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개인운동사)의 역할 탐색

        정덕조 대한운동학회 2013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5 No.1

        [INTRODUCTION] There is the increasing needs for personal trainers, with expanding demands that exte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However, professional trainers generally lack adequate scientif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which could result in poor decision making by these exercise special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duties performed by personal trainers, and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educational and training requirements that are required to better support their actual responsibilities. [METHOD]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changing demands placed upon personal trainers and to identify opportunities for training and educational improvements. [RESULT] The study found wide variation in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held by personal trainers. This variation in job responsibilities indicated the lack of a standard definition for the duties of a personal trainer. This wide variation of duties across the profession of personal trainer impedes the attaining of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that need to be supported. The indication is that the profession of personal trainer would benefit from a systematic approach to accumulate a common body of knowledge that identifi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performed by personal trainers. Further, by identifying these responsibilities it would be possible to identify academic training that would enhance their performing of these duti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ersonal trainer’s role would serve to avoid confusion regarding job responsibilities and could elevate personal training to be a professional job. [CONCLUSION] Clarification of job responsibilities, and additional training that includes related medical education, would significantly improve job satisfaction. Personal trainers require addition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t include: professional development, client counseling, management of clients, and medical training. Moreover, it is sugges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certification for personal trainers would be an important step towards improving the personal trainers’ economic and social role within the law. [서론] 퍼스널트레이닝에 대한 학문적 개념정리가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상태에서 비과학적이고 비전문적인 퍼스널트레이닝의 양적 팽창과 지속적인 수요가 이루어졌지만, 퍼스널 트레이너(개인운동사)의 전문적인 역할과 직역에 대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마련되지 않아 차후 운동전문가에 대한 불신이 깊어질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퍼스널 트레이너의 역할에 대한 탐색을 통해서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갖추어야 할 것들과 준비해야 할 것들에 대한 논의를 준비하기 위한 과정으로써 퍼스널 트레이너의 일반적인 역할에 대한 탐색을 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퍼스널 트레이너와 관련된 선행연구의 검토와 문헌연구를 하였다. [결과] 지금까지도 퍼스널 트레이너는 직무의 범위나 직역이 확립되지 않아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체계적인 지식을 통해 더욱 과학적으로 고객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스스로의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며, 학문적인 발전을 통해 이를 뒷받침해야 한다. 퍼스널 트레이너 역할에 대한 교육이 전문적으로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새롭게 시작되는 전문직에 대한 건전한 발전도 기대하기 힘들고 더더욱 많은 혼란과 부작용이 야기될 것이다. [결론]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직업의식이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도 필요하며, 몸을 다루는 운동전문가로서의 의학적 소양도 갖추어야 한다. 앞으로, 트레이닝에 대한 전문지식 함양, 고객상담 및 관리 능력 신장, 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매너나 태도 교육을 위한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법률적,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자격제도 국가공인 취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이 회원의 PT만족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김경식(Kyong-Si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0

        이 연구는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이 회원의 PT만족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2013년 서울시 소재 스포츠시설업 중 PT를 받고 있는 운동참가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총 24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최종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219명이었다. 설문지의 타당도는 전문가회의를 통한 내용타당도, 신뢰도는 신뢰도 분석을 통한 Cronbachs α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Chronbachs α값은 .697이상으로 나타났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을 활용하여 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은 회원의 PT만족에 영향을 미친다. 즉,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이 좋을수록 회원의 PT만족은 높다. 둘째,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친다. 즉,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이 좋을수록 회원의 운동지속은 강화된다. 셋째, 회원의 PT만족은 운동지속에 영향을 미친다. 즉, 회원의 PT만족이 클수록 운동지속은 강화된다. 넷째, PT만족은 퍼스널트레이너의 전문성과 운동지속 사이에 의미있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peciality of personal trainer, PT satisfaction and exercise adherence.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sampled 240 members of sports facilities of Seoul utiliz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in 2013. But this study finally used 219 samples in data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s tested by expert meetings and reliability analysis. Chronbachs α is over .697. Data analysis is SEM using AMOS 18.0.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ly, speciality of personal trainer influence on PT satisfaction of members. Secondly, speciality of personal trainer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 Thirdly, PT satisfaction influence on exercise adherence. Fourthly, PT satisfaction have not a mediating role between speciality and exercise adherence.

