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분야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동향 분석을 통한 방향 탐색

        이원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1 No.2

        [Purpose] Phenomenological research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of study in special education in terms of philosophy or method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s also increasing in fact. In order to explore directi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applying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nd suggest future direction. [Method] From 2005 to 2019, a total of 5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It was examined how the research topics, research purposes, philosophical and methodological backgrou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status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were. [Results] First,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applying phenomenology to philosophical theory, most of the studies have explored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phenomena through participants’experiences or suggested directions for support. Only four studies applying phenomenology to philosophical theory.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many studies have not been clear about the background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Interviews were mainly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showed a tendency to apply the methods suggested by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It has been found that studies that provide concrete methods for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henomenological reduction' are very insufficient. [Conclusion] The direction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subject and purpose sh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philosophical orientation of phenomenology. Second, a proper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ecessary. Third, the hermeneutic circulation method should be applied to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rocess. Fourth, various type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should be applied. [목적] 현상학적 연구는 철학이나 방법론적 측면에서 특수교육분야에 다양한 연구 형태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실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연구 또한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특수교육분야에서 현상학의 철학적 배경 및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5년부터 2019년까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해 국내학술지에 발표된 질적연구 총 53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연구목적, 철학적 배경, 방법론적 배경, 자료수집, 자료분석, 현상학적 연구방법 적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결과] 먼저 현상학의 이론을 적용한 결과를 살펴보면, 참여자의 경험을 통해 특수교육 현상의 의미를 탐색하거나 지원방향을 제시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현상학의 철학적 이론을 적용한 연구는 4편에 불과했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현상학적 질적연구를 실시한 배경이 명확하지 않은 연구가 많았다. 자료수집은 주로 면담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자료분석은 국내⋅외 학자들이 제시한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인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 특수교육분야 현상학적 질적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현상학의 철학적 지향을 바탕으로 연구주제와 목적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에서 해석학적 순환 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넷째, 다양한 현상학적 질적연구 유형을 적용해야 한다.

      • KCI등재

        행정학 연구방법론으로서 현상학의 재발견

        김선명(金善明) 한국국정관리학회 2013 현대사회와 행정 Vol.23 No.2

        현상학은 사회과학의 질적 연구방법론의 철학적 기초 중의 하나로서 자리매김 되고 있다. 현상학은 인간이 의식적 지향성과 현상학적 환원을 통해 일상적 사회 현상을 의미세계로 인식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현상학의 인식론과 존재론적 전제는 사회과학방법론에서도 자연과학적 연구방법과 차별화된 형태로 인간의 의식작용의 선차성과 사회현상에 대한 주관적 의미해석의 드러냄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사회현상의 탐구방법론으로서 경험론적 현상학은 연구자의 주관이나 선입견을 배제하고, 연구 대상자의 입장에서 그들의 동기체계나 의미론을 그대로 기술하기를 강조하고 있다. 초월론적 현상학은 단순히 그들의 의미세계를 드러내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구성적 의미세계로 환원될 수 있도록 나열화 된 개념들의 의미 묶음, 범주화 등의 언어적 분석 과정의 필요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현상학적 연구 방법은 행정학 분야에서 정책문제 탐색, 정책집행과 평가, 조직 관리 등의 분야에서 정책 대상자, 이해관계자, 조직 구성원들의 의미 추구, 의미 해석, 개념화, 정책 문제에 대한 심리적 반응성 및 고충, 바램 등을 깊이있게 탐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

        고진호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0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4 No.2

