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형성적 피드백 과정에서 피드백 환경의 역할 탐색

        김재욱(Jaeuk Kim),손원숙(Wonsook Sohn)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형성적 피드백, 기본심리욕구, 학업참여의 구조적 관계로 설정된 형성적 피드백 과정에서 피드백 환경이 어떻게 기능하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피드백 환경은 일상의 비형식적 상호작용까지 포함하는 피드백 처리 과정의 맥락 요인으로 학생의 피드백 수용과 활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피드백 지향적 문화를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드백 환경의 긍정적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두 개의 분석 모형을 설정하여 피드백 환경이 형성적 피드백 과정에 미치는 직, 간접적 효과와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D지역의 3개교 10개 학급에서 수집된 고등학생 196명의 데이터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피드백 환경은 형성적 피드백 과정에 유의한 직, 간접적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피드백 환경은 형성적 피드백 과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즉, 피드백 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형성적 피드백이 기본심리욕구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학업참여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논의하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을 추가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the feedback environment functions within the formative feedback process established b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ormative feedback,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The feedback environment is a contextual aspect of the feedback process and the feedback-oriented culture that influences considerably the learner s acceptance of feedback and whether they reflect this in their behavior. To this end, two structure models were constructed to confirm the direct, indirect effects and the moderation effects of the feedback environment on the formative feedback process. For this study, 196 high school students collected from 10 classes in three schools in D district of Korea were analyzed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feedback environment on perceived formative feedback,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participation were confirmed. Specifically, the feedback environment directly increased the student s perception of formative feedback, and by partial mediating the formative feedback, it showed a indirect effect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addition, the feedback environment indirectly increased the academic engagement by complete mediating the formative feedback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respectively or dually. Second, the feedback environment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cademic engag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feedback environment, the stronger direct effect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direct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Finall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피드백 유형과 수업맥락이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규은(Gyueun Kim),김민성(Minseong Kim)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3 Global Creative Leader Vol.13 No.4

        본 연구는 대학수업에서 피드백 유형과 수업맥락(전공계열, 교수-학생 관계)이 피드백 성과(outcome)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활용하여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30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드백 유형(구체적, 방향제시, 격려, 대화적, 적시적) 중에서 구체적 피드백, 격려 피드백, 대화적 피드백은 피드백 성과(이해, 성찰, 도움추구, 학습동기)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수업맥락 변인인 교수-학생 관계는 모든 피드백 성과 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수업맥락 변인(전공계열, 교수-학생 관계)과 피드백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수업맥락 변인에 따른 피드백 유형의 차별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생 관계는 구체적 피드백, 격려 피드백, 적시적 피드백이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하였고, 교수-학생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피드백의 효과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업맥락과 효과적으로 밝혀진 피드백 유형이 피드백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으며, 수업맥락에 따라 피드백 유형의 차별적 효과를 다양하게 살펴봄으로써 수업맥락을 고려한 피드백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feedback types and class context (academic disciplin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feedback outcome in university class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of 430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ypes of feedback (elaborated, guiding, encouraging, interactive, and timely), elaborated feedback, encouraging feedback, and interactive feedback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feedback outcomes (understanding, reflection, help-seeking, and academic motivation). Seco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positively impacted all feedback outcome variable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eraction effect of class context variables (academic disciplin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feedback types on feedback outcome, differential effects of feedback types and class context were confirmed. Lastly,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moderated the effects of elaborated feedback, encouraging feedback, and timely feedback on feedback outcomes. The better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e higher the feedback outcome was generated. By demonstrating the differential impact of feedback types and class context on feedback outcomes, the study suggests educators to consider the class context when providing student feedback.

