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탐사보도 실천경험에 관한 뉴스 생산자 인식 연구

        남재일 ( Nam Jae-il ),오대영 ( Oh Day-you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8 언론과학연구 Vol.18 No.3

        탐사보도는 기존 저널리즘의 공백을 보완하는 최선의 수단으로 널리 인정된다. 하지만 언론현장에서 탐사보도는 점점 위축돼 가는 것이 현실이다. 이 연구는 왜 이러한 당위와 현실의 괴리가 발생하는지, 탐사보도가 정착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지 알아보고자 한국 탐사기자들의 실천경험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탐사기자 12명을 심층인터뷰 해서 탐사보도의 요건, 기존 한국 탐사보도에 대한 평가, 탐사보도의 장애요인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을 조사했다. 분석결과 한국 탐사기자들은 폭로성을 중심으로 탐사보도를 생각하는 성향이 강했다. 사회변화의 촉매역할에 대한 인식은 부족했다. 또 기존 탐사보도에 대한 평가는 현안성 탐사가 중심이 된 초보적 단계로 인식했다. 여기에 작용하는 장애요인으로는 정치적 통제, 자본권력의 압력, 언론조직 내의 상업성에 대한 압력, 소송의 부담, 소명의식의 부족 등 5개 요인이 거론됐다. 이중 방송기자를 제외한 모든 기자들은 조직 내의 상업성에 대한 압력을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 탐사보도의 실천경험은 조직 내의 상업성 압력과 탐사보도의 공공성을 절충하는데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탐사보도가 활성화 되려면 상업성에 대한 추구보다 시민과의 연대를 기반으로 한 공공성 강화가 요구된다는 것이 이 연구의 결론이다. Investigative Reporting has been acknowledged as a powerful complement of objective journalism, especially formalistic trend of it. But Investigative reporting is being gradually tapered off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 why this kind of difference between idea and reality happen, what is ideal conditions in that investigative reporting settle dow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12 investigative reporters about their practice experienc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vestigative reporting. By this analysis, several important point was found. First of all, Korean Investigative reporters put a bigger emphasis on revealing hidden fact itself than the role of catalyst for social change. The biggest obstacle of korean Investigative reporting was direct and indirect control by capital power. Relatively, Control by political power was less influential. Eventually, Pressure on commercial viability inside media organization is hardest condition for investigative reporters to overcome. This analysis result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vitalize investigative report in South korea is to compromise commercial viability and publicity inside investigative reporting norm and customs.

      • KCI등재

        한․미 탐사보도 성격 비교 연구

        남재일,박재영 한국지역언론학회 2020 언론과학연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U.S. investigative journalism by analyzing each country’s investigative reporting. By combin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what defines investigative journalism, the requirements of investigative reporting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dealing with public matters, guaranteeing independence of investigative reporting team, exposing corruption in the society, and facilitating social change.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o what extent Korean and American investigative journalism adhere to the four abovementioned factors. The analysis of 64 Korean articles and 46 U.S. articles showed that Korean and U.S. artic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d in all aspects except dealing with public matters. Compared to Korean articles, U.S. articles focused more on uncovering the hidden reality and verifying facts. Furthermore, American journalists were found to be more professional, due to their profound investigations and expertise in writing articles. On the other hand, Korean investigative reporting tended to deal with public matters, but lacked expertise in the news production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ree alternative ways to improve Korean investigative journalism. First, the independence of the investigative reporting teams should be guaranteed by media organizations. Second, fact checking,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journalism,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Lastly, a specialized investigative report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develop journalists’ skills in conducting investigative reporting and writing articles. 이 연구는 한국 탐사보도와 미국 탐사보도를 분석해서 한․미 탐사보도의 성격을비교하고자 했다. 탐사보도를 정의하는 이론적 논의를 종합해 탐사보도의 요건을 주제의 공공성, 취재의 독자성, 보도의 폭로성, 사회변화의 촉매 역할 등 4개로 유형화하고 한국 탐사보도와 미국 탐사보도가 얼마나 이러한 요건에 충실한지 비교했다. 한국기사 64건, 미국기사 46건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 주제의 공공성을 제외한 3개 요소에서 한국기사와 미국기사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미국기사는 한국기사보다 은폐된현실을 드러내는 폭로성과 사실 검증에 더 충실했다. 취재 과정의 탐사 집중도나 기사작성의 전문성 차원도 미국 기자들이 더 전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한국탐사보도는 공공성 있는 주제를 선정하지만, 이를 기사로 만들어가는 뉴스 생산 과정전반에 전문성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한국탐사보도가 나가야 할 대안적 방안으로 미디어 조직 내 탐사보도팀의 독자성에 대한인정,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인 사실 검증 강화, 탐사보도의 취재와 기사작성 과정을전문화 할 수 있는 탐사보도 전문기자 제도의 도입 등을 제시했다.

