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출판(publishing)”의 재개념화 연구 : 출판의 개념 확장을 중심으로

        한주리 출판문화학회 2019 出版 雜誌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기술변화에 따라 출판산업에 나타난 다이나믹한 변화는 과거 우리가 출판이라고 생각했던 개념만으로는 설명이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여, 출판의 영역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생태계(Digital Ecosystem) 안에서 저자, 독자, 콘텐츠가 연결되어‘관계’를 만들고, 그 안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미디어로 기능하는 범주를 포함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묶여진 책(冊)이 아닌 살아 움직이며 작동하는 디지털 생태계 속에서 공표되어 공유된 모든 미디어로 보아야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통해 출판 개념의 확장에 대해 진단하고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의 출판생태계를 진단하고, 기존의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출판은 인간의 사상이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창의적인 편집활동을 통해 인쇄 및 기타 기술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구현한 출판물을 발행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는 결론 및 출판사, 출판물, 외국간행물, 배포, 출판문화산업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 15세기 언해본 출판 연구

        부길만 출판문화학회 2020 出版 雜誌硏究 Vol.28 No.1

        이 글은 15세기 언해본 출판을 출판문화사적 관점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5세기는 한국과 유럽 공히 출판문화가 새롭게 피어났던 시기이다. 15세기의 시대 상활을 출판문화를 중심으로 한국과 유럽을 비교 고찰한 다음. 언해본 출판의 종류를 검토하고 언해본 출판의 특징 내지 의의를 다음과 같이 밝힌다. 첫째, 언해본 출판이 한글 전파의 매개 역할을 담당했다. 이것은 시대를 선도하고 문화를 창조하는 출판의 사명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둘째, 종교서적 출판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15세기 유럽의 경우에도 해당되는 특징이다. 인류문명에 대한 종교의 영향력은 전세계적인 것인데, 15세기 서적 출판의 역사에서도 그대로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우리 글로 된 교화서와 실용서가 최초로 등장한 데에 역사적 의의가 있다. 이것은 출판이 주민들의 실생활과 보다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출판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조선 후기에 이르면 실용서에서 나아가 오락적 재미도 찾아주는 소설 같은 서적들이 활발하게 나오게 된다.

      • 편집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과정 연구

        김은경 출판문화학회 2022 出版 雜誌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다변화하고 있는 출판 산업 환경에서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에 대한 요구가 늘고 있어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좀 더 바람직한 출판 디자인 교육과정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첫 번째로 출판 편집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업무 역량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두 번째로는 편집디자인 관련 자격실태를 조사했다. 세 번째로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은 관련 기관에 따라 각각 기준을 달리하여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 편집디자인 및 출판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출판업계, 학회,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현실적인 출판 유형별, 분야별 전문성을 살린 출판 편집디자인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매뉴얼을 만들어 출판 편집디자인 교육에 운용하고 출판사 현장에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어야 할 것이다.

      • 한·일 출판 콘텐츠 교류에 관한 연구

        김정명 출판문화학회 2021 出版 雜誌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한·일 양국의 번역출판물로 양국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번역출판물에 따른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양국의 번역출판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등의 시기도 있었으나 일본의 출판콘텐츠를 비교적 쉽게 받아들이며 시장에서 그 비중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일본에서 한국 출판콘텐츠의 번역물은 1910년부터 36년간 한국어로 쓰인 문학이 존재하기 힘들었다. 이는 대부분의 문학이 일본에서 간행된 작품 또는 일본어로 번역된 작품이 많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러한 시기를 거치고 지금 현재는 일본에서도 한국의 출판콘텐츠의 번역이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한·일간의 번역출판은 불균형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해외 번역출판시장의 비중은 높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일본 출판물의 번역비중이 높다. 한국에서 일본 출판물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을 보면 일본은 한국 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일본의 혐한 출판 현황과 개선 방안

        백원근 출판문화학회 2019 出版 雜誌硏究 Vol.27 No.1

        한국과 한국인에 대해 증오심을 조장하는 혐한(嫌韓) 출판물이 일본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1990년대 초다. 일제 강점기 전후의 역사 인식과 독도 문제로 갈등이 깊어진 2010년대에는 ‘혐한 비즈니스’로 그 규모가 대폭 확대되었다. 초기에 소형 출판사들이 펴내던 혐한 도서와 잡지 출판물은 이제 대형 출판사들이 주도하는 시장 영역으로 바뀌었으며,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악감정을 키우는 역기능이 작지 않다. 혐한 출판물은 한국의 급속한 발전과 일본의 상대적 퇴보, 일본 사회의 우경화와 내셔널리즘 확산, 출판시장의 불황, 한·일 갈등을 배경으로 성장했다. 일본 내 혐한 출판 현상을 개선하려면 무엇보다 국제 출판계의 교류 강화와 정기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일본 출판계의 자정 노력을 촉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양국간 교류 확대를 통해 혐한 인식이 뿌리내리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 출판산업 종사자의 직무교육 강화 방안 연구

