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의 키성장 운동프로그램 참여 학생과 학부모의 키성장 기대치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주성범 한국체육무용과학회 2023 Journal of Sport and Dance Science Vol.3 No.2

        본 연구는 한국의 키성장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키성장과 관련한 내용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키성장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각각 초등학생 97명 과 학부모 9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키성장 관련된 변수들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나누어 1-6번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에서 학생들의 키성장 기대치와 학부모의 자녀 키성장 기대치는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학 생들이 현재 자신의 키성장 및 성인이 된 후의 키성장에 대해 걱정수준에서는 학부모들이 현재 자녀의 키성장 및 성인이 된 후 키성장에 대해 걱정수준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나 ‘그렇지 않다’는 응답 비율 이 약 60%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키성장에 대한 걱정수준이 높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생 들의 경우, 운동이 키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인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가 86.6%이며, 학부모들도 87.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키성장 운동프로그램이 다른 운동보다 키성장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학생과 학부모 모두 80% 전후로 높게 나타났으며, 키성장을 위해 키성장 운 동프로그램에 계속 참여하고 싶다는 비율도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서 90% 전후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 으로 학생들과 학부모 모두 성인이 되었을 때 원하는 평균 키가 170cm 초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키성장 운동프로그램 참여하는 학생들과 학부모의 키성장 기대치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앞으로의 키성장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aspects related to height growth among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ing in height growth exercise programs in South Korea through a survey. Methods The survey targeted 97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7 parents, respectively, dividing height growth-related variables into six items for both students and parents.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d a similar trend between the height growth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those of their parents. Regarding concerns about current height growth and future growth after reaching adulthood, both students and parents showed a high rate of responses indicating not at all concerned or not very concerned, at approximately 60%.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vely low level of concern about height growth. Students, in particular, responded positively regarding the belief that exercise would contribute to height growth, with 86.6% responding yes or strongly yes, while parents also responded positively at 87.6%. The percentage of participants who believed that the height growth exercise program would be more beneficial for height growth compared to other exercises was approximately 80% for both students and parents. Additionally, the willingness to continue participating in the height growth exercise program to support height growth was high, with around 90% of both students and parents expressing interest. Lastly, both students and parents indicated an average desired adult height in the early 170cm range. Conclusions These research findings provide specific insights into the height growth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parents participating in the height growth exercise program. This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highly valuable for the futur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height growth exercise programs.

      • KCI우수등재

        맞춤운동과 키성장

        장호중(JangHo-jung),신현규(ShinHyun-gyu),김영수(KimYoung-soo)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으로 고민하는 학생들 및 학부모들을 위하여 바른 키성장을 위한 운동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고찰하여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시사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운동이 키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연구 및 보고서 등을 토대로 문헌을 고찰하여 종합적으로 논증하고 기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키성장에 있어서 성장호르몬 분비가 높아져야 키가 잘 자라는데 성장호르몬 및 성숙지연제 투여 주사, 키크기 수술(일리자로프 수술) 등의 인공적인 방법보다 운동이 자연적인 성장호르몬 분비를 높여주고 동시에 성장판을 자극하여 뼈의 길이 성장과 함께 근육의 단백질 합성을 촉진해서 뼈와 근육을 동시에 길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운동 중에서도 줄넘기, 농구 등의 특정한 어떤 종목이 아니라 과학적인 운동정밀검사를 통해서 운동의 강도, 시간, 방법, 시기를 그 사람에게 알맞게 결정한 맞춤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맞춤운동을 하게 되면 성장호르몬의 분비가 안정시보다 25~45배까지 증가하여 성장기의 학생들의 키성장을 더욱 촉진하게 된다. 맞춤운동은 유산소운동, 근력운동, 유연성 운동을 기능적으로 조율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키성장 운동은 자신의 체력 수준에 따른 맞춤운동을 해야 스트레스와 상해를 방지하고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하여 키성장과 함께 유산소 운동능력의 향상으로 빠른 피로회복과 면역력이 증가되어 몸을 싱싱하고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 바로 맞춤운동으로 운동을 자신의 몸에 최적화 한다면 운동이 곧 성장호르몬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d imply the information about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xercise accurately and upright for correct growth of height in short stature students and parents. This result was as follows; natural exercise was effects for production of growth hormone more than injection of growth hormones and ripening delay system, ilizarov method etc. Especially customized exercise through scientific exercise careful inspe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specific sports of jump rope and basketball etc. Customized exercise is the adapted to individually in strength, time, method, period of exercise. It was increase to 25~45 times production of growth hormone more than stability. Also it was to resolve aerobic exercise, muscles exercise, and flexibility exercise functionalize. In conclusion, growth of height exercise need to customized exercise as own physical fitness levels. Therefore short stature students can be fresh and health their body by customized exercise that to prevent of stress and injury, to promote of growth hormone for growth of height, to improve of aerobic exercise capacity, and to increase of fatigue recovery and immunity. Finally customized exercise is the growth hormone exactly.

