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奇蹟과 解恨

        최병학(Choi Byung-Ha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학논총 Vol.14 No.3

        역사적 예수는 케리그마의 그리스도와 더불어 영원한 신학의 숙제이다. 불트만이 케리그마의 그리스도를 통해 신학의 신앙화를 추구했다면 오늘날의 신학은 역사적 예수 연구를 통해 케리그마의 그리스도와 역사적 예수와의 간격을 좁혀 보려는 시도를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간격을 단절하며 신앙의 신학화를 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은 예수의 기적의 의미와 그 기적의 대표적인 예로 밥상공동체의 기적을 케리그마의 그리스도와 역사적 예수, 기적 이야기와 민중의 희망, 개별자의 기적과 집합인격의 해한, 혼자 먹는 밥과 밥상공동체, 신화론적 묵시파 성령운동과 안병무의 체현신학을 통하여 틸리히의 상관관계의 방법을 교차문화적으로 수용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곧 치유와 자기 내어줌! 루이스 캐럴(C. S. Lewis)도 그의 유명한 강연에서 언급했듯이 성례전 다음으로 우리 눈에 제시된 가장 거룩한 대상은 바로 이웃이다. 왜냐하면 그 안에 살아계신 그리스도가 임재해 계시기 때문이다. 포스트모던 시대에 우리의 이웃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기적? 밥? 일터? The problem of the historical Jesus and Kerygmatic Christ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field of Christology. Whereas Rudolf Bultmann understood the Christ in the theological formulation of the Kerygma by the early Church, many scholars in these day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Jesus as both the historical Jesus and the Kerygmatic Christ through the quest for the historical Jesus. This article is to examine Jesus’ miracle at the Table through Paul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As C. S. Lewis mentioned in his lecture, the historical Jesus is revealed in the figure of Kerygmatic Christ, such as a healer and self-sacrifice.

      • KCI등재

        토착화의 시각에서 본 에큐메니칼 선교

        이정배(Lee Jung-Ba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8

          본 논문은 존재유비와 신앙유비로 대비되는 가톨릭과 개신교 신학의 기본틀을 비판적으로 비교 성찰하고 각 신학구조의 의미와 한계를 오늘의 선교론의 시각에서 제시한다. 존재유비의 포괄적 신학구조가 신앙유비로서의 배타적 신학구조보다 현대인들에게 설득력이 있음을 현재 개신교 인구의 축소 문제와 더불어 일차적으로 생각해 보았다. 하지만 존재유비 구조 역시 선교를 위해 만족할 만한 신학 틀이 될 수 없음을 지적했다. 그리스도 케리그마를 영원한 상수(常數)로 생각하는 한 케리그마 그 자체로 인해 기독교 선교가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현실이 되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본고는 역사적 예수 삶을 새로운 의미의 케리그마로 생각하고 역사적 예수 삶을 토착화 시킨 다석 유영모의 한국적 신학이 에큐메니칼 선교의 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여기서 토착화는 선교라는 것이 전제된다.

      • KCI등재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설교의 구조와 내용적 특성: 기독교 교육학적 적용