        김희주 ( Kim Hee Ju ) 출판문화학회 2023 出版 雜誌硏究 Vol.31 No.1

        출판산업 종사자는 타 산업 종사자와 차별적인 직무역량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방향성도 출판산업 종사자에 적합한 맞춤형 설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출판산업 종사자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직무역량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직무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는 주요 개념과 출판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봄으로써 직무교육를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출판산업 종사자에게 필요한 공통적인 직무역량은 의사소통능력, 비즈니스 통찰력, 제작 기술,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책에 대한 열정이 요구되고 있었다. 출판산업 종사자의 직무교육 강화 방안으로 출판산업 종사자들에 필요한 직무 기본역량교육 강화, 부서와 직급에 따른 직무교육의 우선순위 설정, 직무를 위한 전문역량 교육 강화, 교육 과정 평가 및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Publishing industry workers need differentiated job competencies from other industry workers and measures to strengthen job competencies also require customized design for publishing industry workers. To this end, the study looked at what job competencies are commonly required of publishing industry workers and looked at major concepts and publishing education programs suggested as measures to strengthen their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mmon job competencies required of workers in the publishing industry consist of communication skills, business insights, production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and enthusiasm for books. In addition, as a way to strengthen job education for publishing work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basic job competency education necessary for publishing industry workers, prioritize job education according to departments and positions,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y education for jobs, evaluate the curriculum and continuously improve.

      • 미래교육과 교육출판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김정명,정원옥 출판문화학회 2022 出版 雜誌硏究 Vol.30 No.1

        최근 디지털 전환, 그리고 2020년부터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교육출판 시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이와 함께 국내교육정책도 미래교육으로 전환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교육출판을 둘러싼 환경변화를 살펴보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교육관련 출판사의 지속성 및 활성화를 위한 저해요인과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먼저, 교육출판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는 학령인구 감소, 종이책 참고서 시장의 몰락, EBS 상업출판의 활성화, 에듀테크와 양극화, 저작권 침해, 인건비 상승 및 인력수급의 어려움, 제조 원가 상승 등이 있었다. 또한 교육출판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으로는 교과서 정책의 일원화, 저작권법 개정 및 보완, EBS 상업출판의 제한, 교과서 개발 시간의 확보, 교과서 가격 현실화, 다양성과 창의성 실현을 위한 쪽수 제한 폐지, 민관협력 등으로 나타났다.

      • BMP 한글 글자와 한국전자출판연구회

        이기성 출판문화학회 2020 出版 雜誌硏究 Vol.28 No.1

        한국전자출판연구회(CAPSO)와 인쇄업체와 출판사들과 컴퓨터통신 동호회는 1980년대 말부터 1990년대까지 한글문자코드의 KS규격을 조합형으로 바꾸고 국제표준에 추가될 수 있도록 하여 국제적으로 한글 1만 1,172개 음절과 옛한글을 모두 표현할 수 있게 만드는 한글 문자코드 표준 개정운동을 펼쳤다. 전자출판(Computer Aided Publishing) 시대를 맞이하여 출판사와 인쇄사가 준비할 과제를 정해놓고 가장 시급한 문제인 한글의 입력, 처리, 출력, 정보교환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한국전자출판연구회 관련 출판사와 인쇄사는 한글 전자출판의 기본 인프라인 ① 한글코드 조판 기술과 ② 한글 디지털활자(폰트)의 두 가지, 특히 BMP에서 완벽한 한글 표준코드의 제정으로 전자출판 시대에는 독일과 일본에 종속되었던 인쇄/출판 환경에서 독립하여 수입 기계가 아닌 국산 컴퓨터조판 기계로 책, 신문, 팜플렛 등 모든 한글 인쇄물을 조판/인쇄하고 출판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드론 영상 분석과 자료 증가 방법을 통한 건설 자재 수량 측정

        문지환,송누리,최재갑,박진호,김계영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9 No.1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for counting construction materials by analyzing an image acquired by a Drone. The proposed technique use drone log which includes drone and camera information, RCNN for predicting construction material type, dummy area and Photogrammetry for counting the number of construction material. The existing research has large error ranges for predicting construction material detection and material dummy area, because of a lack of training data. To reduce the error ranges and improve prediction stability, this paper increases the training data with a method of data augmentation, but only uses rotated training data for data augmentation to prevent overfitting of the training model. For the quantity calculation, we use a drone log containing drones and camera information such as Yaw and FOV, RCNN model to find the pile of building materials in the image and to predict the type. And we synthesize all the information and apply it to the formula suggested in the paper to calculate the actual quantity of material pil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through experiments. 본 논문에서는 드론에 의하여 획득된 영상을 분석하여 건축자재의 수량을 측정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술은 드론 및 카메라 정보가 담겨있는 드론 로그와 영상 내 건축자재더미 종류와 영역을 예측하는 RCNN, 실제적인 수량 계산을 위한 사진측량법을 사용한다. 기존 연구에선 학습 데이터의 부족으로, 자재 종류 및 건축자재더미 영역 예측 정확도의 오류 범위가 컸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 범위를 줄이고 예측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자료 증가 방법으로 학습 데이터를 증가시킨다. 자료 증가는 학습 모델의 과적합을 막기 위해 회전에 의한 증가 방법만 사용한다. 수량 계산 방법으로는 Yaw, FOV 등의 드론 및 카메라 정보가 담겨있는 드론 로그와 영상 내 건축자재더미 영역을 찾고, 종류를 예측해 줄 RCNN 모델을 사용하고, 이 모든 정보를 종합해 논문에서 제안하는 수식에 적용하여 자재더미의 실제적인 수량을 계산한다.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