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매체의 확장으로 본 편집디자인 패러다임 변화 연구

        김효일(Kimm, Hyo-i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인간에게 정보의 가공과 저장, 지식의 전달체계는 인류 역사와 궤를 같이하며 발전되어 왔다. 인간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저장하는 지식의 체계는 종이의 발명과 인쇄술의 발전으로 급속도로 많은 변화를 이루게 되었으나 그 과정에서 편집디자인이 정보를 체계화하고, 보기 좋게 구성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변화되지 않고 계승되고 있으며, 이것은 기술의 발전으로 나타나게 된 디지털 매체의 전자책과 디지털북 등에서도 과거의 편집디자인에서 보여주는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iBook 등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아날로그 편집디자인에 적용된 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 등 책의 가독성을 이루고자 노력한 자간, 행간의 구성은 현재의 디지털 책에서도 그대로 발견되며,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책의 구성에는 동영상, 사운드, 인터랙션 기법 등이 적용되어 보다 쉽게 정보를 이해할수 있다는 장점만 적용되었기 때문에 향후 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기법이 도입되어도 종이책 에서 이루어진 편집디자인은 유지될 것이라 판단된다. Processing and storage of information in humans, the delivery system of knowledge has been developed into innovative technologies. Knowledge system to deliver and store information to a human has been led to many changes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vention the printing of the paper. Organize and edit design information in this process, which is intended to convey objective view to improve the configuration has been inherited without change. It will be able to find e-books and digital books, etc. Digital media appear to advances in technology, etc. iBook easily applied as a way to show that in the past the edit design. This study is tracking the readability of the book, such as efforts to achieve grid layout and editing system applied to the analog design, configuration, and the lines are found intact in today's digital books. Advances in technology have only advantages of a digital book that you can understand the information is more easily applied, such as video, sound, interactivity techniques were applied. Even developing new techniques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technologies, editing, book design made from paper are determined shall be maintained.

      • KCI등재

        시각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신문 편집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승민(Kim Seung Mi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3

        신문 편집의 변화가 시작된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신문 편집 디자인의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의 관점에서 일러스트와 시각디자인이 융합되어 신문 편집 디자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신문미디어의 영향력은 여러 신문 속에서 디자인적으로 뛰어나 보이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점점 감소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 신문미디어의 현황은 편집을 위한 시각디자인의 이론과 실제, 신문이라는 대중적 미디어에 적용된 시각디자인의 원리, 그리고 일러스트 활용이 그동안 기계적으로 느껴져 온 미디어의 딱딱함을 보다 감성적이고 예술적으로 변화시키며 독자에게 다가가려고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신문 편집에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미디어 지면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는 시점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향후 디자인을 전공하는 후속 연구자들이 새로운 관점으로 시각디자인의 세계를 바라보고 쇠퇴해가는 오프라인 매체에 대한 새로운 편집디자인 연구에 접근하는 계기가 되고, 온라인 미디어와 연계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디자인 연구를 위한 하나의 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Newspaper editing design has gone through drastic, remarkable changes since the late 1990s, when newspaper layouts first started to change. From the point of visual design, this study examines how illustration and layout design are applied in newspaper editing design in practice. Each news media has tried various methods to make its design outstanding among numbers of other newspapers, yet regardless of such efforts, we have to admit that the influence of newspapers has been gradually decreasing. Theory and practice of visual design in newspaper editing, principles of visual design applied in newspaper as a public media, and the usage of illustrations are demonstrating newspapers' efforts to reach out to readers in more emotional, artistic way aside from initial conventional, mechanical images of media. Acknowledging evolution in newspaper editing design is critical at this moment, from various studies in news layout design of past, present and future.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visual design to the future design major students, a trigger of innovative editing design studies for the declining offline media, and a new angle of design studies affiliating with online media.

