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 지역 해양문화유산의 활용 문제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김강식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4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30

        오늘날 부산은 해양수도를 표방한다. 부산은 대륙의 끝이 아니라 바다로 향한 출발지이며, 유라시아 대륙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동북아시아의 중심지이자 관문이다. 이러한 부산의 도시 성격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해항도시의 성격과 해양문화의 특성을 나타내는 해양문화유산에 관한 관심이 절실하다. 2000년을 전후하여 부산 지역에서도 해양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부합하는 해양문화유산의 활용이 필요하다. 부산 지역의 해양문화유산을 분류해 보면 형태별로는 유형문화유산 63점, 무형문화유산 26점, 자연유산 22점으로 전체 112점이다. 이를 분야별로 분류해 보면 정치 31점, 경제 28점, 사회 42점, 문화 11점이다. 부산 지역의 해양문화유산은 유형문화유산이 많으며, 분야별로는 정치, 경제, 사회 분야가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부산의 해양성을 대변하고 있다고 보아진다. 부산 지역의 해양문화유산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해양문화의 특성과 부산의 정체성를 부각시킬 수 있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부산의 해양성에서 비롯되어 부산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국방도시, 교역도시, 어업도시의 성격을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해야 할 것이 제대로 된 선박박물관을 건립하는 것이다. 근대 조선소의 발상지에 선박 전문박물관을 건립하여 해양수도에 걸맞는 위상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것도 단순한 선박의 복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선박의 역사, 문화, 활용 등을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아울러 해양문화유산을 전시・체험할 수 있는 복합 전시시설이 해양박물관뿐 아니라 분야별로 특화되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바다에 대한 기억을 다시 찾고 해양문화유산을 보존・활용하기 위해서는 복합적인 성격의 부산 해양박물관을 건립해야 한다. 이제라도 부산의 해양성을 제대로 드러낼 수 있는 군사도시와 교역도시의 공간을 확보하여 갖추어 세우는 것이 요구된다. 군사도시의 면모는 수영강변의 경상좌수영, 자성대부두의 부산진성의 원형을 복원하는 것이다. 교역과 교류의 모습은 위상에 맞는 제대로 된 통신사 역사관의 건립, 초량왜관의 복원 추진이다. 이를 아우르는 공간으로 조선 후기의 부산진성(자성대) 일원을 추천한다. 그런데 부산 지역의 해양문화유산 활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다양한 해양문화유산의 발굴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해양문화유산에 대한 세밀한 조사가 선행된 위에서 모든 것이 가능할 것이다. 사실 부산의 해양문화와 해양문화유산에 대한 소프트웨어는 많이 연구되어 있다. 이제는 부산의 해양문화와 해양문화유산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갖추어야 할 시점이다. 정말 과감한 발상의 전환과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Today, Busan advocates a maritime capital. Busan is not the end of the continent, but the starting point for the sea, and it is the center and gateway of Northeast Asia connecting the Eurasian continent and the Pacific Ocean. In order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Busan's city, interest in marine cultural heritage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a port 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culture is urgent. It is true that interest in the ocean increased in the Busan area around 2000, but it is necessary to utilize marine cultural heritage accordingly. In order to regain memories of the sea and preserve and utilize marine cultural heritage, a maritime museum with a complex character must be built. At any time, it is required to secure a space for trade with a military city that can reveal Busan's marine nature and to properly establish it. The aspect of a military city is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Busanjinseong at the Gyeongsangjwa Suyeong and Jagyeongdae Pier along the Suyeong River. The appearance of trade and exchange is the establishment of a proper history museum of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nd the restoration of Choryang Waegwan. As a space encompassing this, the area of Busanjinseong (Jaseongd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recommended.I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ecure and properly establish a space for trade with a military city that can reveal the maritime nature of Busan at any time. The aspect of a military city is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Busanjinseong Fortress on the Jwaseongdae Pier and Gyeongsang Jwaseong Fortress along the Suyeong River. The establishment of a proper news agency history museum suitable for its status and the restoration of the Choryang Waegwan are the aspects of trade and exchange. However, in order to utilize marine cultural heritage in the Busan area, the excavation of various marine cultural heritages must be carried out first. To this end, everything will be possible above the detailed investigation of marine cultural heritage. In fact, a lot of software for marine culture and marine cultural heritage in Busan has been studied. Now is the time to have hardware that can properly implement marine culture and marin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의 문화콘텐츠 활용 극대화 방안

