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TM 망에서 ABR 서비스를 위한 혼잡회피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정강화,진성호,임재홍 한국해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연구논문집 Vol.18 No.-

        In this paper, a congestion avoidance mechanism of rate based traffic algorithm for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was studied. ATM is proposed to surpport B-ISDN that services various applications on a single network. To support various application's traffic characteristics, ATM Forum defined various service classes, such as CBR(Constant Bit Rate), VBR(Variable Bit Rate), ABR(Available Bit Rate), UBR(Unspecified Bit Rate). ABR service is to maximize link utilization and minimize cell loss rate. So it is important for ABR service to manage network traffic and congestion avoidance. In this paper, a studied ABR service traffic management algorithm is ER(Explicit Rate) mechanism. ER mechanism is composed of two algorithm, ERICA(Explicit Rate Indicate Congestion Avoidance), EPRCA(Enhanced Proportional Rate Control Algorithm), To study each algorithm, three switch simulation network model is composed and two ER mechanism, ERICA and EPRCA is compared.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의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 - 롯데백화점 시시호시 브랜딩 사례를 중심으로 -

        정강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백화점은 '무엇이든 파는 공간'으로써 도시형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해왔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쇼핑몰 및 대형 근교형 복합 상가의 발달로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에 맞는 콘셉트의 재정립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삶의 질 향상과 개성 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됨에 따라 수익을 위한 투자가 아닌 라이프스타일 관점에서의 주거공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백화점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에 대한 브랜딩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큐레이션 개념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 브랜딩 프로세스에 접목하고, 이를 통해 실증적인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디자인의 대상은 롯데백화점의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브랜딩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 개발을 위한 것으로, 국내 매장에 유연하게 운용 가능하도록 제안하였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및 큐레이션, 편집매장 등의 주요 개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브랜드 콘셉트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셋째, 월별, 계절별, 기념일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콘텐츠의 기획에 맞춰 변용이 가능한 공간의 구성을 계획하였다. 넷째, 이를 연출함에 있어 자연스럽게 하나의 풍경으로 인지될 수 있도록 배치 및 운용 계획을 제안하였고, 또한 고객의 관심을 유도하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선계획과 조명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다섯째, 이를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백화점 매장의 요구사항에 대응 가능한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큐레이션 개념을 라이프스타일 편집매장 브랜딩 프로세스에 접목하여 롯데백화점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시시호시'의 브랜딩 디자인 및 공간디자인 매뉴얼을 제시하였다. 브랜드의 콘셉트를 '매일매일 좋은 날, 즐거운 일상을 위한 제안을 파는 상점'으로 도출하고 톤 앤 매너를 가진 MD 구성 및 조명, 집기 시스템을 매뉴얼화하였다. 구매로 이어지기 위한 동선계획 및 집기 배치계획을 설계하고 의식주 복합전시 방식을 통한 VMD 계획을 제안하였다. 브랜드 확장을 고려한 프로그램 가변형 공간 운영 방안과 매장별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집기 및 조명 시스템을 각각 매뉴얼화 하였고 스케치업 및 V-RAY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결론) 큐레이션 개념이 접목된 '시시호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편집매장은 공간의 변주가 가능한 가변형 연출 개념으로, 고객에게 새롭고 다양한 경험을 제공한다. 본 연구가 향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경험 공간을 기획하고자 할 때 디자인 프로세스와 가이드라인으로써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partment stores have lead the urban lifestyle as selling variety for a long period. 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e-commerce and suburban shopping mall, the concept needs to be redefined for new chang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past.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desire to express individuality has led to a growing interest in lifestyle perspective residential space, not an investment for revenue. This trend has made department stores to attempt brand-based lifestyle select stores, but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required in order to establish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orporate curation concept into lifestyle select store branding process, and standardize empirical spatial design. (Method) The design targets lifestyle select shop, ‘SISIHOSI’ from Lotte Department Store. First of all,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wer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branding and standardized spatial design, which made it possible to operate flexibly in Korean domestic stores. Second, major concepts such as lifestyle, curation, and select store were discussed and the brand concept and spatial design standard were developed. In addition, the organization of adaptable spaces was planned according to the planning of contents that change over time, such as monthly, seasonal, and anniversaries. Moreover, in directing this, the layout and operation plan was proposed so that it could naturally be recognized as a landscape, and also the route plan in order to induce customer to interest and lead to purchase. Finally, based on this, a spatial design manual was presented to accommodate the requirements of various department stores. (Result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cur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lifestyle select store branding process and presented the branding design and spatial design standard of Lotte Department Store's lifestyle brand ‘SISIHOSI’. The concept of the brand was derived as 'The store that suggests for daily life on a good day' and standardized the MD configuration, lighting and equipment system with tone and manners. The design of the route plan and the furniture layout plan to lead to the purchase and the proposed VMD plan through the ritualistic complex exhibition method. The program's variable space operation plan considering brand expansion and the flexible furniture an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store characteristics were standardized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with sketch-up and V-RAY programs. (Conclusions) The ‘SISIHOSI’ lifestyle brand select store, which incorporates the concept of curation, is a variable directing concept that can vary space, providing new and diverse experiences to custom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as a design guideline when planning various lifestyle experience spaces in the future.

