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매산<SUP>梅山</SUP> 홍직필<SUP>洪直弼</SUP>의 성리설<SUP>性理說</SUP> 연구

        박학래(朴鶴來)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6

        홍직필洪直弼(號, 梅山; 1776~1852)은 18세기 후반을 거쳐 19세기 전반기 기호 낙론계를 주도한 대표적인 산림학자이다. 그는 당대 낙론의 또다른 산림학자인 오희상과는 달리 뚜렷한 사승 관계 속에서 낙론을 대표하는 학자로 인정받았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상당히 비중 있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동안 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그의 학문적 위상에 비해 미미하였다. 하지만 그는 심론을 중심으로 호락논쟁의 주요 주제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제시하였고, 특히 미발심체未發心體와 명덕明德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19세기 중반 이후 기호학계의 핵심 논쟁인 심에 대한 리기논쟁의 본격적인 서막을 열었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성리설을 검토하는 것은 호락논쟁에 대한 19세기 기호 낙론계의 계승적 입장을 확인하는 것인 동시에, 19세기를 관통하며 전개된 기호학계의 학문적 관심과 지향을 그 시단에서부터 확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19세기 전반기 기호학계의 호락논쟁 추이에 유의하면서 홍직필의 학문 형성과 전개를 호락논쟁과의 연관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으며. 특히 그가 가장 관심을 기울였던 주제인 호락논쟁과 이와 연관한 그의 리기심성설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그의 성리설이 기의 본말론을 통한 심본선의 확인으로 이어지고, 이러한 논의는 수양의 근거와 수양의 현실적 구조화를 위한 체계를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Hong Jik-pil is a representative scholar leading the Nak group of Kiho region from the late eighteenth to early nineteenth centuries. Unlike Oh Huisang, another scholar of the Nak group, he as an established scholar plays a crucial role in not only academia, but also politics. Despite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we did not pay attention to his theories and arguments so far. Hong has had a consistent stance on main topics of Horak controversy with his theories of Mind. Especially, he opens full scale debates on li-qiof Mind, which is one of the core issues since the mid nineteenth century, by discussing on an Illuminated Virtue and the substance of Mind being raised yet. In this vein, the examination of hi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s to prove his successive stance on the Nak group of Kiho region in Horak controversy. Furthermore, it is to investigate Kiho group’s academic interests and pursuits throughout the nineteenth century. By being aware of changes of Horak controversy in early nineteenth century, I will examine Hong’s learning and its development and, especially, analyze his theory of Mind-Nature. I will prove that his theory of the nature and principle is to identify the genuine goodness of Mind via the qi-frame of Root and Branch. Finally, I will hold that his theory is mainly focusing on framing the structure and basis of cultivation.

      • KCI등재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의 심설(心說) 연구 ― 심체본선설(心體本善說)과 명덕설(明德說)을 중심으로 ―