        이웅규,김용완 한국도서(섬)학회 2023 韓國島嶼硏究 Vol.35 No.2

        우리나라 해양지역은 예로부터 해상활동 및 교류, 해양영토 수호의 중심지로서 해양 역사상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어서 많은 해양역사문화관광자원과 해양역사문화의 원형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는데도 그동안 해양에 대한 인식과 관심 부족으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이 제대로 보존되고 활용되지 못했다. 특히, 해양문화자원은 해양문화를 구성하는 유ㆍ무형의 요소이자 보존, 발굴, 활용의 차원에서 문화적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해양문화자원은 그 의미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주목받지 못했으며, 정책적 측면에서도 해양문화자원의 콘텐츠화를 통한 대중화나 관광 자원화를 위한 정책 사업의 추진은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문화콘텐츠화 하여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등을 통해 통찰력을 발휘하여 실제 현장에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첫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영상콘텐츠, 웹콘텐츠화 등의 디지털 콘텐츠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중심으로 한 지역문화 축제를 개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주제로 한 전시박람회 등의 MICE 개최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 중심지역을 테마파크화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풍부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문화콘텐츠화 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 이유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해양관광 산업과 해양 K-Culture의 접목 관점에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토대로 그동안 육지의 유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면받아왔던 해양 권역의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을 ‘해양 K-Culture’로 활용하는 전략과 정책 입안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첫째, 관광 산업을 통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의 문화콘텐츠 향유 확대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 관련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활용과 관광 상품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셋째, 해양 K-Culture를 활용한 관광 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넷째, K-콘텐츠와 연계한 해양역사문화관광 유산 브랜드 구축 및 디지털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제주 해녀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에 따른 해양관광콘텐츠 연구

