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等學校漢文敎科書의內容및水準問題 考察

        元容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한문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연계하는 교육이 정상화되고 위계성을 갖추고자 한다면 중학교 교과서는 중학교 교과서답고, 고등학교는 고등학교 교과서다워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가 고등학교에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에 고등학교 교과서다운가를 검토하였다.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는 학교 교육에서 한문교육의 주된 교재로서의 표준 저작물이며 교수-학습 과정의 중심역할을 하는 도서이다. 이 때 한문 교과서는 고등학교 ‘한문’에 관련된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급별 교과서에 대한 표준화의 문제는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는 10종이 발간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중학교에서 제대로 한문을 이수하지 않는 학습자를 위하여 기초단원을 설정한 교과서는 6종이었다. ‘한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학습자들의 공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단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중학교용 900자도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배려하는 것이 보다 나은 교과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언어생활에 활용되는 생활 한자어들이 본문에서 활용된 것을 조사한 결과 6차에 비하여 7차의 교과서들은 현저하게 그 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상적인 한문 교육을 위한 방향이며 대세라고 여겨진다. 한문 교과서에서 가장 재미가 없고, 내용의 연관성도 적으며 단순한 암기를 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이 바로 생활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성어 및 속담?격언?명언?명구’ 중에서 고등학교용 900자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내용을 추출하여 중학교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히 많은 숫자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문 교과서에 실려 있는 내용이 전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임의적으로 누적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가 쉽더라도 내용이 어려운 것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활용하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그렇지 않는 내용들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이 자제되어 자체 내용을 충실하게 확보함은 물론, 중학교 교과서와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Several problems should be solved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writing to be placed upon the right track. Especially the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worthy of the names for the education to be normalized and be ranked which links middle schools to high schools. So on this study I researched how well the existing textbooks at high schools had been organized for Chinese writing to be taught, learned and evaluated. 'Chinese writing' textbooks of high schools are the standardized literary works as main text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and they are also the hoo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urriculum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The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should include the standardized and universal contents related to Chinese writing of high school.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re should be standardization on textbooks at each school level. Ten kinds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of high school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ong them six kinds of textbooks established basic units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completed Chinese writing properly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we should establish some basic units to ensure basic understanding of 'Chinese writing' and commonness of learners.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basic 9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s have to be used as many as possible for the better textbooks. According to the survey which examined how often the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in daily life are used in the texts, compared with the 6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 could see the frequency in use of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ecreased. This is in the right direction and it is the general tendency. In fact the least exciting part in the Chinese writing among the learners is the very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in daily life because they are the least exciting, the contents are not connected each other and most of all they have to be memorized by rot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that how much they are us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after extracting the contents which do not include 900 Chinese characters for high schools among the idioms, proverbs, old sayings, maxims, and wise sayings, a larg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re still being used in textbooks from grade 1 to grade 3 in middle schools. It shows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Chinese writing are not standardized at all and they are arbitrarily repeated. Therefore if Chinese characters are easy but the contents in the texts are difficult they ought to be used and taught in high school curriculum. Otherwise they should not be used in high schools. Furthermore we should establish the connection and hierarchy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 KCI등재

        傳統文化의 理解를 위한 效果的인 敎授-學習方法 探究 : 제7차 高等學校 漢文敎科書를 中心으로 Focalized on the 7th Highschool Chinese Literature Textbooks

