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모델을 통한 테스트 성숙도 모델 (Test Maturity Model) 확장에 관한 연구

        김기두,김영철,Kim, Ki-Du,Kim, Young-Chu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4 No.1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발조직에서는 소프트웨어 품질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다. 특히 여러 종류의 테스트 성숙도 모델을 통해 조직의 소프트웨어 테스트 성숙도 향상에 대해 다양한 방면으로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테스트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델들은 기존의 개발 성숙도 측정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하여 테스트 부분에 대한 언급이 부족하고 단지 테스트 성숙도 레벨만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개발프로세스와 한께 테스트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중 V모델과 테스트 성숙도의 용이한 평가를 위한 테스트 평가 속성과 레벨을 정의한 테스트 속성과 상호관련 매트릭스를 제안하였다.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Test Process Improvement: TPI)의 개선제안(Improvement Suggestion) 방법을 통해 테스트 성숙도 모델 확장하고, 측정된 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테스트 성숙도 상호관련 매트릭스는 테스트 성숙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결과적으로는 확장된 테스트 성숙도 모델을 통해 조직의 테스트 성숙도를 높이는데 기여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Organizations of Software development are very important issue on enhancement of a software quality as rapid progress of software industry. Especially there are diverse attempts for enhancement of test maturity of the software organization through some kinds of the test maturity model. But the current test maturity models based on CMM(Capability Maturity Model) lack part of actual testing measurement and only measure level of test maturity. To solve these problems, we suggest 'double V-model' to execute both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and test process simultaneously, and also 'test attributes to Maturity Levels Correlation Matrix' for evaluating level of test maturity included with definitions of test attribute and level. That is, we enhance TMM(Test Maturity Model) adopted with 'Improvement Suggestion' of TPI(Test Process Improvement) which is easy the evaluation of test maturity of organization and give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o level up the test maturity for the measured organization. As a result, we will contribute to level up the test maturity of the organization.

      • KCI우수등재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평가를 위한 프로세스 참조모델

        김선호(Sunho Kim),이창수(Changsoo Lee) 한국전자거래학회 2013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8 No.4

        데이터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데이터 자체의 품질을 측정하는 방법과 데이터 품질을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측정하는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직의 데이터 품질을 보장 및 인증하기 위해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의 성숙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품질관리의 프로세스 성숙도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 참조모델을 제시한다. 우선 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 모델의 개요를 제시한다. 그리고,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에 기본이 되는 프로세스 참조모델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프로세스 도출 방안, 데이터 품질관리의 기본 원칙, SPICE 프로세스 참조 모델의 기본 개념을 기초로 하여 프로세스 참조모델의 구성과 세부 프로세스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모델의 특징 및 개선점을 ISO 8000-150의 프로세스와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There are two ways to assess data quality : measurement of data itself and assessme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Recently maturity assessment of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is used to ensure and certify the data quality level of an organization. Following this trend, the paper presents the process reference model which is needed to assess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maturity. First, the overview of assessment model for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maturity is presented. Second, the process reference model that can be used to assess process maturity is proposed. The structure of process reference model and its detail processes are developed based on the process derivation approach, basic principles of data quality management and the basic concept of process reference model in SPICE.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are described compared with ISO 8000-150 processes.

      • KCI등재

        기업 고유환경기반 실제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모델 확장

        김강태(Kangta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3

        소프트웨어 개발 성숙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세스 프레임워크로써 IS 15504(SPICE) 및 CMMI 등은 이미 검증된 모델이다. 하지만 이들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들이 기업의 개발능력 및 효율을 높여주는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기업 내에서의 실제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위의 모델들을 기반으로 제품이나 기술 도메인, 사업 및 조직의 규모 등 기업환경이 고려된 기업 고유의 모델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수년 간의 지속적인 적용 및 개선경험을 바탕으로 기존의 SPI(Software Process Improvement) 모델을 확장하여 기업의 비즈니스 목적과 환경에 부합하도록 조직차원의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를 소개한다. 기존의 SPI 모델이 프로세스 각 분야에 대한 정의와 성숙도를 판단하기 위한 능력 수준을 정의한 것에 비해 본 논문에서는 그 영역을 핵심기술 및 조직구조까지 확대하고, 능력 수준을 일반적인 프로세스 능력 수준이 아닌 조직에서의 모델의 확산도로 확장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통합된 모델을 정의하여 적용하였다. 본 논문은 기업에서 확장된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을 이용하여 조직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구체적인 사례로 유사 영역에서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 연구에 대한 기업의 피드백으로의 기여가 있을 것이다. IS 15504 and CMMI, etc are already proven models as a framework to improve the maturity of enterprise software development. However, these process maturity models can’t present the detail and practical methods with which people can enhance the development competence and efficiency of an enterprise. Each company or organization should develop its own model or tailor the above models to make them suitable to its unique environment such as product or technology domain, scale of business or organization and cultural environment, etc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This study introduces experiences that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capability was reinforced based on our own process capability improvement model to improve software development strength in Samsung Electronics. We modeled our own improvement model which is expanded from IS 15504 against our experience. Our SPI model expanded its capability to organizational and technical issues including newly introduced capability level for evaluating its implementation. We expect that our study would give contribution for presenting industry experience and reference model for reinforcing software development competence.