        신상후 ( Shin Sang-who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梅山 洪直弼(1776~1852)은 19세기 전반기 洛論 학술계를 주도했던 학자이다. 그는 農巖 金昌協-渼湖 金元行-近齋 朴胤源으로 이어지는 낙론의 학맥을 계승한 학자로서, 당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 영향과 위상에 비해 매산 性理說에 대한 학계의 연구는 미미했다. 그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산이 논쟁을 기피하는 태도를 지녔었기 때문이고 둘째는 조선조 유학사 연구에서 19세기 전반기 낙론에 대한 연구가 대체로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세기 전반기 낙론 학술계의 지향을 살피고 18세기에서 19세기로 이어지는 조선조 유학사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매산 성리설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하겠다. 본고는 매산 성리설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心說을 고찰하였다. 매산이 속한 낙론은 栗谷 李珥를 宗師로 한다. 따라서 `모든 발생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氣發理乘一途說]`, `理로 인하여 본체의 근원적 동일성이 담보되고 氣로 인하여 현상적 차별성이 생겨난다[理通氣局]`라고 하는, 율곡의 宗旨를 계승한다. 율곡의 이러한 학설에서는 본체(理)의 온전한 실현 여부가 氣에 달려있게 되는바, 주자학의 용어로 말하면 `理의 온전한 실현은 理가 湛一精爽한 本然의 氣를 탔을 때에 가능하다`라는 것이다. 낙론에서는 이 本然의 氣를 心으로 보아 心을 본체 실현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도록 하는데, 이는 매산 역시 마찬가지로, 이 때문에 心說이 매산 성리설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매산은 心이 性만큼이나 근원적 동일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매산에 있어서 心은 개체의 心이라는 점에서 개별자이지만 차별적 氣質과 구분된다는 점에서 보편자이다.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을 定式화한 것이 心體本善說이며, 이 이론은 氣質의 氣와 心의 氣를 구분함으로써 성립한다. 또 매산은 『大學』의 明德에 대해서 明德主氣와 明德無分數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명덕은 心을 가리킨 말이며[明德主氣] 그 心은 보편성을 갖는다[明德無分數]`는 것을 밝힌 이론으로, 이 역시 心의 근원적 동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이론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심체본선설과 명덕설 두 가지 이론을 중심으로 매산의 心說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매산 심설에서의 심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통섭하고 본체와 현상을 통일하는 주체로서 그 존재론적 위상을 정립함을 확인하였다. Maesan Hong Jik-pil(梅山 洪直弼, 1776~1852) is a leading scholar of the Nangnon(洛論) academic community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He followed after the Nangnon school scholars, such as Kim Chang-hyeob(農巖 金昌協, 1651~1708), Kim Won-haeng(渼湖 金元行, 1702~1772) and Park Yun-won(近齋 朴胤源, 1734~1799), and had great influence on the times. Yet despite his clout and prestige in academic field, Hong Jik-pil`s Seongli-seol(性理說)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It is because Hong Jik-pil tended to evade academic arguments. Also, there has been a lack of study on the early nineteenth-century`s Nangnon in the history of Joseon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required to fully appreciate his Seongli-seol in order to examine academic tendency of Nangnon in the early nineteenth-century and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from the eighteenth to nineteenth-centuries. This paper, as a groundwork on Hong Jik-pil`s Seongli-seol, analyzes his Heart-Mind theory(心說). The Nangnon school that Hong Jik-pil belonged venerated Lee Yi(栗谷 李珥, 1536-1584) and thus followed his core idea that `Every occurance has the same structure[氣發理乘一途]; Li(理) secures fundamental sameness of the substance and qi(氣) arises phenomenal differentiation.[理通氣局]` Based on it, realization of the substance is depended on qi, responsible for specific action. In other words, the fulfillment of li is possible through pure and innate qi, according to the words of Zhu Xi(朱熹) Study. In Nagnon, innate qi is regarded as Heart-Mind(心), so Heart-Mind becomes the subject of fulfillment of the substance. As Hong Jik-pil accepted the idea, Heart-Mind theory became the core point of his Seongli-seol. According to Hong Jik-pil`s argument, Heart-Mind possesses the fundamental sameness, as much as Nature(性) has. Heart-Mind(心), as an individual being, is an independent entity, at the same time, is an universals that differs from differential disposition(氣質). The fundamental sameness and the universals of Heart-Mind are formalized as Simchebonsunseoul(心體本善說). The theory has been established by making a division between qi of disposition and qi of Heart-Mind. Moreover, in terms of Illuminating virtue(明德) from Great Learning(大學), he argued Myoungdukjuki(明德主氣) and Myoungdukmoobunsoo(明德無分數). It clarifies that `Illuminating virtue indicates Heart-Mind[明德主氣]; Heart-Mind possesses universality[明德無分數]`, also states fundamental sameness and universals of Heart-Mi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se Hong Jik-pil`s Seongli-se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wo theories.

