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패션에 나타나는 항상성

        서지예,김윤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4 No.1

        인간은 주변 환경과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하는 존재이다. 패션은 인간의 신체를 보호하고 개인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발전된 현대 패션은 다양한 소통 창구를 통해 다문화수용 및 개성의 표현이 가능해졌다. 또한 인간과 사회의 상호 유기적 관계를 위한 심리적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항상성이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기체가 일정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자기 자신을보호하는 과정이다. 게슈탈트 이론은 전체론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이론으로 시각적인 인지능력을 통한안정성 유지에 주목한다. 이때 패션은 시각적인 자극을 통해 표현하는 매개체로서 패션의 시각적 표현 특성을통하여 안정감을 추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패션에 나타나는 표현방법을 게슈탈트 이론의항상성 유지 관점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현대 패션과 항상성의 관계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패션이 인간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역할과 기능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범위는선행연구에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한 후 디지털 사회를 바탕으로 현대 패션의 특성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이후전반적인 패션에 나타난 항상성 유지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900년대부터 최근 2023년까지의 컬렉션과서적을 통하여 이미지 수집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항상성 유지를 바탕으로 본 패션의 특성은 사회화를 기반에둔 집단성’, ‘창의적 자아 표현의 존중’, ‘학습된 패션을 통한 안정감’, ‘사회적 미의 기준에 따른 외적 변화’로나타났다. 네 가지 특성은 현대 패션의 특성과 연결되는 관계성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나타난 현대패션과 항상성의 관계는 ‘소통을 통한 유기적 관계’, ‘지속적인 변화에 적응한 안정적 관계’, ‘축적된 경험에의한 사회적 관계’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 연구를 심리적 항상성과 연결하여 패션의 긍정적인역할에 대해 고찰하고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패션 연구를 확장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Human beings strive to maintain a relationship with their surroundings. Fashion is a means of protecting our body and expressing ourselves. Contemporary fashion, which has evolved over time, enables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using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It also contributes to maintaining psychological homeostasis for the mutual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society. Homeostasis is a process in which a living organism maintains a constant and stable state and protects itself in an ever-changing environment. Gestalt theory employs a holistic approach and focuses on maintaining stability through visual cognitive abilities. In this light, fashion serves as a medium of expression through visual stimuli, making it possible to pursue stability through its visu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expression methods of fash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aintaining homeostasis in Gestalt theor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fashion and homeostasis. In doing so, it presents a new perspective on the positive role and function of fashion on human being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nd scope, the study reviewed previous literatur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based on the digital society. Then, it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maintaining homeostasis in fashion by analyzing fashion images from the 1900s to 2023. The results showed collectivity based on socialization, respect for creative self-expression, stability of learned fashion, and external changes according to social standards of beauty. Based on this perspective, the relationships between modern fashion and homeostasis were derived as follows: organic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stable relationship adapted to continuous change, and social relationship through accumulated exper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s contemporary fashion research that incorporates psychological homeostasis, examines the positive role of fashion, and expands the scope of fashion research through convergence with various fields.