      • KCI등재후보

        확장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방안 연구: 프로세스 수준 진단 및 가치 평가 방안 중심으로

        이진미 ( Jin Mii Lee ),이은정 ( Eun Jung Lee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7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6 No.2

        본 연구는 프로세스 자산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기존의 프로세스 관리 방안에 결합시켰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자산화, 최적화, 모니터링의 3단계 확장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Extended Business Process Management, Extended BPM) 이행 방안을 개발하였다. 이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BPM 기반의 프로세스 수준 진단 및 프로세스 자산 가치 측정 방안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전자는 BPM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방향성 수립 방법론으로 프로세스 자산 성숙도 진단 모델(Process Asset Maturity Model, PAMM)을 제시하며 기존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Capability Maturity Model, CMM 및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Capability Determination 등)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후자는 BPM 이행 후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자산 가치를 재무적으로 환산하여 그 가치가 기업 가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얼마나 향상/저하되었는가를 정량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방법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자산 가치 평가 모형(Process Asset Value Evaluation Equation, PAVEE)을 소개하며 이는 관리자의 판단과 경영진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Although there are growing needs for managing process as a company asset, only a few research are based on the concept of process asset and extended BPM. CMM and SPICE are general tools that measure the process maturity level but these tools have limits to reflect improved process management level.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extended definition of BPM in terms of process asset and how the extended BPM maximizes process asset value. Also for giving guidance to people in charge of BPM in many companies and institutions we introduce Process Asset Maturity Model(PAMM) which is made up for limitations of CMM and SPICE. Besides we show Process Asset Value Evaluation Equation(PAVEE) to estimate financal value of process asset value.

      • KCI등재

        지능형 성숙도 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집약 시스템의 전투실험 프로세스 설계 및 적용

        강동수(Dongsu Kang),윤희병(Heebyung Yo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성숙도 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집약 시스템의 전투실험 프로세스 설계를 제안하고 스마트 무인 항공기의 표적탐색 능력에 적용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소프트웨어 집약 시스템의 지능형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지능형 성숙도 모델을 영역 수준 및 지능 수준을 고려하여 설계한다. 그런 다음 전투실험 프로세스 설계를 위해 ISO/IEC-12207과 CMMI 프로세스를 LITO 분야별로 분류하고 이를 전투실험 5요소와 매핑하여 전투실험 요소별 그리고 전투실험 단계별로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도출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IDEF0 표기법을 이용하여 전투실험 프로세스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전투실험 프로세스는 스마트 무인항공기(DAV)를 개발하거나 획득 시에 요구되는 표적탐색 능력에 적용하며 그 결과도 제시한다. We propose the design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for software intensive systems using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and suggest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target searching capability in smart UAV. For this, we design the intelligent maturity model to evaluate the intelligent degree of the software intensive systems considering the domain and intelligent level. Then we classify the ISO/IEC-12207 process and CMMI process as LITO domain for designing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map the classifed process to the five factors of the warfighting experiment and derive the process as warfighting experiment element and phase. Based on the derived process, we design the warfighting experiment process using the IDEF0. Finally we apply the proposed process to the target search capability and suggest the results which are required to develop and acquire the smart UAV.

      • KCI등재

        상관관계를 통한 조직의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가이드 방안

        김기두 ( Ki Du Kim ),박용범 ( Park Young Bom ),김영철 ( Young Chu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2 No.12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TMMi 레벨 인증으로부터 정형화된 올바른 테스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조직 의 테스트 성숙도 수준 평가 모델인 TMMi과 테스트 프로세스를 개선 모델인 TPI NEXT의 분석을 통해 상관 관계도를 제안하고, 그 기반에서 조직의 테스트 성숙도 측정으로 테스트 프로세스 향상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테스트 성숙도 상호관련 메트릭의 보완 및 개선 통해 성숙도 측정을 도식화 한다. 제한된 레벨 수준의 사례로 TMMi와 TPI NEXT의 상관 관계도와 보완한 테스트 성숙도 상호관련 메트릭을 통해 조직의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가이드를 보여준다. In this paper, it will improve in quality to adapt a right test process which is formalized from certification of TMMi Level. To do this, we suggest correlative relation through analyzing associations between TMMi and TPI next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10], which provides the guideline for enhancing test process level with measuring Test maturity model. Also schematize test maturity measurement through refining and improving the previous test maturity correlation metrics[6,8,9]. As one example with limited level, it shows the guideline to improve test process of one testing organization through improved correlation metrics with TMMi and TPI next.

