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최대운동 후 산소섭취농도차이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승훈 ( Sueng Hun Han ),임순길 ( Soon Gill Lim ),박재우,김정수 ( Jung Soo Kim ),김판수 ( Pan Soo Kim ),오병진 ( Byung Jin Oh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최대 운동 후 산소 농도를 달리한 회복법이 생리적 피로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남자유도선수 10명 대상으로 탈진적인 유산소운동을 실시 후 1차 실험에 대기산소 농도와 같은 21%, 2차 실험에 30%, 3차 실험에 90%의 고농도산소를 15분씩 섭취 시켜 안정시, 운동후, 회복 30분, 회복 90분에 혈중산소농도, 혈압, 젖산, 암모니아를 검사한 결과 혈중산소포화는 산소 농도 30%와 90% 집단이 21%집단에 비해 회복 90분더 높은 혈중산소포화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검증할 수 없으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산소농도를 21%, 30%, 90%로 달리 하여 섭취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 할 수 없었다. 젖산은 회복 30분에 산소농도 90%집단이 21%와 30%집단 보다 낮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검증할 수 없으나, 집단과 시기 간에 상호작용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는 최대운동 후 산소농도를 21%, 30%, 90%로 달리 하여 섭취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 할 수 없었다. 최대운동 후 휴식시 섭취하는 고농도 산소는 젖산에서 나타난 집단과 시가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산소농도차이에 따른 혈중산소농도, 혈압, 암모니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평소 고강도 훈련을 실시하는 유도선수들임으로 신체 에너지 보유량이나 회복능력이 빠른 점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혈중산소농도, 혈압, 젖산, 암모니아는 운동 후 빠른 대사가 이루어져 유용한 변화를 검증 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In this study,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are investigated at the states of stable, after performing exercise, recovery for 30 minutes, and recovery for 90 minutes by applying highly concentrated oxygen of 21% as the same as atmospher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first experiment, 30% for the second experiment, and 90% for the third experiment after performing exhaustive aerobic exercises for the subjects, 10 male Judo play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recovery method that varies oxygen concentrations after completing maximum exercise. I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lthough the groups that apply oxygen concentrations of 30% and 90% represent higher blood oxygen saturation than the group, which applies oxygen concentration of 21%, for the recovery for 90 minutes,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oxygen concentrations, such as 21%, 30%, and 90%, fo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the case of the lactic acid, although the group that applies oxygen concentration of 90% shows lower oxygen concentration than the groups that apply oxygen concentrations of 21% and 30% for the recovery for 30 minutes,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there are some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s. In the ammonia,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ing oxygen by varying its concentrations, such as 21%, 30%, and 90%, after performing maximum exercise.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xygen intake concentrations at a recovery period after performing maximum exercise as well as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The results are due to the fact that Judo players have a high physical energy level and a fast recovery rate because they have high intensity training in their normal time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verification of the significant change in some factors measured in this study, such as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is difficult because such factors represent fast metabolism after performing exercise.

      • KCI등재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신체특성에 따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의 변화분석