        金國會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0 No.-

        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요인을 교사, 학생, 교육내용(교과서)이라고 할 때, 각각의 독립적 특성이 따로 존재할 뿐 아니라, 삼자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호 관계성을 찾아보면, 1) 교사와 학생 양자 관계 2) 교사와 교과서의 양자 관계 3) 학생과 교과서의 양자 관계 4) 교사와 교과서와 학생의 삼자 관계 등과 같이 각각의 상호 관계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인이 존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문 교육에 있어서의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노력도, 결국 이 교사-교과서-학생의 문제 혹은 이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개선의 노력이었으며, 이 삼자 관계에서 존재하는 변인에 대한 이해의 증진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추어 편찬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변화된 특성을 파악하고, 다른 변인으로 작용할 두 측면, 교사와 학생에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기 위한 교육내용은 달라진 것이 없으나, 진술 방식 곧 전통문화의 이해 방법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7차 한문 교과서가 6차 교과서와 달라진 점은 크게 1. 문법 설명 위주에서 문장 독해 중심으로, 2. 한문 교과 위주에서 통합 교과 수용 방향으로, 3. 정적인 강의 자료에서 학생의 동적인 체험 활동 중심으로, 4. 문자 중심의 제시에서 그림, 매체 활용 중심으로 등의 네 가지로 파악하였고, 이에 따른 교수-학습의 방법도 각각 변화된 중점에 초점을 두어, 독해 중심 교수-학습법, 통합 교과 교수-학습법, 체험 활동 교수-학습법, 매체 활용 교수-학습법이라는 용어를 설정하고, 각각의 교수-학습에 있어서, 도입-전개-평가-정리의 수업 단계별로 교사와 학생의 입장에서의 개선점 또는 유의점을 탐색해 보았다. 7차 교과서가 갖는 변화된 모습이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으로 이어지느냐 마느냐는 교과서의 변화만도 아니요, 학생의 변화만도 아니요, 교수-학습의 실질적인 주체 역할을 수행하는 한문 교사에게 달려 있음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더욱이 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 교과의 위상이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재량활동 가운데에서도 그 교과의 효용성을 입증하고, 교육과정에서의 확고한 교과 위상을 되찾기 위해서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한문 교육을 지도하고 있는 한문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그러나 이러한 한문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조가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교단 지원이 함께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한문 교사들이 새로운 교과서의 편성에 알맞게 다양한 교수-학습 기법을 익힐 수 있도록 연수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하고, 한문 교과 연구회나 한자, 한문 교육 학회, 지역 및 전국 단위 교사 공동체 모임 등을 통해서 서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 공유와 교수 자료의 공유가 더욱 요구된다. 공유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많고, 이렇게 공유된 교수-학습의 정보를 토대로 재생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 학교별로 고립되어 있는 한문 교사의 전문교과 교사로서의 학교 내 위상이 제고될 것이며, 그러한 교사의 위상 제고는 학교 교육과정에서 재량활동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는 한문 교과의 위상과 직결되는 문제가 된다. 따라서 모든 한문 교육 관련 학자나, 교사, 교육 관련 지원 담당자와의 긴밀한 상호 정보 교류를 맺어야 하며, 교사 자신은 부단한 자기 연찬과 함께 다른 한문 교사들과 敎育相長의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며 가까운 지역으로부터 교육 현장에서의 실질적 경험과 문제점, 개선책을 공유하고, 나아가 전국적으로 교과 공동체적 인식을 함께 가져야 할 것이다. If we say the factors making teaching-learning process possible in education are teachers, students, teaching contents(textbooks), each one has not only its independent characteristics but various triparti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they are: 1) b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2) b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extbooks 3) bipartit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extbooks 4) tripartit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students and textbooks Many efforts in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re, after all, for improving these relationships and solving problem in them. Also, those efforts were made to better understand the elements involved among them. This manuscript is based on these grounds, and trying to grip what’s different in the new high-school Chinese literature textbooks, I want to suggest some ways ti im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 other two factors. The 7th Chinese literature textbook has same contents as its predecessor in that it tries to inherit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further. However, in terms of descriptive method, That is understanding traditional culture, there are some differences: 1. from grammar-oriented to reading comprehension-oriented 2. from within the boundary to synthesis with other subjects 3. from static lecturing materials to active experiencing activities 4. from letter-oriented presentation to pictures and media-oriented one New tems were devised to reflect each changes above; reading-oriented teaching-learing method, synthesized subjects teaching-learning method, experiencing activite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media-assited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these new notion, I tried to find out what’s to im,proved and be kept in mind in the introduction-development~evaluations-completion stages in teaching-learning process. I must put an emphasis on the fact that this change in new textbook alone can’t lead to some improvements in teaching-learing methods. What is also important is the teacher who takes an important role of leading all these things. Futhermore, with the statues of Chinese literature being reduced in the 7th new curriculum(7차 교육과정), one of the regain its firm status in teaching process, a teacher needs to do his job properly. And all these things need realistic and organized support for teacher. More opportunities of training must be given to the teachers and more active material sharing among teachers is necessary through various kinds of academic groups for Chinese literature teacher’s status could be improved from a within a single school teacher to sepcialized professional personnel, which would make d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the subject itself. Therefore, information sharing is in need among scholars, teachers, officials of related field and teachers, studying and refining themselves ceaselessly, must try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which they would share with other ones. It can be started on a small scale involving geographically close neighborhood. And later this can be expanded to the nation-wide cooperation system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한문 교과서의 字形 비교 연구