        정민의 ( Jung Min-eui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현재 주요 관광선진국들은 세계유산(자연유산, 문화유산, 복합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 국가중요농업유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등재 후보군을 마련하고 등재를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는 자국의 관광경쟁력을 확보하는 부수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유산보호와 보전의 지름길이라는 점에서 관심을 갖게 된 것이며, 향후 자국의 관광콘텐츠의 핵심 콘텐츠(killer contents)가 된다는 점, 그리고 외래 관광객에게 이(異)문화체험의 진수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으로 등재신청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 해녀 문화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각광 받고 있는 전통 어업이나 해양문화 등에 대한 해양관광콘텐츠 연구를 집중하여 우리나라 해양관광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제주해녀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계획은 2015년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2017년도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말한다. `제주도 해녀어업`이 2015년 12월 제1호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됐는데, 이것은 제주해녀가 맨몸으로 무자맥질해서 소라, 해삼, 전복, 미역, 천초 등 해산물을 직업적으로 채취하는 전통어업시스템을 말하며, 제주해녀와 연관된 불턱, 해신당, 해녀복과 낫, 골갱이, 수중안경 등의 물질도구 등 유형유산자원과 잠수굿, 요왕맞이제, 액막이, 씨드림과 같은 무형유산자원 등 독특한 해녀문화를 진화시켜온 유·무형의 유산자원이 풍부했기 때문이다. 2016년에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로 강인한 개척정신과 여성공동체 문화를 중심으로 한 생태, 경제, 해양 등의 가치를 지닌 제주해녀문화가 이제는 제주도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상징적인 해양관광콘 텐츠로서의 역할과 가치뿐만 아니라 인류 모두의 상징과 가치를 반영하는 소중한 해양문화가 될 것이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보존, 전승해 나가야 할 과제가 주어진 만큼 지속가능성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인 보전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해수욕활동이나 어촌 체험활동, 바다낚시 등 단편적 해양관광활동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다양한 해양레저문화의 보급과 더불어 해양문화가 확산되고 지역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해양관광산업이 연안지역 발전의 수단으로 활용될 수 없다는 현실적 인식 속에 지역의 자원과 연계한 지역 맞춤형 해양관광모델을 개발해야 할 때이다. 그리고 해양관광산업을 통하여 새로운 서비스업종과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는 해양관광육성체제 마련이 시급한 시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제주해녀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가 된 이유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해양관광콘텐츠 개발을 위한 방향 네 가지 관점을 제안했다. 첫째, 제주 해녀문화가 지역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상징하고 확립해준다는 관점에서 시대상황과 해양관광객의 요구에 발맞춘 우리나라 각 해안지역과 어촌 지역의 해양관광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제주해녀문화가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지속 가능한 해양환경을 유지하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친환경적인 해양관광콘텐츠를 다양화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셋째, 제주해녀문화가 해양관광객의 눈높이에서 개발되고 운영됨으로 인해서 관광객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다는 관점에서 향후 개발될 해양관광콘텐츠도 관광객의 시선이나 관점에서 개발되고 운영되는 프로그램 확보로 해양관광 활성화를 추진해야 한다. 넷째, 제주해녀문화가 관련 지식과 기술을 공동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승해왔다는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집단지성을 활용한 신뢰도 높은 역사성과 전통이 깃든 해양관광콘텐츠의 생산 공간과 매개 공간을 오프라인에서 뿐만 아니라 가상세계인 온라인에서도 제공해야 한다. The term`cultural heritage`has changed content considerably in recent decades, and this partially owes to the instruments developed by UNESCO. Cultural heritage does not end with monuments and collections of objects. It also includes traditions or living expressions inherited from our ancestors and passed on to our descendants. These traditions include oral traditions, performing arts, social practices, rituals, festive events, knowledge and practices concerning nature and the universe or the knowledge and skills to produce traditional crafts. Fragil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cultural diversity, especially at this time of globalization. An understanding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different communities helps with intercultural dialogue, and encourages mutual respect for other ways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ason why Jeju Haenyeo culture is registered as a UNESCO humanit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tudy reveals four important points of why Jeju Haenyeo culture is listed in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and proposes them as a development plan for marine tourism contents in Korea. First, Jeju Haenyeo culture symbolizes and establishes the unique cultural identity of its region. This means that we need to develop marine tourism contents in each coastal area and fishing village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times and demands of marine tourists. Second, Jeju Haenyeo culture is a sustainable marine environment in a nature-friendly way. This mean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diversify eco-friendly marine tourism contents. Third, it is a viewpoint that the culture of Jeju Island is developed and operated at the eye level of marine tourists. This means that marine tourism contents developed in the future should be revitalized by securing programs developed and operated from the viewpoints of tourists. Fourth, it is a viewpoint that the Jeju Haenyeo culture has been continuously passed through related knowledge and technology through the community. This means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raditional marine tourism contents and its history must be provided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as well.

      • KCI등재

        등대유산의 가치 및 활용정책 연구 - 문화재청 및 해양수산부 등대유산을 중심으로 -

        손현기(Hyeongi Son)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3

        이 연구는 근대문화유산인 등대유산의 역사를 살피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건축사적 가치, 구술사적 가치, 경관적 가치, 공동체적 가치)를 해석해 보았다. 우리나라의 근대식 등대는 청일전쟁(1894-95년)을 겪으면서, 함선 운용의 필요성 때문에 시작되었다. 등대 는 역사적으로 대한제국 시기부터 서구열강, 일본 등 외국 선박이 우리영토를 출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광복 이후에는 해양을 통해 국제사회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해 주었다. 1903년 최초의 근대식 등대인 인천 팔미도등대가 건설된 이래, 120여 년의 시간 동안 등대는 항로표지시설의 기능뿐만 아니라 근대 해양건축 및 기술이 집약된 문화유산적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등대유산을 보호․관리하는 주요 부처는 문화재청과 해양수산부이다. 현재 두 기관은 등대유산의 보호와 함께 지역공동체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문화유산 활용사업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유산 관점에서 등대유산의 체계적이고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중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d the history of lighthouse heritage, as a modern cultural heritage, and interpreted the values as cultural heritage. During the Sino-Japanese War(1894-95), Joseon Dynasty identified an urgent need for constructing and the raising of awareness in the modern lighthouses due to the necessity of fleet bases. Historically, lighthouses have been used by foreign ships such as the Western powers and Japan for the purpose of sailing our territory since the Daehan Empire(大韓帝國) Period, and after liberation, they provided a bridgehead for spreading the other countries via the sea.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modern lighthouse, Incheon Palmi Island Lighthouse, in 1903, the lighthouse has included not only the function of beacon but also the value of modern marine architecture and technology as a cultural heritage. The main authorities that safeguard the lighthouse heritage are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Currently, The authorities are actively engaged in projects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local communities along with the protection of lighthouse heritage. In addition, mid- to long-term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enable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lighthouse heritage in term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일반논문 : 여수지역 해양문화유산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노시훈 ( Shi Hun Noh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호남학 Vol.0 No.47