      • KCI등재

        인악의첨(仁嶽義沾)의 독서와 교유

        이대형 연민학회 2022 연민학지 Vol.38 No.-

        Inak Uichum was famous for sagi(私記), which is a personal commentary based on the Buddhist temple. When King Jeongjo(正祖) founded the Yongjusa(龍珠寺) Temple, Inak wa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temple. It can therefore be assumed that, at the time, he was famous. Due to being so popular, many Confucians asked him for companionship and the evidence of this remains in collection. The internal basis for the active communication of Inak with the Confucians is his broad interest in reading. He not only has read about the Buddhist temples, but further studied the Confucian books and the literature books. Inak mentioned that he enjoyed reading the Book of Changes and the books of Zhu Xi(朱熹) a lot. There is no article other than this study that mentions and clarifies his tendency to read;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ndirectly examine his tendency to read through his writing as well. Looking at the books he quoted, he is characterized by liking the Works of Mencius as well as poems by Du Fu(杜甫) and Wang Shizhen(王世貞). Wang Shizhen was an archaic poet of the Ming Dynasty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races of it in the Buddhist writing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reading tendency of Inak was in line with the trend at the time. By having ideological conversations with the Confucian scholars, Inak actively insisted on the ideas of the Buddhist. In his letters to Nulchon(訥村), he stated that the source of everything is in "one’s mind." His letter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monks, who mostly ask questions regarding his writing or ask how they are doing. Among the Confucian scholars, Hong Jikpil(洪直弼) was as famous as a representative of the Confucian scholars in the 19th century. When Hong Jik-pil was young, he came to meet his father, a local official in Daegu who was impressed by the veteran Inak. Their meeting is comparable to that of young Jeong Yakyong(丁若鏞) who was impressed by the old Yeondam(蓮潭). 사기(私記)로 유명한 인악의첨(仁嶽義沾)은 정조 임금이 용주사를 창건할 때 참여하여 글을 지을 만큼 명망이 높았고, 그래서 많은 유자(儒者)들이 교유를 청하였다. 인악이 유자들과 활발하게 교유할 수 있었던 내적인 바탕엔 그의 폭넓은 독서가 자리하고 있다. 인악은 주역 과 주희(朱熹)의 책을 매우 좋아한다고 말하였다. 그리고 글의 인용처를 통해 살펴보면, 그는 맹자 그리고 두보(杜甫)와 왕세정(王世貞)의 시를 좋아하였다. 다른 승려들의 경우와 비교할 때 역사서를 거의 인용하지 않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맹자 와 주희의 책을 좋아한 것은 「답눌촌서(答訥村書)」의 논리적 글쓰기와 연관된다. 인악은 유자들과 편지로 사상적 대화를 나누며 불교 사상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글을 청하거나 안부를 묻는 게 대부분인 다른 승려들의 편지와는 차별된다. 유자들의 비판에 대해 소극적 옹호에 그쳤던 다른 승려들과 달리 인악은 불교를 적극 주장하였다. 「답눌촌서」가 대표적이니, 일심관(一心觀)을 설파하며 유학과 다르다고 했다. 만법의 근원은 ‘한마음’이므로 한마음을 깨달으면 된다는 것이다. 인악이 교유한 유자들 가운데 대구 판관의 자제였던 홍직필(洪直弼)이 주목되는데 젊은 시절 대구로 부친을 뵈러 왔다가 노장 인악을 만나 감명을 받았던 것이다. 이는 정약용이 어린 시절에 노장 연담(蓮潭)을 만나 감명을 받았던 것과 유사하며, 이러한 사실이 유자들의 문집에서는 삭제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KCI등재