      • KCI등재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과 적용에 대한 질적 고찰

        김수정 ( Kim Sujeong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2

        본 연구는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수업 사례와 학습자들의 반응을 토대로 동료피드백을 통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II에서는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동료피드백과 인성교육의 접점을 찾아보았다. II.2에서는 인성교육의 개념과 인성교육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동료피드백은 동료 학습자의 유의미한 활동에 대하여 또 다른 동료 학습자가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서로의 견해를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개개인이 합의점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은 상대에 대한 배려와 존중, 자신의 표현에 대한 책임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이 추구하는 것과 매우 밀접하다. 인성의 핵심 덕목인 존중, 배려, 소통을 명시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동료피드백이라는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존중과 배려, 소통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득될 수 있기 때문이다. III에서는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공동체 형성’, ‘관계를 고려하여 소통하는 피드백’을 동료피드백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지향점으로 제안하고, 이를 교수자 측면, 피드백 제공자 측면, 피드백 수용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IV에서는 실제 수업에 동료피드백을 적용한 사례를 토대로 동료피드백의 인성교육적 가능성과 시사점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동료피드백은 배움 공동체 안에서 학습자가동료와 동료의 활동 결과물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그에 대하여 생각하는 것이다. 또한 생각한 바를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해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인성교육에서 강조하는 ‘알맞게 표현하는 예절’, ‘타인에 대한 존중’, ‘부여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는 책임’ 등의 덕목을 자연스럽게 함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teach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by examining it in a classroom scenario and analyzing the learners’ responses. In Chapter 2,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research on peer feedback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finds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two. In Section 2.2, the concept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are examined. This study also looks at how peer feedback should be conducted with relation to personality education. Peer feedback is defined as a learner suggesting his or her own opinion about another learner’s activity. It is also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s define a common ground through the process of exchanging opinions. This process presupposes care and respect for the other party, as well as the responsibility to express oneself. In this respect, it is very close to what personality education pursues. Communication abilities can thus be learned naturally by engaging in the activity of peer feedback, rather than by explicitly being taught respect, care, and communication. In Chapter 3, this study suggests a “community formation based on participation” and “feedback to communicat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s practical principles of personality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and examines this by dividing personality education into the catagories of faculty, feedback provider, and feedback recipient. In Chapter 4,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implications of peer feedback based on cases where peer feedback was applied in actual classes. Peer feedback in the context of classrooms implies that the learner is interested in and thinking about the outcomes of their peer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learning community. Also, we can think about how to express what we think within the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se experiences, virtues which are emphasized in personality education, such as “properly expressing etiquette emphasized in personality education”, “respect for others”, and “responsibility for assigned roles”, can be naturally cultivated.

      • KCI등재

        피드백 메시지가 직무 결과에 미치는 영향: 핵심자아평가와 LMX, 피드백 수용도를 중심으로

        허 욱(Wook Hur),강혜선(Hyesun Kang),구자숙(Jasook Koo) 한국인사조직학회 2018 인사조직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피드백 메시지 특성과 직무 관련 성과 변인들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피드백 메시지의 특성 중 피드백 유용성과 긍정/부정 피드백이 직무만족 및 경력발전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피드백 특성들이 직무만족과 경력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관계에 있어 피드백 수용도라는 매개변수가 어떻게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개인차 변인인 핵심자아평가(Core Self-Evaluations) 및 리더십 변인인 상사부하 관계의 질이 어떤 조절 효과를 수행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자료는 국내 9개 기업의 근로자 241명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드백 특성과 결과 변인들 간의 관계는 대체로 가설과 일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 피드백 특성인 피드백 유용성은 피드백 수용도,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피드백 특성인 긍정 피드백은 피드백 수용도, 직무만족, 경력발전과 모두 정(+)의 관계인 것으로, 세 번째 피드백 특성인 부정적 피드백은각 결과변인들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피드백 수용도의 매개효과에 관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드백 유용성과 직무만족 간 관계, 긍정 피드백과 직무만족, 경력발전 간 관계에 대해서는 피드백 수용도가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와 관련한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사부하 관계의 질이 선행변인들과 피드백 수용도 간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핵심자아평가(CSE)의 조절효과는 일부를 제외하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의의 및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과 한계,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feedback messages, particularly the utility and type of feedback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edback acceptanc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the effects of CSE (core self-evaluation) and LMX (Leader-Member Exchange) as moderating variables on feedback acceptance. Data used for empirical analysis was collected from 241 employees across nine Korean companies located in Seoul.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feedback was positively related to feedback acceptance, job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 and that the utility of feedback was positively related to feedback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Negative feedback was significant in mediating and outcome factor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feedback accept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tility of feedback, positive feedback and job satisfaction.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CSE on feedback messaging and feedback acceptan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ose of LMX not. The higher the CSE level of subordinates, the more likely the subordinates were to accept negative feedback.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eedback process literature by verifying the effect of CSE and LMX variables as moderators and of feedback acceptance as a mediator.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예비 교사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분석적 고찰