      • KCI우수등재

        무성장판기(NECP) 중고등학생들의 12개월간 맞춤운동이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장호중,신현규,김영수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성장판이 닫혀가거나 닫혔다고 진단받은 중고등학교 남학생 18명, 여학생 12명 총 30명을 12개월간의 맞춤 운동을 실시하여 유산소운동능력,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연성 등의 변화가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사전, 6개월 후, 12개월 후 총 3번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처리는 일원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한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유연성, 다리 및 허리 신전 및 굴곡 근기능, 유산소운동능력, 키 성장 등은 12개월의 맞춤운동 실시 후에 증가 및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맞춤운동인 유산소운동능력, 다리 대퇴사두 및 대퇴이두 근기능, 허리 등근육 및 복근 근기능, 유연성 등은 키 성장에 영향을 미쳤고 키 성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이 성장판이 닫혀가거나 닫혔다고 진단받으면 최종 키는 1cm 내외 성장으로 예측되는데, 이 연구 결과에서는 12개월간 맞춤운동 후 약 2.2cm 내외의 성장 패턴을 보였다. 따라서 성장판이 닫혀가거나 닫혔다고 진단받은 중고등학생들은 성장판이 완전히 닫히지만 않았다면 유산소운동능력, 다리 및 허리 근기능, 유연성 등의 맞춤운동을 실시한다면 1년에 2cm 내외로 약 2년 동안 최종 키가 3cm 내외로 성장 가능하다고 결론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 어머니의 자녀 키 성장에 대한 주관성

        정연,정선영,최진식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7 주관성연구 Vol.- No.38

        Purpose: This study was to apply the Q-methodology suitable for human subjectivity to understand cognit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eight growth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 35 mothers who were selected as P samples were forced to distribute 30 Q samples on 7 poin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C-QUANL program. Result: The height growth of children attitude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classified four types; emphasis on personality, emphasis on appearance, pursue aggressive strategies, fullness of confidence. Conclusion: We could understand the positive cognitions, right attitudes and height-related factor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bout height growth on the types foun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on improve about height growth of mothers and children. 우리나라 아동 성인의 평균 키는 차 증가하고, 큰 키를 선호하는 사회인 분기로 많은 부모와 자녀들이 자신의 키에 한 심이 높아지고 있다. 신체 성장이 빠르게 일어나는 등학생 시기에는 어머니의 태 도와 인식이 큰 향을 끼치므로, 본 연구의 목은 등학생 어머니가 자녀 키 성장에 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그 유형을 발견하는데 있다. 등학생 어머니의 자녀 키 성장 인식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제1유 형은 ‘인성 시형’으로 자녀의 외인 모습보다는 ‘인성’을 가장 요시 여기며, 보통의 양섭취가 이루어진 다면 자녀의 키도 보통 이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기하고 있다. 제2유형은 ‘외모 시형’으로 자녀가 래에 비해 큰 편에 속하여 특별한 걱정을 해 본은 없지만 키가 커야 주 들지 않고 외모도 수려해 보이는 것으로 강하게 인식하고 있다. 제3유형은 ‘극 략 추구형’으로 자녀가 작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래들 사이에서 키로 인해 축될까 걱정이 많아 성장에 좋은 여러 가지 략들을 극으로 시도하다. 제4유형은 ‘자신감 충만형’으로 자녀 키에 한 큰 걱정은 없는 편이며, 타 유형에 비해 외모나 작은 키에 한 열등감보다는 자신 감과 당당함을 해 키가 커야한다는 생각이 두드러지고, 키 성장 결정요인은 유과 양섭취에 따른다는 합리 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저신장 학생들의 유연성증가운동과 키 성장의 상관성