      • KCI등재

        서유럽 특유의 가구형성규칙과 맬서스주의자의 항상성 모형

        이성용(Sung Yong Lee) 한국인구학회 2013 한국인구학 Vol.36 No.2

        이 글은 우리에게 생소하지만 매우 중요한,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의 사회과학(가족인구학도 포함하여) 연구에서 거의 간과되었던 맬서스주의자의 항상성 모형과 서유럽의 독특한 가구형성 규칙들(혹은 맬서스주의 결혼체제)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이 글은 맬서스 항상성 모형의 속성과 혼인력(특히 도덕적 제약의 요소인 혼인연령과 비혼)의 변동을 통해 유지되어 왔던 영국의 저압체제(low-pressure regime)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로, 영국에서 저압체제가 유지되게 만들었던 항상성 기제인 서번트 체제와 맬서스결혼 체제를 검토한다. 이 체제들은 혼인 시점에서의 경제적 독립성을 강조했으며 부모와 자식 간 관계보다 부부관계를 최우선시 하였다. 이런 특성은 비서구사회의 가족주의 확대가족 특성들과 극명히 대비된다. 세 번째로, 유럽 이외의 사회에서는 출산력과 관련된 항상성 기제가 부재했다는 맬서스의 주장과 달리 중국과 인도에서도 항상성 기제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서유럽의 항상성 기제는 출산연기와 같은 혼인력 변동이었지만, 중국과 인도의 항상성 기제는 유배우 출산력의 통제였다. 게다가 중국과 인도에서의 항상성 기제는 영국처럼 무의식적ㆍ개인적 차원의 합리성이 아니라 의식적ㆍ집합적 차원의 조정에 의해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서구사회이론의 틀에서 개발된 사회정책이 그 토양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비판적으로 비서구사회에 적용되면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The study addresses the novel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ostatic model and the particular household formation rules in Western European (or Malthusian marriage system). Firstly, I examine the utility of Malthusian homeostatic model explaining the existence of the low-pressure regime in England which had been maintained throughout the shift in nuptiality (especially ages at first marriage and the higher proportions of the never married women). Secondly, it was considered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both servant system and Malthusian marriage system in England, which emphasizes both the independence of household at marri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irdly, contrasting to the Malthusian assumption, which argues that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homeostatic mechanisms related to fertility in Non-Western societies, the evidence had been existed. It is due that fertility rates in Non-Western societies had been controlled by the marital fertility, instead of the nuptiality. Moreover, the institutions underpinning homeostasis in China and India are based on the conscious collective intervention, not on the unconscious individual rationality that is commonly in England.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ncludes a set of social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warnings against careless adaption of a framework of Western social theories into social and population policies, which could have been dangerous to the Non-Western societies (including Korea).

      • KCI등재

        교회력에 나타난 시간의 항상성 연구

        유재원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다양한 뉴노멀이 등장하고 있는 이때에 교회력을 거 론한다는 것은 자칫 시대착오적인 발상으로 보일 수 있다. 팬데믹과 엔데믹을 지나 엔데믹 블루시대를 맞이한 현재 상황에서는 교회력 자체의 중요성이 약화되거나 평가 절하하려는 경향이 다분하기 때문이다. 시간이 하나님의 창조물이며, 기독교가 시간을 중요시하는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인들조차 시간의 효율성에 속박되어 세상의 시간을 살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여기에는 ‘분초사회’라는 용어처럼 시간을 아끼 고 밀도 있게 사용하기 위해 시간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려는 현대인의 경향도 일조 한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기독교인들이 비록 크로노스라는 세상의 시간을 살아가지 만 어떻게 해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받은 은혜를 계속 기억하면서, 하나님의 시간 인 카이로스를 올바르게 살아갈 수 있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시 작하였다. 본 연구 주제는 초대 교회를 거쳐 4세기에 이르기까지 확립된 교회력에 대한 올바 른 인식과 재정립을 통해, 첨단 기술을 통한 즉시성의 문화와 그 어느 때보다 급격하 고 과격하게 진행되는 극한적 속도의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시간의 항상성을 일깨우자는 것이다. 그리하여, 유한한 시간 속에서도 무한한 카이로스를 지향하며 살아가게 하는 영구적 은총의 수단이 바로 교회력임을 재확인시 키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는 문헌조사방법론을 사용하며, 극히 일부이기는 하지만 역사신학과 법학과의 간학문적인 연구 방법을 시도한다. 다음으로는, 성 어거스틴의 시간론이 가장 잘 나타난 『시간과 영원』을 중심으로, 교회력에 담긴 시간의 항상성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지를 살펴볼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이미 시간의 항상성 가운데 하나님의 시간에 맞춰 살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처 인지 하지 못한 작금의 기독교인들에게 교회력과 시간의 항상성에 대한 참된 의미를 재발 견할 수 있게 하고, 나아가 이를 통해 각자의 뉴노멀을 어떻게 정립하여 살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제언으로 마치게 될 것이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various new normals are emerging, discussing the church year may seem like an anachronism. This is because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we have passed the pandemic and the endemic and entered the endemic blue era,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weaken or devalue the importance of the church year itself. Although time is God's creation and Christianity is a religion that values time, the reality is that even Christians are bound by the efficiency of time and live in the time of the world. The tendency of contemporary individual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ime in order to save it and use it densely, like the term ‘minutes and seconds society’, also contributes to this. In this reality, although Christians live in the world's time called chronos,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of how to continue to remember the grace received in Jesus Christ and properly live kairos, God's tim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culture of immediacy through cutting-edge technology and an era of extreme speed that progresses more rapidly and radically than ever before, through the correct recognition and re-establishment of the church year established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4th century. The goal is to remind living Christians of the constancy of time centered on Jesus Christ. Thus, we would like to reaffirm that the church year is a means of permanent grace that allows us to live toward infinite kairos even in finite time. To this end, this study uses a literature survey methodology as a whole, and although it is only a small part, it attempt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 from the departments of historical theology and law. Next, I will examine how important the constancy of time contained in the church year is, focusing on Time and Eternity, which is best expressed in St. Augustine's theory of time. Thus, even though they are already living according to God's time in the constancy of time, it enables Christians of today who were unaware of it to rediscover the true meaning of the church year and the constancy of time, and further, through this, each person's new normal. I would like to end the discussion with suggestions on how to live by establishing this.