        김승현 ( Seung Hyun Kim ) 한국화법학회 2014 화법연구 Vol.0 No.25

        피드백 발화는 학습 동기를 부여하며, 학습자가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므로 수업대화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드백 화법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측면이 부족하여, 예비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였다. 본고에서는 피드백 발화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의 피드백 발화에 대한 연구들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 화법을 새롭게 개념화하고, 유형을 체계화하였다. 피드백 발화의 역할은 크게 ‘관계 형성’과 ‘학습 촉진’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관계 형성은 동기부여와 상호작용 촉진, 학습 촉진은 수행 점검과 의미 구성·문제해결 촉진의 구체적인 기능을 가진다. 또한 이들 기능은 12개의 하위 발화 유형들을 가지는 것으로 체계화될 수 있다. 피드백 화법의 체계화된 유형 분석틀을 바탕으로 초등 예비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예비 교사들은 수용하기의 발화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학습 촉진보다는 관계 형성을 위한 피드백 발화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드백 발화의 부재(不在), 닫힌 피드백(closed feedback), 미숙한 대응과 같은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피드백 발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피드백발화의 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재적인 유형에 대한 안내와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다양한 상황에서 피드백 발화를 연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The feedback speech motivates students to learn, and helps them construct meanings and solve problems on their own, thus it should be handled importantly in the instructional conversation. Nevertheless, the study for a feedback speech lacked in aspects of concreteness and substantiality, and thereby did not give teachers practical help. This study realizes the importance of a feedback speech, goes over existing studies about feedback speech, and, based on the results, conceptualizes a feedback speech in a new way and organizes the category. The role of a feedback speech can be defined as “formation of relationship” and “promotion of learning”. “Formation of relationship” has functions like motivation and promotion of interaction, and “promotion of learning” has functions like confirmation of performances, construction of meaning, and promotion of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ese functions can be organized into having fourteen sub types of speech. Based on the organized analysis frame of a feedback speech, this study analyzed the feedback speech of the prospective teachers. The results showed aspects such as an absence of feedback speech, a closed feedback, a premature response. This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a feedback speech. Second, the guide and education about concrete and practical types of feedback speech methods should be mad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to practice a feedback speech in various situations.

      • KCI등재
      • KCI등재

        피드백을 활용한 과학실험수업 모형의 개발

        양희선,심규철,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6 현장과학교육 Vol.10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new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for a improvement science experimental instruction as the form of inquiry experimental learning. The development of new model was based on the property of inquiry experimental learning, analysis on the problems in school experimental instructi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guided inquiry learning, and analysis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feedback process. The developed model based on these steps is composed of ‘Engagement (problem recognition step)’ and ‘DEAR (experiment performance and analysis step)’ steps. DEAR stands for Design, Experiment, Analysis, and Reflect. Therefore, the developed experiment instructional model was named as ‘E-DEAR model’. E-DEAR model is an instructional model for scientific experiment emphasizing on the feedback process. The model applies two feedback; collaborative feedback and guided feedback. The collaborative feedback is the inquiry activity of new form, which learn by himself/herself through the feedback with other students. Contrarily, the guided feedback i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e inquiry instruction activity including the guided feedback by teachers. The both of feedback processes are conducted in each steps of new model to guide and promote students performing inquiry learning by themselves. Especially, E-DEAR model makes a learner record learning content in learning activity note by himself/herself through collaborative feedback process, which allows a feedback suitable to learner's level. Through this process, the insufficient learning content can be supplemented using the guided feedback.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student for the E-DEAR model after preliminary application. As a result, most student gave a positive answer all ques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DEAR model will have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cience experimental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실험수업을 탐구적 실험학습 형태로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실험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은 탐구적 실험학습의 특성, 현장 실험수업의 문제점 분석, 협동학습과 안내된 탐구수업의 효과 그리고 피드백의 중요성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개발된실험수업모형은 문제인식 및 가설설정 과정인 ‘참여단계(Engagement)’와 실험수행 및 해석단계인 실험설계(Design), 실험수행(Experiment), 자료해석(Analysis), 반성(Reflect)의 하위단계로 구성되어, ‘E-DEAR 모형’이라고 명명하였다. E-DEAR 모형은 피드백 활동이 강조된 과학 실험학습 모형이다. 모형에서 활용된 피드백은 크게 협동적 피드백과 안내된 피드백으로 구분된다. 협동적 피드백은 협동학습의 상호작용에 피드백 요소를 더하여 단순한학생 상호간의 활동이 아니라 동료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스스로 학습해 나가는 새로운 형태의 탐구적 활동이다. 반면에 안내된 피드백은 안내된탐구수업 활동에 교사에 의한 피드백이 더해진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다. 이러한 두 가지 피드백은 모형의 각 단계에서 모두 이루어지며 학생들이스스로 탐구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E-DEAR 모형은 협동적 피드백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수정한 학습내용을활동지에 기록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게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족한 학습내용은 안내된 피드백에 의하여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E-DEAR 모형을 시범 적용한 후 모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든 문항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어 본 모형이학생들의 탐구적 실험학습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 KCI등재

