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자학 연구의 발전방향 탐색 : 세계 한자학자 연구문헌 DB구축을 통한 연구경향

        곽현숙(Kwak, Hyun-Suk)(郭鉉淑)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3 No.-

        현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전용 단말기로 전자책을 읽을 수 있는 시대이다. 최첨단 시대일수록 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정보의 공유와 보존이 바탕을 이루는 디지털화가 이루어져 있다. 즉 디지털화는 ‘정보의 공유와 보존’으로부터 나와야 하며 효율적인 ‘공유와 소통’을 위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세계 한자학자들의 연구문헌 DB 구축은 종이라는 2차원적 정보매체를 세계 모든 사람에게 어디서나 제공할 수 있는 3차원의 정보로 바꾸는 것으로 DB 속에 있는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 구축하고자 하는 세계 한자학자 연구문헌 DB는 현 시대에서 무엇보다 필요한 것이다. 구축된 세계 한자학자 연구문헌 DB는 한자학사와 중국학, 언어학사 등의 넓은 영역에서 정확하고 통합적인 학술적 기초자료를 마련함으로써 앞으로 학계의 심화 연구 발전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In the modern era, you can read e-books with smartphones, tablet PCs, and dedicated terminals. In the latest era, digitization is based on network-based sharing and preservation of information. In other words, digitization should come from sharing and preserving information and work should be done for efficient sharing and communication . In this sense, the establishment of the research document database of the Chinese scholars of the world is to transform the two-dimensional information medium, paper, into three-dimens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to everybody in the world anywhere, so that they can share and communicate various information in DB to b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B of the world Chinese scholar who want to construct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B of the established Chinese scholars of the worl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academic world in the future by providing accurate and integrated academic basic data in a wide range of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s and languages.

      • KCI등재

        교육용한자대표훈(敎育用漢字代表訓) 설정에 관한 -고(考)

        韓延錫 ( Youn Suk Ha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사) 한국어문회(韓國語文會)와 (사)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의 대표훈(代表訓)설정은, 1자(字)1훈(訓) 제시로 학습자 혼란을 줄이고 전통적 한자(漢字) 교학(敎學) 방법을 保守하기 위함이었다. 한자학(漢字學)과 훈고학(訓高學)기반이 취약하였던 상황에서, 2000년 두 단체의 대표훈 설정은 최선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대표훈 제정이후 대표훈의 수정, 단수훈(單數訓)과 복수훈(複數訓)의 설정, 다수훈(多數訓)허용, 서술형식 개선 등을 요구하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대표훈에 대한 정의, 설정원칙(設定原則) 제시가 한자학적(漢字學的)으로 미흡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듯하다. 한자학(漢字學)에서 주장하는 자전(字典)의 의항(義項) 배열은 본의(本義), 인신의(引伸義), 가차의(假借義) 순이다. 대표훈(代表訓)은 이들 모두를 제시할 수 없어, 가장 대표성을 띤 훈(訓) 하나만을 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본의(本義)를 대표훈으로 선정해야 한다. 본의(本義)를 찾을 수 없거나 한용(罕用), 혹은 사멸(死滅)되었으면 기본의(基本義)를, 마찬가지로 여의치 않으면 인신의(引伸義)를, 이마저 곤란하면 상용(常用)의 가차의(假借義)를 대표훈으로 선정해야 한다. 한자는 義 운동에 의해 많은 것은 40여개의 意義를 具有하기도 하지만, 본의(本義)는 어떤 상황과 조건하에서도 가장 대표성을 띄고 모든 의(義)를 개괄(槪括)할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한자어 혹은 문장을 해석할 때 응용(應用)할 수 있고 전이(轉移)가 용이하다. 1자(字)2, 3훈(訓)을 제시하면 대표 훈 제정(制定)의 원칙과 정신이 훼손(毁損)되고 굳이 이를 대표훈이라고 부를 필요도, 대표훈 제정의 이유도 없다. Daepyohun (representative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is established to decrease the confusion of learners by presenting one meaning for one character rather than multiple meanings. The purpose is to protect the traditional method to learn the Chinese characters. Under the condition where the academic background of exegetics was weak, the representative renderings that(incorporated association) Korean language literature council and(incorporated association)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established in 2000 was the best. However, since representative rendering was established, some papers were published to demand that the representative renderings should be changed, single rendering(one meaning) and multiple rendering(two or more meaning) should be established, respectively and the narrative from should be changed. The reason is that the definition and the principle of establishment are insufficient in view of exegetics. The exegetics claimed that array of uihang(items present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in Chinese dictionary should have Bonui(the first meaning that Chinese character has), Inshinui(the meaning derived from the first meaning) and Gachaui(the meaning borrowing other character which has the same pronunciation regardless of Bonui or Inshinui) in orders. Since representative renderings cannot present them all and pick the most representative one, Bonui should be selected for representative rendering. If the Bonui cannot be found, is rarely used or becomes extinct, the basic meaning should be representative rendering. Likewise, if the basic meaning is not sufficient, Inshinui would be representative rendering. If Inshinui is not sufficient, Gachaui being universally used will become the representative rendering. Due to saui movement (other meaning is derived from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one character may have up to 40 meanings. However, since Bonui ha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summarizes every meaning under any situation and condition, it can be utilized upon interpreting various Chinese characters or sentences and the transition in learning can occur. If 2-3 meanings are given to one Chinese character, it would be the same as before when the meaning was given to publication by their own ways and would destroy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ve renderings, Also there is no need to call it the representative rendering and no reason to establish the representative rendering.