        월하계오(月荷戒悟)와 유자들의 교유 양상

        이대형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81 No.-

        조선시대 승려와 유자의 교유 관점에서 19세기 초 울산 가지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월하계오(月荷戒悟)의 교유 양상을 고찰하였다. 월하는 울산을 중심으로 경주와 김해 등 인근지역의 유자들과 시문을 매개로 교유하였는데, 이렇게 유자들과 교유한 행적에 대해 유학에 경도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그러나 월하는 유교와 불교가 다르지 않다는 유불회통의 입장이었던 것이고, 불자의 입장을 부정하는 이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박하였다. 월하가 교유한 유자들의 불교에 대한 견해는 다양하다. 홍직필(洪直弼)을 비롯하여 불교에 비판적인 보수적 경향의 유자들이 있는가 하면, 경주의 유학자 최림(崔琳)은 중립적인 입장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불교에 친화적인 유자들도 있으니, 백련서사(白蓮書社)를 운영한 경주 유학자 최남복(崔南復)과 김해에서 유배 생활을 오래 한 이학규(李學逵)가 해당된다. 이학규는 월하의 시가 선종의 종지를 담은 듯하다며 칭찬했고 ‘돈오(頓悟)’에 대해 질문하기도 했다.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scholars and monks, this study concerns Wolha Gyeoh who was active around Gajisan Mountain in Ulsan in the early 19th century. Wolha interacted with Confucian scholars in Gyeongju and Gimhae, centering on Ulsan. It is noteworthy that their views on Buddhism vary. Hong Jikpil (洪直弼) and others are critical of Buddhism, with Choi Rim (崔琳) — a Confucian scholar in Gyeongju — having displayed a neutral position. At the same time, it was said that Confucianism and Buddhism would eventually disappear, so Choi Rim's comments show the change in Confucianism. Buddhistꠓfriendly Confucian scholar include Choi Nambok (崔南復) — a Gyeongju Confucian scholar who ran the Baeklyeon Seosa (白蓮書社) — and Lee Hakgyu (李學逵) — who had been exiled to Gimhae. Lee Hakgyu praised Wolha's poem by saying that it seems to contain the end of Zen Buddhism, and asked questions about sudden enlightenment. In the case of Choi Nam-bok and Lee Hak-gyu, they seem to have become interested in Buddhism because Confucianism alone is not adequate in the face of adversity experienced throughout life. This ability to interact with various Confucian scholars reflects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do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매산 홍직필의 외사씨(外史氏) 역할과 인물 군상의 기록 ― 전상(傳狀)과 비지(碑誌)를 중심으로 ―

        신영주 ( Shin Young-j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梅山 洪直弼은 많은 수량의 傳狀과 碑誌를 창작하였다. 본고는 이들 작품의 양상을 살핀 후에, 그 의의를 검토하였다. 한 시대를 살아가는 선비로서, 그는 당대의 세상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대응하여, 이로써 현실을 바르게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매산이 살고 있던 19세기 전반은 시대의 상황이 다른 시대와는 같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말세를 치유하는 처방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고 절실한 과제라고 생각하였다. 그는 이런 시기에 忠, 孝, 貞烈을 알리는 것이 말세를 치료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忠孝와 貞烈을 실행한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소개하여 세상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비록 이들이 지위가 낮은 사람이라고 해도, 그는 항상 이들에게 傳狀과 碑誌를 기쁘게 작성해서 주었다. 그는 세상에 이들의 드러나지 않은 아름다운 덕행[潛德]과 감추어진 훌륭한 행실[幽光]을 알려서, 이를 세상 사람들의 본보기로 삼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그는 많은 수량의 비지와 전장을 남길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매산이 작성한 이런 기록들을 검토하여 창작 의도를 추적 하였다. 특히 국가의 위기를 극복하고 사회의 기강을 바로 세우기 위해서, 귀감으로 삼을 수 있는 인물들을 발굴하여 알리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19세기 전반 조선의 문학과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Maesan Hong Jik-pil(梅山 洪直弼) has created a large number of 傳狀 and 碑誌.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appearance of these works after examining the aspects of these works. As a scholar living in an era, he correctly understood and responded to the world history of the present day, thereby striving to improve the reality properly.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when 梅山 lived, the situation of the time was not the same as any other age. So he thought it was a pressing and urgent task to prepare a remedy to heal a degenerate age. He thought at this time that informing 忠孝 and 貞烈 could be a way to heal the end times. Therefore, He actively introduced the people who practiced 忠孝 and 貞烈 to make the world known. Even if they are low-ranking people, He was always happy to write these 傳狀 and 碑誌. He informs the world of the unseen beautiful virtues and the good works concealed, tried to make this an example of the world. Because of this, he was able to leave large quantities of 傳狀 and 碑誌. In this study, reviewed these records made by 梅山 and tracked the intention of crea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country and establish the discipline of society rightly, It was noticed that h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ask of identifying and informing people who could be regarded as an ex ample. Through this, I tried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terature and social phenomenon of Joseon in the first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