        金永玉(Kim Young-og)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11 동아한학연구 Vol.- No.7

        본고는 2000년 12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1,800字’의 字形이 한문 교과서에 반영된 양상을 검토하고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론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과 한문 교과서의 한자 자형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한문 교과서에 어떠한 양상으로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자형이 한문 교과서의 자형에 미치는 규범 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문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자의 자형은 기본적으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을 준수하고 있으나, 일부 자형의 경우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과는 다른 자형으로 제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正字와 동일한 경우, 한문 교과서에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을 그대로 제시한 경우도 있었지만, 반면에 한문 교과서에서 ??강희자전??의 이체자 자형을 제시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한문 교과서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와 ??강희자전??의 자형을 혼용하여 제시하고 있었으며, 또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나 ??강희자전??에서 제시하지 않은 자형도 종종 제시하고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는 한자와 한문의 교수?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한자 자형의 기준이다. 그런데 한문 교과서의 일부 자형의 경우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과 다른 자형을 제시하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의 자형이 한문 교과서 한자 자형에 대하여 엄격한 규범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즉 이미 정해진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가 실제 교과서에서 표준 자형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과서 내에서 제시하고 있는 한자 자형이 표준화되지 못함에 따라, 한자를 교수하고 학습하는 이들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자형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 및 그것을 규범적으로 교과서에 적용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wa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 in which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t present, Ministry of Educ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on Dec. 2000, were reflect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can be said the basis of the character shape propos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However, with regard to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ose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No concrete study has not been found yet. This paper examined in what aspect and how much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ose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were reflected by comparing and looking into them, and also studied the influence and norm of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at can be confirmed through such examination on the character shapes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In respect of the comparison & review of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hose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that described in the main body, first of all,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block letters of ??Kangxizidian?? and to decide whether or not they are the same, and the aspect in which they were proposed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was looked into.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hapes of the Chinese characters proposed in the textbook basically comply with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but in case of some character shapes, they are proposed in the shap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is the basis of the Chinese character shapes of Chinese Classics textbook which become the most basic standard in teaching & lear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Classics. In spite of that, it could be confirmed that, some character shapes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were proposed in the shap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is can be said to be because that the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do not have strict norms compared with the character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Like this, the confusion of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proposed in the textbook increases confusion and burden to the persons who teach and learn Chinese characters. To solve this problem, it would be necessary to review the shape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apply them to the textbook as a norm.

      • KCI등재

        현행(現行)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의 변천(變遷) 연구(硏究) -<한자(漢字),한자어(漢字語)>영역(領域)을 중심으로-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7 漢字 漢文敎育 Vol.18 No.-