      • KCI우수등재

        실무연구(實務硏究) : 한글 필적 문서 포렌식에서 인접한 자음 변화에 따른 모음의 항상성 지수 변화에 대한 연구

        백윤철 ( Yun Cheol Beek ),이윤정 ( Yoon Joung Lee ),손성훈 ( Sung Hoon Son ) 법조협회 2013 法曹 Vol.62 No.1

        필적 감정에서 개인 필적의 고유한 특징인 항상성은 중요한 요소다. 획이 만나는 접점에서의 각도와 획의 비에서도 나타나는, 한글 필적의 항상성은 조합 특징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항상성 지수는 항상성의 정도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지표로, 본 논문에서는 주변 자음의 위치와 종류에 따른 모음의 항상성 지수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피실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필적에서 추출된 모음 ``ㅏ, ㅓ, ㅗ, ㅜ``를 초성의 변화, 종성의 유무에 따라 각각 접점에서의 각도와 획의 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음 ``ㅏ``의 획의 비에서 61.5로 항상성 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ㅜ``의 획의 비에서는 38.9로 항상성 지수가 가장 낮았다. 이는 모음 ``ㅏ``가 다른 모음에 비해 주변 자음에 따른 변화를 덜 보이며 모음 ``ㅜ``가 가장 변화를 많이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높은 항상성 지수를 보이는 한글의 연구는 향후 한글 필적 감정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consistency, unique cherecteristics of personel hendwriting, is en importent fector in hendwriting verificetion. Hengul Hendwriting consistency elso eppeers et the length retio end engle of two strokes end is effected by the combinetion feetures. Consistency index es en indicetor of the degree of consistency es e percentege in this study, we meesured the consistency strength chenge of eech vowel``ㅏ,ㅓ,ㅗ,ㅜ`` eccording to kind of first consonent end whether or not lest consonent by collecting hendwritings from 10 perticipents in order to study the chenges in the consistency index due to locetion end type of the surrounding consonents. Es e result, the two strokes` length retio of vowel ``ㅏ`` showed the highest consistency index(61.5) end vowel``ㅜ`` wes the lowest(38.9). This meens vowel``ㅏ`` showed reletive smell chenge eccording to surrounding consonent end vowel``ㅜ`` showed opposite tendency. Efterwerds studies of high consistency index seem to contribute to e hendwriting verificetion.