      • KCI등재

        스포츠센터 퍼스널트레이너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이 관계품질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정(Lee, Eun-Jung),이정학(Lee, Jeoung Hak),김종훈(Kim, Jong-Hoo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6 No.5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퍼스널트레이너 관계마케팅 실행요인과 관계품질(신뢰, 만족), 충성도 관계 규명을 통해 스포츠센터 운영에 대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스포츠센터 이용고객 욕구와 가치관에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마케팅전략을 수립을 위한 실증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 28개 스포츠센터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스포츠센터에서 퍼스널트레이너에게 트레이닝을 받고 있는 이용고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13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퍼스 널트레이너 관계마케팅 관계품질 하위요인 중 신뢰에 ‘장기고객지향성’, ‘커뮤니케이션’, ‘전문성’, ‘유인성’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 충성도에 ‘장기고객지향성’, ‘커뮤니케이션’, ‘전문성’ 모든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포츠센터 퍼스널트레이너 관계마케팅은 퍼스널트레이너 자체의 특성 및 경영상의 운영능력에 따라 고객관계관리(CRM)에 대한 성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관계마케팅을 효과적으로 이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각별한 퍼스널트레이너 관계마케팅 시스템 구축이 필히 요구 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y for effective sports center management to satisfy the customers by looking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 between sports center trainer"s relationship marketing implementation factors, relationship quality and loyalty. The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to people who were actually receiving personal training in 28 sport center located in Seoul, Gyeonggi area by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Total of 513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as final validity sample. For data analysis, SPSS Ver.12.o was u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long-term oriented customer",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flexibility"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ner"s relationship implement factor and reliability. Second, "long-term oriented customer",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influenced significant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the result, the outcome of CRM of sport center trainer"s relationship marketing can be diff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managing skill of personal trainer. Therefore, construction of personal trainer"s relationship marketing system, which can check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relationship marketing is certainly needed.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의 변혁적 리더십과 PT만족 및 운동 몰입의 관계

        김병윤,이현서,김차용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 트레이너의 변혁적 리더십과 PT만족 및 운동 몰입의 관계를 검증하여 고객의 운동목적 을 효과적으로 달성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퍼스널 트레이닝 스튜디오에서 1개월 이상 퍼스널 트레이닝을 받고 있는 고객 2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Version 21.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퍼스널 트레이너의 변혁적 리더 십, PT만족, 운동 몰입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변혁적 리더 십과 운동 몰입의 관계에서 PT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였다. 검증된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PT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 하였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이 운동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PT만족은 운동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퍼스널 트레이너의 변혁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의 사이에서 PT만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achieve the client's exercise goals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train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T satisfaction and excercise immer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2 clients who had been undergoing personal training for more than 1 month at the personal training studio.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IBM SPSS Version 21.0 and AMOS 18.0, an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a path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train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T satisfaction, and exercise immersion, and a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PT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xercise immersion. The verified research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ffects PT satisfaction.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xercise immersion. Third, PT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immersion. Fourth, PT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ersonal train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xercise immersion.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의 서번트 리더십과 참여자들의 임파워먼트 및 스포츠 몰입 간의 관계