      • KCI등재

        교과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편집디자인 분석 연구 - 한글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

        이하림 ( Lee Ha-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21 No.-

        교과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학습을 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서, 교과 영역의 학습 내용을 체계적으로 담은 책자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에 따라 선정·조직된 내용을 단순화하여 배우기 쉽고, 읽히기 쉬운 편집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을 교과서의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삼아야 한다. 이것은 학습 및 행동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학습동기 유발 등 기본적인 교과서의 가독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의미 한다. 교과서에 있어서 가독성은 학생들이 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요소이다. 따라서 문자는 체계적이고 복합적인 타이포그라피로 거듭나야 한다. 타이포그라피는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학생들이 알기 쉽게 기호화하는 과정의 일이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교과서의 타이포그라피를 다루는 사람, 즉 교과서 편집디자이너는 타이포그라피 디자인을 함에 있어 한글이 가지는 가독성 외에, 반드시 미학적 속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한글은 정보전달과 의사소통의 문자에서 이미지로, 이미지에서 포괄적 개념의 가독성을 지닌 뛰어난 디자인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한글을 통해 교과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편집디자인을 아래와 같이 분석·연구 하였다. 교과서의 편집디자인에서는 교과서와 편집디자인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하고 교과서의 성격과 교육과정에 따라 의미를 정리하였다. 편집디자인의 기본적인 기능과 개념도 서술하여 앞으로 교과서에서 전개되어야 할 편집디자인의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필요성과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가독성 및 심미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한글과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상호관계에서는 한글의 조형적 특징을 한글 본연의 형태요소와 구조·공간적요소로 나누어 서술하였으며 교과서의 특징과 규칙에 맞추어 한글의 조형성을 가미한 논자의 실험작을 예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본문에서 기술한 내용을 정리하고 향후 교과서 편집 디자인의 대란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과서의 본문을 이루는 한글은 본연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더욱 전문적이고 세분화되어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키며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교과서 편찬 개발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Textbook is a basic resource to teach, depending on the curriculum, which contains systematically sorted contents in that of specific fiel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select and manipulate the chosen material to become simpler, and more attractive depending on, the curriculum. This means that to help study and activity to become more productive, the legibility of textbook is critical in order to encourage the student to study. The legibility in the context of textbook is the key point for student to understand the contents easier. Therefore, text should be reborn as systematic and complex typography. Typography is the initiating stage for student to understand the given information easier. Therefore, the one who conducts typography for the textbook, in other word the editorial designer, should consider the artistic element as well as the readability of Korean language when designing the typography. Moreover, it is critical to redesign Korean letters of native language to become, not only as a language to transfer the meanings but to become more visually artistic. The Korean language, the basic type style, can become text to transfer the meaning to image, image to superior mean with comprehensive concept of readability. As a result, writer has studied and analyzed editing design to increase the readability of textbook in this paper. In editorial design, author studi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a textbook and editorial design and has sorted it ou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textbook and its curriculum. The concept of editorial design is described to suggest the role and concept of editorial design which should be carried out when making the textbook is described. In mutual relation of Korean language and editorial desig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Korean language is described separately as structural element and space element. Author has suggested prototype textbook design in formativ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yet still following the characteristic and rules of textbook.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3, 4학년 미술교과서 편집디자인의 현황 조사 연구

        김문영(Kim, Moonyoung),백진경(Paik, Jinky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9 No.2

        교과서란 교육과정에 따라 교수 학습을 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서, 교육 매체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내용전달과 더불어 학습동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을 고려해야 하며, 그 중 하나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편집디자인이다. 2007년 개정교육에 따른 교과서가 2009년부터 학년별로 순차적으로 적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고, 특히 미술교과서는 시각중심 교과라는 특수성 때문에 현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분석을 통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모색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미술교과서인 2007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를 분석한다. 이를 정책 및 외형의 변천에 따른 변화를 보기 위해 2007 개정교육과정의 이전 교육과정인 제 7차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 교과서 편집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여 적용시키고 있는 초등학교 3학년 차세대 과학교과서,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초등학교 디자인교과서인 서울시의 초등학교 5학년 디자인교과서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해외사례의 경우 교과서 편찬 발행과정이 우리나라와 유사한 일본과,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미국의 미술교과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교과서를 외적 편집, 내적 편집으로 나누어 분석, 평가하였다. 초등학교 편집디자인의 현황 및 비교분석 결과 외적체제의 개선으로 현 2007 개정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는 이전 교육과정인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서에 비해 판형이 커져 시각자료를 배치하기에 용이하고, 서체의 자율적인 사용이 눈에 띄며,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일러스트사용 등 많은 부분이 개선되었으나, 이미지의 배열이 복잡하며 일관적이지 못함과 동시에 그리드와 단이 정리되어 있지 못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미술교과서의 편집디자인 상의 문제점은 그리드의 복잡성과 시각요소의 지나친 양식의 남용으로 정리된다. 차세대 과학교과서와 서울시의 디자인교과서, 미국 미술교과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좋은 선행사례로 사료된다. Textbooks are basic materials for teaching-learning according to curriculums, and it needs to consider proper methods to deliver contents and inspire learning motivation for the creation of textbooks. In particular, there is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editorial design. Textbooks have been applied step by step since 2009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education, and the precedent study is considered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application period so that it needs to seek for the improvement method of textbook editorial design by analyzing editorial design of current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the desirable direction to extract problem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and develop future textboo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ird and fourth graders’ art text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revised in 2009 and have been applied, elementary school new generation science textbook seeking for a new direction of editorial design,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in Seoul which is the Korea’s first elementary school design textbook, and editorial design of American art textbooks having a direct effect on Japanese and Korean educational system with the similar editorial publication process as the overseas cas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current art textbook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re easy to arrange visual materials as they have become bigger compared to the previous art textbook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format. In addition, various fonts were used due to the autonomous use of fonts, and many changes such as the use of illustration that can attract students’ interest were found. As to grid, the current textbook were well aligned compared to previous art textbook, but they had more inefficient and monotonous types in using grid and layout rather than the textbooks to compare so that the screen seemed complex and it was hard to read information.