        신현규(ShinHyun-gyu),김영수(KimYoung-soo)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저신장 학생들의 유연성증가와 키 성장의 상관관계를 비교ㆍ분석하여 유연성증가운동이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를 위해 K 성장전문센터에 내원하여 운동하고 있는 저신장 초ㆍ중ㆍ고 학생 40명 (남자: 18명, 여자: 22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12주)간의 유연성증가운동을 실시하고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사전ㆍ사후 유연성증가 및 키 성장을 측정하여 대응표본 t 검정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장기 초ㆍ중ㆍ고 학생들의 유연성 증가와 키 성장은 .05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상관관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기에는 유연성이 높으면 이 연구결과에서 보듯이 뼈의 길이 성장이 원활하여 키가 잘 자랄 수 있다. 앞으로 키성장을 위해 저신장 학생들은 어떤 운동보다도 유연성운동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근육의 이완, 스트레스의 완화, 좋은 자세, 수면의 질 향상 등을 노력할 것을 당부하는 것이 이 연구의 의의이며 시사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of flexibility improve and growth of height in short stature stud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40 students; 18 males and 22 females whose low-height student on KINESS(Ki Integration Nutrition Exercise Sleeping Stress). The study proceeded through conduction a 30-minute exercise of flexibility improve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We used SPSS ver.23.0 statistics program for analysing data and implemented paired t-test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data of flexibility and height. Also we implemented correlatio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flexibility improve and growth of heigh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This result was as follows; the flexibility improvement showed a significant efficacy in growth of height and higher correlation. In conclusion, exercise of flexibility improve was effective on growth of height for short stature students especially. Therefore low-height students have to effort on exercise of flexibility improve by helping relaxation of muscle, mitigation of stress, good posture, and quality of sleep etc. more than any other exercise for growth of height.

      • KCI우수등재

        중금속 오염이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장호중 ( Jang¸ Ho-jung ),신현규 ( Shin¸ Hyun-gyu ),김영수 ( Kim¸ Young-soo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아이들에게 중금속오염이 어느 정도 심각하고 얼마나 축적되어 있으며 어떤 중금속이 가장 많이 검출되는지를 비교·분석하여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중금속오염에서 어떠한 중금속 요인들이 저신장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9세 초등학교 3학년 및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남자 10명, 여자 20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항목 및 방법으로는 신장 및 신체구성 검사와 모발검사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으로는 중금속오염과 키 성장의 상관 및 인과관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Annalysis)과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 결과 중금속 오염과 키 성장의 상관관계에서 납, 알루미늄, 우라늄 등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저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으로 볼 수 있고, 이중 납이 84%로 가장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알루미늄 77.8%, 우라늄 34.6%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금속 오염과 키 성장의 인과관계에서는 납, 알루미늄, 바륨, 안티몬 등의 오염이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 오염과 저신장의 인과관계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아울러 납 β=-.249, 알루미늄 β=-.336, 바륨 β=-.317, 안티몬 β=-.285로 알루미늄, 바륨, 안티몬, 납 순으로 저신장에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중금속 오염과 키 성장의 상관 및 인과관계의 연구결과 공통적으로 납과 알루미늄이 저신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이라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키 성장을 위해서 납과 알루미늄 등 중금속 오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필요하고 오염을 피할 수 없다면 최대한 배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보다 성장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ight growth on heavy-metal pollution. Subjects were 30(boy=10, girl=20) who came to Growth and Health KINESS. They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full 9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p<.05. As a results, there were some negative correlations of lead(84%), aluminium(77.4%), and uranium(34.6%) between heavy-metal pollution with short stature. Also there were some negative causality of aluminium(β=-.336), barium(β=-.317), antimony(β=-.285) and lead(β=-.249) between heavy-metal pollution with short stature. Therefore heavy-metal pollution and height growth were correlation and causality of lead and aluminium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short stature students have to reduce and remove heavy-metal of lead and aluminium for height growth.