        이미아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3 영산신학저널 Vol.29 No.-

        영산 조용기 목사의 설교는 수많은 청중에게 구원의 복음을 받아들이고, 복음의 능력을 자신의 존재와 삶 속에서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그의 설교는 초대교회 사도들의 선포와 가르침의 전승에 서 있다. 초대교회 사도들의 설교가 그러했듯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소식의 선포와 회개와 믿음으로의 촉구는 영산의 어떤 설교에서도 빠지지 않는 핵심 요소이다. 영산의 설교의 구조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고난과 부활을 통해 이루신 하나님의 구속을 선포하는 케리그마를 핵심적인 구조로 하여 핵심 진리에 대한 설명, 생각과 행동과 말의 변화를 포함하는 삶의 변화 및 삶의 방향성에 대한 가르침을 병렬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영산의 설교의 구조는 선포와 가르침이 분리되거나 강조점에 우열이 있는 것이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케리그마의 선포를 토대로 신자의 삶을 위한 윤리적, 종말론적 가르침을 적합하게 내포하고 있다. 영산의 설교는 케리그마와 디다케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 청중의 영적 현실적 삶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응답적인 설교가 되고 있다. 영산의 메시지는 청중의 상황적· 영적 필요 등 전인적 측면에서의 삶의 정황과 원활히 연계되는 전인구원의 메시지, 즉 성육신적 메시지의 특성을 가진다. 예수님께서는 인간의 독특한 문화와 세계관, 역사를 포함하는 삶의 정황으로 직접 들어오셔서 복음과 상황을 잇는 다리가 되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의 모범은 설교에 있어 청중의 독특한 삶의 자리, 그들의 사회· 경제적· 문화적 환경과 영적· 육신적 삶의 실재에 대한 깊은 상황적 이해를 전제해야 함을 제시해 준다. 영산의 설교는 청중의 삶의 자리에 대한 탁월한 인식을 가지며 청중의 언어, 즉 대중적 내러티브를 통한 구원 메시지의 전달, 청중의 영적· 현실적 욕구에 부응하는 성육신적 전인구원의 메시지 선포라는 내용적 특성을 내포한다. 나아가 영산은 오순절주의 설교자의 한 사람으로서 성경 중심, 예수 그리스도 중심이면서 동시에 성령과의 인격적 교제의 중요성과 성령충만과 능력의 나타남을 지향한다. 영산의 선포는 늘 신유의 선포와 병 고침의 능력의 나타남을 수반했다. 영산의 메시지와 신유의 역사는 성경 말씀의 참됨을 증거했고 청중으로 하여금 구원의 복음을 받아들이게 했을 뿐 아니라 하나님의 전인구원의 복음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부여했다. 영산의 선포와 가르침의 모델은 한 개인으로 하여금 복음을 통해 하나님과의 만남과 화목의 관계를 수립하고, 그 관계를 기저로 자신과 타인, 세계와 화목해 나가며 삶의 전인적 변화를 이루어 나가는 영적 성숙을 목표로 하는 기독교 교육의 적용과 연계점을 가진다. 기독교 교육, 특히 신앙 교육에 있어 영적 형성과 성숙의 근거는 예수 그리스도의 케리그마와 하나님의 말씀의 진리에 대한 해석과 삶의 적용에 관련된 가르침이다. 회심과 개종, 성화와 영적 성숙을 위한 신앙 교육에 있어 영산의 복음 메시지는 적용점을 갖는다. 영산은 우리의 생각을 4차원의 생각으로 전환함으로써 영적, 지성적 세계관의 변화를 가져올 것을 강조했다. 기독교 교육, 교회의 성경 교육에 있어 학습자의 세계관을 변화시키는 일은 학습자의 영적 성장, 즉 그리스도의 제자로 성숙해 가는 과정에 있어 핵심적인 일이다. 나아가 영산의 선포와 가르침에 있어 청중의 전인적 변화를 ... Dr. Yonggi Cho(Youngsan hereafter)’s preaching has provided the chance to get numerous people to receive the Gospel and experience the power of the Gospel in their lives. His preaching follows the tradition of kerygma and didache of the apostles in the early church. Like the preaching of the apostles in the early church, a central element distinctively presented in his all messages is a proclamation of salvation of God through Jesus Christ with calling on repentance and faith. The structure of his preaching is comprised of kerygma as the corestructure and of didache. In Youngsan’s preaching, kerygma proclaims the redemption of God fulfilled through Jesus Christ’s suffering and death on the cross, and his resurrection, while didache explains the primary concept in the truth and teaches the change of life including thinking, behavior, words, and the direction of life. His proclamation and instruction is not be separated or do not have a different emphasis. Two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connected closely. His message has been consistently responsive to people’s spiritual and practical needs of life, maintaining a balance and harmony of kerygma and didache. Youngsan’s message is characterized as the message of holistic salvation to be properly connected to people’s life situation comprising contextual, spiritual, and material needs and environments, which can be called as an incarnating message. Jesus personally entered into the context of human life including man’s culture, their world view and history, and became a bridge to connect the Gospel with the context. An example of incarnation of Jesus Christ suggests us to have an understanding of people’s unique context of life, which means their socio-economic, cultural environments and the reality of life in spiritual and physical dimension. Based on this kind of understanding, his message of holistic salvation has such content characteristics as showing the prominent perception to the situation of life, delivering the message in the way of narrative, and meeting person’s spiritual and practical needs. Furthermore, as one of the Pentecostal preachers, he focuses on the biblical truth and Jesus Christ, and simultaneous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ersonal fellowship with the Holy Spirit and the manifestation of the power of the Spirit. His message always accompanies the proclamation of divine healing and practical manifestation of the power of healing from the Spirit. His message and presence of divine healing witnesses the authenticity of the Word of God, initiates people to accept the Gospel of salvation as well as gives them confidence of the power of the Gospel of holistic salvation. A model of Youngsan’s message and teaching proposes some insights for the implication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has a goal of the holistic change of life and spiritual maturity through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of reconciliation with God in Jesus and accomplishing the reconciliation with self, others, and the world,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meeting with God. In education for Christian faith, the source of spiritual formation and maturity is kerygma of Jesus Christand didache related to an interpretation of the truth of the Word of Godand applications to the life. Regarding such subjects as repentance,conversion, sanctification and spiritual maturity, Youngsan’s message is applicable to the Christian education. Youngsan has emphasized that we can transform our world view by changing our existed way of thinking into the fourth dimensional thinking. In the bible teaching in the church, changing world view of the learners is essential for the spiritual growth of the learners in the process of their becoming mature as the disciple of Christ. Moreover, the Holy Spirit is one who instills the new life for the holistic transformation of the audience of Youngsan. In this manner, the Holy Spirit is a principal agent to initiate the learners to have an insight spir...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 희망의 빛으로 본 Paul Ricoeur의 "종교의 자유"