      • KCI등재

        동아시아 지식 지형 연구 기반 학문으로서의 한자(漢字) 지식 연구의 가치 탐구

        許喆 ( Heo Chul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8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42 No.-

        본고는 동아시아 지식 지형 연구 기반 학문으로서 한자학 연구의 중요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자학은 漢字와 관련된 모든 학문분야와 연관된 기초 학문이다. 한자의 접촉과 사용은 문화의 접촉과 사용이며, 이 속에 수용되는 여러 현상은 각 민족이나 국가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런 이유로 지식 지형 同異性을 밝히는 가장 좋은 소재인 동시에 연구 방법론이다. 따라서 한자학 연구는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의 언어 연구”와 “실제 화자들이 사용할 때의 사회적 문맥 및 상황적 문맥 속에서의 언어에 대한 연구”의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곧 한자학은 모든 동양학 연구의 기초학문이며, 한자학 연구의 성과는 모든 동양학의 발전과 긴밀한 연관성을 맺고 있고, 이는 곧 동양인문학의 특성인 동시에 인문학연구의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토대 학문이라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ing the Value of Han-Character[漢字] Research as a Foundation for East Asian Knowledge regional characteristics Research Han-Characters[漢字] studies aer the basic sciences associated with all fields of learning that are related to Han-Characters[漢字], like Chinese, Korean, Japanese, Vietnamese. Han-Characters[漢字] are contact and use are cultural contact and use, and various phenomena accepted within them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ach nation or country. At the same time as the best material to reveal the dynamics of knowledge geography, both the methodology of research and the "study of language in social relationships" and "study of language in contexts and contextual contexts in actual speakers." As such, Han-Characters[漢字] studies are the fundamental studies of all East-Asian studies, and the achievements of Han-Characters[漢字] stud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ll East-Asia studi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East-Asian Humanities study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humanities in the World.

      • KCI등재

        한국(韓國)한문학(漢文學)의 쟁점(爭點) 한자학(漢字學) 연구의 동향과 쟁점

        ( Youn Suk Han ) 동방한문학회 2014 東方漢文學 Vol.0 No.58

        This paper researched ``doctorate thesis``, ``research essay`` and ``book`` related with 漢語文字學(hanyumunjahak) released in Korea. Those theses have been released by people engaged in various majors such as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of Philosophy, department of Chinese character, etc. After research I found that there are few reports on 漢字學(hanjahak), 音韻學 (eumunhak), 訓□學(hungohak) released by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Chinese education or department of Chinese character. In other hands, reports on Chinese education have been mainly released by practitioners whose major are department of Chinese education or department of Chinese character. Using those studies I have arranged trends and issues in study of Chinese character. First, basic studies in hanomunjahak(hanjahak, unmunhak, hungohak, etc.) have barely established. Second, because of few studies on hanomunjahak fields, achievements in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re inefficient and it was neglectful of creating new methods in Chinese education. Third, studies on hanomunjahak in Chinese fields do not deal with traditional hanomunja and there is a bit gap in latest study trends of China. Fourth, By raising awareness of hanomunjahak fields, records found in excavation object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金石文(keumsokmun), 簡 牘文(Gandokmun))have to be included to the new study fields of academic circles of Chinese character.