        이 논문은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의 홀리스틱 교육 분야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홀리스틱 교육은 지덕체성을 추구하는 일종의 통합적․대안적 교육론으로서의 특징을 지닌다. 홀리스틱 교육은 방법론적 차원에서 학습자의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질적 성장을 의도하고 있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질적 성장을 유도해야 하고, 또한 이러한 학습자의 가능성을 알아차림(awareness)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홀리스틱 교사는 현상학에서 말하는 ‘상호 주관적 이해(intersubjective understanding)’의 능력이 필요하다. 간주관적 이해는 교사의 내적 투여를 통해서, 학습자의 존재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간주관적 이해는 학습자의 전인격적 존재성을 알고자 하는 방식이다. 이해와 존재는 긴밀한 관련성을 내재한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강조하는 질적 성장 혹은 초월의 과정으로서 변용(transformation)은 현상학에서 말하는 간주관적 이해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해와 존재의 초월(이해-존재-초월)은 긴밀한 연계개념으로서 홀리스틱 분야의 주요한 교육적 주제인 동시에 현상학의 탐구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과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연계하여 내적 관련성을 논의하고,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이 홀리스틱 교육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appl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he fields of holistic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different from any other researches in the fields of educati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hich will describe a subject's experience.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pursues to understand a subject’s inner world reflect on the perspectives of holistic education in many cases.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based on the holism that are willing to grasp intermingled connection as a whole. From this view the holistic educators aim to educate whole person fully educating not only his minds and body but his spirituality. In the holistic education teacher educate learner to be a whole person who became a harmonized growth and so teacher as a holistic researchers need to the ability to understand to the learner's inner world and to help drawing out his potentialit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has three kinds of research dimension. The first dimension is to understand to the others’s experience and the second is to study the essence of the Being, and the third is to investigate to transcendence, in other words transformation, connectedness etc. In this paper the reason why the main issues of the holistic education might be research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understanding others experience, studying the essence of the Being, investigating transcendence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In last chapter I searched to applicate phenomenological view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olistic education. The intention of this search is to use phenomenological view as a practical method which can be well connected theory and practice. From this search I’d like to suggest that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give new applicable method in the practice(for exam. in the context of teaching-learning situation) as well as the research field.

      • KCI등재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배상식(Bae, Sang-sik) 대한철학회 2014 哲學硏究 Vol.129 No.-

        본 연구는 국내의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나타나는 연구자들의 한계와 문제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제시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지하다시피 '교육학적 현상학'은 교육학 분야에서 현상학이나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현상(사태)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질적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이러한 응용현상학(교육학적 현상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질적 연구의 논리를 구성하고 있는 현상학에 대한 연구자의 충분한 이해가 부족하다든가 아니면 지오르기(A. Giorgi)나 반 매넌(M. van Manen) 등 외국학자들의 연구절차나 기법들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할 경우에, 연구자는 연구논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제로 하여 단순히 고정된 연구절차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들을 연구자 자신의 삶과 결부시켜 그것의 본질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mits and problems of researchers that appear in the papers of applied qualitative research by phenomenological methods.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in the field of Pedagogy, pedagogical phenomenology is not to approach pedagogic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scientism or positivism, but to explain them in things themselv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ase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the essential meaning of phenomenology are happening as domestic researchers are applying pure phenomenology(the philosophical phenomenology) to the field of phenomenology of practice(the pedagogical phenomenology). Especially, these researchers show some errors caused by lack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research logic and research technique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us if a researcher carry out a qualitative study b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she or he needs insights in analysing and interpreting the essence of the various phenomena appearing from the participants by comparing in with her or his own lives.