        장경 ( Kyung Ja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0 No.-

        폴 리쾨르가 말한 종교의 자유는 ``케리그마적 선포와 해석``으로 전개된 자유의 질에 속한다. 이 자유는 다양한(심리, 윤리, 정치, 사회, 신학) 차원에서 형성되는 인간성숙을 향한 총괄적 형태변화를 이루면서 자유담화의 완성도상에 있다. 리쾨르가 관심을 갖는 ``철학적 접근``은 케리그마와 신학이야기(성경)에 끊임없이 다가가면서도, ``들음(신앙을 통한 말씀의 수용)``에 기초하여 ``따름``이라는 자율의 길이 있음 알린다. 즉 ``이성의 한계 안에 있는 종교``라는 차원에서 한계를 넘지 않는 ``이성해석``의 가능성을 말한다. 여기서 리쾨르는 칸트의 두 가지 이성비판(순수이성과 실천이성)의 변증법과 『이성의 한계 안에의 종교』를 몰트만이 그의 『희망의 신학』에서 말한 종말론적 세계열림에로 연계한다. 리쾨르는 철학과 신학이 공유할 수 있는 자유의 장을 ``희망``이라고 말한다. 칸트의 두 가지 이성비판(이성사유와 의지의 앎)으로 생겨난 이율배반적 불일치에서 최고선이라는 총체적 가능성으로 나타난 요청을 리쾨르는 희망으로 이끈다. 이런 희망은 어디까지나 가능성이지 현실이 아니다. 다른 한편, 칸트의 ``한계선상의 종교``는 인간 삶에 나타난 ``근본악``이 이룬 실존적 절망으로 이성의 무능력을 실감하게 한다. 본성에 가까울 정도로 악에 기울어진 성향과 도덕주체의 자유로운 선택의지가 어떻게 서로 양립할 수 있는가? 칸트의 해답은 ``선택의지와 준칙`` 그리고 ``행위동기에 대한 이해``로 우리를 이끈다. 그는 동물과 달리 인간의 선택은 감성적이지만 자유로운 선택이라 강조한다. 경향성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순수이성의 명령을 받아들이고 도덕법에 대한 존경심에서 행동할 수 있기에 인간은 자유로울 수 있다. 이때, ``자유``는 경향성을 억제하는 힘이다. 이런 힘을 발휘하지 못할 때, 인간은 감성과 열정의 노예가 된다. 어떤 동기를 선택하든 준칙 속에 동기를 수용하는 행위는 전적으로 자유로운 행위이다. 따라서 선악의 선택문제는 준칙 속에 어떤 동기를 수용하는지에 달려 있다. 이런 맥락에서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만``이 준칙의 체계 속에 ``최상의 준칙``이 된다. 이 준칙을 모든 행위의 기본준칙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행위는 근본적으로 악하다. 처음부터 자유에는 사람이 선택한 악이 들어있다. 악한 준칙은 우연이지만, 그것은 자유의 악한 본성, 곧 필연적인 것이 되어 드러난다. 이것이 ``근본악``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주관에 들어 있는 이 악의 필연성은 동시에 희망의 원인이기도 하다. ``준칙``을 고치는 것, 그것은 우리가 할 수 있다.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성 곧 자유의 본성을 거듭나게 하는 것은 할 수가 없다. 근본악은 인간의 한계상황이다. 리쾨르는 칸트가 인간의 ``앎의 한계에서 능력(힘)의 한계에로까지`` 그 인식범주를 넓혔다고 본다. 근본악이 뜻하는 무능은 인간의 유능함이 나오는 바로 그 지점에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실천이성의 변증론에서 요청했던 ``자유의 근본물음``이 근본적 형태로 제기된 것이다. 자유의 요청은 선험적 환상(순수이성)에서 생긴 앎의 어두움을 넘어야 할뿐만 아니라, 근본악 때문에 생긴 능력의 어두움(실천이성)도 넘어야 한다. 진정한 자유는 사변(이성이론)과 실천(의지이론) 양면성에서 성금요일을 넘어서는 희망으로만 가능하다. 여기서 리쾨르는 칸트의 근본악 사상이 그리스도교 케리그마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지점으로 본다. 즉 철학적 희망은 ``부활의 희망``이고 죽은 자들 가운데서 ``부활하는 희망``이다. 칸트의 근본악 사상은 그리스도교 신앙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칸트의 근본악과 윤리의 관계는 의무론 분석만이 아니라 최고선을 다루는 그의 변증법을 이루는 관계와 연계해서 보아야 한다고 리쾨르는 주장한다. 여기 다른 변증법의 문제가 있음을 파악한 리쾨르는, ``헤겔 이후의 관점``에서 칸트를 해석하려면, 바로 이 변증법의 관점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한다. 근본악은 처음 행위(원죄)의 시작뿐 아니라 자유가 전체를 향해가는 과정에도 나타나고 있음을 리쾨르는 주시한 것이다. 『이성의 한계 안에서의 종교』의 ``근본악에 대하여`` 부분에서 칸트는 종교철학으로 문을 열고, 악의 문제를 제기했지만 그 완결을 이루지 못한 상태다. 여기서 리쾨르는 칸트가 부분적으로 들추어낸 악의 이론을 감안하여, 총체적인 종합을 시도한다. 그는 ``진짜 악``, ``악 중의 악``이란 금지의 위반이나 불복종이 아니라 통합하려는 작업에 깃든 ``기만(fraude)``이라고 밝힌다. 다시 말해, ``진짜 악은 종교가 생겨난 지점, 곧 모순과 갈등의 영역``에서 드러난다. 칸트식으로 풀어 말하자면, 진짜 악은, 한편 이론적·실천적 이성을 구성하는 ``총체성 요구``가 있는 곳에서, 다른 한편, 앎(지식)을 혼란케 하는 ``환상``과 도덕적 동기를 혼탁하게 하는 애매한 ``쾌락론``이 일어나는 자유선택의 지점에서 생긴다. 그리고 또 다른 한편, 전체통합을 겨냥한 인간작업의 노력을 부패케 하는 ``악의(le malice)``가 있는 곳에서 생긴다. 그렇다면 리쾨르의 말처럼, ``악과 희망``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가까이 밀착되어 있는 셈이다. ``악 중의 악``이 종합을 꾀하는 ``총체성 도상``에서 생겨나는 것이라면, 이는 희망의 병리학에 해당된다. 즉 진짜 악은 ``모임, 요약, 총체화``라는 제도화 과정 속에, 국가나 교회 안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런 근본악의 이론은 ``소외``라는 새로운 형상의 영접구조로 나타난다. 이는 사변적 환상이나 위로를 얻으려는 욕망(두 가지 이성비판)과는 다른 모습이다. 소외는 교회와 국가와 같은 ``문화적 권력(힘)``에서 나타나는 소외이다. 권력들 중심에는 종합이란 기만적 표현이 생겨날 수 있다. 이런 근본악은 정치적·종교적 분야에서 ``결핍된 종합``으로 절정을 이룬다. 그러므로 칸트에게서 참다운 종교는 거짓종교(고착된 종교)와 끊임없이 논쟁을 편다. 자유의 거듭남은 희망의 형상이 공공장소에 나타난 우상으로부터 자유롭게 되어가는 움직임과 분리될 수가 없다. 자유를 향한 움직임은 늘 상 새로워져야 한다. 이런 과정 전체가 이성의 한계 안에서 종교철학을 구성한다. 리쾨르는 이 과정이 ``부활의 케리그마``가 철학 쪽의 희망의 자유와 비슷한 유비를 이룬다고 본다. 리쾨르가 말한 ``자유의 케리그마``는 신학과 철학 양면에서 접근 가능한 진정한 의미에서 ``종교의 자유``의 의미를 건네주는 자유의 질(quality)에 해당된다. 현실에서 만나지는 악에도 불구하고 부활신앙의 넘치는 은총의 선물은 무한한 희망을 낳게 하며 목적왕국(하느님 나라)의 실현을 위해 올바른 자유사용을 펴게 하는 신비이다. 희망의 지성은 주체의 환상(사유)과 쾌락의 오류(앎, 실천지)에서 벗어나게 하는 요청적 자유를 터득하게 한다. 한계 상황으로 드러난 이율배반적 자리에서 우리는 모든 것을 아우르며 총체적 종합으로 나아가는 역사적 과정에서 다양한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절대적으로 선하신 인격자 ``너(하느님)``에 대한 존경과 신뢰와 희망 하에, 공동목적에 참여라는 ``과제``를 겸허하게 읽을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그 선택은 혼자 하는 게 아니다. 최고선의 주인(하느님)으로부터 오는 ``희망의 자유``를 익혀야 할 것이다. 죽음을 이긴 부활의 희망은 바로 자유선택이 기대는 최상의 짝이다. For Ricoeur, the religious freedom signifies the quality of freedom that pertains to the religious phenomenon as such. The quality of freedom, developed by the proclamation of kerygma and its interpretation, recapitulates all the other degrees (psychological, ethic and political, etc) of freedom inasmuch as it concerns what he calls completion of the discourse of freedom. As christian philosopher, he puts the incessant work of philosophical discourse into a relation of proximity with kerygmatic and theological discourse. His work of thought is henceforth a work that begins with ``listening``, and yet within the autonomy of responsible thought. As a hearer of the Word, he has been taken especially with the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that J. Moltmann gives to the Christian Kerygma in The Theology of Hope. Moltmann resituates the Resurrection entirely within the framework of the Jewish theology of the promise and by removing it form the Hellenistic schemas of epiphanies of eternity. The Resurrection, interpreted within a theology of promise, is not an event which closes, by fulfilling the promise, but an event which opens, because it adds to the promise by confirming it. The God who is witnessed to, is not the God who is, but the God who is coming. If such is the meaning of hope on its own level of