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치의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 직무요구를 통한 직무열의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강헌 ( Kanghun Lee ),이근철 ( Keunchul Lee ),김용세 ( Yongse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itive variables related to the work of coaches. Therefore, relevant variab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motivational aspect, which is a positive process described in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satisfaction perceived by coaches, and finally,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was verifie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6 coaches through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the job resources, job engagement, job demands, and job satisfac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nstruct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test,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job resources mediated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job engagement. This relationship was reduced by higher levels of the job demands.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engagement perceived by coaches in the sports field is a major variable explaining the positive aspects of coaching. However, it was found that excessive job demand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work.

      • KCI등재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과 코치-선수 관계에서 코칭열정과 직무열의의 다중매개효과 검증

        이근철 ( Keunchul Lee ),이강헌 ( Kanghu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3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코치-선수의 관계에서 열정과 직무열의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코치-선수 관계, 열정, 직무열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화열정은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코치-선수 관계는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은 조화열정을 감소시키지만, 조화열정은 직무열의를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는 코치선수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과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코치선수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하였지만, 두 매개변인은 번아웃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를 억제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 of passion and job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ach-athlete perceived by coaches in sport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15 athlete coach in South Korea through the survey.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questionnaires on the athlete coach` burnout, coach-athlete relationship, passion, and job engagement that were designed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ing,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testing, and serial multiple mediator effect test. Results: First, burnout of the coaches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ssion and job engagement, while passion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engagement. An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assion and job engagement. Second, the burnout perceived by the coaches decreased passion, but passion increased job engagement and job engagement improved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Conclusion: The burnout of the coaches was shown to make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negatively through passion and job engagement. However, the two mediation variables were identified that could sup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burnou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 KCI등재

        운동선수 코치의 감정노동과 번아웃을 통한 코치-선수 관계의 예측

        이근철 ( Keunchul Lee ),이강헌 ( Kanghun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2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운동선수 코치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과 번아웃 수준을 통해 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감정노동 검사지,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검사지, 코치-선수 관계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이 지각한 감정노동 수준은 코치-선수 관계, 번아웃 수준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번아웃 수준은 코치-선수관계와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감정노동 수준이 번아웃을 통해 코치-선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현장에서 코치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 전략은 코치-선수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번아웃 수준이 증가하게 되면 결국 선수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athlete relationship through emotional labor and burnout level perceived by athlete coaches in sport field.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athlete coach in South Korea through the survey. Measurement tools consisted of questionnaires on the emotional labor, athlete coach` burnout, and coach-athlete relationship that were designed in line with the research purpos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test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mediation effect test. Results: First, emotional labor level perceived by coaches was positively related to coach-athlete relationship and burnout level. Burnout level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ach-athlete relationships. Second, emotional labor level of the coach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oach-athlete relationship through burnout. Conclusion: Emotional labor strategies perceived by coaches in sports field can maintain coach-athlete relationship positively, but it showed that if the burnout level increases, the relationship with the athlete can negatively predi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