        洪直弼의 寧越 유람과 節義의 형상화

        이대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19세기 전반에 영향력 있는 山林이었던 洪直弼은 정치적으로 ‘老論朋黨’ 구도의 世道를 유지하려는 보수파에 해당하고, 특히 華夷論이라는 명분에 집착하였다. 그러나 治道와 관련하여 항상 유형원의 「磻溪隨錄」을 칭찬하였다든지, 학자에게 治産을 권장했던 언급 등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정치적 입장에 따라 그의 다른 면까지 재단하는 것은 정확한 평가가 될 수 없다. 홍직필은 1820년 아버지인 判書公이 부사로 있는 영월을 유람하는데, 절의의 고장 영월은 홍직필에게 큰 감동으로 다가왔다. 그렇게 해서 남겨진 글이 「觀瀾亭記」,「淸영浦記」「彰烈巖記」「上東民傳」「妓瓊春傳」등이다. 그는 이상의 글들을 통하여 節義, 특히 하층민의 절의에 대하여 기리고 있다. 그의 글들은 議論이 중심을 차지하는데, 의론을 통해 절의의 중요성과 함께 하층민이 절의를 발현할 수 있는 순수성을 稱歎한다. 당시 선비들의 사표로 추앙받던 山林이라는 위치와 노론 보수세력이라는 점을 감안해 볼 때, ‘절의’에 국한되는 한계는 있지만 하층민에 대해서 긍정적인 시선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시대 추이의 변화를 보여주는 한편, 그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재고하게 한다. Hong Jick-Phil(洪直弼) was samlim(山林) who had great influence in the 19century. It is usually thought he was very conservative. The estimation is not that correct because he always praised Bangeosurok(磻溪隨錄) written by Yu Hung-Won(柳馨遠)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omestic economy to scholars. He also criticized sharply the ruling class, and praised low-class people's fidelity. He was affected at the sight seeing of Yeongwol(寧越), and wrote several texts. The all texts were written in 1820, when his father had been governing Yeongwol. The Texts dealt with a fidelity. He tried to find out how such a fidelity could be possible. But he placed more emphasize on the fidelity itself than to seek for the cause of a fidelity. He had a tendency to criticize high-class people. He was also generous and comprehensive to low-class people. He was not the only man with a comprehensive mind on low-class people. We can say it be a stream of times. But we should evaluate high that Hong Jick-Phil took up a positive attitude. Although he was conservative in politics, Hong Jick-Phil esteem low-class people's fidelity high.

      • KCI등재

        매산(梅山) 예설(禮說)에 대한 일고찰(一考察)-『매산선생예설(梅山先生禮說)』 통례(通禮)를 통해 본 매산(梅山)의 종통(宗統) 전승(傳承)에 관한 인식-

