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최대운동 후 산소섭취농도차이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승훈 ( Sueng Hun Han ),임순길 ( Soon Gill Lim ),박재우,김정수 ( Jung Soo Kim ),김판수 ( Pan Soo Kim ),오병진 ( Byung Jin Oh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최대 운동 후 산소 농도를 달리한 회복법이 생리적 피로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남자유도선수 10명 대상으로 탈진적인 유산소운동을 실시 후 1차 실험에 대기산소 농도와 같은 21%, 2차 실험에 30%, 3차 실험에 90%의 고농도산소를 15분씩 섭취 시켜 안정시, 운동후, 회복 30분, 회복 90분에 혈중산소농도, 혈압, 젖산, 암모니아를 검사한 결과 혈중산소포화는 산소 농도 30%와 90% 집단이 21%집단에 비해 회복 90분더 높은 혈중산소포화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검증할 수 없으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산소농도를 21%, 30%, 90%로 달리 하여 섭취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 할 수 없었다. 젖산은 회복 30분에 산소농도 90%집단이 21%와 30%집단 보다 낮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검증할 수 없으나, 집단과 시기 간에 상호작용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는 최대운동 후 산소농도를 21%, 30%, 90%로 달리 하여 섭취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 할 수 없었다. 최대운동 후 휴식시 섭취하는 고농도 산소는 젖산에서 나타난 집단과 시가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산소농도차이에 따른 혈중산소농도, 혈압, 암모니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평소 고강도 훈련을 실시하는 유도선수들임으로 신체 에너지 보유량이나 회복능력이 빠른 점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혈중산소농도, 혈압, 젖산, 암모니아는 운동 후 빠른 대사가 이루어져 유용한 변화를 검증 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In this study,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are investigated at the states of stable, after performing exercise, recovery for 30 minutes, and recovery for 90 minutes by applying highly concentrated oxygen of 21% as the same as atmospher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first experiment, 30% for the second experiment, and 90% for the third experiment after performing exhaustive aerobic exercises for the subjects, 10 male Judo play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recovery method that varies oxygen concentrations after completing maximum exercise. I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lthough the groups that apply oxygen concentrations of 30% and 90% represent higher blood oxygen saturation than the group, which applies oxygen concentration of 21%, for the recovery for 90 minutes,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oxygen concentrations, such as 21%, 30%, and 90%, fo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the case of the lactic acid, although the group that applies oxygen concentration of 90% shows lower oxygen concentration than the groups that apply oxygen concentrations of 21% and 30% for the recovery for 30 minutes,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there are some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s. In the ammonia,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ing oxygen by varying its concentrations, such as 21%, 30%, and 90%, after performing maximum exercise.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xygen intake concentrations at a recovery period after performing maximum exercise as well as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The results are due to the fact that Judo players have a high physical energy level and a fast recovery rate because they have high intensity training in their normal time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verification of the significant change in some factors measured in this study, such as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is difficult because such factors represent fast metabolism after performing exercise.

      • KCI등재

        유도선수들의 골밀도와 관련된 심혈관질환 예측인자

        타자와슌지 ( Shunji Tazawa ),임순길 ( Soon Gill Lim ),오병진 ( Byung Jin Oh ),한승훈 ( Sueng Hun Han ) 대한무도학회 2013 대한무도학회지 Vol.15 No.3

        본 연구는 장기간 유도훈련이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예측인자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도선수 13명,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 대학생 13명, 총 26명을 대상으로 골밀도, 신체조성, 혈중지질을 측정하였다. 이결과를 SPSS/PC 20.0을 사용하여 평균 비교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및 회귀분석 그리고 관련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도선수와 비운동선수들의 평균차이분석에서 골밀도는 대퇴골(p<.01), 척추(p<.001), 전신(p<.001) 골밀도에서 유도선수가 더 높은 골밀도를 나타내었다. 심혈관질환 예측 인자는 Muscle Mass(p<.05)에서 유도선수가, Triglyceride(p<.01)에서는 비운동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예측 인자 상관관계에서 유도선수와 비운동선수 모두 골밀도와 Muscle Mass(p<.01)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중회기 분석 결과 골밀도의 기여도는 Muscle Mass(p<.01) 가장 높았다. 골밀도가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에 대한 관련성 분석에서는 유도선수가 높은 골밀도 그룹에 많이 분포했다. Muscle Mass가 높을수록 높은 골밀도에 많이 분포했으며, Triglyceride가 낮은 집단이 높은 골밀도에 많이 분포했다. In this study, bone mineral densities, body compositions, and serum lipids are measured for a total of 26 subjects, 13 Judo players and 13 non-athle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ong-term Judo training on both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the predictive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a mean compara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 regression analysis, and a relationship analysis, the measurement results are analyzed using SPSS/PC 20.0.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Judo players represent higher bone mineral density levels of the thighbone(p<.01), spine(p<.001), and body(p<.001) than the non-athletes in the mea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Judo players and the non-athletes. In the case of the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Judo players represent higher levels of the muscle mass(p<.05) than the non-athletes but the non-athletes show higher levels of the triglyceride(p<.01) than the Judo players. Regarding the correlation of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both the Judo players and the non-athletes represent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level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muscle mass(p<.01).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uscle mass(p<.01) represents the highest contribution to the bone mineral density. In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for the groups that exhibit the lowest and highest bone mineral density, a large number of the Judo players are included in the high bone mineral density group. According to increases in the muscle mass subjects are distributed to the high bone mineral density group. Also, the low triglyceride group is largely included in the high bone mineral density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