      • KCI등재

        중국의 대표 보수와 진보신문의 1면 편집디자인 연구 -인민일보와 중국청년보를 중심으로-

        한칭보,이지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신문은 정책, 보건의료, 정치, 경제, 문화, 사회와 관련된 뉴스를 심층적으로 전달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매체로써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세계 신문들은 경영 전략으로 취재와 기사 작성에 대한 편집 방침뿐만 아니라 편집디자인 지침을 갖추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소평의 개방 정책 이후 세계 경제와 미디어 시장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대표적인 보수신문인 인민일보와 진보신문인 중국청년보의 1면 편집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전국인민대표대회가 개최되었던 3월5일(월)부터 11일(일)까지 1주일간의 1면 구성요소인 제호 등의 헤드디자인, 모듈러디자인, 서체, 색채, 부호, 선과 여백을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간의 논조에 따른 편집디자인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디자인 지침 또한 거의 적용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중국이 디자인 형식을 유지하는 것보다 공산당과 주요 지도층 인사와 관련된 기사의 내용을 중요하게 간주하는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신문들은 편집디자인 지침을 재정비하고 준수해야만 중국이 세계 미디어 제국의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newspaper has wide range of audiences as the most reliable medium to deliver in-depth news related to policy, healthcare,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Most of world newspapers have the guidelines for the editorial design as well as the editorial policies for reporting and writing as management strategies. China has been emerging as the center of the world media market after Deng Xiaoping’s open-door policy. This paper examines the front page editorial design in China’s representative conservative newspaper, People’s Daily and progressive newspaper, China Youth Daily for one week from Monday, March 5th to Sunday, March 11 when National People’s Congress was held. As a resul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front page design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 and progressive newspaper in China. The main reason is that China is a socialist state that considers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related to communist party and key leaders important rather than keeps the design guidelines. So these newspapers should rebuild and comply with design guidelines to achieve the global media empire as a goal of China.

      • KCI등재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 개선을 위한 연구

        윤세민(Yun Se Mi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4

        본 연구는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 관련의 기존 연구 사례들과 이론들을 고찰하는 가운데 현행 교과서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문제점과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여기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교과서도 선진 교과서의 장점과 특성 등을 우리 것에 잘 적용시켜야 할 것이다.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가운데 교과 내용과 형식을 인지하기 쉽게 구성하면서 ‘보기 좋고 읽기 좋은 교과서’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및 제언을 토대로 우리나라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개선이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고대한다. 아울러 본 연구가 앞으로 우리 교과서의 외적 체제 및 편집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질 높은 교과서 편집과 디자인에 실제적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review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ories relating to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and compare the findings with the current textbooks to deriv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relating to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The auth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extbooks. It is desired that Korean textbooks reflect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advanced textbooks and are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facilitate the recognition of contents and forms while the balance between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is well maintained as a whole, aiming at ‘good-looking and easy-to-read textbook’. The author expect that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he textbooks of Korea through serving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the external system and editorial design of the textbooks to make quality textbooks.