      • 漢字敎育에 있어서 字源 서술 내용 표준화(standardization) 必要性과 方案 摸索

        허철(Heo Chul)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2 동아한학연구 Vol.- No.8

        인문학으로서의 한자학과 교육으로서의 한자교육은 그 연구 목적과 방법이 다르다. 이런 관점에서 본고에서는 우선 한자교육의 특성을 논하고, 한자학 연구의 성과를 한자교육에서는 어떻게 수용하거나 적용하는가에 대해서 논의한 후, 한자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의 균질성과 체계성, 접근성과 효율성이라는 네 가지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제시를 바탕으로 오랜 시간 동안 한자교육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자원 학습법의 실질적인 문제점을 살피보고, 동시에 그 해결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Han Character Philology in field of ways, means and ends is different with Han Character Education study. In this paper, first discuss about Han Character Education’s special characters and quality, and write about how to accommodate or apply to Han Character Philology’s Research results. I suggest Four criteria in terms of education study, Homogene -ous, Systemicity, Accessibility and Efficiency in the education study. Using this four criteria, through analysis to teach han character with story telling Han character Origin-change that long time and wide using one of method in the usual textbook, I can find big problem in this case, like one character different describe or story telling in every textbook, some using incorrect story or non correctly commonsense view without examine thoroughly original history research. At last, I suggest how can revise this problem.

      • KCI등재

        투고논문 : 한자문화학(漢字文化學) 연구 성과를 활용한 경서(經書) 해석 및 한자(漢字) 교육

        양원석 ( Won Seok Ya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본고에서는 漢字學의 한 분야로 자리 잡고 있는 漢字文化學의 개념과 연구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하여 經書 구절에 대한 해석을 진행하는 경우에 대해 검토하였고, 또 한자문화학의 연구 내용을 한문 교과의 한자 교육 및 문화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중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로 한자문화학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한자문화학은 漢字自體에 함유하고 있는 문화적 요소에 주목하여, 한자 연구를 통해 古代文化를 이해하고 고대문화에 근거하여 한자를 해석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한자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역사학, 민속학, 문헌학 등 관련 분야를 통섭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중국고대문화에 대한 이해, 經書 등 고대 문헌의 해석, 한자 교육 등의 다방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經書 구절을 정확하게 해석하는 데에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詩經』을 중심으로 그 사례를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고대사회의 화폐 문화를 담고 있는 朋, 노예 문화를 담고 있는 民과 臣, 기물 문화를 담고 있는 豆 등의 한자가 『시경』 경문에서 사용된 용례 및 그것의 해석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는 한문 교과의 한자 교육 및 문화 교육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한문 교과의 문화 교육은 주로 우리의 전통문화 및 한·중·일 한자문화권 국가의 문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은 큰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이에 더하여 한자문화학의 연구 성과를 활용한 한자 교육을 진행하게 된다면 한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제고시킬 수 있으며 또한 중국의 고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looked into concepts and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examined various interpretations of Chinese classics phrases utilizing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and at the same time proposed opinions of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study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emphasizes to understand ancient culture through Chinese characters study and to interpret Chinese characters based on ancient culture by noting cultural elements contained in Chinese characters themselves. For that, in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entering on Chinese characters science, studies are being made by interpreting related fields such as history science, folk science, literature science, etc. Such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s such as understanding Chinese ancient culture, interpreting classical literatures including Chinese classics,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etc.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science are useful in exactly interpreting phrases of Chinese classics. In this paper, some examples are examined centering around The Book of Odes(詩經). For example, it examined the usage in which Chinese characters, etc. such as 朋 containing currency culture of ancient society, and 民 and 臣 implying slave culture, etc. are used in the text of The Book of Odes.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al science can be also utilized i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and cultural education of Korea. At present, the cultural education in Chinese Writing subject is mostly concentrated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three countries, that is, Korea, China, and Japan. Of course, this method has a large meaning, but Chinese education utilizing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characters culture science may increase mor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also may be helpful to understanding Chinese ancient culture.