discourse, that of a hermeneutics of the Resurrection, what is the meaning of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For this, Ricoeur answers that it is the meaning of "my existence in the light of the Resurrection", as reinstated in the movement of the future of the Resurrection of the Christ. In this sense, a hermeneutics of religious freedom is an interpretation of freedom in conformity with the Resurrection interpreted in terms of promise and hope. This formula attests that the psychological, ethical and political aspects are not absent. But they are neither basic, nor original. Hermeneutics consists in deciphering these original traits in their diverse expressions, then in reascending, from these expressions, to the nucleus(kerygma) of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For Ricoeur, Christian freedom is to belong to the order of the Resurrection. It can be expressed in two categories, the category of ``in spite of`` and that of ``how much more``. The ``in spite of`` is only the reverse of the joyous ``how much more`` by which freedom wills to conspire with the aspiration of the whole of creation for redemption. With this trait, the distance is further widened between an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 of freedom and an existential interpretation.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or resurrection has not only a personal expression, but a communitarian, historical, and political expression in the dimension of the expectation of universal resurrection. With this kerygmatic core of hope and freedom, Ricoeur begins to search out a philosophical approximation. How does he begin with this? The route Ricoeur propose to explore is opened up by the important distinction instituted by Kantian philosophy between understanding and reason. This split contains a potential of meaning which is suitable, according to the thought of Ricoeur, to an intellectus fidei et spei. By the function of horizon, reason assumes in the constitution of knowledge and will. Ricoeur thus address himself to the dialectical part of the two Kantian Critique: Dialectique of theoretical reason and Dialectic of practical reason. A philosophy of limits which is at the same time a practical demand for totalization, is, for Ricoeur, the philosophical response to the kerygma of hope and the closest philosophical approximation to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Both Dialectics accomplish the same movement by instituting the tension which makes of Kantinism a philosophy of limits and not a philosophy of system. The division of Dialectics is discerned from the first and decisive distinction between Denken(thouht of the unconditioned) and Erkennen(thought by way of objects, proceeding from the conditioned to the conditioned). With the two Dialectices, is thus born the question which sets in motion the philosophy of religion. The first(Dialectic) is necessary to the second(Dialectic) and the third(Religion), because it introduces, at the very heart of the thought of the unconditioned, the critique of transcendental illusion, a critique that is indispensable to an intellectus spei. The domain of hope is quite coextensive with the region of transcendental illusion. The Kantian concept of the transcendental illusion, applied to the religious object, is one of inexhaustible philosophical fecundity. The entire movement -thought of the unconditioned, transcendental illusion, critique of absolute objects- is essential to an understanding of hope. What does the Dialectic of practical reason add that is new? Essentially a transposition to the will of what we might call the completion structure of pure reason. The Dialectic of practical reason adds nothing to the principle of morality, but what it does give to our will is essentially a goal(die Absicht aufs h?chste Gut). This goal is the expression, on the level of duty, of the demand, the claim(Verlangen) which constitutes pure reason in its speculative and practical use. Reason ``demands the absolute totality of conditions for a given conditioned thing``(beginnong of the Dialectic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And the philosophy of the will takes on its true meaning. It is not exhausted in the relation between the maxim and the law, between the arbitrary and the willed, but a third dimension appears: arbitrary-law-aim of totality. What the will thus requires, Kant calls ``the entire object of pure practical reason``. That is: "the unconditioned totality of the object of pure practical reason, that is, of a pure will." He applies to it the old name of ``highest good``. It is the concepts by which the completion of the will is thought. It thus takes the place of Hegelian absolute knowledge exactly. But it does not permit any knowledge, but only a demand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hope. It cannot be given, not only because the critique of the transcendental illusion accompanies it without fail, but because practical reason, in its dialectic, institutes a new antinomy. What it demands is that happiness be added to morality. In this idea of an antinomy of practical reason, Ricoeur see a second receptive structure for a critique of religion, applied more properly to its instinctual aspects, as in Freud. Henceforth, the connection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must remain a transcendent synthesis, the union of different things, ``specifically distinct``. Beatitudes is