        이 논문은 現行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史的 變遷을 살펴본 논문이다. 주로 제1차 敎育課程期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한문교과서의 體制, 單元 配列, 한자 한자어의 主題別 단원 構成 등에 대한 比較 分析 檢討, 바람직한 한문교과서의 방향 등을 연구한 논문이다. 현행 한문교과서의 史的 변천에 대한 內容을 要約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1. 漢文敎科書의 體制 1) 內的體制의 變遷 : 한문교과서의 編次는 單純 편차 방식에서 多段階 편차 방식으로 增大 擴大 되어 왔다. 2) 外的 體制의 變遷 : 한문교과서의 외적체제(版型, 活字 및 활자 크기, 用紙, 色度 등)도 많은 변천 과정을 가져 왔다. (1) 版型 : 제1차 교육과정기~제6차 교육과정기까지 菊版이 사용되다가,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는 4·6배판이 사용되고 있다. (2) 活字 : 교육과정기가 거듭될수록 활자는 輕便 字母 活字에서 원도활자로, 전산식자체에서 CAP시스템으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色度도 單色에서 7차 교육시기에는 2도로 발전을 하였다. (3) 用紙(紙質): 본문에 사용된 용지는 갱지→미색 갱지→중질지(서적지)→서적지로 발전을 가져 왔으며, 표지에 사용된 용지는 갱지→모조지→백상지→엠보싱으로 발전을 가져 왔다. 2. 單元 配列 1) 全體 單元 體系 : 제1차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한자어 영역의 小單元 구성을 하고 있지 않았고, 제2차~제4차 시기에는 전체 교과서 중에 몇 종만이 大單元과 소단원을 구성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교과서들은 소단원 구성을 하고 있었다. 제5차~제7차시기까지 거의 모든 교과서가 대단원을 구성하고 있었다. 2) 漢字·漢字語 領域 單元 體系 : 제1차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한자어 영역의 소단원을 구성한 교과서는 한 군데도 없었으며, 제2차 시기에서 제4차시기까지에는 생활 ``한자어``가 주를 이루었다. 제5차 이후에는 현대에서 만들어진 成語 및 故事成語가 ``한자·한자어`` 영역에 점점 내용이 증가 되었으며, 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성어, 고사성어에 관한 내용이 증가되었다. 3) 敎育課程 單位 時間 配當 : 한문과 교육과정 단위 시간에 알맞은 대단원과 소단원의 수는 <한문>이 4단위일 경우에는 68시간 내에 가능한 소단원 수는 29개 미만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대단원 수는 6~8개이며, 1개의 대단원 속에 소단원수는 3~4개 정도가 알맞다. <한문>이 8단위일 경우에는 136시간 내에 가능한 소단원 수는 57개 미만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대단원 수는 10~14개이며, 1개의 대단원 속에 소단원수는 4~5개 정도가 알맞다. 3. 漢字·漢字語의 主題別 單元 構成 제1차시기부터 제7차시기까지 한자·한자어 영역의 내용을 이루는 主題는 入學式, 祖國, 文化, 敎育, 國土, 民族, 科學, 經濟, 民主社會, 環境 등을 포함하여 모두 38개의 주제로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hanges of high-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For this, we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and unit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in the textbooks from the 1st to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onsidered directions for desirable Chinese writing textbooks. The details of changes in Chinese writing textbook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1) Change in internal structure: The content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has been expanded from a single-level structure to multiple-level structure. 2) Change in external structure: The outward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book size, type and type size, paper, colors, etc.) has also been changed significantly. (1) Book size: A5 size was used from the 1st to 6th National Curriculum, and B5 size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 Type: With the change of curriculums, type evolved from the plain matrix type to the Windows type, from the computer typesetting system to the CAP system, and color was also changed from single-color to two-color in the 7th Curriculum. (3) Paper (quality): Paper used in print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evolved from groundwood paper→creamish groundwood paper→ fair-quality paper (book paper)→book paper, and cover paper also changed from groundwood paper→woodfree paper→uncoated printing paper→embossing. 2. Unit organization 1) General unit organization: In the 1st Curriculum, the textbooks did not have subunits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in the 2nd~4th Curriculums, only some of the textbooks had the structure of units and subunits and the others were composed with subunits only. In the 5th~7th Curriculum, almost every textbook has units. 2) Unit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In the 1st Curriculum, none of the textbooks had subunits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in the 2nd~4th Curriculums, Chinese words in everyday life were main contents. From the 5th Curriculum, idiomatic phrases coined in the present age and old idiomatic phrases increased gradually in the area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words`` and in the 7th Curriculum, contents related to idiomatic phrases and old idiomatic phrases increased. 3) Allocation of class hours: If <Chinese writing> is a 4-credit subject, the desirable number of subunits is less than 29, which can be covered within 68 hours, and the desirable number of units is 6~8, each of which has 3~4 subunits. If <Chinese writing> is a 8-credit subject, the desirable number of subunits is less than 57, which can be covered within 136 hours, and the desirable number of units is 10~14, each of which has 4~5 subunits. 3.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From the 1st to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re composed of 38 themes including entrance ceremony, fatherland, culture, education, national land, people, science, economy, democratic society and environment.