        한반도 남해안에 위치한 여수지역은 예로부터 해상활동ㆍ교류, 해양수호의 중심지로서 우리나라 해양사상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었기 때문에 많은 해양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는데, 그동안 인식 부족으로 그와 같은 문화유산이 제대로 보존·활용되지 못하였다. 오늘날 문화유산은 단순히 보존해야 할 대상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그 가치를 높여야 할 자원으로 변화하고 있고 문화콘텐츠산업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지역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여수지역의 해양문화유산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해양문화유산으로는 자연, 역사적 사건, 인물, 문화재, 종교와 사상, 문학과 예술, 음식, 생활문화와 민속이라는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는 많은 문화유산을 들 수 있다. 이를 실제로 문화콘텐츠로 개발하여 활용하는 방안의 예로는 그 해양문화유산을 영상콘텐츠ㆍ웹콘텐츠화하는 방안과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 건조지인 여천선소유적을 테마파크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Yeosu area situ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has a large number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s, since this area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ur maritime history as a center of sea-related activities, exchanges and protection. However, these heritages have not been protected and used enough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Nowadays, it is believed that the cultural heritage is not an object to preserve but valuable resource to make use of. Furthermore,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contributes greatly to the local economic development as high-value-added industry. In that context,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ways to develop and use maritime cultural heritages in the Yeosu Area as cultural contents. In this area, there are many cultural heritag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following categories: nature, historical event, figure, cultural property, religion & thought, literature & arts, food, and living culture & folklore. This paper suggests making documentaries and web contents concerning those heritages and developing Yeocheonseonsoyujeok (the Remains of Shipbuilding Site in Yeocheon) as an educational theme park.

      • KCI등재

        해양문화경관의 개념 고찰

        김예림,성종상 국토연구원 2023 국토연구 Vol.117 No.-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the Maritime Cultural Landscape, which is commonly used in maritime archaeology but receives less recognition than the internationally accepted Cultural Landscape. It highlights the neglect of oceans and coasts in the Cultural Landscape concept, where the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felt by the landscape subject are significantly disregarded in the concept of the Maritime Cultural Landscape.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to reevaluate the significance of ordinary Maritime Cultural Landscapes during the modern time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se concepts, the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ve coastal places, people, and cultures that differ from inland areas. It aims to foster an appreciation for the Maritime Cultural Landscape among the current generation, providing 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and national discussions on its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Furthermore, it serves as a fundamental concept for policies and research related to the Maritime Cultural Landscape in coastal areas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문화경관 개념과는 달리 주로 해양고고학 분야 위주로만 사용되고있는 해양문화경관 개념을 고찰하였다. 문화경관 개념에서는 해양과 연안이, 해양문화경관 개념에서는 문화경관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경관주체가 느끼는 감정과인지적인 측면이 상대적으로 간과되어왔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우리의 삶과 밀접한 근현대의 일상적 해양문화경관의 가치에 대한 재고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해양문화경관 관련 개념들의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내륙과 구별되는 연안지역의 장소, 사람, 문화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현세대가 해양문화경관의 가치에 공감하고, 보전·활용 방안을 논의하는 데 기반이 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연안지역 해양문화경관 정책 및 연구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해양문화콘텐츠 활용 사례 연구 : ‘제주해녀축제’를 중심으로