        교사 자기개방이 피드백 수용과 정서 그리고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피드백 유형별 접근

        감민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1

        피드백은 형성평가의 주요한 실천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가 인지하는 교사의 교수행동이 피드백 실제(feedback practice)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였으며 이에 따라 교사 자기개방(teacher self-disclosure)을 학습자가 지각하는 교수 행동으로 가정하여 피드백 상황에서 학습자의 피드백 수용, 정서 그리고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피드백 유형별로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생 350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변인 간의 관련성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 자기개방은 모든 실험 조건에서 피드백 수용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으며 둘째, 교사 자기개방은 구체적인 정보를 제시하는 피드백 조건에서 긍정 정서를 매개해 피드백 수용과 참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일관성 있게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피드백을 위한 교사 요인 및 피드백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Feedback is perceived as a major practical tool for formative assess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s on the feedback practice. Therefore, the teacher self-disclosure is assumed that the instructional behavior perceived by the learner and find out it`s effects on Feedback acceptance, emotion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by feedback types. To do this, 350 students from 5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experimen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self-dis clos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eedback acceptance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Second, teacher self-disclosu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feedback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Finally,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feedback for effective feedback.

      • KCI등재

        학습자 참여도 증진을 위한 피드백 구조의 다각화 방안

        이효정(Lee Hyo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적극적 참여를 끌어내기 힘든 대형 강의에서 피드백 구조를 다각화하여 피드백의 빈도와 양,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높이 고자 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피드백 구조를 다각화하려면 교수자와 학습자 대표(조장), 조원들의 역할을 정확 히 인지하고, 피드백을 하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토의·토론 시 언어?비언어로 피드백을 주는 방법, 보고서에 대한 피드백을 주 는 방법, 피드백을 평가 체계 안에 포함하는 방법 등에 대해 학습자에게 공지하고 교 육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다양한 피드백에 대한 필요성과 방법을 인지하고 토의?토론이 활성화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피드백 구 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을 짜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피드백 구조를 강 의에서 활용하면 학습자의 만족도와 자기주도적인 학습 태도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 an assembly hall it is difficult to get an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This study is the result of contemplating a way of increasing the learner’s self-direction in a pyramid feedback structure, in other words, learner to learner, learner representative to professor, professor to all leaners. In order to use the pyramid feedback structure effectively during a lecture diverse preparation is needed. First, a clear understanding about the roles of the professor, learners representative and learners must be made, and also a process of agreeing in the specific method of feedback is needed. To agree in a method of feedback, diverse methods such as verbal/non-verbal feedback during a debate or discussion, feedback about a report and including the feedback in the evaluation system must be notified and go through an education process. Also the professor must discern the need and method in relation to the diverse feedback methods and maker a study course that can actively use such methods. And lastly, the professor must select a topic for debate/discussion, educate about the specific method of feedback and give support for a continued application, and guide a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learners. By applying the diverse feedback structures in an assembly hall, there were positive results where the learner’s lecture satisf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