      • KCI등재

        한문교과서 연구사(硏究史) 검토

        이동재 ( Lee Dong-jae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6 한문교육논집 Vol.47 No.-

        한문교과서의 연구 목적은 더 좋은 교과서를 만들기 위한 것임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문교과서는 1972년 한문교과가 교육과정에서 독립 교과로 편성되기 이전부터 교과서가 간행되었다. 한문교과서는 제3차 교육과정기 이후 교육과정기별로 편차는 있었지만 대략 중학교는 20여종, 고등학교는 10여종이 넘는 교과서가 간행되어 일선 학교 한문교육의 핵심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교과서 분석의 준거는 개인의 교육적 신념이나 취향이 아닌 교육과정이어야 한다. 즉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한문과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이나 제재,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을 반영하고, 여기에 학생들로 하여금 쉽고 재미있게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가에 있다. 한문교과서의 연구는 처음에는 교과서의 구성 실태와 내용의 수용 양상의 분석, 오류 분석에서 출발하였으나 교육과정이 거듭되면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분석, 내용수준, 위계별 학습 요소, 製冊 등에 대한 여러 대안이 제시되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한문교과서의 연구는 한문 문법, 한시 등 특정 분야와 四書 등 특정 내용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었고, 학습목표의 진술과 교과 내용, 평가에 대한 연계 등에 관한 연구, 교과서의 구성, 조직, 삽화 등 제책에 관한 연구 성과가 매우 부족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연구도 심화되어야 한다. 한문교과서의 가장 최우선의 과제는 학생들로 하여금 한문을 왜 배워야하는지에 답할 수 있는 교과서의 개발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한문교과서를 만들 때 가장 고려하여야 할 것은 교과서의 집필자도 편집자도 아니고, 현장의 한문교사도 아니며 한문교과서를 배우는 학생들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즉 교과서의 단원 설정 취지는 물론 내용과 제재에 대한 선택, 성취기준에 담겨 있는 핵심 내용 및 개념이 학생들이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 연구과제는 한자, 한자 어휘, 산문, 한시 등 각 분야별로 연구사를 앞에서 제시한 기준에 의해 다시 검토하여 보고, 연구의 기준이 타당한가를 평가해보는 것은 추후 과제로 남기며, 여러 동학들의 동참을 기대해 본다. Nobody can deny that we study Chinese characters textbook to make a better textbook. Chinese characters textbook was published even before Chinese character subject was designated as independent subject in the curriculum in 1972.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curriculum after the third curriculum 20 plus kinds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and 10 plus kinds of textbooks in high school were published and used as core textbooks for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the field.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must be the curriculum rather than personal educational faith or taste. In other words, the standards must be if i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educational goals, contents, subjec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and if students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easily and joyfully. Although the study o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started from analysis of textbook composition, contents accommodation and errors, it developed to curriculum related analysis, contents level, hierarchical study elements and bookbinding alternatives with curriculums changed. Studies o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have focused on specific field such as classical Chinese grammar and Chinese poems and specific contents such as history books. As studies on statement of learning goal, connection between subject contents and evaluation, composition of textbook, bookbinding such as organization and illustrations have not been actively made, studies in these fields should be developed. The first priority in Chinese characters textbook should be placed on the answer of the question why students need to learn Chinese characters. We must remember that the most important people that we should consider when we make Chinese characters textbook are neither writers or editors nor Chinese characters teachers in the field but students who learn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textbook. In other words, students should be able to access to selected contents and subjects and core content and concept in achievement standard as well as object of the unit practically. In further studies, it is expected to review the study history i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Sino vocabularies, verses and poems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standards and evaluated if study standards are valid. Participation of fellow scholars is also expected.

      • KCI등재

        북한의 한문교과서 연구

        진재교(Jin, Jae-kyo) 대동한문학회 2018 大東漢文學 Vol.55 No.-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의 한문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현행 북한의 한문 교과서는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새로 간행된 것이다. 현재 북한의 한문교육은 중등학교에서 배우는 年限을 반으로 줄여 6년에서 3년으로 축소하고, 한문교과서 역시 전 시기에 비해 대폭 축소시켰다. 한문교과서의 구성과 내용 역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분량 역시 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과수는 물론 학습할 내용과 학습 한자도 줄었다. 하지만 교과서의 체제와 구성 방식은 체계적이고 통일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형 교과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다양한 학습 요소를 배치하여 새로 배울 한자를 배치함으로써 줄어든 시간과 내용을 보완하고 있다. 이는 현행 북한 한문교과서의 최대 장점이자, 전 시기의 교과서와 비교하면 진일보한 구성 방식인 것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은 예전에 볼 수 없던 특색이자 장점이다. 하지만 한자교육을 위주로 단원을 구성한 것이나, 단원의 내용 또한 북한 체제 선전을 제시한 것에서는 전 시기와 동일하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무관한 글감이거니와, 주로 사회주의 체제선전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우상화와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을 강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엇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studies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Kim Jong Un era.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reissued after Kim Jong Un regime of North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of Classical Chinese in North Korea reduced to three-year course from six-year course,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same time last year. Composition and content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changed, and the whole quantity was also diminished in quantity than before. Learning content and Classical Chinese began to lessen. However, textbook’s system and method of organization is systematic and unificative, and it also aims at textbooks of self-directed learning. Also to make up for the lost time and contents, text books were placed learning elements and new words. It is one of the biggest benefit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North Korea, and it is also a great step forward in method of organization. It is a unique feature to arouse learner interest utilizing various medias.