      • KCI등재

        3원색 LED 광원 모듈을 이용한 광색 선호도 조사

        정강화,Chung, Kang-Wha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8 No.3

        최근 LED 광원에 의한 컬러조명 연출사례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LED에 의한 광색 선택과 관련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3원색 LED를 사용한 광색 생성기를 제작하여 복수의 응답자로 하여금 스스로 조각하여 선호하는 컬러를 만들게 하고 이를 디지털 색채색차계로 측정하여 CIE1964색도도표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일정한 광색 선호도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이는 향후 LED를 사용하는 조명설계 뿐 만 아니라 디지털로 제어되는 컬러 조명연출 설계시 적용되어 활발하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examples of a lighting design with LED source have increased rapidly, but there are few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selecting luminous colors by LED. The research is that respondents operated color blender and got preference colors according to what they made, the colors were measured by chroma meter and marking CIE 1931 chromaticity diagram.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as made group preference for luminous colors. From now on, not only does it seem capable of using a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to which LED but it will be actively applied to controlling with a digital technology for lighting design.

      • KCI등재

        LED 광원 모듈과 센서를 통한 인터랙티브 라이팅 기법에 관한 연구

        정강화,Chung, Kang-Wha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4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18 No.3

        고체기반 조명인 LED를 적용시킨 건축조명 설계사례는 최근 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조명기구의 개발 및 설계적용기법은 새로운 광원에 적합하지 못한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기술로 제어되는 조명설계기법 관련 요소를 살펴보고, 디지털 광원 모듈을 개발하여 건축조명설계에 적용해봄으로써 센서와 연동되는 인터랙티브 라이팅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자연의 아날로그적 변화를 센서로 검출하여 연출하는 인터랙티브 라이팅은 디지털 기술이 조명대상공간을 획일화시킬 수 있다는 부정적 측면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새로운 대안이 된다 하겠다. Recently the examples of a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to which LED, a solid state Lighting, is applied are increasing in number, but the development of lighting apparatus and the techniques applied to a designing lighting apparatus frequently don't fit to a new source of light. This essay refers to the matters relevant to the techniques for designing a lighting, which are controlled with a digital technology, and the effectiveness of a "Interactive-lighting technique" which has a ductility by a sensor with developing a digital source of light module and applying it to a real designing a building-lighting . In the negative aspect that a digital technology can standardize a space for a lighting, a "Interactive-lighting Technique", which detects an analogic change of nature through a sensor and produces it, can become a new alternative one.

