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우수 코치들이 지도하는 선수 생활(life)기술과 인성발달에 사용되는 전략분석 - 한국코치와 미국코치들을 대상으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1 코칭능력개발지 Vol.13 No.1

        <P>본 연구는 한국코치와 미국코치들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우수 코치들이 지도하는 선수생활기술과 인성발달에 사용되는 전략분석을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10명의 고등학교 우수 코치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코치들의 개인적인 인구학적 요인들을 조사하기 위해 연령, 성별, 선수 경력, 코치 경력, 학력, 결혼유무, 자녀수, 코칭관련 자격증 여부, 올 시즌 승률, 현재까지의 코치 승률, 코치가 된 동기를 조사하였다. 심층면접은 Gould 등(2002)의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코치들에게 적합한 구조화 개방형 질문지를 동일하게 제작함으로써 미국코치와 한국코치와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구조화 개방형 질문내용은 다음과 같다: 선수들와의 지속적인 의사소통, 선수발달과 복지, 명확한 기대치 제시, 선수들을 대할 때 유연성, 선수 규율, 팀웍과 이해력의 역할, 성공 지향 태도와 목표설정, 터프한 사랑, 제 3자들과 같은 역할, 존경, 코칭만족도, 선수들의 특수성, 코치 배경, 환경적인 제한점, 감정적 조절, 졸업생와의 지속적인 관계 유지, 성공적인 코칭 유형. 코칭스텝의 다양성, 코칭 스텝와의 오랜 관계유지 효율성. 본 연구에서는 한국코치 역시 미국코치와 거의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P>

      • 중등학교 야구코치의 코칭전문성 형성과정 검토 : 코치교육의 역할과 필요성 탐색

        손성훈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1 스포츠과학리뷰 Vol.5 No.1

        야구는 우리나라에서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는 대표적 국민스포츠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여전히 우리나라 야구 코치들의 전문성은 그 중요성만큼 인정을 받지 못하고 있다. 코치들이 열악한 대우와 함께 그들의 전문성을 발휘하지 못한 채 살아가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올바른 코치 교육의 부재 때문 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야구코치들이 경험한 코칭전문성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현장의 코 치들이 필요로 하는 대안적 코치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함에 있으며, 연구 과정 을 거쳐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야구 코치들의 코칭 전문성은 전적 으로 과거 선수시절 경험에 의해 형성되고 있었다. 둘째, 중등학교 야구 코치들의 코 칭전문성 형성과정은 양적 성장에 지나치게 경도되고, 현장경험에 의존하며, 체계적이 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중등학교 야구 코치들을 위한 대안적 방안으로 코치들을 위해 체계적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교 육프로그램이 요구되고 있었다. 연구를 진행하면서 현재 엘리트 야구계는 코치들의 편 협한 코칭활동에 익숙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칭은 한 선수의 삶을 보다 윤 택하고 건강할 수 있도록 매 순간 가다듬고 돌봐야 하는 교육적 활동이기 때문에, 코 치들이 교육적 활동으로써의 코칭을 보다 제대로 해내고 이해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 고 지속적인 코치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 함께, 이를 개발하고 실천하기 위한 체육전문인들의 학문적, 행정적, 실천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Baseball has settled as a representative national sport that has developed an extensive range of fans in Korea. However,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ism for Korean elite sports coaches has not been recognized because of triumphalism, systemic issues, related policies and coaching education models that simply followed the previous educational framework. Coaches who are employed in Korea’s elite sport fields demonstrate their unprofessionalism by their poor treatment of athletes. Such situations are caused by the absence of appropriate coaching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ing process of coaching professionalism, specifically those experienced by secondary school baseball coaches,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alternative coaching education in this field.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researchers would like to discuss the role of coaching education programs, and the necessity for better coaching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baseball coache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econdary school baseball coach’s professionalism is formed by their field experience when they were playing as an athlete. Second, the forming process of coaching professionalism is inclined towards the quantitative development of athletes. Relying so much on their personal field experiences, coaches lack an educational program that guarantees structured and continuous education. Third, alternativ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systematically promote coaching professionalism are highly recommend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shown that elite baseball programs have become accustomed to distorted coaching without questioning. Above all else, coaching i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help make an athletes' life richer and healthier, leading coach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enefits of upright coaching. This study definitely emphasizes how the Korean elite baseball coaching field needs greater academic, administrative, and practical efforts to promote the mature development of the athletes in these programs.