      • KCI등재

        中・高 漢文敎科書 ‘漢字’ 領域 分析 및 構成 方向 摸索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roles of textbook, we need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the field and explore the direction we should go.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alization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from a correlation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way to design tha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ill be effective in actual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are selected. First, to analyze and review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Second, to review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rd, to find the way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 that learners are main agents of learn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textbook. The transform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reduction, expansion, supplement and deletion of the content. In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the way how to design units was examined. 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plans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extbook with consideration for actual classroom and learn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proposed some problems awaiting solution as regards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 讀解나 語彙 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 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 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현을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문과 교실 수업에 유효한 ‘한자’ 영역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중・고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을 분석, 검토한다. 둘째,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검토한다. 셋째, 한문 학습자가 한문 학습의 주체라는 관점을 토대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은 주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변형되어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변형은 교육과정의 내용의 축소와 확장, 추가와 삭제로 구분하였다.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은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단원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가 달랐다.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가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세분화, 구체화하여 수록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실 수업’과 ‘학습자’를 고려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해당 교과서의 본문에 쓰인 한자의 뜻을 중심으로 편집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을 별책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 자전의 대체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습한자 구성 방식과 제시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한자 쓰기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한자’ 영역과 관련하여 향후 과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한문 학습을 위한 한자 수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 학습자의 한자 지식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자 습득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한일합병 전후 교과서 검정을 통한 한문과 교과서 개발 억제 실태 연구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본고는 한일합병 전후 시기의 한문과 교과서들에 대한 탄압의 배경과 상황 그리고 탄압의 결과가 한문과 발전 역사에 끼친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고구할 목적하에 집필되었다. 처음부터 일본인들은 기본적으로 한국 학교에서의 한문과 교육을 실시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당시 한국 내 정황상 한문과 교육이 불가피하였으므로 한문과를 독립 · 존속시키고 학부에서 한문독본용 교과서를 제작하여 보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잠시 후 漢文科를 국어과와 통합하여 國語及漢文科로 변경시키고 활발하게 개발되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던 한문과 교과서를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敎科用圖書檢定規程을 발표한 시점을 전후하여 민간과 단체들이 제작하였거나 혹은 중국 등 외부로부터 수입한 교과서들의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여 교과서들의 내용이 정치적으로 일본 측에 비판적이거나 적대적인 것은 모두 사용을 금지시켰다. 한문과 교과서는 수신과, 국어과, 역사과 교과서들과 함께 집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새롭게 개발하여 사용하던 한문과 교과서는 예외 없이 사용이 금지되었다. 모든 교과서의 검정 진행 결과를 기록하고 있는 『敎科用圖書一覽』에 의하면 한일합병 직전에는 그나마 6-7종의 교과서들은 사용이 허가되었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명문장들을 모은 것이거나[고문약선, 문장지남, 한문학교과서 등] 아니면 문법 교육용 교과서[초등작문법]와 기독교계 학교에서 사용하던 수입 교재[초학계제, 회도몽학과본]들에 국한된 것이었다. 통감부와 조선총독부는 이처럼 새롭게 개발된 교과서들을 철저히 탄압하는 대신 논어 맹자 등 四書類를 비롯한 전통 교재들은 모두 검정을 통과시키고 있다. 이는 한문과의 교육 내용을 다시 유교의 경전들로 회귀시킴으로써 정치적으로 지방 유림의 반발을 무마하고 한문 학습을 이용한 신지식 획득이나 정치의식 고양을 막고자 하는 일본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결국 1906년 이후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과 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로서의 의미를 지닌 교과로 발전해가던 한문과의 노력은 좌절되었고 한문과 교과서들이 다시 중세의 교재들로 회귀하는 형국이 되고 만 것이다. 이러한 굴절의 역사는 한문과의 정체성을 복고적인 것으로 고정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survey banned situation of development in Chinese textbook from Japan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Before Korea-Japan annexation, Japanese authorities was reluctant to permit Korea`s Chinese education to students due to social context and public opinion. Since then, they changed Chinese department into Korean including Chinese. Also Chinese department minimized and was restricted to Chinese textbook. They presented a provision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to Korean. Systematically, they forbade Chinese textbook to provide for students. Particularly they banned textbook from China and made in publics and organization. They insisted they ban Chinese textbooks because of political threatening ideas 『Gyogwayongdoseoilram』in Joseon government-general shows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in these days. This book covered the process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At first, they allowed textbook in private organization to use partially. After all they banned all Chinese textbooks. Instead they permitted Confucian scriptures like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orks of Mencius」 to use. This caused local Confucianists to put down against Korea-Japan annexation. After making Chinese department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1906, survey of direction in Chinese department were frustrated. Outgrowing needs in identity of Chinese department were banned. Contents in Chinese department were restored medieval scriptures. This caused publics to recognize Chinese department as a reactionary subject.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 문제 연구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이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 방안」의 후속 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앞으로 시행될 제8자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일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의 문제점을,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 둘째, '한자어의 내용 문제' 셋째, '同音異議語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는 명칭과 분류 문제'와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명칭의 문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중앙교육은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분류에 있어서는 8종의 교과서가 '술목관계', '술보관계', '수식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다. 