approached philosophically only by the idea of a non-analytic liaison between the work of man and the contentment susceptible of satisfying the desire which constitutes his existence. The condition of its possibility therefore must rest solely in a priori grounds of knowledge. Such is the second rational approximation of hope : it resides in this Zusammenhang (connection) that is necessary yet not given, but simply demanded, expected, between morality and happiness. For Kant, happiness is not our accomplishment. It is achieved by superaddition, by surplus. A third rational approach to hope is that of religion itself, but of religion within the limits of reason alone. Kant explicitly brings religion to the question "What can I hope for?" This question is born within and outside the critique. Within the critique, by means of the ``postulate``, outside the critique, by the detour of a reflection on radical evil. Ricoeur searches further the meaning of religion at the exterior of ethics for the access of the philosophical approximation of hope and of freedom in the light of hope. It is the consideration of evil which constrains to make the new move. With the consideration of evil, it is the very question of the real freedom evoked by the postulates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The problematic of evil requires him to tie the actual reality of freedom to the regeneration which is the very content of hope. What the Essay on Radical Evil teaches about freedom, is that this same power that duty imputes to us is in reality a non-power. The ``propensity for evil`` has become ``corrupt nature`` although evil is still only a manner of being of the freedom which comes to it from freedom. Freedom has from the beginning always chosen badly. Radical evil signifies that the contingency of the evil maxim is the expression of a necessarily corrupt nature of freedom. But this subjective necessity of evil is at the same time the reason for hope. To correct our maxims, that we can do, since we should do it. To regenerate our nature, the nature of our freedom, that we cannot do. This descent into the abyss expresses the most advanced point of a thought of limits, which extends from our knowledge to our power. The non-power signified by radical evil is discovered in the very place whence our power proceeds. Thus is posed in radical terms the question of the real causality of our freedom, the very same freedom which the Practical Reason postulated at the end of its Dialectic. The postulate of freedom must henceforth cross through, not only the night of knowing, with the crisis of the transcendental illusion, but also the night of power, with its crisis of radical evil. Real freedom can spring up only as hope beyond this speculative and practical Good Friday. Nowhere are we closer to the Christian kerygma: hope is hope of resurrection, resurrection from the dead. The Kantian philosophy of radical evil can be understood in its true connection with the ethical, not only in regard to the Analytic, to the doctrine of duty, but even more, to the Dialectic, to the doctrine of the highest good. A post-Hegelian interpretation of Kant must proceed by way of this radical contestation. But there is something else in the theory of radical evil, which only our prior reading of the Dialectic permits us to discern, radical evil concerns freedom in its process of totalization as much as in its initial determination. That is why the critique of Kantian initial determination does not liquidate his philosophy of evil but, reveals it in its true meaning. There The doctrine of evil is not completed in the Essay on Radical Evil, which initiates the philosophy of religion, but that it accompanies the latter through and through. True evil, the evil of evil, is not the violation of an interdict, but fraudulency in the work of totalization. In this sense, true evil appears only in the very field where religion is produced, on the one hand, by the demand for totalization which constitutes reaso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nd, on the other hand, by the illusion which misleads thought, the subtle hedonism which corrupts the great human enterprises of totalization. The demand for a complete object of the evil is basically antinomic. The evil of evil is born in the area of this antinomy. By the same token, evil and hope are more closely connected than we will ever think them. If the evil of evil is born on the way of totalization, it would appear only in a pathology of hope, as the inherent perversion in the problematic of fulfillment and of totalization. To put it in a few words, the true malice of man appears only in the state and in the church, as institutions of gathering together, of recapitulation, of totalization. Thus understood, the doctrine of radical evil can furnish a receptive structure for new figures of alienation besides the speculative illusion or even the desire for consolation, of alienation in the cultural power, such as the church and the state. At the heart of these powers, a falsified expression of the synthesis can take place. This culminates, not with transgression, but with flawed syntheses in the political and religious spheres. This whole process constitutes the philosophy of religion within the limits of reason alone, the philosophical analogon of the kerygma of the Resurrection and the whole adventure of freedom which permits us to give a comprehensible meaning to the expression ``religious freedom``.