        이상호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퍼스널 트레이너의 서번트 리더십과 참여자들의 임파워먼트 및 스포츠 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하 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의 달성하기 위해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택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2월 1일에서 2020년 1월 15일까지 수도권에 위치한 피트니스센터 12곳에서 설문을 실시했고, 총 250부 중 불성실하거나 일부 문항이 기입되 지 않은 13부를 제외한 237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3.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빈도분 석, 신뢰도검증, 확인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과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했다. 분석된 결과 첫째, 퍼스널 트레이 너의 서번트 리더십은 참여자들의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퍼스널 트레이너의 서번트 리더십은 스포츠 몰입에 통계적 수준에서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퍼스널 트레이 닝 참여자들의 임파워먼트는 스포츠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퍼스널 트레이너의 서번트 리더십과 참여자의 스포츠 몰입 사이에서 임파워먼트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퍼스널 트레이너는 참여자들의 스포츠 몰입을 극대화하기 위해 궁극적으로 임파워먼트를 높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ner's servant leadership and participants' empowerment and sport commit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was chosen as a measurement tool.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Dec. 1, 2019 to Jan. 15, 2020 at 12 fitness center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f the total 250 samples, 237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13 which were unfaithful or some questions were not filled out. Data analysis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using IBM SPSS 23.0 and AMOS 22.0. The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confirmed that personal trainers' servant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nts' empowerment. Second, personal trainers' servant leadership did not effect participants' sport commitment. Third, participants' empower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participants' sport commitment. Finally, participants' empower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ners' servant leadership and participants' sport commitment. Therefore, personal trainers should ultimately increase participants' empowerment in order to maximize participants' sport commitment.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닝 고객이 지각하는 지도자 신뢰와 PT만족 및 행동의도의 인과 관계

        김병윤,김우식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P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personal trainer guiding Custom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5 customers who received personal training for more than one month at a personal training center. IBM SPSS Version 21.0 and AMOS 18.0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addition, path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trainer's leader trust, PT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leader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T satisfaction. Second, leader tru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ird, PT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T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ersonal trainer's leader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본 연구는 퍼스널 트레이너가 고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도자 신뢰와 PT만족 및 행동의도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퍼스널 트레이닝 센터에서 1개월 이상 퍼스널 트레이닝을 받고 있는 2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퍼스널 트레이너의 지도자 신뢰와 PT만족 및 행동의도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지도자 신뢰와 행동의도의 관계에서 PT만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정하는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였다. 검증된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자 신뢰가 PT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지도자 신뢰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PT만족이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퍼스널 트레이너의 지도자 신뢰와 행동의도의 사이에서 PT만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에 대한 탐색적 고찰: 강남과 강북 트레이너 간 몸의 기득권자-아웃사이더 권력관계를 중심으로