      • KCI등재

        간호학에서의 ‘돌봄’(caring)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현상학이 간호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방법론으로 응용되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전반부에서는 간호학과 현상학의 관계, 즉 간호학이 현상학을 어떻게 연구 방법론으로 응용하고 있는가를 다루게 된다. 간호학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상학 역시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수용된다. 실험이나 통계적인 분석, 표준화된 관찰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질적 연구는 현상학이나 해석학적 방법, 근거이론, 사례연구 또는 역사연구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수행된다. 간호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대상자인 환자나 보호자, 혹은 간호사들이 겪는 경험의 의미를 근원적으로 밝히고자 시도한다. 후반부에서는 간호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생활세계적 지평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과학화나 전문화 이전에 이미 돌봄은 생활세계에서 일상적이고 자연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한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돌봄은 무엇보다 한국인의 오랜 전통과 함께 이어 내려오는 ‘정’개념을 통해 해명된다. 한국문화의 특징을 ‘정’의 문화라고 규정할 수 있을 만큼, ‘정’은 한국인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은 타자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타자와의 관계적 구조를 지닌 돌봄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아무리 전문적인 간호행위를 수행한다 할지라도 ‘정’이 담겨져 있지 않은 돌봄을 통해 환자나 보호자는 정서적 만족감이나 위안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돌봄은 근원적으로 대인관계의 토대를 이루는 ‘정’의 표현이며 ‘정’은 궁극적으로 하나가 됨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돌봄은 돌봄을 행하는 사람과 돌봄을 받는 사람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하나가 되는 통일적 경험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n ever-increasing number of discipline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for methodological inspirations. This paper will unfold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main topics; first, the meaning of phenomenology as a research method in nursing science; and secon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aring as a core concept in nursing science. The former is about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re focusing on laboratory experiments, formal methods and numerical method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developed in the social sciences to enable researchers to stud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most frequently used in social sciences are ethnographic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critical social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The latter takes the form of shedding a phenomenological light on the traditional Korean meaning of caring. Phenomenology helps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through procedures geared toward an understanding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caregivers (nurses) and patients or their caretakers (e.g., members of family). In Korean society, jeong brings the members of a group together to the point where a collective and communal inclination among the members is readily perceptib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Caring means not simply a meeting between individual subjects: patient and nurse, but the practice of jeong as an ultimate found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becoming ‘one’ A separation between care-providers and care-recipients would disappear if jeong took ho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s.

      • KCI등재

        질적 연구와 현상학

        홍성하 대동철학회 2002 大同哲學 Vol.19 No.-

        사회과학 분야 등에서 활용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양적인 방법과 질적인 방법이 있다. 실험이나 통계적인 분석이 중시되는 양적인 연구와는 달리, 질적인 연구는 현상학과 같은 방법을 응용하면서 이론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19세기의 실증주의에 반기를 들고 나온 현상학을 방법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질적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주관적인 경험세계를 밝히고자 한다. 이는 어떤 특정한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인간경험의 의미나 본질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험에 대한 논의는 후설의 후기 현상학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생활세계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생활세계는 개념이나 이론에 의한 세계가 아니라 반성 이전의 세계로서 경험적 세계를 의미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현상학은 경험에 대한 학문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질적 연구의 출발점으로 어떤 전제나 선입견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기존의 믿음을 괄호로 묶어야 한다. 연구대상자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확실하게 기술하기 위해 면담 등을 통한 자료수집과정을 준비하는데, 이때 면담은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괄호치기를 통해 판단중지를 수행한다는 것은 철학을 보다 엄밀한 학문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엄밀한 학문이 되기 위해서는 가장 근원적인 것으로부터 출발해야 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현상학이 무전제성의 철학이며, 어떠한 전제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전제 없는 앎을 추구하는 학문이다. In meiner Arbeit mochte ich die qualitative Untersuchung und die Phanomenologie thematisieren und analysieren. Ziel dieser Forschung ist es zu explizieren, wie die Phanomenologie auf die Methode der qualitativen Untersuchungen angewandt werden kann. Im Gegensatz zur quantitativen Methoden, in der das Experiment und die Statistik eine große Rolle spielen, wird die qualitative Untersuchungsmethode als eine subjektive gekennzeichnet. Diesr Versuch orientiert sich an der Entfaltung der Husserlschen Phanomenologie in die qualitative Untersuchungsmethode. Aus einer grundlichen Kenntnis der Phanomenologie und der qualitativen Untersuchung versuche ich, diese Thematik zu erweitern. Zuerst werde ich einen allgemeinen Uberblick uber die Struktur der Phanomenologie geben. Mit der Auslegung der Grundbegriffe, z. B. Einklammerung, Ausschaltungen, Epoche und die phanomenologische Reduktion, werde ich den Blick auf den Grundstruktur der qualitativen Untersuchung freigeben.