        정흥용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3

        연구는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체력특성 및 비만이 신체활동량의 지표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S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12명(남 6명, 여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쟁모형과 비경쟁모형으로 구분된 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나타났고, 혈중젖산농도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상호작용효과는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혈중젖산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는 수업 40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에서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은 심박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지구성 운동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안정훈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안정훈. 지구성 운동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391-397, 2003. 본 연구는 지구성운동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대의 남자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운동집단 10명, 알코올 섭취집단 10명, 알코올 섭취 후 운동집단 10명의 세 집단을 구성하였다. 운동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두 집단의 알코올 섭취는 알코올 농도 40%(J사의 S위스키)이며 섭취량은 150cc이다. 트레드밀운동강도의 설정은 최대하운동부하검사를 %70HRmax까지 실시하여 개인별 %60HRmax의 운동강도를 산출하고 운동집단과 알코올 섭취 후 운동집단에 적용하여 지속부하로 30분간 실시하였다. 혈중젖산농도의 측정은 알코올 섭취 후와 운동 후의 세 집단 모두 휴식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에 채혈하여 분석하였다. 알코올 농도 40%의 위스키 150cc를 섭취한 후에 운동을 실시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혈중젖산농도는 30분 후에 1.63mMol/dl, 60분 후에 1.94mMol/dl. 90분 후에 2.22mMol/dl로 낮게 나타났으나, 120분 후에는 2.51mMol/dl 까지 상승하다가 150분 후부터 2.39mMol/dl로 점차 낮아져 180분 후에는 2.31mMol/dl로 나타났다. 알코올 섭취 후 운동을 실시한 집단의 혈중젖산농도는 운동 후 30분 후에 3.44 mMol/d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다가 60분후에는 3.29mMol/dl, 90분 후에는 2.82mMol/dl로, 운동집 단 90분후의 2.92mMol/dl보다 낮았으며 180분 후에는 2.19mMol/dl로 운동집단 2.36mMol/dl과 알코올 섭취집단 2.31mMol/dl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0). 따라서 알코올 섭취 후 지구성운동은 음주로 인해 증가된 혈중젖산농도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An, J.H. The Effect of Endurance Exercise on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after Alcohol Uptake. Exercise Science, 12(3): 81-397, 2003. In this study, to observe the change of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by endurance after alcohol uptake, 20 male collegers of 30 members were divided 10 members of controlled group and 10 members of alcohol uptake group, 10 members of alcohol uptake & endurance exercise group. An uptaken alcohol concentration were 40%(150cc). uptaken al were exercise alcohol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o measure the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the treadmill exercise less than 60%HRmax was performed at the speed of 6mph for 30 minutes. The measure of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was after alcohol uptake before exercise, 30, 60, 90, 120, 150, 180 minutes. The lactate concentration in blood of the group who did not take exercise after drinking was lower level of 1.63mMol/dl 30 minutes after drinking, but it rose to 2.22mMol/dl 90 minutes after and it began to higher by degrees form 120 minutes after and reached at the level of 2.39mMol/dl. It began to lower by degree form 150 minutes after and reach at the level of 2.31mMol/dl at 180 minutes after. The lactate concentration of group who took exercise after drinking alcohol reached its maximum of 3.44mMol/dl 30 minutes after exercise, lowered to the level of 3.29mMol/dl 60minutes. and 2.82mMol/dl 90 minutes after exercise was lower than level of the not take exercise group after drinking. And at last 180 minutes after, it got to 2.19mMol/dl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non-exercise-taking group(p=.000). Although, these facts shows that exercise after drinking is very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lactic acid as well as alcohol concentration in blood.

      • KCI등재후보

        대학배구선수들의 경기 전·후 혈당과 혈중젖산농도 변화분석 : 포지션별 변화를 중심으로

        박익열,정구열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대학배구선수들의 경기 전·후로 나타나는 혈당 및 혈중젖산농도를 포지션별로 비교분석하여, 최종적 으로 배구선수들의 과학적인 트레이닝 설계에 필요한 생리학적 정보와 훈련프로그램의 제공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실 시하였다. 이에 시합 전·후 포지션별 혈당과 젖산을 피험자에게 2차례 채혈하여 다음과 같은 최종 결론을 얻었다. 첫 째, 전체 배구선수들의 혈당과 혈중젖산농도의 분석결과 혈당은 실험 전(M=94.25) 보다 실험 후(M=99.31) 증가하 였으며, 혈중젖산농도에서도 실험 전(M=3.32) 보다 실험 후(M=6.05) 증가하며, 통계적으로도 p<.01수준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프트, 센터, 라이트의 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경기 전·후로 혈당과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센터 포지션에서 레프트와 라이트 포지션과는 다르게 혈중 젖산 농도가 실험 전 (M=3.66) 보다 실험 후(M=7.8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3.079, p<.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hysiologic information and training programs needed for scientific training design in volleyball players. For thi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blood sugar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the game in the positions of college volleyball players. Blood samples were taken from the subjects by position twice before and after the gam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fter the experiment(M=99.31), the blood sugar was increased compared with before the experiment(M=94.25) and after the experiment(M=3.32), th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compared with before the experiment(M=6.05) in volleyball player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p<.01 level. Second, the changes in blood sugar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ere observed in the left, center, and right position groups before and after the game. In particular, unlike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the center position was increased in blood sugar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fter the experiment(M=7.84) compared with before the experiment(M=3.66).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3.079, p<.05).