      • KCI등재

        미래지향적 예배를 위한 초기교회 예배 성찰과 적용 방안 연구

        김순환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오늘날 교회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신학과 목회 현장 안에서 전례 없는 혹독한 도전을 경험하고 있다. 이 가운데 교회의 중심 행위인 예배의 실천은 가장 직접적이 고 강한 영향을 받으면서 이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예배들이 시도 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런 이변들은 통시적 교회 역사의 관점에서 정도나 유형은 다 르지만 여러 상황과 국면에서 발생해 왔던 일들이란 점에서 그러나 또 앞으로 과거보 다 훨씬 더 높은 빈도와 예측 불허의 모습으로 재현될 수 있다는 예상 가운데 오늘의 교회는 향후 뉴노멀 예배에 대한 더욱 열린 태도를 가지고 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이러한 때에 교회는 신앙의 중심행위인 예배의 지속적인 실행을 위해서, 그리고 그것들의 항구적인 정체성 보존을 위해서 각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고 본다. 특별히 기독교 예배의 항구적 전범(典範)인 초기교회의 예배는 이런 성찰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가 아닐 수 없다. 이는 초기교회 예배의 형식적 특성 때문만이 아니라 주제, 내용 및 실행 원리, 더 나아가서 모종의 도전들에 직면했을 때 교회가 그것을 둘러싼 당대의 상황 하에서 어떻게 대응해 나아갔는지 등의 관계성 등을 보여 주면서 그 결과 예배의 항구적이면서 유의미한 원리와 방향들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그렇다. 본 연구는 이런 이해 위에서 오늘과 내일의 또 다른 돌발적 위기 상황들 을 염두에 두고 그 도전들 앞에서 기독교 예배의 본질과 정체성을 영구적이고 불변적 으로 지켜가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초기교회의 예배, 성례전, 혹은 기타 주요 관습들을 대상으로 이들을 살펴 관련 자료들을 분석 평가하 고 그 속에 담긴 예배 신학 혹은 실행 원리들을 찾아 오늘의 예배를 향한 지침과 방 향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신약성경을 비롯하여 예배에 관한 주요 문 헌들이라 할 수 있는 디다케, 사도전승, 사도헌장 등을 중점적으로 탐색하면서 동시에 기타 관련된 초기 교회의 몇몇 단편적 문헌들을 보완적으로 다루어 그 바탕위에서 오 늘의 예배 상황에 맞는 적응 방안을 찾아 궁극적으로는 예배 본질과 그 본질의 항구 적 구현 방안 등을 모색하고 제언하고자 한다. The Christian churches today has experienced a new paradigm of worship while experiencing COVID-19. It is expected that these abnormal pandemic situation will more frequently occur and affect its powerful influences upon Church's liturgical fields, so that their theology and practices will face the higher unpredictability than in the past. In such a time, the Church must pay special attention to continuing her worshipping lives with no trouble, and maintaining its lasting core references and identity. In particular, the worships of the Early Church, which is a permanent example of consequent Christian worships, is an important source for such reflection. This is not only because of the elements, structure or the forms characteristic in the worships of the earliest church, but also because they shows significant permanent principles in its theme, contents, practical guides, or the relationship with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seeks ways to permanently and unchangingly preserve the essence and identity of Christian worship in the face of such various challenges of today or tomorrow. For this purpose, especially, this study deals with the worships, sacraments, or other major customs of the Earliest Church, and specially examines those in the New Testament and in some early main liturgical sources like Didache, the Apostolic Traditions, the Apostolic Constitution, etc., and in other some fragmentary materials. After discovering ideas embedded in those heritage of the past, it will suggest some directions for today's worships that would be resulted in with their application

