장 보수적인 조건인 임계 염화물량과 표면 염화물량을 고려하였으며, Life 365 ver.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벽 및 기둥구조의 내구수명을 평가하였다. 10년 및 15년의 Built-up period의 변화에 대해서는 내구수명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슬래그를 사용한 두 개의 배합에서는 높은 시간의존성 지수와 낮은 초기 염화물 확산계수로 인해 75년 이상의 높은 내구수명이 확보되었다.

      • KCI등재후보

        시간의존성 염화물 확산계수를 고려한 확산 영향인자가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 내구수명에 미치는 영향분석

        권성준(Seung-Jun Kwo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4 No.3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평가는 크게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설계인자에 따라 내구수명은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존성 확산계수 및 내부영향인자(기본확산계수, 임계염화물량, 시간지수)를 고려하여 변화하는 내구적 파괴확률과 이에 따른 내구수명을 도출하였다. 임계 염화물량이 133.3% 증가할 때, 내구수명은 결정론적 방법에서 134.0~145.4%의 증가비를 나타내었으며, 확률론적 방법에서는 149.2%~152.5% 증가비를 나타내었다. 시간지수가 200% 증가할 경우, 내구수명의 증가비율은 결정론적 방법에서 323.8%, 확률론적 방법에서 346.0%로 증가하였다. 시간 의존성 확산계수를 사용하여 과다설계를 방지할 수 있는 합리적인 확률론적 내구설계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혼화재료를 사용하여 시간지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내구수명 연장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ervice life evaluation in RC(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exposed to chloride attack can be classified into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method, and it significantly varies with design parameters. The present work derives PDF (Probability of Durability Failure) and the related service life considering time-dependent diffusion coefficient and internal parameters such as reference diffusion coefficient, critical chloride content, and time-exponent. When critical chloride content increases to 133.3%, the changing ratios of service life are 134.0~145.4% for deterministic method and 149.2%~152.5% for probabilistic method, respectively. In the case of increasing time-exponent to 200%, they increase to 323.8% for deterministic method and 346.0% for probabilistic method. Through adopting time-diffusion coefficient for probabilistic method, reasonable service life evaluation can be achieved, and it is also verified that increasing time-exponent through mineral admixture is very effective to extension of service life in RC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