      • KCI등재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과 코치-선수 관계에서 코칭열정과 직무열의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이근철 ( Keunchul Lee ),이강헌 ( Kanghu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3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코치-선수의 관계에서 열정과 직무열의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코치-선수 관계, 열정, 직무열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화열정은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코치-선수 관계는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은 조화열정을 감소시키지만, 조화열정은 직무열의를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는 코치선수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과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코치선수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하였지만, 두 매개변인은 번아웃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를 억제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of passion and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ach-athlete perceived by coaches in sport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athlete coach in South Korea through the survey.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questionnaires on the athlete coach` burnout, coach-athlete relationship, passion, and job engagement that were designed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testing, and serial multiple mediator effect test. Results: First, burnout of the coache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ssion and job engagement, while pa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engagement. An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on and job engagement. Second, the burnout perceived by the coaches decreased passion, but passion increased job engagement and job engagement improve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Conclusion: The burnout of the coaches was shown to make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negatively through passion and job engagement. However, the two mediation variables were identified that could sup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 [논문발표 1] 2022년 국내 코치 활동에 관한 현황 조사 연구: 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를 중심으로

        정혜연(Hae-Lyun Jung),이종혁(Jong-Hyuk Lee),김휘경(Hwy-Kyoung Kim)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2

        본 연구는 (사) 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들을 중심으로 국내 코치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조사를 통해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코치들의 성장과 협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사) 한국코치협회 소속 코치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최종 638개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총 61개의 문항 중 44개의 문항을 중심으로 분석을 하였으며 국내 코치들의 활동 현황분석 코칭비용과 수입 코치의 코칭역량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코치들은 석사졸업자로 경영학과 심리학 코칭학의 전공이 많았고 코치들의 활동지역은 주로 서울 경기에 집중되어 있었다. 코칭 비용에 있어서는 회기당 현재 받는 코칭비와 받고 싶은 코칭비가 상이하였으며 코치 자격별차이가 있었다. 전업코치 활동의 장애요소는 고객이 없어서라고 했다. 본 코칭 현황 조사연구를 통해 코치들의 나아가야 할 방향성 제시하고 코칭 관련 제도적 정책적인 시사점 도출과 코칭학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growth of coach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by providing basic data through an overall fact-finding survey on coaches' activities in Korea, focusing on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 Coach Association. To this end, 638 final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argeting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 Coach Assoc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44 questions out of a total of 61 questions, and the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coaches' activities, coaching costs and income, and coaches' coaching cap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many of the coaches were master's graduates majoring in business administration, psychology, and coaching, and the areas of activity of coaches were mainly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arding the coaching co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coaching fee and the desired coaching fee per sess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coach qualification. He said that the obstacle to his full-time coaching activities was the lack of clients. It is expected that this coaching research study will suggest the direction coaches should go forward, derive institutional and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coaching, and be used as basic data for coaching studies.

      • 골프 코칭 서비스품질에 관한 분석

        백종원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과학리뷰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 코치의 서비스 품질이 아마추어 골프 레슨 소비자들의 코치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SNS 를 통해 스노우볼 샘플링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최초 설문지 500부는 구글 독스 (Google docs.)를 통해 서울 소재의 한 골프연습장 회원에게 배포되었으며 설문조사 응답자에게 SNS를 통해 지인에게 설문지를 전달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회수된 204부 의 설문지를 SPSS20.0을 통해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마추어 골퍼들의 코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코치의 성품, 친교/사교, 코 칭 능력 그리고 코치가 근무하는 근무지의 환경이었다. 이상 4가지 요인은 아마추어 골퍼들의 골프 코치선택에 68.8%까지 영향을 주었다. 둘째, 아마추어 골퍼들의 골프레 슨 참여 동기와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골프 코치 선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relationship between golfer's behavior in choosing their golf coach and the coacher's service quality. Snowball sampling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by SNS. Initially 500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to armature golfers in P golf range in Seoul through Google docs. Researchers also asked to participants to pass the questionnaires down to their friends through SNS. The total of 204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 factors that affect to armature golfers in choosing their golf coach are coach's personality, social network, coaching ability, and the facility where the coach works. These four factors affect up to 68.8% when armature golfers choose their golf coach. Second, motivations in participating golf lesson and demographic factors give very little affect to golfers in choosing their golf coach.