      • KCI등재

        지하보행공간의 녹시율 향상을 위한 공간연출디자인에 관한 연구

        정강화(Kang Wha Chung),백지원(Ji Won Pai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현대도시의 자원 소모적 개발의 지속은 미래개발 가용지의 제한을 초래하여 가용공간에 대한 인간의 의식은 지하공간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인간생활의 물리적 범위가 지하공간까지 확장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하공간생활을 위한 개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도시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하공간은 쾌적한 환경으로의 변화를 통한 공간 활용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보행체계를 보완하고 자연환경을 직접 대입한 친환경계획을 수립, 미래지향적인 지하보행공간으로의 기능향상과 물리적 단점을 함께 보완해야 한다. 그러나 쾌적한 환경을 위한 자연환경의 직접적 도입은 지하공간이 가지는 물리적 한계로 인해 여러 방해 요소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하공간의 물리적 한계는 식물생장에 필요한 공기, 수분, 빛, 토양 등이 충분히 제공 되어야 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시설의 확충과 기술의 보완을 요구 되어 진다. 또한 자연광의 역할을 대체하는 인공조명이 중요하며, 지하공간에 도입 가능한 수종의 종류를 파악, 도입하여 효율적인 지하 공간 연출을 기획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연출계획에 있어서 유용한 인공조명의 기술과 수종, 식재 방법 등을 유형화하여 지하공간에 적용 가능한 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식물을 이용한 공간의 기능과 효과를 예상, 적용하여 실제 대상지에 녹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간연출 디자인 안을 제시하였다. 공간연출 디자인의 대상지는 건대입구역 7호선 3. 4번 출구를 연결하는 구역으로 휴식공간과 문화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건대병원 지하1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통로로 선정하였다. 건대입구역의 물리적 특성은 낮은 천장과 시야확보가 어려운 기둥이 많아 공간을 연출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하지만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보행자의 행태를 관찰해 건대입구역 지하보행공간에 적용 가능한 식물을 이용한 공간연출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디자인은 지하공간에서 식물생장이 가능한 구조와 기술이 도입되었으며 지하보행공간의 인간행태에 의해서 결정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디자인과정은 물리적 환경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서 기능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이는 지하보행공간의 녹시율을 향상시킴으로서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기 위함으로 앞으로 지하보행공간의 개발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대상 공간은 다양한 역세권과의 연결통로로써 유동인구가 다수분포하고 있고, 인구밀집도가 높아 녹시율 향상을 통한디자인의 효과가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공간에 대한 디자인 연출의 결과는 지하보행공간의 질적 수준과 환경적 개선을 계획하는데 새로운 지표가 될 것이며, 앞으로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지하보행공간의 공공적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인간의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 미래지향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The continuation of the development, consuming the resources, in modern urban development, will limit the available lands for future development. So, the human`s perception about the available lands is expanding into the underground space. This means that the physical scope of human life is expanded into the underground space, and,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space living is emerging. However, with respect to the underground space,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urban life, the existing pedestrian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he eco-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rect substitu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the function as the future-oriented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should be improved; and its physical shortcomings should be supplemen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value of the space utilization through the change into pleasant environment. However, the direct introd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for the pleasant environment includes many interruptions due to physical limitations of the underground space. For this physical limitations of the underground space, air, water, light and soil, etc. should be provided sufficiently for the growth of plants,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 expansion of facilities and the supplementation of technologies are required. Also, the artificial lighting, replacing the role of natural light, is important, and the efficient underground production should be planned, by identifying and introducing the types of plants species, which can be introduced to the underground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lighting, and the species of plants, and the planting methods are categorized and its applications to the underground space, have been derived. The target of the space production design was the zone connecting exit 3 and 4 of metro line 7, at Konkuk university station, and the passage directly connected to the ground level 1 of Konkuk University Hospital in which resting space and cultural space are formed, was selected. Due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Konkuk University Station, the ceiling was low and there were many pillars which made it difficult to secure the visibility, causing the limitations to the space production. Howeve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nature of space and the observation of the behavior of pedestrian behavior, the space production design, using the plants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pedestrian space of Konkuk University Station, was suggested. In the suggested design, the structure and the technology, enabling the growth of plants in the underground space, were introduced, and they were decided by the human behaviors in the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Thus, the design process of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esign which could be seamlessly combined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create functional and pleasant environment. This is to improve the index of greenness in the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and form the expectable positive perception, and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in the future. Also, the target space is the passage connected to the sub-way area, having a large number of floating population and high population density, so the effect of the design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dex of greenness, is expected to be positive. The result of the design about the space like this, will become the new indicators for planning the quality level of underground pedestrian spac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public value of increasing underground pedestrian space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will be the future-oriented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