      • KCI등재

        TV탐사보도 프로그램의 법적분쟁에 나타난 특성 연구

        이승선(Seung-S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29 No.-

        탐사보도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취재 대상의 비리ㆍ부정을 추적하고 고발ㆍ폭로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인격권 침해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탐사보도 프로그램은 기획ㆍ취재ㆍ보도 과정에서 무엇보다도 이러한 법적 분쟁의 가능성을 미리 검토하고 차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방송3사의 대표적인 탐사 보도프로그램 〈추적60분〉, 〈PD수첩〉, 〈그것이 알고싶다〉를 상대로 한 총 35개의 법적 분쟁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향후 탐사보도 프로그램은 공적 존재의 공적활동에 대한 탐사와 고발을 더욱 확대해 나가야만 본연의 역할에 충실하게 되고 법적 분쟁에서 패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 향후 탐사 보도 프로그램은 취재과정에서 위법성을 배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최대한 취재대상에게 실질적인 반론의 기회를 부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인한 법적 분쟁에서 법원은 최근 언론소송 일반에 적용되고 있는 공적존재 보도에 대한 언론의 ‘입증부담 완화’ 법리를 ‘일관되고 폭넓게’ 적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탐사 보도 프로그램 제작진에 대한 재교육의 기회가 실질적으로 확대되고 유용하게 전개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lawsuits against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of the broadcast media. This study proposed three research questions: (1)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decisions on the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2) what were the reasonings on which judges rely in the lawsuits for a right of reply? (3) what were the critical issues and how the libel laws were applied in balancing between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he protection of individual righ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employ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alysing 35 related cases. This study revealed that investigative reporting programs must deal with the issues of 'public figures' and 'matters of public concern' to be protected under the freedom of the pres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broadcast media must prove legitimate public interests and the truth of the facts to prevail in a case. In 1999,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held that pubic figures in libel cases must be regarded differently from private figures. In accordance with the decision, the Supreme Court has applied differing criteria for public figures in libel cases. However, courts have not set a clear definition of the public figure yet. To advocate the freedom of the pres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V producers and journalists should behave lawfully in the course of newsgathering and provide the opportunities of reply for their news source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팬데믹 전후탐사보도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인식연구