      • KCI등재후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1

        Many researchers in South Korea showed strong interest i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as a traditional methodolog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various themes. However,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set to conceptualize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identified 4 key traits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irst, an emphasis on anecdote unveiling its meaning; second, a revelation of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as an objective of research; third, an emphasis on interpretation and hermeneutics circle during the process of analysis; fourth, the actualization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as a trait of methodological process.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who adapt his methodology to implement researches, apply more adequate and traditional hermeneutic phenomenology.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한 전통으로 여타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통해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방법론적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van Manen의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의미를 드러내는 일화의 강조. 둘째, 탐구의 목적으로서 체험의 본질적 의미구조 밝히기. 셋째, 분석에 있어서 해석과 해석학적 순환 강조. 넷째, 방법적 과정의 특징으로서 환원의 구체화 등이었다. 이러한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에 대한 탐구는 그의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더욱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체육학에서의 현상학적 연구와 방법적 적합성

        김홍식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 체육철학 영역에서 발표된 현상학적 연구, 혹은 현상학적 접근에서 발견되는 방법론적 성향과 난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영미권 스포츠철학에서 제기되어 온 현상학적 연구에 대한 비판적 반성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종합하였다. 이 과정에서 스포츠 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은 심리적 주관주의, 소박한 실재주의라는 문제를 안고 있음을 종합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우리 체육철학 영역의 현상학적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첫째, 우리의 현상학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현상은 후설 현상학에서 말하는 현상에 부합하지 않으며, 단순히 스포츠 상황에서 경험하는 심적 사실에 의존하고 있다. 둘째, 대다수의 현상학적 연구들은 심적 사실을 담은 기술, 또는 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그러한 자료들이 담고 있는 공통점을 본질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후설이 현상학을 통하여 비판하고 있는 실증과학의 일반화 태도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우리 체육철학 영역에서의 현상학적 연구는 방법적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 This study is aimed to reflect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sport philosophy in Korea. This essay have two main parts. Firstly, I reviewed three articles which criticize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USA, and Europe; Daniel S. Kerry and Kathleen M. Armour (2000), Irena Martínková and Jim Parry (2012), Jan Halák, Ivo Jirásek, and Mark Stephen Nesti (2014). Secondly, I analyse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of Korean sport philosophers. As a result, I insisted that phenomenological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sport philosophy have serious problems in method. Sport phenomena in their researches are not phenomena of Husserl, but only mental facts(phenomenalism). Especially, we can't find phenomenological description based on the epoche, or bracketing, and eidetic reflection in the articles.

      • KCI등재
      • KCI등재

        ‘현상학적 교육학’의 의미와 연구방법의 문제

        배상식(Bae, Sang-sik)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본 연구는 ‘현상학적 교육학’이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해명해 보면서,국내 교육학 관련 연구자들이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 할때 범하는 몇 가지 문제점에 대해 검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현상학적 교육학은 교육학 분야에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한 것으로써,인간의 삶과 밀접한 교육의 문제를 과학주의나 실증주의의 접근방법이 아니라 그 문제 자체(본질 자체)에서 해명을 시도한다. 그런데 문제는 국내 연구자들에 의해 순수현상학(철학적 현상학)이 응용현상학(현상학적 교육학) 분야에 활용되면서, 현상학의 본질적 의미가 오해되거나 왜곡되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국내의 연구자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로는 현상학 관련 개념에 대한 기본이해 부족과 순수 현상학자들 간의 차이성에 대한 이해 부족, 그라고 현상학과 해석학의 방법론적 차이에 대한 인식 부족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ome problem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accepting phenomenological methods by domestic researchers majoring in Pedagogy while explaining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Pedagogy'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various research.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s in the field of Pedagogy, phenomenological pedagogy is not to approach pedagogic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rough scientism or positivism, but to explain them in things themselve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ases misunderstood and distorted in the essential meaning of phenomenology are happening as domestic researchers are applying pure phenomenology(the philosophical phenomenology) to the field of phenomenology(phenomenological pedagogy). Especially, these researchers show some errors caused by lack of basic understanding about phenomenological concepts, lack of understanding difference between pure phenomenologists and lack of knowledge about methodological difference between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