      • KCI등재후보

        코치의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박윤희 ( Yoon Hee Park ),기영화 ( Young Wha Kee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코칭의 흐름에 따라 점차 그 수요가 증가되고 있는 코치들에게 필요한 코치의 역량에 대해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고 정리, 분석하여 향후 코치의 역량 연구에 기초지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코치의 역할(관리자코치, 전문코치, 커리어코치)별로 역량에 다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코치의 스킬이나 지식보다는 내적인 품성과 자질인 내적 특성과 자세가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실적으로 코치가 내적 특성과 자세에 관한 역량 뿐 아니라 스킬과 지식에 대한 역량도 고루 갖추었을 때 유능한 코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기존 연구들에서 그 중요성이 낮게 평가되고 있는 코치의 지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와 코칭 적용 분야별로 코치의 역량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Recently coaching is very trendy in Korean society. The coaching has been spreaded and applied to other fields as well as business. According to the trend, the demand of effective coaches will be increased more an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knowledge on the coaches` competency through examination and analys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coaches` competency. Throughout this study, I found some differences on the coaches`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roles(manager coaches, professional coaches and career coaches) and internal characters and attitude are more important than skills and knowledge. But the effective coaches are needed to have skills and knowledge aswell as internal characters and attitude. I expect that the further studies on the coaches`s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have been less important in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studies on the coaches` competency in each field where the coaching has been applied.

      • KCI등재

        운동선수 코치의 감정노동과 번아웃을 통한 코치-선수 관계의 예측

        이근철 ( Keunchul Lee ),이강헌 ( Kanghu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2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운동선수 코치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과 번아웃 수준을 통해 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감정노동 검사지,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검사지, 코치-선수 관계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이 지각한 감정노동 수준은 코치-선수 관계, 번아웃 수준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번아웃 수준은 코치-선수관계와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감정노동 수준이 번아웃을 통해 코치-선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현장에서 코치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 전략은 코치-선수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번아웃 수준이 증가하게 되면 결국 선수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athlete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labor and burnout level perceived by athlete coaches in sport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athlete coach in South Korea through the survey.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questionnaires on the emotional labor, athlete coach` burnou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that were designed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test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mediation effect test. Results: First, emotional labor level perceived by coaches was positively related to coach-athlete relationship and burnout level. Burnout level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ach-athlete relationships. Second, emotional labor level of the coach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through burnout. Conclusion: Emotional labor strategies perceived by coaches in sports field can maintain coach-athlete relationship positively, but it showed that if the burnout level increases, the relationship with the athlete can negatively predict.

      • KCI등재

        축구 코치의 코치 입문 경험에 관한 연구

        하성준(seong jun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스포츠 코칭 활동을 하는 축구 코치가 코치로 입문하게 되는 과정과 그 경험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축구 코치의 인식 변화, 주변 환경 요인, 사회적 요인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코치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명의 축구 코치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했다. 연구 참여자는 축구 선수 경력 10년 이상, 축구 코치 경력 10년 이상의 경력을 갖춘 코치로 선정했다.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했고,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 방법을 중심으로 개방 코딩과 패러다임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개방 코딩을 통해 정보들을 구분함으로써 연구하는 현상에 대한 정보의 범주들을 형성했다. 이후 범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위 범주들을 연결하는 축 코딩을 진행했다. 결과 연구 결과 ‘직업으로서 코치 선택 동기’, ‘선수 경험의 영향’, ‘이상과 현실의 괴리’ 총 3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했다. ‘직업으로서 지도자 선택 동기’의 하위 범주는 ‘지도 활동에 대한 관심’, ‘후진 양성을 위한 마음’, ‘상위 리그 진출에 대한 도전’, ‘은사님의 권유’로 나타났다. ‘선수 경험의 영향’의 하위 범주는 ‘경험적 지식의 활용’, ‘선수 경험의 자부심’, ‘편협한 진로 의식’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현실의 괴리’의 하위 범주는 ‘지도 방법의 시행착오’, ‘형식적 코치교육’, ‘경쟁의 본질적 문제’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하는 운동부 코치의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자질을 제시했다. 단순히 운동 기능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코치 입문 과정과 스포츠 코치의 고용 체계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cess and experiences of soccer coaches who engage in sports coaching activities targe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athletes becoming a c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coach education by analyzing in-depth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occer coaches, environment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eight soccer coach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coache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s as a soccer player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s as a soccer c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open coding and paradigm models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s. By classifying information through open coding, categories of information about the phenomenon being studied were formed. Afterwards, axial coding was performed to connect subcategorie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categor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three top categories were derived: ‘Motivation for choosing a coach as a career’, ‘Influence of athlete experiences’, and ‘A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sub-categories of ‘motiva-tion to be a leader as a career’ were ‘an interest in coaching activities’, ‘mind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a challenge to advance to a higher league’, and ‘recommendation from a teacher’. The subcategories of ‘influence of athlete experiences’ were ‘use of experiential knowledge’, ‘pride of athlete experiences’, and ‘narrow career consciousness’. The subcategories of ‘the gap between ideals and reality’ were ‘trial and error in coaching meth-ods’, ‘formal coach education’, and ‘essential problems of competi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role and qualifications of athletics coaches as educators for stu-dent athletes were presented. Structural problems were pointed out in the coaching introductory process and the employment system of sports coaches to perform their roles simply as conveyors of exercise skills.