      • 편집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과정 연구

        김은경 출판문화학회 2022 出版 雜誌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다변화하고 있는 출판 산업 환경에서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좀 더 바람직한 출판 디자인 교육과정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첫 번째로 출판 편집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업무 역량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는 편집디자인 관련 자격실태를 조사했다. 세 번째로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은 관련 기관에 따라 각각 기준을 달리하여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 편집디자인 및 출판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출판업계, 학회,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현실적인 출판 유형별, 분야별 전문성을 살린 출판 편집디자인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매뉴얼을 만들어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에 운용하고 출판사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장창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5 No.-

        국제 정세가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국가 간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교육을 통해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 다는 사회적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의 필수 도구로서 교수, 학습을 매개하는 교과서의 역할 은 갈수록 중요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교과서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국어 교과서의 편집디자 인 요소를 분석하여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편집디자인의 선행연구 사례를 분석하여 구성요소를 정 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국어 교과서의 현황 및 편집디자인의 요소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학생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 87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어 교과서 의 디자인 형태 및 단원별로 적용된 디자인 요소, 일관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서체에 대 한 질문에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은 반면 부정적인 의견도 있어 부분적으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이미 지에 관한 질문에는 일러스트레이션 및 사진 이미지 사용에 대해 긍정적인 의견이 많은 반면 그래픽 요소의 사용에 대해 부적절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응답이 다소 있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설문사례 분석을 종합하면 전반적인 편집디자인 구 성요소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으나 예체능 계열 검인정 교과서에 비해 아직도 미흡한 면이 많아 개정 교과서에서는 좀 더 과감한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향후 이러한 현업에 있는 교사들의 실질적인 의사를 반영한 교과서 편집디자인 분석 연구들이 보편화 되어 개정 교과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t a time whe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s rapidly changing day by day and competition between countries is becoming more intense, the social need to secure future competitiveness through education is becoming more urgent. As an essential educational tool for nurturing talent, the role of textbooks in mediating teaching and learning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ditorial design elem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 improvements for effective learning from textbooks. To this end, the components were organized by analyzing previous research cases of editorial design. Based on this,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Korean textbooks and the analysis of elements of editorial desig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87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ctually teach studen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esign form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design elements applied to each unit, and consistency. Second, there were many positive responses to the question about the font, but there were also negative opinions, so it was found that it would need to be partially supplemented. Third, in the question about visual images, there were many positive opinions about the use of illustrations and photographic images, but there were some responses about the use of graphic elements that said they were being used inappropriately, so improvement appears to be necessary. Summarizing the survey case analysis,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to the overall editorial design components, but there are still many shortcomings compared to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pproved textbooks, so it seems that more drastic changes are needed in the revised textbook.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extbook editing design analysis studies that reflect the practical intentions of teachers in the field will become common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vised textbooks.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의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 - 롯데백화점 시시호시 브랜딩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강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백화점은 '무엇이든 파는 공간'으로써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해왔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쇼핑몰 및 대형 근교형 복합 상가의 발달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에 맞는 콘셉트의 재정립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과 개성 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수익을 위한 투자가 아닌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백화점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에 대한 브랜딩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큐레이션 개념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 브랜딩 프로세스에 접목하고, 이를 통해 실증적인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대상은 롯데백화점의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브랜딩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을 위한 것으로, 국내 매장에 유연하게 운용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및 큐레이션, 편집매장 등의 주요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 콘셉트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셋째, 월별, 계절별, 기념일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콘텐츠의 기획에 맞춰 변용이 가능한 공간의 구성을 계획하였다. 넷째, 이를 연출함에 있어 자연스럽게 하나의 풍경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배치 및 운용 계획을 제안하였고, 또한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선계획과 조명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섯째,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백화점 매장의 요구사항에 대응 가능한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큐레이션 개념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 브랜딩 프로세스에 접목하여 롯데백화점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시시호시'의 브랜딩 디자인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브랜드의 콘셉트를 '매일매일 좋은 날, 즐거운 일상을 위한 제안을 파는 상점'으로 도출하고 톤 앤 매너를 가진 MD 구성 및 조명, 집기 시스템을 매뉴얼화하였다. 구매로 이어지기 위한 동선계획 및 집기 배치계획을 설계하고 의식주 복합전시 방식을 통한 VMD 계획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확장을 고려한 프로그램 가변형 공간 운영 방안과 매장별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집기 및 조명 시스템을 각각 매뉴얼화 하였고 스케치업 및 V-RAY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결론) 큐레이션 개념이 접목된 '시시호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편집매장은 공간의 변주가 가능한 가변형 연출 개념으로, 고객에게 새롭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경험 공간을 기획하고자 할 때 디자인 프로세스와 가이드라인으로써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partment stores have lead the urban lifestyle as selling variety for a long period. 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mmerce and suburban shopping mall, the concept needs to be redefined for new chang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desire to express individuality has led to a growing interest in lifestyle perspective residential space, not an investment for revenue. This trend has made department stores to attempt brand-based lifestyle select stores, but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curation concept into lifestyle select store branding process, and standardize empirical spatial design. (Method) The design targets lifestyle select shop, ‘SISIHOSI’ from Lotte Department Store. First of all,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branding and standardized spatial design, which made it possible to operate flexibly in Korean domestic stores. Second, major concepts such as lifestyle, curation, and select store were discussed and the brand concept and spatial design standard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adaptable spaces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contents that change over time, such as monthly, seasonal, and anniversaries. Moreover, in directing this, the layout and operation plan was proposed so that it could naturally be recognized as a landscape, and also the route plan in order to induce customer to interest and lead to purchase. Finally, based on this, a spatial design manual was presented to accommodate the requirements of various department stores. (Result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ur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lifestyle select store branding process and presented the branding design and spatial design standard of Lotte Department Store's lifestyle brand ‘SISIHOSI’. The concept of the brand was derived as 'The store that suggests for daily life on a good day' and standardized the MD configuration, lighting and equipment system with tone and manners. The design of the route plan and the furniture layout plan to lead to the purchase and the proposed VMD plan through the ritualistic complex exhibition method. The program's variable space operation plan considering brand expansion and the flexible furniture an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store characteristics were standardized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with sketch-up and V-RAY programs. (Conclusions) The ‘SISIHOSI’ lifestyle brand select store, which incorporates the concept of curation, is a variable directing concept that can vary space, providing new and diverse experiences to custom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as a design guideline when planning various lifestyle experience space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국의 대표 보수와 진보신문의 1면 편집디자인 연구 -인민일보와 중국청년보를 중심으로-