      • KCI등재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신체특성에 따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의 변화분석

        정홍용 한국초등체육학회 201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obesity on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which is a physical activity index in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instructional models for physical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6th graders(boy=6, girl=6) attending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Jeollanam-do. Physical education class which was divided into competitive and non-competitive models was given 30 students. Finall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by the period of measurement in 20th minute(p<.05) and 40th minute(p<.05) of the class in the competitive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by the period of measurement in 20th minute(p<.01) and 40th minute(p<.05) of the class in the competitive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p<.001)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p<.001) by the period of measurement in the competitive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Als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p<.01) for interaction between the period of measurement and groups. Fourth,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by the period of measurement in 40th minute(p<.05) of the class in the non-competitive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p<.001)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p<.001) by the period of measurement in the non-competitive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Als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p<.05) for interaction between the period of measurement and group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경쟁-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체력특성 및 비만이 신체활동량의 지표인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S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의 6학년 학생 12명(남 6명, 여 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쟁모형과 비경쟁모형으로 구분된 체육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나타났고, 혈중젖산농도의 차이는 수업 20분과 수업 40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상호작용효과는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혈중젖산농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별 심박수는 수업 40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측정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에서 심박수와 혈중젖산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비경쟁 체육수업모형에서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은 심박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 후 반신욕 휴식 시 수온 차이가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및 통증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기홍,김건우,최종인,김병관,장태수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4

        이 연구는 운동 후 반신욕 회복 시 수온이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저항운동 경력 6개월 이상의 20대 남자를 대상으로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 후 3가지 반신욕(29℃,34℃,38℃)을 적용하였다. 운동 전․후 혈중젖산농도, 혈압 및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운동 중․후 통증수준을 측정하였다. 혈중젖산농도는 시기 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였다. 심부담도는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통증은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온과 시기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혈중젖산농도는 29℃에서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증은 34℃의 수온에서 가장 빠르게 감소하였다. 수온이 운동 후 회복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으며 수온에 따른 침수의 간격과 시간, 교차 적용 등과 같은 회복 기법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blood lactate, double product, and pain during recovery of half-bath after exercise. Three kinds of half-baths (29℃, 34℃, 38℃) were applied after circuit weight training for men in their 20s who had more than 6 months of resistance exercise experience. Blood lactat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nd pain level was measured during and after exercise. Blood lact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s. Double produ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Pai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iods , an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and time. Blood lactate tended to decrease rapidly at 29℃ and pain decreased the fastest at water temperature of 34 ℃.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recovery after exercise may be different, and additional studies on recovery techniques such as interval, time, and cross-applying of flooding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are needed.