      • 한국 코칭산업의 미래 예측을 위한 코치의 만족 수준과 전망에 관한 고찰

        조성진(Seong-Jhin Joh),이나영(Na-Young Lee),최소은(So-Eun Choi)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융합코칭저널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코치들의 만족 수준과 향후 코칭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코치협회 소속 640명 (회수율, 98.6%)의 코치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21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했다. 응답 결과, 여성이 421명(66.7%), 40대가 225명(35.7%), KAC 취득자가 318명(50.4%), 석사학위 취득자가 218명(34.6%), 그리고 ‘3년 이상 ~ 5년 미만’ 경력자가 245명(39.8%)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만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코치로서 보람을 느낀다는 것이었고, 코칭 수입이 적다는 점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했다. 둘째, 한국 코치들은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이 가장 많았고, 향후 자신의 코칭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한국 코치들은 현재의 코칭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지만, 코칭이 자신과 타인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권유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넷째, 한국 코치들은 향후 코칭 시장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가장 전망 있는 코칭 장르는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이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코치들은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장 많은 한국 코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만족 수준과 코칭 산업에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했고, 한국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치들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코칭 산업의 지속적인 활성화와 선 순환적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questions from August 22 to August 31, 2022 targeting 631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n Coach Association active in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ach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oaching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they felt rewarded as a coach, and the most dissatisfied was that their coaching income was low. Second, Korean coaches had the highest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expected their coaching incom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rd, Korean coaches responded that although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oaching income,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because coaching helps them and other’s change and grow. Fourth, Korean coaches optimistically predicted the future coaching market, and responded that life coaching and business coaching were the most prospective coaching genres. Lastly, Korean coaches considered job cre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fo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aches, an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coach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 [논문발표 2] 한국 코칭 산업의 미래 예측을 위한 코치의 만족 수준과 전망에 관한 고찰

        조성진,이나영,최소은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한국융합코칭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활동 중인 코치들의 만족 수준과 향후 코칭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코치협회 소속 631명의 코치를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21개의 문항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 응답 결과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코치들은 자신의 코칭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만족하는가장 큰 이유는 코치로서 보람을 느낀다는 것이었고 코칭 수입이 적다는 점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했다. 둘째 한국 코치들은 월평균 100만 원 미만의 수입을 올리는 자들이 가장 많았고 향후자신의 코칭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 한국 코치들은 현재의 코칭 수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지만 코칭이 자신과 타인의 변화와 성장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타인에게 권유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넷째 한국 코치들은 향후 코칭 시장에 대해 낙관적으로 전망했고 가장 전망 있는 코칭장르는 라이프 코칭과 비즈니스 코칭이라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코치들은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일자리 창출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가장 많은 한국 코치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만족 수준과 코칭 산업에 전망에 관한 의견을 분석했고 한국 코칭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치들의 기대와 요구사항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연구 결과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코칭 산업의 지속적인 활성화와 선 순환적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ir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 questions from August 22 to August 31, 2022 targeting 631 coaches belonging to the Korean Coach Association active in Korea,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oach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oaching activities. The biggest reason for satisfaction was that they felt rewarded as a coach, and the most dissatisfied was that their coaching income was low. Second, Korean coaches had the highest income of less than 1 million won per month on average, and expected their coaching income to increase in the future. Third, Korean coaches responded that although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coaching income, they would recommend it to others because coaching helps them and other’s change and grow. Fourth, Korean coaches optimistically predicted the future coaching market, and responded that life coaching and business coaching were the most prospective coaching genres. Lastly, Korean coaches considered job crea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s and opinions on the prospects of the coaching industry for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coaches, and to confirm the expectations and requirements of coache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in Korea.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the tasks necessary for the continuous vitalization of the coaching industry and the creation of a virtuous cycle ecosystem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