        한칭보,이지현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0 No.-

        신문은 정책, 보건의료, 정치, 경제, 문화, 사회와 관련된 뉴스를 심층적으로 전달하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매체로써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세계 신문들은 경영 전략으로 취재와 기사 작성에 대한 편집 방침뿐만 아니라 편집디자인 지침을 갖추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등소평의 개방 정책 이후 세계 경제와 미디어 시장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대표적인 보수신문인 인민일보와 진보신문인 중국청년보의 1면 편집디자인을 연구하였다. 전국인민대표대회가 개최되었던 3월5일(월)부터 11일(일)까지 1주일간의 1면 구성요소인 제호 등의 헤드디자인, 모듈러디자인, 서체, 색채, 부호, 선과 여백을 디자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의 보수신문과 진보신문간의 논조에 따른 편집 디자인의 차이는 거의 없으며 디자인 지침 또한 거의 적용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중국이 디자인 형식을 유지하는 것보다 공산당과 주요 지도층 인사와 관련된 기사의 내용을 중요하게 간주하는 사회주의 국가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신문들은 편집디자인 지침을 재정비하고 준수해야만 중국이 세계 미디어 제국의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newspaper has wide range of audiences as the most reliable medium to deliver in-depth news related to policy, healthcare,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society. Most of world newspapers have the guidelines for the editorial design as well as the editorial policies for reporting and writing as management strategies. China has been emerging as the center of the world media market after Deng Xiaoping`s open-door policy. This paper examines the front page editorial design in China`s representative conservative newspaper, People`s Daily and progressive newspaper, China Youth Daily for one week from Monday, March 5th to Sunday, March 11 when National People`s Congress was held. As a resul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front page design between the conservative newspaper and progressive newspaper in China. The main reason is that China is a socialist state that considers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related to communist party and key leaders important rather than keeps the design guidelines. So these newspapers should rebuild and comply with design guidelines to achieve the global media empire as a goal of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