        김경희,권순철,이승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3

        This paper analyzes viewers' perception of investigative journalism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examines the direction of investigative journalism using big data.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set as a social science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related to big data TV current affairs programs and investigative journalism in this paper was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the appearance of COVID-19. We visualized changes in viewers' perception of investigative journalism by analyzing text data obtained through the use of Textom, with TV current affairs programs and investigative journalism as keywords. Data was collected from 2017 to June 2022 and refined for analysis. We visualized connectivity centrality using Ucinet 6.0 and Netdraw, and clustered the number of keywords and their frequency using Concor analysis. Our study found a clear change in viewer perception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s an implication of this thesis, big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investigative journalism as the main keyword, and the direction of the investigative journalism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Furthermore,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 suggest effective approaches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after the pandemic to better engage viewers. 본 논문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COVID-19 전후의 탐사보도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인식을 분석하고 탐사보도프로그램 방향성을 분석했다. 사회과학 모델로 정해진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논문의 빅데이터 TV 시사프로그램, 탐사보도프로그램에 관한 단어들의 연관 관계를 코로나19 발현 전후로 조사했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탐사보도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인식의 변화를 시각화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텍스톰을 이용하여 TV시사프로그램과 탐사보도프로그램을 중심단어로 정해 텍스트 데이터를 가져왔다. 2017년에서 2022년 6월까지 데이터를 수집해 단어들을 정제하고 분석했다. Ucinet 6.0과 Netdraw를 통해 연결중심성에 대해 시각화를 하였고, Concor 분석에 쓰이는 단어 빈도수를 사용해 키워드 개수와 빈도수를 군집화했다. 연구 결과, 펜데믹 전후 시청자 인식에 대한 뚜렷한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의 시사점으로 탐사보도프로그램을 중심키워드로 빅데이터 분석을 하였으며, 분석을 토대로 탐사보도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나아가 팬데믹 이후 탐사보도프로그램이 시청자에게 어떻게 접근하면 효과적일지에 관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탐사보도의 비윤리적, 위법적 취재방법과 취재의 자유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오대영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가천법학 Vol.13 No.1

        한국의 탐사보도 수용자를 설문조사해서 탐사보도 역할 인식, 이용량,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비윤리적, 위법적인 탐사보도 취재방법 허용정도에 미치는 영향과 취재의 자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수용자들은 탐사보도가 사회감시와 정보제공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면서도 비윤리적이고 위법적인 취재방법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어서 언론의 자유는 절대적 자유가 아니라고 인식하였다. 수용자들은 취재방법과 취재목적에 따라 취재의 자유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취재방법이 개인 프라이버시를 침해할수록 제한적으로 생각하고, 취재목적의 공익성이 높으면 넓게 생각하였다. 수용자들이 사회감시역할을 중시하면 비윤리적이고 위법적 취재방법이라도 수용하였고, 정보제공역할을 중시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탐사보도 이용량은 많은 취재방법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탐사보도 이용만족도가 높았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과 학력은 낮을수록, 수입은 많을수록 취재방법을 더 허용하였다. 환경과 건강 분야 보도 이용량이 많을수록 취재방법을 더 허용하고, 교육, 정부, 범죄 분야 보도를 많이 이용할수록 부정적이었다. 한국 수용자들은 언론의 환경과 건강 분야 감시를 중시하였다. This study surveyed Korean consumers and analysed their acceptance of unethical and illegal news coverage methods of investigative journalism. While consumers recognized that investigative news played two roles of monitoring society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y were generally negative about unethical and illegal methods. Consumers thought that freedom of press was not absolute. Consumers’ idea of freedom of news coverage was changed by news coverage methods and report aims from the extremely limited to the constitutional basic right. If consumer valued the role of social monitoring highly, he considered news coverage methods justly and if he valued information provision highly, he considered them unjustly. Usage of investigative news had positive effects on many coverage methods, which meant that consumer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investigative news. Women allowed coverage methods more than men. The lower the age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were, and the higher the income were, the coverage methods were more justified. Usage of environment and health news had positive effects on coverage, but usage of education, government and crime news did negative effects.

      • KCI등재

        탐사보도 이용과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이용동기, 품질 및 사회적 역할 평가, 정치효능감을 중심으로