        추혜원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0 No.1

        This article is a socio-cultural research on the personal trainer culture in Korean society by employing an original synthesis of the work of Elias and Bourdieu.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multidimensional and in-depth analysis of personal trainers, by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ner groups with differing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e.g. Gangnam and Gangbuk, private and public center).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personal trainers in both Gangnam and Gangbuk are examined (Gangnam 13: Gangbuk 10). The established and outsider relations of the body among trainers are distinguished by their symbolic spaces(Gangnam and Gangbuk), sites(private and public), civilizing process of the bodies, and forms of capital (especially, 'Hakbeol' capital). Established trainers stigmatize outsider trainers by using the means of dissemination via blame gossips: ‘they do not even know what PT is’, ‘the nogari trainers are killing time with unnecessary words’, and ‘they are playboys.’ Gangnam trainers have both visible and invisible cohesions in connecting with the Gangnam collective identity. A group image of Gangnam trainers represents the best image of all trainers, while the image of outsider group consists of the worst characteristics of the worst members. Gangbuk trainers have low cohesion, so they cannot resist these negative stigmatizations – thus, they internalize them. The reason for this phenomenon of self-segregation is that reproduction of these social differences is entirely determined by each group’s level of cohesion. Their extant social differences make Gangnam’s cohesion stronger and Gangbuk’s cohesion weaker. A trainer’s cultural capital and habitus can have influence on club members who learned from other established trainers and the outsiders. Therefore, the hierarchies of fitness consumer (club, member, trainer) reproduce socially and culturally through these processes. 본 연구의 목적은 Elias와 Bourdieu의 이론들을 바탕으로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이 달리 나타나는 서울 강남과 강북의 피트니스 장에서 트레이너들 간 권력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인터뷰와 참여관찰 방법을 통해 강남과 강북 트레이너들 간 기득권자-아웃사이더(Established-Outsider, E-O) 권력 관계를 강남과 강북이라는 상징 적 공간, 클럽 아비투스(프라이빗과 퍼블릭 센터), 몸의 문명화 과정, 그리고 자본의 형태(특히 학벌자본) 측면에 서 살펴보고자 하였다(강남 13명: 강북 10명). 연구결과, 기득권자 위치에 있는 트레이너들은 아웃사이더 트레 이너들에 대해 ‘그들은 PT가 무엇인지 모른다’, ‘불필요한 말만하고 시간만 때운다’, ‘그들은 바람둥이다' 라는 가십을 통해 낙인을 찍고 있었다. 강남 트레이너들은 강남이라는 집단 정체성과 연결되는 보이는/보이지 않는 사회적 유대감(social cohesion)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강남 트레이너들은 모든 트레이너의 최 고의 이미지를 대표하며, 강북 트레이너들은 가장 나쁜 특성을 구성하는 아웃사이더 집단의 이미지를 가진 것처 럼 인식되어졌다. 강북 트레이너들 간 사회적 유대감은 약하기 때문에, 이들은 이러한 부정적 낙인에 저항할 수 없었으며 오히려 이러한 이미지를 내면화하고 있었다. 결국, 기득권자-아웃사이더(E-O) 권력 관계 및 사회적 차이의 재생산은 각 그룹의 사회적 유대감 수준에 의해 전반적으로 결정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현 존하는 사회적 차이들은 강남의 유대감을 더욱 강하게 하고 강북의 유대감을 더욱 약하게 하고 있었다. 더 나아 가 트레이너의 문화자본과 아비투스는 클럽 회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피트니스 소비자(클럽, 회원, 트레이너)의 위계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회적·문화적으로 재생산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 이다.

      • KCI우수등재

        퍼스널 트레이너의 회원확보 전략과 사회적 의미

        장은서(JungEun-seo),이정래(LeeJung-lae)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4

        본 연구는 증가하는 피트니스 센터의 경쟁심화 속에서 퍼스널 트레이닝 회원확보를 위해 퍼스널 트레이너들이 어떤 전략을 구사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회원확보 전략은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현재 피트니스 센터에 소속되어 퍼스널 트레이너로 활동하는 트레이너 6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비 구조화된 면담과 반 구조화된 면담을 혼용한 심층면담과 관련 자료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퍼스널 트레이너들은 회원확보를 위해 호감형으로 꾸미기, 사적 친밀도 이용하기, 프로다운 이미지 만들기, SNS를 통한 자기 홍보하기 등의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을 사회적 측면에서 고찰하였을 때, 자본획득을 위한 자본투자의 원칙, 퍼스널 트레이너의 왝더독(Wag the dog) 현상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strategies personal trainers use in order to acquire members for personal training in the ever-increasing competition of fitness centers, and explore the social implications of these strategies. As such, we have selected 6 personal train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a fitness center by using purposeful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other related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extu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was shown that personal trainers use strategies such as decorate at good feeling, using personal affinity, creating a professional image, doing self-promotion through SNS and etc. in order to acquire members. Examining this from a social perspective, it implies the principle of capital investment to acquire capital, as well as the ‘wag the dog’ phenomenon in personal trainers.

      • KCI등재

        퍼스널 트레이너의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가 라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시예,김대환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al trainer's social servicescape, rapport formation, and loyalty,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rainer's social servicescape and rapport form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d personal training service and 550 final valid samples were obtain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easurement invariance test,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R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trainers' social servicescape including attitude, expertise, and appear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apport formation with custome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a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stomer's loyalty to personal trainers. Third, the effect of the appearance of a personal trainer on rapport formation was greater in female customers than in male custo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sonal trainers' social servicescape attitude, expertise, and appearance are important in forming rapports with customers, and the rapports improve customer loyalty to trainers, so personal trainers should establish appropriate social servicescap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