      • KCI등재

        뉴로피드백 훈련이 후천적 요인의 자기조절력과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곡명양,이지안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6

        This study aimed to find an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 through establish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regulation (control over life style) and height growth through neuro-feedback training. 40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two to four with height growth programs (20 experimental group students, 20 control group students) were examined for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undergoing neuro-feedback training. The experiment lasted for three months with one 30-minute training session two times a week.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mong the control group with no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with neuro-feedback training, the differences in height growth were analyzed. First of all,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self-regul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larger changes in height growth. In conclusion, neuro-feedback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upon the self-regulation that adjusts the acquired factors of height growth, which led to positive effects.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하여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자기조절력과 키 성장간의 상관성을 규명함으로 써 키 성장의 효과적인 중재 방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키 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2학년∼4학년 학생 40명(실험군 20명, 대조군 20명) 대상으로 뉴로피드백 훈련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실험기간은 3개월간(주 2회), 훈련시간은 1회 30분이였다.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조절력 차이를 분석한 후, 키 성장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첫째,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자기조절력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둘째, 뉴로피드백 훈련을 적용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더 크게 키 성장의 변화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뉴로피드백 훈련이 성장기 학생들에게 있어 키 성장의 후천적 요인들 중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자기조절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키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성장호르몬 유도를 위한 NST 훈련이 초등학생의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

        안상균,안용균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3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호르몬 유도를 위한 NST(Neuro Sound Technology) 훈련이 초등학생의 키 성장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NST 훈련이 수면 유도를 위한 스트레스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켜 키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의 대상자는 초등학생 2, 3, 4학년이며 NST 훈련을 주 2회 실시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1년 10월까지이며, 훈련 전후의 차이를 EEG 분석으로 비교하였다. 독 립표본 t-검정을 한 결과 키 변화량과 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자기조절능력과 스트레스 정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은 적절한 생활습관 형성이나 수면의 질 향상을 위한 스트레스 조절이 성장호르몬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성장호르몬을 유도하는 NST 훈련이 키 성장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론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ST(Neuro Sound Technology) training for inducing growth hormone on the height grow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ST training on height growth by improving stress or self-regulation ability for deep sleep induction.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2nd, 3rd, and 4th grade, and NST training was conducted twice a week. The period is from May 2021 to October 2021,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raining was compared with EEG analysis. As a result of independent t-test, height change, mental stress and self-regulation ability changed positively. Positive changes in self-regulation ability and stress level suggest that proper lifestyle formation or stress control to improve sleep quality can improve growth hormone. It is concluded that NST training that induces growth hormone is effective in inducing height growth.

      • KCI등재

        한국인 키 및 몸무게 신 평가표에 관한 연구

        이신재,김영재,안석준,,김태우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2

        성장기 환자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치료기간이 긴 교정치료는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일반 체성 성장 관찰 도표는 현 시대의 성장기 환자의 체성 성장 추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바 이는 이용된 자료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하고 대한인간공학회에서 주관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자료를 토대로 현시성있고 유용한 성장 곡선 및 성장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고 재배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변이를 사분위수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1, 5, 95, 99 백분위수를 추가하여 남녀별 키ㆍ몸무게 성장 곡선을 제작하였고 이와 아울러 기하 평균에 기초한 성장 속도 곡선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성된 한국인 키 및 몸무게 신 평가표는 성장 발육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성장 발육과 관련, 교정환자와의 의사 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For orthodontic treatment of growing patients and those which involve long treatment times, knowledge of growth and development are essential. Data from the general growth observation chart being used at present does not reflect the growth transition of modem times. This is because these data are out of date. The present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the process of producing a growth curve and growth rate curve based on data which represents a more accur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ituation. The data used were from the 5th nationwide survey, SIZE KOREA 2004 study, carried out by the Technology and Standards Policy Division, Department of Technology and Standards Planning, Ministry of Commerce. Processing and rearranging produced data with variations divided into the three quartiles and the 1st, 5th, 95th and 99th percentiles were included to produce a growth observation chart according to sex, height and weight differences. In the same way, a growth rate curve based on the geometric mean value was produced. The resulting growth charts can be used as an index for growth and development, and used for bet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orthodontist, patients and parent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 PART Ⅲ : GROWTH CHANGE OF CRANIOFACIAL HARD TISSUE 제 3 세부 과제 : 두개 및 안면 경조직의 성장변화