        오대영,남재일 한국소통학회 2019 한국소통학보 Vol.18 No.4

        국내의 탐사보도 수용자 546명을 설문조사해서 탐사보도 이용동기, 품질평가, 사회적 역할 평가가 이용정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용정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주는 영향 및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SEM)으로 알아보았다. 이용동기는 심층정보추구, 관습적 이용, 관계추구 등 3개, 품질평가는 전문성, 공정성, 시민중심 등 3개, 사회적 역할 평가는 사회감시와 정보제공 등 2개가 있었다. 이용동기에서는 심층정보추구와 관계추구, 품질평가에서는 전문성, 사회적 역할 평가에서는 사회감시와 정보제공이 이용정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용자들은 우리 사회문제를 깊게 고발하고 권력층을 감시하는 정보를 취득해서 사회적으로 타인들과 교류하기 위해 탐사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즉 탐사보도가 감시견 역할을 충실히 할 때 수용자 이용이 증가하였다. 이용정도는 지속이용의 도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내적정치효능감을 매개로 지속이용의도에 간접 영향을 주었다. 영향을 주는 경로는 ‘이용정도-> 내적정치효능감-> 지속이용의도’ 또는 ‘이용정도-> 내적정치효능감-> 외적정치효능감-> 지속이용의도’이었다. 이용정도가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내적정치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외적정치효능 감은 내적정치효능감보다 더 큰 직접영향을 지속이용의도에 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to affect us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investigative news in Korea, focusing on use motive, evaluation of quality and social role. 546 persons were surveyed. Use motives were in-depth information pursuit, habitual use and relations pursuit. Quality evaluation were professionalism, fairness and civic-centeredness. Social role evaluation were social surveillance and information provision. Factors to affect usage were in-depth information pursuit and relations pursuit of 3 motives, professionalism of quality evaluation, and all of social role evaluation. It was interpreted that consumers use investigative news to deeply know social problems and corruption of powerful groups, and socially interact with others. Usage did not directly affect continuous use intention, but indirectly affected it by the intermediation of internal political efficacy. Path to influence was ‘usage → internal political efficacy → continuous use intention’ or ‘usage → internal political efficacy → external political efficacy → continuous use intention’.

      • KCI등재

        탐사저널리즘의 주체 변동

        박인규(In-Kyu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2010년대 공영방송에서 탐사보도가 쇠락한 반면 비영리 매체 <뉴스타파>가 신뢰받는 탐사보도 기관으로 부상했다. 본 연구는 그 이유를 탐사보도의 현실적인 조건, 즉 저널리스트와 체계, 제작문화가 공영방송과 뉴스타파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정부의 압박과 경영진의 탈저널리즘 정책으로 공영방송의 탐사보도는 위축되고 제작진의 의지는 약화되고 그간 형성된 제작전통도 무너졌다. 뉴스타파는 저널리즘 실천의 의지, 자율적인 제작문화를 바탕으로 단시간에 영향력 있는 탐사보도 기관이 되었다. 역량과 의지가 있는 저널리스트와 장시간의 취재를 지원하는 시스템, 그리고 제작의 독립성이 보장될 때 의미 있는 탐사보도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탐사보도는 해당 방송의 저널리즘 환경과 제작문화의 소산이다. While the practice of investigative journalism among public service broadcasters has declined in the 2010s, Newstapa, a nonprofit online news organization, emerged as a trustworthy provider of investigative reportage. This study explores the reasons why the realistic conditions for investigative journalism -- such as competent journalists, adequate support systems, and productive cultures -- were first realized and later changed among public broadcasters and in Newstapa. Governmental pressure and the public broadcasting managements’ anti-journalism policy had a chilling effect on the production staff of public broadcasters. Their enthusiasm was affected and led to a decline in the production culture of discussion and teamwork. The staff’s strong will to practice journalism and the persistence of a production culture that respected autonomy and guaranteed independence enabled Newstapa to become an influential investigative journalism institutio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is proves that meaningful investigative journalism is possible when the combined elements of competent and determined journalism practitioners, as well as a system supportive of extensive news gathering and independence of production, are in place. An investigative program is the outcome of ideal broadcasters journalistic conditions and a vibrant and thriving production culture.