      • KCI등재

        강도에 따른 산림 걷기 운동 시 회복방법이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

        김기홍,민준원,유정빈,김조은,손재헌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tic recovery and dynamic recovery methods on heart rate,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and blood glucose during recovery after walking at the speed of 80bpm and 130+30bpm upon trekking of forest slopes in Taejo Mountain in Cheonan. 9 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no abnormality in walking was subject to this experience. The result of through static recovery and dynamic recovery methods while trekking at the speed of 80bpm and 130+30bpm were analyzed by two-way repeated ANOVA. Wh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peated method of contrast was appl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heart rate at 80bpm cond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p=.008) and time(p=.00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for the recovery method(p=.401),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p=.000). Blood gluco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covery method(p=.093),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of static recovery method(p=.002). The heart rate in 130bpm + 30bpm cond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o the method(p=.002) and time(p=.000),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method(p=.001) and time(p=.000), and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ime(p=090) and the method(p=.721). 이 연구는 천안시 태조산의 산림 경사 트레킹 시 80bpm 및 130+30bpm의 속도로 걷기 운동 후 정적회복 및 동적회복방법이 회복 중 심박수, 혈중젖산농도, 혈중글루코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산림환경의 경사 트레킹 후 효율적인 회복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걷기 운동을 하는데 이상이 없는 20-30대 남자 9명을 대상으로 80bpm 속도와 130+30bpm 속도로 트레킹 후 정적회복방법과 동적회복방법에 따라 얻은 결과를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 contrast의 repeated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8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8)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401),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 혈중글루코스는 회복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93), 정적회복방법의 시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2). 130bpm+30bpm 조건에서의 심박수는 방법(p=.002)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중젖산농도는 방법(p=.001)과 시기(p=.000)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혈중글루코스농도는 방법(p=.721)과 시기(p=090)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60분 심폐소생술이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운동자각도에 미치는 영향

        한승은,안희정,심규식,방성환,송효숙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8

        In this study, wh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ntinued for a long time, the rescuer's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heart rat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change in the rescuer's fatigu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5 to July 9, 2021, with a total of 24 students, 12 students department of special warfare medical non-commissioned officer, and 12 students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at D University, undergoing a two-person alternative chest compression resuscitation for 60 minut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cuer's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heart rat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and chest compression speed were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PR (p<.001, p<.001, p<.001, p<.001).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s at every measurement cycle (30 minutes, 40 minutes, 50 minutes, 60 minut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rt rate (r=.696, p<.001, r=.672, p<.001, r=.709, p<.001, r=.782, p<.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476, p<).05, r=.426, p<.05, r=.470, p<.05, r=.470, p<.05). Therefore, monitoring the fatigue of rescuers using heart rate and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will be useful for maintaining high-quality chest compression in situations wher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required for a long time. 본 연구에서는 장시간 심폐소생술 지속 시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운동자각도를측정함으로써 구조자의 피로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도 7월 5일부터 7월9일까지 D 대학교 특전의무부사관과 학생 12명, 응급구조학과 학생 12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60 분 동안 2인 교대 가슴 압박 소생술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폐소생술 지속시간에 따른 구조자의 혈중 젖산 농도, 심박동수, 주관적 피로도인 운동 자각도, 가슴 압박 속도는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p<.001, p<.001, p<.001, p<.001). 매 측정 주기(30분, 40분, 50분, 60분) 시 혈중 젖산 농도는 심박동수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696, p<.001, r=.672, p<.001, r=.709, p<.001, r=.782, p<.001), 운동자각도와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476, p<.05, r=.426, p<.05, r=.470, p<.05, r=.470, p<.05). 따라서 장시간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심박동수와 운동자각도를 활용한 구조자의 피로도 모니터링은 고품질의 가슴 압박을 유지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산림 경사 트레킹시 스텝의 템포유형이 심박수 및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조은,김기홍,민준원,유정빈,손재헌,최종인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는 천안시 태조산의 산림 경사 트레킹시 80bpm(Continue) 및 130+30bpm(Fast-Slow)의 속도로 평균 경사도 10-15%, 거리 600m의 구간에서 걷기 운동 시 스텝의 템포유형이 운동 중 심박수, 혈중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여 산림환경의 경사 트레킹 시 효율적인 운동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걷기 운동을 실시하는데 이상이 없는 8명 의 20,30대 남자를 대상으로 80bpm(Continue)속도와 130+30bpm(Fast-Slow)속도로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경우 contrast의 repeated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심박수는 모든 운동조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스텝 템포와 시기에 따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심박수는 운동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130bpm+30bpm (Fast- Slow)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혈중젖산농도은 스텝 템포와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스텝 템포와 시기에 따라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혈중젖산농도는 안정 시와 비교하여 운동 직후 높았으며, 130bpm+30bpm (Fast-Slow) 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운동 중 최고 심박수는 130bpm+30bpm(Fast-Slow)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tep tempo type on the heart rate and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during the exercise at the average slope of 10-15% and distance of 600m at the speed of 80bpm(Continue) and 130+30bpm(Fast-Slow) during trekking of Taejo Mountain in Cheona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two-way repeated ANOVA, which was conducted at 80bpm (Continue) and 130+30bpm (Fast-Slow) speeds for 16 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no abnormality in walking exercise. Heart ra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exercise conditions, and interaction effect was observed according to step tempo and time. Heart rate increased continuously with the passage of exercise time and was higher in 130bpm+30bpm(Fast-Slow).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ep tempo and time, and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step tempo and time. Blood lactic acid concentration was higher immediately after exercise than when stabilized, and it was higher in 130bpm + 30bpm (Fast-Slow).The highest heart rate during exercise was higher at 130bpm + 30bpm (Fast-Slow).