      • KCI등재

        전통 법문화에서 法의 恒常性과 變化性

        김지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論集 Vol.27 No.2

        본고는 근대 서양 법철학에서 법의 주요 이념인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에 관한 주제와 관련하여, 동아시아 전통법문화에서 법의 항상성과 변화성을 전반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道가 법을 낳는다’는 전통 철학사상에 근거하여, 우선 법의 근본으로서 ‘道’의 항상성과 변화성을 대강 통관하면서, 老子ㆍ공자ㆍ맹자 및 周易에 나오는 항상과 변화에 관한 철학사상을 소개한다. 이어 본고의 주제인 법의 항상성과 변화성을 집중 탐구한다. 동아시아 전통문화에서 法은 본질개념 자체가 ‘常’으로 표현되고, 아예 ‘常刑’이란 용어도 자주 쓰이는데, 법은 일정불변의 원칙을 중시하는 항상성 자체가 핵심본질임을 검토한다. 물론, 예외 없는 원칙이 없듯이, 法에도 항상성에 대응하는 變化性이 중요한 대우범주로 수반하며, 이는 時間적ㆍ空間적ㆍ事物적 변화성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또 전통법문화에서 법적 항상성과 변화성의 중요한 철학사상을 남긴 道ㆍ儒ㆍ法 3家의 대표자로서 老子ㆍ孔子ㆍ韓非子의 사상을 원전 중심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秦漢 이후 전통왕조에서 펼쳐진 法制史上의 恒常과 變化를 대강 살펴본다. 특히 중원 통일을 향해 겸병전쟁이 치열했던 戰國시대의 改革과 變法論을 대략 소개하고, 역대 왕조에서 易姓革命과 統治改革의 합리적 정당화로서 變法改制論을 탐구하며, 끝으로 한 왕조에 기본 통치규범으로서 恒常적인 律과 變化하는 勅令格式 및 條例 관계를 언급한다. 전통법문화의 역사철학에서 법의 항상성과 변화성은 근대 서양법철학에서 법적 안정성과 구체적 타당성이란 주제와 완전히 일치할 수는 없지만, 동서양에 법의 역사와 철학을 대조ㆍ비교함에 상당히 접근하는 대응 범주로서 참고할 수 있다. 필자의 연구능력 한계와 시간상ㆍ지면상 제약으로 본고가 만족할 만한 비교법적 연구를 시도하진 못했지만, 앞으로 이 주제에 관심 있는 후학들이 확대심화 연구하길 기대한다. 장래 이 분야 학문발전에 조그만 디딤돌과 발판이 될 수 있다면, 본고는 소기의 연구목적과 학문적 가치 및 성과를 거둔다고 믿는다. 강호 제현의 질정과 지도를 기대한다.

      • 인간정보처리 기반 형태 항상성에 대한 고찰

        김영근 ( Young-geun Kim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6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적인 대상재인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 항상성 요소들을 인간정보처리 방식을 기준으로 분석하고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형태 항상성에 손상이 있는 신경학적 환자에게 인간정보처리 관점에서 형태 항상성의 원리를 인지재활에 참조할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에서 분석 기준은 인간정보처리 유형인 개념 주도적 처리와 자료 주도적 처리이다. 개념 주도적 처리관점에서 형태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관찰자의 대상에 대한 경험, 선행 지식, 친숙도가 있고 대상 주변의 맥락 정보와 관찰자의 추론을 유도하는 깊이 단서가 있다. 자료 주도적 처리의 대표적인 요소에는 원형과 규범적 표상이 있고 대상이 가지고 있는 불변 속성 등의 내면 정보가 있다. 작업치료는 형태 항상성에 문제가 있는 사람에게 잔존하는 인간정보처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환자가 일상생활에 적응하도록 중재 전략을 계획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상재인과 형태 항상성에 대한 전문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거나 선정할 때에도 정보처리 관점에서의 요소들을 개발 기준으로 적용하면 유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lassify form constancy factors enabling object recognition by human information process type and to propose the implication on cognitive rehabilitation to apply the principle of form constancy to patients with its difficulty. The criterion of classification on factors affecting form constancy is the human information process(conceptually-driven process vs datadriven process). The conceptually-driven process proceeds from the internal expectation, prior knowledge, familiarity, context, depth cues inducing observer’s inference of the incoming data. The data-driven process is dependent on prototypes, canonical represents and invariant properties of the object. Occupational therapy needs to plan and practice intervention strategies to use remaining information process. This strategies are able to enable patients with form constancy impairment to adapt their daily livings. It is useful to develop a special assessment tool for object recognition or form constancy including their factors with the view of information process.