        이영준 ( Lee Young-jun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본고는 李鎭玉이 편찬한 『梅山先生禮說』 通禮의 綱 가운데에 宗法, 出後, 次養, 侍養, 攝祀 등의 항목를 통해 洪直弼의 宗統 傳承에 대한 인식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程朱性理學을 國是로 삼았던 조선조에서 종통의 전승에 관한 예법인 `종법`은 사회를 유지하는 기초 질서였는바, 이는 매산의 예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매산은 家系의 승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次子가 아닌 嫡長子로 종통을 이어가야 한다는 원칙을 강력하게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부득이한 상황에서는 옛법을 고려하여 차자에게 傳重하는 것을 인정하기도 하였다. 또 嫡庶의 구별에 있어서는 嫡子와 庶子의 구분을 엄격히 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지만, 천륜 관계를 배제하지 않아서 서자가 부친과 적자인 아우의 喪을 주관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서자가 집안의 嫡統을 계승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는 族子를 양자로 들이기보다는 핏줄이 직접 닿아 있는 서자를 후사로 세우는 것이 국법에서도 허락하는 바이고 禮經에도 근거가 있는 바이며 人情에도 부합하는 바임을 들어서 그 타당함을 밝혔다. 本生家에 대해서는 그 屬稱과 예법을 所後家와 엄격히 구별하여 차등을 두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였다. 다만 인정을 참작하여 本生父母의 墓道文字 등에서는 자신을 `不肖從子`라고 칭하여 여느 伯ㆍ叔父母와 다름을 보이면서도 본생부모에 대한 사사로운 정을 펴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次養과 侍養에 대해서는 세속에서 시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예법에 없는 것임을 밝혀 원칙적으로는 불가하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시양은 길러준 인정을 고려하여 시양손의 당대에 제사를 지내는 것까지는 허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매산은 예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판단할 사안이 발생하였을 때에 항상 `經`이라는 원칙을 우선하면서 人情과 實情을 함께 고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원칙적인 예법을 고수하는 가운데에 人情을 참작하여 `變通`의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는바, 이는 經의 범주 안에서 알맞은 길을 찾은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종통 전승에 관한 예설 저변에 일관되게 깔려 있다. This article surveys Hong Jikpil`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through his 梅山先生禮說(Theories on Rites by master Maesan) compiled by Yi Jin-ok(李鎭玉), especially focused on the items of 宗法, 出後, 次養, 侍養, 攝祀 of its 通禮(Rites in general). In Joseon dynasty which adopted Neo-Confucianism as a national policy, it was lineage system which maintained public order rightly and it was same to Hong Jikpil. Hong strongly kept the principle of succession by the eldest legitimate son(嫡長子), however he also allowed succession by the second legitimate son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accounting the old rituals. He maintained the principle of the strict distinc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lines of descent, but he, on the other hand, also admitted that a illegitimate son could hold a funeral of his father and legitimate sons which meant that he did not break moral laws of family relationships. He also regarded succession by a illegitimate son as appropriate rather than adopting a relative who had no blood relationship in respect that first, it was permitted by national law; second, it was based on Classic of Rites; and third, it was appropriate to human feelings. As to the title and rituals for the original family of adopted son(本生家), he kept the principle of rigid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family and the family he adopted(所後家). But he asserted that one should share one`s natural feeling to one`s original parents that he called himself as an `unworthy` nephew in the epitaph of his original parents which show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parents who as a result had become an uncle and aunt, and the ordinary uncle and aunt. As to the second adopted son(次養子) and an adopted son regardless of succession(侍養子), he insisted that they are in principle illegal according to ancient ritual though they were widely accepted and conducted among people. He added however, 侍養子 c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adoptive parents. He believed that this would be appropriate to human feelings. It is presumable that Hong gave priority to the principle of JIng(經) while considering human feelings and the realistic situation when a judgement on theories on Rites was needed. He on the one hand strongly kept the ideal theories on Rites, and on the other hand suggested the way of 變通(accommodating to circumstances) which was the result of consideration of human feelings. It is assumable that this standpoint which compromises the ideal with the reality underlies hi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의 성리학적(性理學的) 의식양상(意識樣相) -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학통(學統)을 중심으로 -