      • KCI등재

        [특집. 국어 학습사전의 현황과 전망] : 한자학습사전의 현황과 과제

        김성중 ( Sung Joong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5 民族文化硏究 Vol.66 No.-

        본고는 한자와 한자어 학습에 필요한 한자학습사전의 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뒤 향후 과제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표제자를 선정할 때는 학습대상자의 학습 목적과 함께 사전의 전체적인 구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국가차원에서 자형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기에 다소 어려움은 있지만, 적어도 동일 사전 내에서는 동일한 字形, 字體를 사용해야 한다. 표제자의 의미항목 선정과 조직은 용례로 제시되는 한자어에 근거해야 하며, 해당 한자어들은 학습용 어휘 등의 말뭉치에서 선별되어야 한다. 한자어의 의미 풀이는 국어사전의 풀이를 보다 쉽고 간명하게 하되 형태소의 의미를 고려해야 한다. 한자학습사전은 언어적인 정보만이 아닌 종합사전의 형태를 취하게 될 것인데, 字源등의 부가 정보의 기술에 있어 구성의 통일성 보다는 학습의 효율성, 정보의 정확성을 우선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learner``s dictionaries necessary for study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nd describes our proposal about the future task. When selecting headwords, we need to consider the whole composition of a dictionary, along with student learning goals. We have not had a definite Chinese character type at national level yet. In spite of the difficulty, however, at the very least, we ought to maintain the use of a common character type and font in a common dictionary. We also suggest tha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an item’s meaning should be based on Sino-Korean words given as examples in a dictionary, and the Sino-Korean word should be selected from a corpus related to vocabulary that is being learned. The definition of Sino-Korean word needs not only to be simpler and more concise than the Korean dictionary version, but also to reflect the meaning of the grapheme. A learner``s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does not merely provide linguistic information, but also assumes the form from a comprehensive dictionary. Therefore, when i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we should take account of the efficiency of learning or the accuracy of information, rather than the unity of the composition.

      • KCI등재

        경유겸(景惟謙)의 《전운편람(篆韻便覽)》과 한자학적 가치

        하영삼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4 No.-

        一六五一年刊行的景惟謙(1586∼?)的《篆韻便覽》是一部朝鮮現存最早的篆書辭典兼篆體硏究專著。 可惜, 至今還沒有專門介紹過, 故本文首先介紹了《篆韻便覽》的結構和內容, 再次究明了《篆韻便覽》所內涵的漢字學理論上的意義。 其學術意義, 主要有: 第一, 系統地彙集了有關篆書資料, 以供篆書硏究資料, 諸如: 彙編了《說文》小篆(與隸書結構不一致的小篆1627字), 古文和?文等各種異體字, 以及“上方大篆”等二十八種篆書變體。第二, 詳細歸納了“隷變”條例, 系統地硏究了“隸變”規律, 諸如: <隸同篆異>(可稱爲`同化`)227條, <隸異篆同>(可稱爲`異化`)121條(同一偏旁的分化93例, 同字的分化28例), <左右上下換排>(可稱爲`移動`)34條等。 第三, 創造以韓音韻尾分十類的新字序法, 貢獻了漢字字典編撰發展史。 第四, 以字素的槪念坼開了篆書, 分類了“左旁”48種、 “右旁”85種、“上旁”105種、 “下旁”26種、 “外旁”17種等, 以推動字素論的發展。 可見《篆韻便覽》不僅在篆書字典本身有意義, 也在漢字學理論上擁有卓越性和字典編撰史上的貢獻。

      • KCI등재

        한자 음운학을 통한 음운사의 연구 - 이돈주(李敦柱)(1995)의 『한자음운학(漢字音韻學)의 이해(理解)』을 대상으로-

        이준환 ( Yi Junhwa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5 N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motivation, composition and main technical contents of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解, 1995) written by Lee Ton-ju, which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troduction to Chinese character research, and its value as an introduction and research book. I wanted to look at the whole. Through this, I have found that this book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East Asian phonology as well as Korean phonology.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解) is closely related to the Hanjahak Chongnon(漢字學總論)'s writing and revision work. The Hanjahak Chongnon(漢字學總論) includes the part related to Chinese character in the sens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rts related to shape, meaning and related part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Chinese character. This part of the note has undergone a process of expand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 through revision work, which is further refined, more inclusive of the author's discussions, and includes the understanding of the Sino-Korean and Sino-Japanese,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 解) was born. The point of this the Hanja Eumunhagui Ihae(漢字音韻學의 理解) can be read without difficulty in the turn of this book. In addition, the contents described in each chapter lead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expanding to an understanding of Chineses, Sino-Korean, and Sino-Japanese,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T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he Chinese characters will be wider, and this aspect of the book in mind with the need to acquire knowledge related to the need to learn the book can be understood by those who use it. In this process, the author did not merely suggest their own views, but rather abundantly presented the research results of various researchers and tried to avoid the loss of credibility by rationalizing techniques without losing bal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