      • KCI등재

        천안함 침몰 사건과 미디어 통제

        김상균(Sang-Gyoon Kim),한희정(Hee Jeong Ha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6 No.2

        2010년 3월 발생한 천안함 침몰 사건과 관련하여 사건발생 원인에 대한 수많은 의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010년 11월 이후 후속 탐사보도 프로그램 제작이 중단되었다. 본 연구는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생산자 연구를 통해 그 이유를 탐색했다.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제작진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분석 결과 다음 네 가지 이유를 제시했다. 첫째, 군 작전과 관련된 기밀이란 이유로 군이 정보를 독점함으로써 PD와 기자의 사실(fact)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둘째, 천안함 침몰을 다룬 <추적60분>(KBS)에 대해 방송통신위원회의 ‘경고’ 징계 등 관련 보도에 대한 탄압으로 위축효과가 일어났고, 이후 다큐멘터리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에 대한 상영 제한에서도 드러났듯이 국가 권력에 의한 미디어 통제가 지속됐기 때문이다. 셋째, 지상파 방송에서 자율적 제작을 주장한 제작진에 대해 이루어진 강제 인사, 조직 개편 및 국장책임제도 폐지 등으로 PD 저널리즘과 제작의 자율성이 현저하게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넷째, 방송과 사회 전반에서 나타난 “종북몰이” 현상의 확산에 따라 방송사나 제작진에게 자기검열 기제가 작동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탐사보도 프로그램의 구조적 주변화 환경 속에서 PD 저널리즘이 지향하는 “합리적인 의심과 검증으로 진실을 밝히기 위해 기록하는” 방송 공론장 확립을 위한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This study examines why follow-up investigative programs about the sinking of the Cheonan Patrol Combat Corvette(ROKS Cheonan) have not been produced, despite much speculation surrounding the cause of the sinking since November 2010, when KBS investigative program, In-Depth 60 Minutes which had covered the incident was aired. We have uncovered four reasons through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ers and reporters, as follows. First, Korean military authorities monopolized relevant information, while the producers could not prove or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indings of the JIG(Joint Civilian-Military Investigation Group)’s report because the facts had been revealed partially and selectively by the authorities and the press’ scientific investigation were rejected by the authorities. Second, the crew of In-Depth 60 Minutes was subjected to severe disciplinary action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This caused a chilling effect, - it broke the producers’ resolve to further explore the reason behind the sinking. Furthermore, the screening of the investigative documentary, Project Cheonan Ship was cancelled without prior notice, presumably by the power of the State and markets. Third, the reorganization and shake-up of personnel by broadcasting stations’ presidents appointed by the power of the State crushed the spirit of PD Journalism. Finally, the “red purge” factions stigmatized by the political or military, or the mainstream press, caused the producers or broadcasters to engage in self-censorship. The idea has been used in Korea as a smoke screen to deflect public attention. Nevertheless, the producers hope to shed light on the Cheonan sinking incident and to prove reasonable doubts by pursuing follow-up investigations.

      • KCI등재

        한국 탐사보도 기자들의 소명의식과 실천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최문호(Munho Choi),박승관(Sung Kwa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3