다만 '주술관계'는 7종의 교과서는 이견이 없지만, 청색출판사가 '주술관계'를 한자어의 짜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문장의 구조'로 파악했다. 또한, '병렬관계' 가운데 '유사관계'는 8종의 교과서가 이견이 없고, '대립관계'와 '대등관계'를 나누거나 묶어서 분류하는데, 서로 다른 이견이 있었다. 이는 한자어를 도식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인한 것이며, 제8자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의 짜임'을 문맥에서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 문제'이다. 8종의 교과서는 '自然保護'와 같이 우리말식으로 풀이되는 특이한 한자어를 제시하였으면서도, 일부 출판사는 설명이 없거나, 또는 '국어식 짜임', ‘우리말식 짜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臥病', '所願', '所望'같이 정격에 어긋난 짜임에 대하여, 8종의 교과서가 그 '짜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단지 일부 출판사만 '臥病'에 대해서 '병들때 누움'이라고 뜻풀이를 보충하였을 뿐이다. 둘째, '한자어의 내용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문과 교육목표인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데 부적합하여 검토가 필요한 한자어는 1학년 교과서에는 14어휘, 2학년 교과서에는 34어휘, 3학년 교과서에는 54어휘가 있다. 이들 어휘 가운데 부사어는 30어휘, 생경하거나 난해한 어휘는 55어휘로, 과연 '언어생활과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殺人'과 같이 그 의미가 교과 내용으로 부적절한 한자어는 17어휘로써, 이에 대해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同音異議語'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同音異議語의 지도는 타교과가 넘볼 수 없는 한문과의 고유 영역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8종의 한문교과서에는 53어휘의 同音異議語가 수록되어 있다. 8종의 교과서 가운데 同音異議語에 대한 설명은 5개 출판사에 20어휘에 대한 설명이 있고, 3개 출판사는 다루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전부 수용해야 하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교육과정에 따라 간행된 교과서보다는 교과서의 제제, 내용 등에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자어의 짜임'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통일과 '한자어의 내용', '同音異議語'에 대한 지도 대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제8자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집필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a direction for Chinese textbook which will be written according to the 8th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 found in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s the succeeding research which follows "the method of unify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900 Chinese characters in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ad by me at academic conference having a theme of "Diagnosis and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which was held by the Korea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Society. Though Chinese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wed Chinese words diversely, some textbooks have a difference in the title and classif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that is, grammatical function for the make-up of Chinese words and inappropriate contents not to be compatible with Chinese subject educational aim which is helping language life,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boosting the sound thinking and desirous human nature. This paper analyzed and divided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 found in Chinese writing textbook like a following order, first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then the problems of contents of Chinese words and finally the problem of homophony. The conclusion is like followings. First,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can be can be divided into the subcategories of the problem of title and classification and the problem of special make-up. Concerning the problem of title and classification, text book by Jungang Education among 8 textbooks didn't give a title and there is no objection to classification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objective',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complement and modification among eight textbooks.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predicate, however, has no difference among seven textbooks but a textbook by Chungsaek Publishing Co consider it not at the viewpoint of 'make-up of Chinese words but at that of 'structure of sentence. Concerning the parallel relation,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similarity relation but 'opposition relation' and 'equality relation' show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such as division and binding. Then, the problem of make-up of special Chinese words is studied at the respect of Korean style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beyond correct and regular Chinese words. With regard to 'Conservation of nature', which is Korean style composition, Pakyoung Sa explains nothing about it, but Kyohak Sa, Dongwha Sa, Minjung Seorim and Jihak Sa explain it as "Korean style composition" and Jungang Education, Cheongsaek and Taesung Publish Co. explain it as our language's composition'. Nine publishing companies explain nothing about composition, concerning the abnormal words such as 'lying in a sick bed(臥病)', 'one's desire(所願)' and 'desire(所望)' Second, I research the contents of Chinese words'. There are 54 Chinese words not satisfying Chinese subject educational aim helping language life and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boosting the sound thinking and desirous human nature, which is needed to exam. Thirty one words among them is adverb. Fifty four crude and difficult words are needed to take a detailed examination to know if they could help language life and the learning of other subjects. Inappropriate words such as 'killing man' need to be modified because it has the contents which are not compatible with the contents of Chinese subject. Third, I analyzed homophony. The teaching of homophony is unique area other subjects can't look over. Eight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hun have 53 words with homophony. About them, Kyohaksa explains five words, Dongwhasa five words, Jihaksa one word, Cheongsaek one word and Taesung eightwords, but Minjungseorim, Pakyotmgsa, Jungang Education deal with nothing about them. It is true that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have developed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extbook to a great extent, compared to those textbooks of old Curriculums. They, however, have problems of how to classify and name 'make-up of Chinese characters' in thesame standard. In addition, they have a problem of teaching a method to guide homophony and changing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Future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the 8th Curriculum are to consider all sorts of these problems.