        황충주,길재경,임선아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5

        교정 환자들은 성장과 발육을 하는 개체이므로 교정치료의 시기 선택은 가장 어렵고 중요한 요소이며,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의 개발에 따라 안면 성장의 양상과 연령증가에 따른 성장 변화량은 성장 예측 등의 교정적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다. 이에 6세에서 17세까지의 한국인 남여 아동 각 연령군에서의 두개 안면부의 경조직 계측치 평균과 신장, 체중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정치료를 받은적이 없고, 성장과 발육에 장애가 없는 6세에서 17세까지의 소년 409명, 소녀437명을 연구대상으로 만 3년간 두부방사선 사진을 체득하여 경조직 분석을 Burstone의 COGS논문에 기초하여 두개저, 상악골과 하악골, 수직 계측, 수평 계측, 상하악 기저골 관꼐 및 치성 계측의 6개 부분으로 나누어 성장과 의 관계 및 키와 몸무게와의 관계를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론 1. 두개저 계측에서 n-Ar(FH), N-Ba(FH)의 최대 성장 증가량은 남녀 모두 체중과 신장의 최대 증가량을 나타내는 연령과 일치한다. 그 외의 항목은 일정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큰 증가를 보이지 않고 있어 두개저의 성장은 초기에 거의 완성됨을 알 수 있었다. 2. Gonial angle은 남녀 모두에서 성장과 함께 점차 감소하였다. 3. ANS-Me(L)보다 N-ANS(L)가 더 많은 성장량을 보이며 안면 형태에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4. N-A-Pog은 연령증가와 더불어 감소하며 이는 하악골의 성장이 상악골의 성장량보다 빠르고 많았다. 5. 상하악 기저골 관계에서 Y-axis의 길이는 증가하지만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어 하악골은 두개저에 대한 일정방향으로 성장하였다. 6. 영구치 맹출과 더불어 Interincisal angle은 감소하였다. Orthodontic patients are individuals that grow and develop ; therefore selection of the proper time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considered to be one of most difficult and yet difficult factor. Since the development of cephalometric X-ray, amount and pattern of craniofacial growth change with aging could be predicted and be came useful in the process of orthodontic treat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 values of cephalometric measurements and body height and weight was studied among the groups(boys and girls) of Korean children from the ages 6-years to 17-years. 409 boys and 437 girls with no abnormality in growth and development and no history of orthodontic treatment from the ages of 6 years to 17 years were chosen as subjects : Cephaloment X-ray were taken for 3 years and hard tissue analysis based on Burstone`s COGs, which was devided into measurements of 6 parts(Cranial base, Maxillar and Mandible, Dental measurements).The relationship between craniofacial growth and height & weight was studi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The maximum growth in the measurements of cranial base, N-Ar(FH), N-Ba(FH) corresponded with the age with the maximum increase in body height & weight in both boys and girls. 2. Gonial angle gradually decreased with aging in both boys and girls. 3. N-ANS(L) showed greater amount of growth than ANS-Ne(L), and this had greater influence on facial profile. 4. N-A-Pog0 decreased with aging, and mandibular growth exceeded maxillary growth in amount and rate. 5. Length of Y-axis increased, but Y-axis to FH plane remained constant. This show that mandible grows at a constant angulation to cranial base. 6. As permanent teeth erupt, interincisal angle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