        이 연구는 탐사보도에서 소명의식은 필수조건인지, 탐사보도 기자들은 어떤 소명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가지고 있다면 소명의식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하는지 탐구했다. 이를 위해 막스 베버(Max Weber)가 주장한 ‘소명(Beruf)’ 개념을 이론으로 적용했다. 연구대상은 뉴스타파 취재팀이며, 연구방법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병행한 문화기술지이다. 연구 결과 첫째, 뉴스타파 기자들은 탐사보도에서 소명의식을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취재팀 내에서는 소명의식의 실재에서 차이가 발생했는데 아직 이렇다 할 소명의식을 형성하지 기자들은 직장에 대한 소속감 저하와 탐사보도 기자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취재팀 내에서 ‘신념의 화신’으로 통하는 최경영과 한상진 기자의 경우 뉴스타파의 열린 뉴스 생산 방식 속에서 소명의식을 적극적으로 보도에 투영하고 있었다. 이들 보도의 특징은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집요함’이었다. 이들은 보도 건수나 취재력 등에서 취재팀 내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었는데 성과의 원동력은 소명의식이었던 것으로 판단됐다. 셋째, 신념의 과잉으로 인한 오류가 관찰됐다. 최경영은 “가치저널리즘”을 추구하며 날카로운 비판 보도로 ‘선지자’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때로는 자신의 시선이나 관점이 과다해 ‘광신도’의 모습도 보였다. 신념의 과잉은 사실의 과장, 적대적 공격, 그리고 ‘끼워넣기’ 등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explored if the sense of calling is a necessary condition in investigative journalism, what kind of calling investigative journalists have, and how to carry out their calling if they have. The research subject was the news reporter team in Newstapa, and the research method was ethnography which concurrently performe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 - depth interview.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ews reporters thought that the sense of calling was important in investigative journalism. In news reporter team,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ality of the sense of calling, and the reporters who had not yet formed calling to do so were confused by the deterioration of belonging to the workplace and the identity of as investigative journalist. Second, Choi Kyoung-young and Han Sang-jin, who are considered ‘icon of calling’ in the team, were actively reflecting on their calling in their news stories using the open-minded news production system. The characteristic of these reports was ‘obstinacy based on confidence’. They were evaluated positively in the team in terms of the number of reports and coverag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performance was judged to be the sense of calling. Third, errors caused by the excess of belief were observed. Choi Kyoung-young pursued “value journalism” and showed the appearance of ‘prophet’ through sharp criticism reports, but sometimes his gaze or perspective was excessive, and he also showed the appearance of ‘fanaticism’. The excess of belief appeared as the exaggeration of the facts, hostile attacks, and ‘embedding’.

      • KCI등재

        비윤리적, 위법적 탐사보도 취재방법에 관한 수용자 인식 연구

        오대영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가천법학 Vol.13 No.1

        This study surveyed Korean consumers of investigative news and analysed their acceptance of eight unethical and illegal reporting methods such as hidden camera. While consumers recognized that investigative news played two roles of monitoring society and providing information, they were generally negative about unethical and illegal methods of reporting. Consumers thought that freedom of press was not absolute. Consumers’ idea of freedom of covering was drastically changed by news contents from extreme limit to constitutional basic right. Among two roles, social monitoring had positive effects on all eight reporting methods. Information provi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only one method, and negative effects on three methods. If consumer valued the role of social monitoring, he considered the reporting methods justly and if he valued information provision, considered them unjustly. Usage of investigative news had positive effects on five methods, which meant that consumers generally were satisfied with investigative news. Women allowed the reporting methods more than men. The lower the age and the educational background were, and the higher the income were, the reporting methods were more justified. Usage of environment and health news had positive effects on methods, but usage of education, government and crime news did negative effects. 한국의 탐사보도 수용자를 설문조사해서 탐사보도 역할 인식, 이용량, 인구사회적 요인이 비윤리적, 위법적인 8개 탐사보도 취재방법 허용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용자들은 탐사보도가 사회감시와 정보제공 역할을 한다고 인식하면서도 비윤리적이고 위법적인 취재방법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어서 언론의 자유는 절대적 자유가 아니라고 인식하였다. 취재의 자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은 개별 방법에 따라 불가론부터 헌법적 기본권까지 큰 차이가 있어서 보도 내용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사회감시역할 인식은 8개 방법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정보제공역할 인식은 1개 방법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3개 방법에는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수용자가 사회감시역할을 중시하면 취재방식을 정당하게 생각하고, 정보제공역할을 중시하면 부정적으로 생각하였다. 탐사보도 이용량은 5개 방법에 정적인 영향을 주어서 탐사보도 이용만족도가 높았다.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과 학력은 낮을수록, 수입은 높을수록 취재방법을 더 허용하였다. 환경과 건강 분야 보도 이용량이 많을수록 취재방법을 더 허용하고, 교육, 정부, 범죄 분야 보도를 많이 이용할수록 부정적이었다. 한국 수용자들은 언론의 환경과 건강 분야 감시를 중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