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의 한문교과서 연구 = A Study on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North Korea : Focused on the current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31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의 한문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현행 북한의 한문 교과서는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새로 간행된 것이다. 현재 북한의 한문교육은 중등학교에서 배우는 年限을 반으로 줄여 6년에서 3년으로 축소하고, 한문교과서 역시 전 시기에 비해 대폭 축소시켰다. 한문교과서의 구성과 내용 역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분량 역시 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과수는 물론 학습할 내용과 학습 한자도 줄었다. 하지만 교과서의 체제와 구성 방식은 체계적이고 통일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형 교과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다양한 학습 요소를 배치하여 새로 배울 한자를 배치함으로써 줄어든 시간과 내용을 보완하고 있다. 이는 현행 북한 한문교과서의 최대 장점이자, 전 시기의 교과서와 비교하면 진일보한 구성 방식인 것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은 예전에 볼 수 없던 특색이자 장점이다. 하지만 한자교육을 위주로 단원을 구성한 것이나, 단원의 내용 또한 북한 체제 선전을 제시한 것에서는 전 시기와 동일하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무관한 글감이거니와, 주로 사회주의 체제선전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우상화와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을 강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엇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의 한문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현행 북한의 한문 교과서는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새로 간행된 것이다. 현재 북한의 한문교육은 중등학교에서 배우는 年限을 반으로...

      이 논문은 김정은 시대의 한문교과서를 분석한 것이다. 현행 북한의 한문 교과서는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새로 간행된 것이다. 현재 북한의 한문교육은 중등학교에서 배우는 年限을 반으로 줄여 6년에서 3년으로 축소하고, 한문교과서 역시 전 시기에 비해 대폭 축소시켰다. 한문교과서의 구성과 내용 역시 바뀌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분량 역시 전에 비해 줄어들었다. 과수는 물론 학습할 내용과 학습 한자도 줄었다. 하지만 교과서의 체제와 구성 방식은 체계적이고 통일성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주도형 교과서를 지향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에 다양한 학습 요소를 배치하여 새로 배울 한자를 배치함으로써 줄어든 시간과 내용을 보완하고 있다. 이는 현행 북한 한문교과서의 최대 장점이자, 전 시기의 교과서와 비교하면 진일보한 구성 방식인 것이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은 예전에 볼 수 없던 특색이자 장점이다. 하지만 한자교육을 위주로 단원을 구성한 것이나, 단원의 내용 또한 북한 체제 선전을 제시한 것에서는 전 시기와 동일하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무관한 글감이거니와, 주로 사회주의 체제선전과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우상화와 체제를 선전하는 내용을 강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북한이 추구하는 한문교육의 방향과도 엇나가는 것이기도 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Kim Jong Un era.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reissued after Kim Jong Un regime of North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of Classical Chinese in North Korea reduced to three-year course from six-year course,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same time last year. Composition and content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changed, and the whole quantity was also diminished in quantity than before. Learning content and Classical Chinese began to lessen. However, textbook’s system and method of organization is systematic and unificative, and it also aims at textbooks of self-directed learning. Also to make up for the lost time and contents, text books were placed learning elements and new words. It is one of the biggest benefit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North Korea, and it is also a great step forward in method of organization. It is a unique feature to arouse learner interest utilizing various medias.
      번역하기

      This paper studies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Kim Jong Un era.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reissued after Kim Jong Un regime of North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of Classical Chinese in North Korea reduced to three-year cours...

      This paper studies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Kim Jong Un era. The current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reissued after Kim Jong Un regime of North Korea.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of Classical Chinese in North Korea reduced to three-year course from six-year course,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wa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same time last year. Composition and content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changed, and the whole quantity was also diminished in quantity than before. Learning content and Classical Chinese began to lessen. However, textbook’s system and method of organization is systematic and unificative, and it also aims at textbooks of self-directed learning. Also to make up for the lost time and contents, text books were placed learning elements and new words. It is one of the biggest benefits of Classical Chinese textbook in North Korea, and it is also a great step forward in method of organization. It is a unique feature to arouse learner interest utilizing various media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북한의 현행 고급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체제
      • 3. 북한의 현행 고급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내용체계와 지향
      • 4. 맺음말
      • 1. 머리말
      • 2. 북한의 현행 고급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체제
      • 3. 북한의 현행 고급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내용체계와 지향
      • 4.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 "한문문법" 사회과학출판사 2013

      2 박영도, "한문교수참고서(고급중학교 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3 리만규, "한문(초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56

      4 홍 덕, "한문(고등 중학교 6)" 교육도서출판사 2001

      5 강두성, "한문(고등 중학교 5)" 교육도서출판사 2001

      6 리규찬, "한문(고등 중학교 4)" 교육도서출판사 2001

      7 정정남, "한문(고등 중학교 3)" 교육도서출판사 2001

      8 박종원, "한문(고등 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01

      9 박종원, "한문(고등 중학교 1)" 교육도서출판사 2002

      10 홍기문, "한문(고급중학교 2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56

      1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 "한문문법" 사회과학출판사 2013

      2 박영도, "한문교수참고서(고급중학교 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3

      3 리만규, "한문(초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56

      4 홍 덕, "한문(고등 중학교 6)" 교육도서출판사 2001

      5 강두성, "한문(고등 중학교 5)" 교육도서출판사 2001

      6 리규찬, "한문(고등 중학교 4)" 교육도서출판사 2001

      7 정정남, "한문(고등 중학교 3)" 교육도서출판사 2001

      8 박종원, "한문(고등 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01

      9 박종원, "한문(고등 중학교 1)" 교육도서출판사 2002

      10 홍기문, "한문(고급중학교 2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56

      11 홍기문, "한문(고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56

      12 홍덕, "한문(고급 중학교 3)" 교육도서출판사 2015

      13 박용호, "한문(고급 중학교 2)" 교육도서출판사 2014

      14 지선화, "한문(고급 중학교 1)" 교육도서출판사 2013

      15 진재교, "북한의 한자문화와 그 사회?문화적 의미" 아세아문제연구소 45 (45): 61-88, 2002

      16 진재교, "북한의 한문교육과 그 추이" 한국한문교육학회 (47) : 289-326, 2016

      17 진재교, "북한의 어문정책과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14) : 2001

      18 조정아,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교육정책・교육과정・교과서" 통일연구원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