      • 불트만의 예수와 실존론적 성서해석

        곽진상(Kwak, Jinsang)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16 이성과 신앙 Vol.60 No.-

        이 논문은 많은 오해와 비판을 받고 있는 불트만의 신학사상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그의 주저,『예수』를 분석하고(제1장) 그로부터 그리스도 신앙의 의미와 신학적 과제와 관련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그의 신학적 업적들을 도출한다.(2장 1절) 이어서 비판적 안목에서 오늘날 그리스도론에서 더욱 발전시켜야할 요소들을 지적한다(2장) 제1장에서는 역사적 예수에 관한 몇몇 정보들에 기초하여 ‘예수의 생애’를 복원하면서 예수를 정치적 혁명가, 엄격한 윤리주의자, 지혜의 스승 등으로 소설화 했던 자유주의 신학을 거슬러, 불트만이 어떻게 예수상을 그리고 있는지 자세히 분석한다. 초대 교회로부터 전승된 예수의 설교와 가르침을 통해서 역사적 예수에게로 접근할 것을 밝히고(1절), 종말론적 하느님 나라를 선포한 예언자 예수의 모습(2절),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선호했던 지혜의 스승인 랍비로서의 예수(3절)를 차례로 제시한 다음, 자유주의 신학자들이 대립시켰던 종말론적 예언자 예수와 지혜의 스승 사이의 일관성을 제시한다. 예수의 하느님 나라에 관한 종말론적 메시지는 지금 삶의 자리에서 하느님의 뜻에 순종하도록 부르는 한에서 양자는 서로 부합한다. 마지막에서는 오늘날에도 매 순간 하느님의 뜻 앞에 결단하도록 촉구하는 하느님 말씀의 운반자를 제시한다.(4절) 제2장에서는 종말론적 특성을 강조한 불트만의 신학으로부터 앞으로도 견지해야 할 그리스도 신앙의 의미들을 여섯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그리스도 신앙의 역사적 특성과 실존적 특성, 역사주의의 극복, 주석학과 신학이 만남, 역사적 예수와 케리그마의 그리스도 사이의 연속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는 신학적 측면에서 불트만 신학의 한계를 지적한다. 해석학적 측면에서의 텍스트와 실존적 의미 사이의 간격, 인간 본성의 형이상학적 측면, 신앙의 주관주의화 위험, 신앙의 사회적 특성이 그렇다. This article, in order to evaluate Bultmann’s theology which is widely misunderstood and criticized, analyzes his major piece of work Jesus (Chapter 1) and from that draws some fruitful theological achievements that should be preserved now and hereafter. Then it comments on potential further development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Chapter 2). Chapter 1, restoring the ‘life of Jesus’ based on some information about historical Jesus and countering the efforts of liberal theologians which novelize Jesus as a political rebel, a strict moralist or a master of wisdom, closely examines how Bultmann is illustrating the portrait of Jesus. It explains that this article restores historical Jesus by reviewing his sermons and teachings (paragraph 1), then presents the portrait of Jesus as an eschatological prophet of the kingdom of heaven (paragraph 2) and as a rabbi (master of wisdom) as supported by liberal theologians (paragraph 3), and points out the consistency among these two portraits. Given that eschatological message calls us to obey to God’s will in our everyday lives, there is certain correspondence between those two portraits. Jesus’ sermons are the ‘Porter of Word’ that every moment call us to make decision consistent with God’s will (paragraph 4). Chapter 2 presents six aspects of Christianity that are drawn from Bultmann’s eschatological theology and we should adhere to. They are historical and existenti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ity, conquest of historicism, meeting between exegesis and theology, continuity among historical Jesus and Christ of Kerygma (paragraph 1). Finally, it points out Bultmann’s theological limitations from fundamental theological and Christological perspectives. The limitations are the distance between the text and the existential meaning in the aspect of hermeneutics, the metaphysical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the danger of subjectivism of the Christian faith,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faith (paragraph 2).