      • KCI등재

        거리 정보 제한에 따른 크기 착시가 시간 지각에 미치는 영향

        김민규,이원섭,김신우,이형철 한국감성과학회 2022 감성과학 Vol.25 No.1

        IThe perception of sub-second duration through the visual sensory system is affected by non-temporal characteristics (factors other than the duration of the stimulus). However, studies have shown that if distance information is abundant and size constancy maintained, the duration of the target is constantly perceived.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ze and time perception constancy 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with limited distance information. A device was constructed to limit the participants’ bilateral and monocular cues. This prevented participants from maintaining size constancy, resulting in size illusions that could not accurately perceive physical size. In Experiment 1, the size of the physical stimulus of reference and test stimuli were the same at all viewing dista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despite the same physical size, stimuli with close observations were perceived to be greater and lasted longer. In Experiment 2, the retinal size of the reference stimuli and test stimuli was controlled equally at all viewing distances. As a result, although the physical size of the stimuli increased as the observation increased, the perceived size of all the stimuli was the same. Therefore, the duration of the target was constantly perceived at all viewing dista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ven when distance information is limited, time perception is affected by the perceived size of the object. It also suggests that when rich distance information exists, the duration of the object can be constantly perceived even if the observation distance varies. 시감각기관을 통해 지각하는 1초 미만의 시간은 자극이 지속되었던 지속시간 이외의 요소인 비 시간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거리 정보가 풍부하여 크기 항상성이 유지될 경우, 대상의 지속시간을 항상성 있게 지각한다는 연구들이 있다.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과는 달리 거리 정보를 제한한 실제 환경에서 크기 항상성과 시간 지각 항상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참가자들의 양안 단서와 단안 단서를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고안하였다. 참가자들은 크기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었으며, 크기 착시가 발생하여 물리적 크기를 정확하게 지각할 수 없었다. 실험 1에서는 관찰 거리별 참조 자극과 시험 자극의 물리적 크기를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물리적 크기가 동일했음에도 불구하고 관찰 거리가 가까운 자극을 더 크게 지각하였으며, 자극이 더 오래 지속 되었다고 지각하였다. 실험 2에서는 관찰 거리별 참조 자극과 시험 자극의 망막상 크기를 동일하게 통제하였다. 관찰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극의 물리적 크기는 커졌으나, 모든 자극의 지각된 크기가 동일하였다. 그 결과 모든 관찰 거리 에서 대상의 지속시간을 항상성 있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거리 정보가 제한되었을 때에도, 시간 지각이 대상 의 지각된 크기에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 또한 풍부한 거리 정보가 존재할 때, 관찰 거리가 달라지더라도 대상의 지속시간을 항상성있게 지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문장단위의 필적 항상성 연구

        조지훈,한승희 한국과학수사학회 2014 과학수사학회지 Vol.8 No.4

        개인의 필적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가 한글의 자모음 단위 분석 및 음절단위 분석 연구에 비중을 두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필적 감정의 기초 검사인 “필적배치”를 이용한 문장단위의 항상성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시필 참가자 총 20명을 대상으로 문장단위 분석을 위해 “훈민정음 서문” 총 120 글자를 10회 반복적으로 기재하면서 문장단위의 특징요소로서, 1) 각 행에 기재된 글자 수, 2) 좌 여백의 형태, 3) 용지의 줄에 닿거나 닿지 않는 글자 수, 4) 행과 윗줄과의 간격 등에 관한 검사를 실시하고 문장단위에서 현출되는 항상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에서 특히, 3) 용지의 줄에 닿거나 닿지 않는 글자 수는 개개인의 항상성을 측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었으며, 1) 각 행에 기재된 글자 수, 2) 좌여백의 형태 분석 등은 개인 필적간의 항상성을 정확하게 비교할 수 있는 중요한 특징적인 요소였다. 이 같은 결과로부터 개인의 필적에서 항상성은 개인 간에 차이가 있어 개개인을 구분할 수 있는 특징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뇌졸중 환자의 형태 항상성