      • KCI등재

        남자 고등학교 스포츠 클라이밍 우수 선수와 비우수 선수의 체력 및 등반 중의 심박수와 혈중 젖산농도의 비교

        손정준 ( Jung Jun Son ),이만균 ( Man Gyoon Lee ),홍광석 ( Kwang Seok Ho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4

        최근 스포츠 클라이밍이 생활체육으로서 널리 보급되고 있고,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의 수도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목에 대한 운동과 학적 연구가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교 스포츠 클라이밍 우수 선수와 비우수 선수의 체력 및 등반 중의 심박수와 혈중 젖산농도를 비교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남자 고등학교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 18명으로서, 이들을 우수 선수 집단 9명과 비우수 선수 집단 9명으로 구분하였다. 모든 피검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 검사와 체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외 인공암벽등반 코스에서 난이도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루트(요세미티 등급체계의 5.10b급과 5.12b급)를 등반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난이도가 다른 두 가지 루트를 등반하도록 한 후 등반 중과 회복기 동안 심박수와 혈중 젖산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수 선수 집단은 체지방량과 체지방률이 비우수 선수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팔굽혀펴기와 턱걸이는 우수 선수 집단이 비우수 선수 집단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대산소섭취량의 경우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루트 1 등반 중과 회복기의 심박수는 우수 선수 집단이 비우수 선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루트 1 등반 후 회복기 10분에서의 혈중 젖산농도는 우수 선수 집단이 비우수 선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루트 2 등반 중의 심박수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해, 남자 고등학교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는 경기력 수준이 높을수록 체지방률이 낮고, 상완 근지구력이 우수하며, 낮은 난이도의 루트 등반 중 순환계 기능이 우수하고 혈중 젖산에 대한 내성과 제거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sports climbing between superior athletes and inferior athletes in male high school sports climbing. Nine superior athletes and nine inferior athletes participated i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tests, and then they were asked to climb two level of outdoor artificial rock climbing routes(5.10b and 5.12b in the Yosemite Decimal System). While all subjects were climbing the two different level of routs, heart rate and blood lactate level were measured.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uperior athletes had lower percent body fat and body fat mass than the inferior athletes, and the superior athletes did more push-ups and chin-ups for testing muscular endurance than the inferior athletes.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ximal oxygen uptake between the two groups. The superior athletes had lower heart rates during and after the route 1 than the inferior athletes. The superior athletes also showed a lower blood lactate concentration for 10 minutes of recovery phase after the route 1. It was concluded that the superior sports climbing athletes have better and more positive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especially arm muscular endurance), and that they showed a better metabolism and recovery than inferior athletes while doing an easy route. Therefore, we should find new ones who have a native talent to be an outstanding sports climbing athlete, and sports climbing athletes have to develop arm muscular endurance, physical fitness, and skills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To do that, more sports climbing athletes have to practice climbing in a situation similar to real mountain climbing and do more research for ordinary people as well as athletes to show the effect of sports climb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