        박완식 ( Park Wan-si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艮齋 田愚의 學統에 나타난 「화귀거래사」의 공통점은 모두 성리학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그들의 귀거래 의식은 크게 세 가지로 집약되는 바, 여생의 마지막으로 귀착해야할 곳[歸宿], 정신적 향유의 세계[歸趣], 그리고 자신의 고결한 인격의 지향[歸潔]이다. 梅山은 玄石江을 屈原의 汨羅水로 인식하여 獨淸獨醒의 몸으로서 천명의 자연에 귀의하려는 二元化의 세계를, 說齋는 젊은 학도를 대상으로 外勢를 경계하여 철저한 衛正斥邪의 華夷觀에 근거를 두고 있다. 後滄과 念齋는 일신의 고결한 삶에 중점을 두었다. 그들의 문장 또한 屈原의 楚辭體를 따르고 있다. 이는 현실세계를 초탈하여 이상의 동경을 극화한 것이다. 그들의 의식은 陶淵明의 귀거래를 범주로 하여 굴원의 獨淸獨醒의 고결한 정신을 담아 孔孟 經學과 程朱 性理學의 구현을 염원하였다. 그들의 이상세계는 그들의 고향땅이 아닌, 성현과 함께하는 인성회복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Common points of Hwa Gui Geo Rae Sa(和歸去來師) which are shown in Kan Jae Jeon Woo's(艮齋 田愚) studies put the significance on the scholastic world of Sung Confucianism. Thier Gui Geo Rae (home- coming) consciousness is integrated into the three parts : the place where they return last for the rest of their lives, mentally oriented world, and their noble characters. Mae San(梅山) recognized Hyn Seok Gang(玄石江) as Gul Won's(屈原) Myuk La Su(汨羅水) and showed his dualistic world that he had to be devoted to with a noble body, Youl Jae(說齋) asked young scholars to keep watch foreign influences, which was based on the thorough Wi Jeong Chuk Sa's(衛正斥邪) Hwa-I Kwan(華夷觀) - china's world view that sees the world as Hwa for china and I for barbarians. Unlike alert against the positive welfare, Hu Chang(後滄) and Youm Jae(念齋) depended on the one's noble life. So their words also followed Gul Won's(屈原) Cho Sa Style(楚辭體). It maximized their ideal longings which rose above the real world. Like this, their consciousness came under Do Yeon Myoung's(陶淵明) Gui Geo Rae(homecoming)(歸去來), incorporated Gul Won's(屈原) lonely clear(獨淸獨醒) and noble minds, and longed for the embodying the study of Confucian(孔孟 經學) and Mencius classics and Sung Confucianism(程朱 性理學). Therefore, their ideal worlds were focused not on their homeland but on the recovery of human nature with sages.

      • KCI우수등재

        필사본 『梅山集』의 구성 및 타인 저작에 대한 연구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필사본 224책을 중심으로 -

        이형유 한국문헌정보학회 201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otal number of works at the Hong Jik-pil(洪直弼)’s manuscript collection 『Maesanjip(梅山集)』 (total vol.224)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n identified the list and characteristics of works written by other authors in the 『Maesanjip』. The total number of works of the manuscript 『Maesanjip』 is 3,017poems and 10,090proses, except for 260works created by others. The number of works by genre in the 『Maesanjip』 is as follows: 3,017 poems(詩), 52 appeals(疏啓), 8,290 letters(書), 257 letters for encouragement(書贈), 1,491 epitaphs(墓文). And the 260works by others are listed in vol.111․147․171․205․218~220․222~224 and these works wer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compilation of 『Maesanjip』. Through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when analyzing the works and studying the compilation of manuscript 『Maesanjip』, it should except for the 260 works by others from the book.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梅山 洪直弼의 필사본 문집 『梅山集』 224책(한古朝46-가1088)의 총 수록 작품의 규모와 그 중 매산 외의 저자가 작성한 자료의 목록과 성격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224책에 수록된 작품은 총 3,017題4,454首 10,351편이며 그 중 홍직필의 글이 아닌 것은 제111․147․171․205․218~220․222~224책에 수록된 金鍾厚의 『醒心錄』, 尹鳳九가 작성한 韓元震의 행장 등을 포함한 총 260편이다. 타인저작은 『梅山集』 편찬 시 참고 되던 자료로써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타인 저작 260편을 제외한 국중본의 작품 수는 총3,017題4,454首 10,091편이며 이를 문체별로 살펴보면 詩는 3,017題4,454首(간본:詩514題707首/賦3題3首), 疏와 啓는 52편(간본 31편), 書는 8,291편(간본 1,017편), 書贈은 257편(간본 0편), 묘도문자 등 기타 27종의 문체 1,491편(간본 344편)이다. 이를 통하여 국중본 대상으로 작품 분석 및 『梅山集』 편찬 과정을 연구할 경우 타인 저작 260편을 제외한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야 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