        김영근,김한수 대한작업치료학회 200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3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형태 항상성의 특성을 조사하고 형태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밝히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25명과 비슷한 연령의 정상인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재료는 80개의 모양을 방향만 달리 회전하여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제시하도록 3차원 그래픽을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심리학 실험 프로그램 수퍼랩에서 재현되도록 하였다. 참가자는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대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80개의 모양은 20개씩 4가지 조건으로 구성되었다(깊이 단서 없음, 음영 깊이단서, 선형조망 깊이 단서, 음영과 선형조망 깊이단서).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형태 항상성 판단 실험에서 정확도가 떨어지고 반응속도가 느렸고 깊이 단서가 제시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통제조건보다 정확도가 높고 반응 속도도 빨랐다(p < .01). 결론 : 뇌졸중 환자는 시지각 능력 중 형태 항상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형태 항상성을 돕는 요인인 깊이 지각은 이러한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Form constancy for stroke patients and to make clear main factors inducing shape constancy. Methods : The subjects consisted of 25 stroke patients and 27 unaffected adults. In Experiment, artificially constructed 80 shapes using 3D Max graphic software and realized materials with superlab experimental program. Each 20 materials of all materials have 4 conditions (no depth cue, shadow, linear perspective, shadow+linear perspective depth cues). Results : First,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unaffected adults in accuracy grade(p<.01), and longer than in response time. Conclusion : This result shows that stroke patients have main problem on Form constancy and depth cue can support shape constancy ability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지출의 변화 패턴과 항상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종균 ( Jong Kyun Lee ),조한진 ( Han Jin Jo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1

        본 연구는 한국이 국가체계의 불안정기에 조절과정을 통해 사회복지지출의 변화를 산출하여 안정을 추구하는 항상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사회복지지출이 역동적으로 변화되어 국가체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항상성의 자율조절 패턴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속점과 분포 패턴의 검증 결과, 사회복지지출의 변화에 있어서 34년 동안 수차례의 단속점을 볼수 있었고, 분포 패턴도 파동 패턴의 진동 추세를 보였다. 둘째, 정규성 검증 결과, 쌍봉 분포가 나타났으며 검증 기준에 따라 몇 차례의 이상치가 나타났다. 셋째, 점증성 검증 결과, 비점증적 변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체계가 안정기에는 사회복지지출의 점증적 변화 패턴을 산출하고 위기상황에서는 역동적 조절과정을 통해 급격한 비점증적 변화 패턴을 평상시처럼 산출하면서 점증적 변화를 오히려 간헐적이고 예외적으로 산출하여 안정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으로, 이러한 과정이 우연하거나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항상성의 변화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한국의 사회복지지출 패턴도 지난 34년간 항상성의 자율조절 패턴이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tried to explain homeostasis by which Korea sought stability by producing the chang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rough a regulating process in an unstable period of natio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lf-regulating pattern of homeostasis by which the balance of national system was maintained through a dynamic chang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punctuation test showed that there were several times of punctuation for 34 years concerning the chang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Distribution pattern test showed the vibrational tendency of wave pattern. Second, normality test showed a bimodal distribution and several times of outlier according to test standards. Lastly, incremental test showed a very high rate of non-incremental chang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ational system yields an incremental change pattern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at the period of stability, while in crisis the system maintains a stable state by yielding a drastic non-incremental change pattern as usual through a dynamic regulating process and by yielding an incremental change rather intermittently and exceptionally. This is not an accidental nor a transient phenomenon, but the change process in homeostasis. Therefore,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pattern in Korea can be seen as a self-regulating pattern of homeostasis for the last 34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