        김은정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2007년 10월, 제주의 가장 큰 축제인 탐라문화제의 부대행사로 시작한 ‘제주해녀축제’는 2010년부터 독립적으로 개최되어 올해로 11회를 맞이한다. 2016년 11월, 에티오피아에서 열린 제11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한국의 19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제주 해녀문화’ 등재가 최종 결정되었다. 인류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 집단 및 개인들 문화유산의 관습, 재현, 표현, 지식과 기술뿐만 아니라 도구, 사물, 공예 및 공간 등 모두를 의미한다.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 ‘제주해녀문화’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는 물론 이를 활용한 콘텐츠로서도 매력적인 가치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제주 해녀문화’는 해양문화에 속하고 ‘제주해녀축제’는 ‘제주 해녀문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에 속한다. 이를 근거로 ‘제주해녀축제’를 해양문화콘텐츠 활용 사례로 보고 ‘제주해녀축제’가 지역적, 국내적인 축제에서 더 나아가 세계적인 메가 이벤트로 발전할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 등대문화유산 실태조사를 통한 보존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제주를 중심으로)

        이은승,안웅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춘계

        2003년 대한민국 등대 100주년을 기념하여 등대문화유산 관련 조사와 규정이 제정된 이래, 지난 10여 년 동안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많은 유산들이 보존되고 정리되었다. 그 결과 등대 관련 시설들이 전 국민에게 개방되어 새로운 해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때문에 등대문화유산이 어떻게 보존되고 활용되었으며 관리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기 지정된 등대문화유산 이외에도 새로운 유물을 발굴하고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볼 때, 본 연구는 부산지방해양항만청과 부산지방해양항만청 제주해양관리단 관할에 있는 기 등록된 등대문화유산의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새롭게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활용할 가치가 있는 건조물을 선정하고, 향후 등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에 관해 필요한 사항을 정리 및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우수등재

        해양 문화유산 실감콘텐츠 발전 방향 연구 : 신안선 실감콘텐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위상희,안형기,최희수 인문콘텐츠학회 2024 인문콘텐츠 Vol.- No.72

        본 연구는 신안선을 활용한 실감콘텐츠의 특성과 발전 방향에 대한 것이다. 신안선은 1975년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발굴된 중국 원나라 무역선으로 14세 기 동아시아 해양교류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현재 정보통신과학기술(ICT)을 활용한 다양한 디지털 문화유산 콘텐츠가 개 발되고 있으나 해양 문화유산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해양 문화유산 콘텐츠 개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2018년 이후 신안선을 소재로 한 국내 실감콘텐츠 사례를 조사하고, 전시 주 제, 전시 목적, 기술별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신안선 실감콘텐츠의 주제는 크게 ‘신안선의 항해와 침몰, 수중발 굴, 출토유물’ 등이었다. 대부분 박물관 전시콘텐츠로 제작되었으며 전시공간 의 시각적 몰입성을 강화하기 위해 프로젝션 맵핑이 주로 활용되었다. 전시 목 적에 따라서 프로젝션 맵핑에 XR, VR, 미디어 월 등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 기 술을 접목하고 있으며, 일부 콘텐츠의 경우 인터랙티브 요소를 결합하여 관람 객에게 체험 및 경험적 요소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시콘텐츠의 스토리텔링이 주로 신안선 해저발굴과 출토유물에만 초 점이 맞춰져 있어 콘텐츠의 주제가 획일적이고, 실감 미디어의 기술적 차이에 도 불구하고 콘텐츠의 차별화가 상쇄되기도 한다. 따라서 신안선이라는 소재 의 다양한 활용, 창의적인 연출, 참신한 스토리텔링 등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 제작 방향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topic of this study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immersive contents using the Sinan shipwreck. This is a Chinese Yuan Dynasty trading ship excavated in 1975 off the coast of Sinan, South korea, and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maritime exchange in East Asia in the 14C. Currently, various digital cultural heritage content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technology(ICT) are being developed, but the production of contents using maritime cultural herit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derive the direction of future development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contents, we investigated the cases of domestic immersive contents based on the Sinan ship since 2018, and analyzed the exhibition theme, exhibition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themes of the immersive contents of the Sinan shipwreck were largely 'the voyage and sinking of the Sinan ship, underwater excavations, and excavated artifacts'. Most of them were produced as museum exhibition contents, and projection mapping was mainly used to enhance the visual immersion of the exhibition space.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various digital content technologies such as XR, VR, and media walls are combined with projection mapping, and in the case of some contents, interactive elements are combined to provide experiential elements. However, since the storytelling of the exhibition contents mainly focuses on the excavation of the seabed of the Sinan shipwreck and the excavated artifacts, the theme of the contents is uniform, and the differentiation of the contents is offset by the technological differences of the realistic medi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ore new content production directions through various uses of the material of Sinan shipwreck, creative directing, and novel storytelling.