      • 차세대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강영식(Kang Young-Sik),송민석(Song Min-Seok)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0 영상저널 Vol.2 No.2

        높아진 고객과 시민의 기대수준과 글로벌 경쟁의 심화, 산업 탈규제화로 국내 기업들과 공공 조직들은 어려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서 국내 기업들과 공공 조직들은 프로세스 지향성과 혁신을 강조하고 있다. 일반 기업들과 조직들의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와 프로세스 재설계와 관리를 위한 준비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들이 개발되었다. 기존의 모형들은 인터뷰와 설문과 같은 정성적 평가에만 의존하고, 최근에 발전한 프로세스 마이닝과 같은 기법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차세대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이 충족해야 하는 기준들과 단계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기준들과 단계들은 차세대 업무 프로세스 성숙도 모형의 개발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고, 제안된 단계들에 따라서 개발된 차세대 모형은 현업의 적용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higher expectation of customers and citizens, intense global competition, and industrial deregulation, domestic businesses and public organizations are facing tough challenges. Therefore, these businesses and organizations are putting emphasis on process orientation and innovation. To diagnose the maturity of their business processes and the readiness of their business process change and management, business process maturity models have been developed. The models rely on qualitative evaluations such as interview and survey and do not employ a process mining technique, which has recently developed. To fill in this void, this study aims to offer the criteria that a next-generation business process maturity model meet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for the next-generation model. We believe that the suggested criteria and process will give important implications to th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related research area.

      • KCI등재

        프로세스 영역 의존성을 이용한 TMMi 레벨 1 단계화 방안

        김선준(Seon-Joon Kim),류성열(Sung-Yul Rhew),오기성(Kie-Sung O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5 No.12

        국내 소프트웨어 테스트 성숙도 수준은 TMMi 기준으로 대부분 레벨 2 이하다. 성숙도 개선의 첫째 조건은 현재 성숙도 수준을 정확히 아는데 있다. TMMi에는 레벨 1 정의가 없지만, 같은 레벨 1 조직이라도 성숙도 수준은 분명 차이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레벨 1 조직의 성숙도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고, 레벨 1 조직이 개선 노력을 줄이면서 레벨 2를 달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레벨 2에서 의존성이 있는 서브 프랙티스를 해당 프로세스 영역과 그룹화해서 레벨 1을 3단계로 새롭게 정의했다. 의존성을 이용한 이유는 의존성 있는 프랙티스 끼리 묶어 프로세스를 개선하면 프랙티스 여러 개를 한꺼번에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3단계화 적정성을 검증해서 레벨 1 조직의 성숙도 수준을 정확히 평가했고, 다음 단계 개선 목표와 방향을 구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았다. Domestic software test maturity level is the most Level 2 below based on TMMi. The first condition of enhancement of test maturity is that know exactly what the current maturity. There is no Level 1 definition in TMMi, but even the same level of maturity level of an organization, there are clear differences. In this study, grasp a maturity level of Level 1 organization, while less effort to improve in Level organization, the ways to achieve Level 2 is presented. Sub practices with dependencies in Level 2 is grouped with the corresponding process areas and define a Level 1 newly at 3 phases. If sub practices with dependencies are tied and improve a process, it will produce the effect which attains the practices all at once. Verify the adequacy of three phases, as a result, an organization clearly identify Test Maturity Level 1, we know that the organization can set specific improvement goals and direction.

      • KCI등재

        CMMI 성숙도 3단계 SG간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한 표준 프로세스 정의 생산성 향상

        이민재(Min Jae Lee),류성열(Sung-Yul Rhew),박남직(Nam Jik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12

        CMMI는 전체 5개 성숙도 단계, 22개의 프로세스 영역이 있고, 각 프로세스 영역은 SG와 GG로 구성돼 있다. 프로세스 영역 간에는 상호 연관된 부분들이 많아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를 정의할 때, 중복적인 내용이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피어슨상관분석을 통해 CMMI 성숙도 3단계 프로세스 영역의 전체 528개 SG중, 총 60개(약 11%)가 연관성이 높음을 파악하고 이 연관성을 고려한 표준 프로세스 정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안에 따라 표준 프로세스를 정의한 결과, 기존의 접근 방법을 사용했을 때 보다 생산성이 25% 향상되는 성과를 보였다. CMMI is composed of 22 process areas by 5 maturity levels and each process area consists of specific goals and generic goals. Since there are many relations among process areas,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es tend to contain overlapped contents. In this paper we demonstrated that 60 out of 528 specific goals are highly related (11% relationship) in CMMI maturity level 3 process areas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roposed to a scheme for defining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es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defining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es by using proposed a scheme, we achie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25% in process defining productivity.

      •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성숙도 모델에 대한 연구

        김선호(Sunho Kim),이창수(Changsoo Lee),정승호(Seungho Chung),김학철(Kim Hakcheol),이창수(Changsoo Lee) 대한산업공학회 2014 대한산업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1

        정부 3.0의 확산으로 공공 데이터에 대한 활용 요구는 증대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품질과 데이터 관리체계가 미흡하여 데이터 개방의 저해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품질관리 표준체계 가 마련되지 못하여 데이터 관리·연계·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품질평가 기준이 적절하지 못한데 기인한다. 본 논문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성숙도 모델을 제시한다. 먼저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프로세스 참조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품질관리 수준 평가를 위한 능력 및 성숙도 모델을 작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