      • KCI등재

        韓國 漢文 敎科書의 變遷史 -敎育課程 適用 時期를 中心으로-

        장호성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4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selected educationally meaningful materia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classical Chinese class curriculum. Classical Chinese teaching materials mediated to communicate teaching and learning. This study presents the history of changes in Korea Classical Chinese class teaching materials of the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fter the curriculum application period and The Korea textbook issuance system uses of combination that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authorized textbook (middle stage), and recognized textbook. Classical Chinese textbooks has been published an authorized textbook or recognized textbook in early stage an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in the middle stage, after that recently recognized textbook. This article showed listing and cataloging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s, according as curriculum in Korea. Also, Language planning was influenced enactment of 'Educational Chinese character ‘Commercial Chinese character’, ‘Classical Chinese education basic Chinese character’.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re are various change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ternal structure. 漢文科 敎材는 漢文科 敎育課程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를 선택하여 그것을 매개로 교수․학습의 의사소통을 하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한문과 교재 중 가장 대표적인 교재라 할 수 있는 ‘敎科書’, 그 중에서도 교육과정이 적용된 시기 이후에 발행된 ‘한문 교과서’로 한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교과서 발행 제도는 國定․檢定․認定制를 倂用하고 있는데, 한문 교과서는 초기에는 검정 또는 인정 교과서로, 중기에 한때 국정 교과서로, 그리고 최근에는 인정 교과서로 발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교육과정이 제정된 이후에 발행되었거나, 혹은 그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漢文 교과서(漢字, 漢字語 포함)를 조사하여 目錄化하고, 수집 가능한 교과서를 통해 한문 교과서의 변천 과정 및 그 내용상의 특징을 개괄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한문 교과서는 국가의 語文政策 그리고 敎育課程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게 되었다. 어문정책이 바뀜에 따라 소위 ‘敎育漢字’, ‘常用漢字’, ‘漢文敎育用 基礎漢字’가 제정되었고, 제한된 紙面에 이들 한자를 소화하기 위해 單元의 數 및 구성 체계 등이 변화하게 되었다. 또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그 기본 취지에 맞게 내용의 선정 및 조직,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그리고 외형 체제 등에 있어 다양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