      • KCI등재

        전북 해양관광자원의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전라북도가 해양관광자원을 활용하여 글로벌화 시키기 위한 연계 발전방안을 시급하게 구축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의 해양관광자원을 체계적이고 전략적으로 개발하여 발전시킴으로써 글로벌화 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군산시, 부안군, 고창군, 김제시 등을 대상으로 하여 관련 지역과 유사한 리버풀을 집중적으로 사례분석 했고, 군산시의 선유도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중에서 해안과 접하고 있는 군산시와 부안군, 고창군, 김제시 등도 연구대상으로 하였지만 그중에서도 군산시에 집중함으로써 다양한 해양관광산업과 해항도시의 거점지역으로서 전라북도의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글로벌 추진동력이라는 관점에서 그간 집중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추진과 세계적인 무역관광도 시항 조성방안을 통해 전라북도의 해양관광산업의 장기적인 글로벌 연계 성장방안으로 도출하고자 경험적 사례분석으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전라북도의 군산시, 부안군, 고창군, 김제시 등의 도시 브랜드 개발, 숙박·교통 등 관광 인프라 개선, 도시 관광자원을 활용한 도시 정체성에 부합하는 해양관광콘텐츠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해양산업과 관광산업의 접목을 통한 국가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전라북도의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첫째, 항만·도서(島嶼)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을 통한 문화유산의 자산화, 둘째, 국제무역관광도시항 조성을 통한 군산항의 혁신, 셋째, 전라북도 해양관광자원의 ‘장소 마케팅’으로 상징적 이미지 구축, 넷째, 전북 시민사회-지방정부 간 협력적 거버넌스로 지역사회의 효율적 갈등관리, 다섯째, 현대적 MICE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전통문화의 발전적 계승, 여섯째, 전라북도 해양관광자원의 발전방향과 투자전략으로 역사문화의 융복합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that Jeonbuk-do must urgently establish a linkage development plan for globalization by utilizing marine tourism resources. To this end, it was suggested that the marine tourism resources of Jeonbuk-do should be developed and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globally. As a plan,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Liverpool similar to the relevant region targeting Gunsan, Buan, Gochang, and Gimje, and results were derived by intensively analyzing Seonyudo in Gunsan. This study also focused on Gunsan-si, Buan-gun, Gochang-gun, and Gimje-si, which are adjacent to the coast in Jeollabuk-do, but especially Gunsan-si. This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contents that have not been intensively dealt with from the viewpoint of Gunsan City as a global driving force that can lead the economic growth of Jeollabuk-do as a hub area for various marine tourism industries and sea port cities. It was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case analysis to point out that the long-term global linkage growth of the marine tourism industry in Jeollabuk-do should be derived through the promotion of UNESCO World Heritage registration and the creation of a global trade and tourism city port. As a result, various measures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brands such as Gunsan-si, Buan-gun, Gochang-gun, and Gimje-si in Jeollabuk-do, improvement of tourism infrastructure such as accommodation and transportation, and development of marine tourism contents that fit the urban identity using urban tourism resources. In other words, it is a plan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of Jeollabuk-do as well as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the grafting of the maritime industry and the tourism industry. First, promote the registration of Gunsan City as a world cultural heritage, second, create an international trade tourism city port in Gunsan Port, third, promote symbolic city image and place marketing in line with Jeonbuk marine tourism resources, and fourth, Gunsan City, Buan-gun, Gochang-gun, Gimje-si, etc.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civic-organization-government and the need to actively manage community conflicts through this to reinforce the connection with other local governments in Jeollabuk-do, including Fifth, as a modern MICE industry by maintaining historical places and traditional culture. Sixth, it was suggested that a strategic approach should be taken with long-term planning and investment for the implementation of a policy of convergence between history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