      • KCI등재
      • KCI등재

        탈경쟁 사회를 위한 연민의 교육목회

        백은미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58

        Korean society today has imprudently adopted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based on neo-liberalism. In order to survive in an extremely competitive social system, people have completely devoted themselves to self-development and even engaged in spontaneous self-exploitation. As a result, they suffer from inferiority complex and extreme level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These individuals also fail to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s based on interpersonal trust and respect, and destroy the life of community.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becoming preparatory organizations for entrance examinations and employments. Faced with this tragic reality, Christian education should break away from this principle of competition, and propose a new orientation and value of life. This paper suggests that a compassionate educational ministry can be an alternative solution. As the public witness of God’s compassionate work, the church needs to make a commitment to practicing a compassionate educational ministry. Compassionate education ministry means to help Christians learn and experience God’s compassion by deeply empathizing with the suffering of others, critically reflecting on the causes of suffering, and building solidarity to overcome the suffering. Based on Maria Harris’s theory of curriculum,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curriculum that the Christian community would follow in the compassionate educational ministry. For a compassionate educational ministry, the church needs to develop diverse curricula to form a community as a public witness of God’s compassion(koinonia), to proclaim God’s compassion(kerygma), to perform prayer, liturgy, and spiritual discipline for compassion(leiturgia), to practice the pedagogy of compassion(didache), and to act on compassion in a public life(diakonia). 현재 한국 사회는 개인의 삶에서부터 사회전반에 걸쳐 경쟁원리가 지배하고 있다. 치열한 경쟁의 시스템 속에서 사람들은 자기착취를 감수하면서까지 자기계발에 매달리지만, 삶은 더 피폐해지고 자존감도 상실함으로써 극도의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 우울증을 경험한다. 또한 인간관계는 상호신뢰와 존중이 아니라 불신과 혐오가 지배하게 되고, 공동체는 해체되고 공동선에 대한 관심도 약화된다. 초중고는 이미 입시준비기관이 되었고, 대학은 직업교육기관이 되어버린 암울한 현실에 직면하여, 기독교교육은 경쟁원리를 탈피하여 새로운 삶의 지향성과 가치를 제시해야 한다. 이 논문은 하나의 대안으로써 공동체 구성원이 경험하는 고통을 함께 공유하고, 그 고통의 원인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고통을 극복하고자 연대하고 실천하는 과정 속에서 하나님의 연민을 배우고 경험하고 실천하도록 돕는 연민의 교육목회를 제안한다.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기독교 교육과정을 삶의 전 과정에서 일어나는 배움의 행위로 이해한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이론을 기초로 삼아 교육과정을 제시한다. 교육과정으로는 하나님의 연민의 공적 증언자로서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코이노니아와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을 연민의 선포자, 중재자, 듣는 자로 교육하는 케리그마를 제안한다. 또한 연민을 위한 기도, 예전, 영성수행을 포함하는 레이투르기아, 연민을 위한 페다고지로서의 디다케, 연민의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디아코니아를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사중복음 교회론 -하나님 나라 공동체 신학

        최인식 ( In Sik Choi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6 神學과 宣敎 Vol.48 No.-

        본 논문은 사중복음 속에 희미하게 흐르고 있는 교회론적 맥락을 정밀하게 탐색한 후, 이를 하나님 나라 공동체라는 관점으로 정리하고 해석하였다. 본 소고는 하나님 나라의 관점에서 사중복음의 교회를 “중생한 자들의 하나님 말씀 공동체”, “중생한 자들의 성례전 공동체”, 그리고 “중생한 자들의 하나님 나라공동체”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의 아래 사중복음 교회론이 표방하는 교회의 속성과 사명을 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381년)가 제출한 “하나이며, 거룩하며,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교회”라는 선언과 대질(對質)하고 있다. 교회의 유일성은 “중생의 바실레이아”로, 교회의 거룩성은 “성결의 코이노니아”로, 교회의 보편성은 “신유의 디아코노니아”로, 그리고 교회의 사도성은 “재림의 케리그마”로 해석할 수 있다고 본 논문은 밝히고 있다. 때로는 정밀묘사의 소묘처럼, 때로는 원근법을 가미한 풍경화처럼 사중복음 교회론을 그려보고자 했으며, 또한 사중복음 교회론이 담고 있는 다양하고 역동적인 신학의 풍경을 세세하게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즉, 사중복음 교회론의 흐름 속에는 ‘하나이며, 거룩하며, 보편적이며, 사도적인’ 고대교회의 교회론, 종교개혁-개신교 전통의 ‘하나님 백성, 그리스도의 몸, 그리고 성령의 새로운 피조물’로서 교회론, ‘신자의 교회’로 대표되는 자유교회의 급진적 교회론, 그리고 존 웨슬리의 ‘교회 안의 작은 교회들’이라는 경건주의적 교회론이 합류하고 있다고 논증코자 한 것이다. 그리고 본 소고는 이처럼 다종다양한 교회론적 흐름을 최대한도로 소화하고 수렴하여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사중복음 교회론을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라는 압축파일로 담아내는 데 집중했다. 이제 이 압축파일의 열고 닫음은 독자제현의 몫이리라. This article is aiming at organizing and interpreting the ecclesiological context, and at defining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the Fourfold Gospel The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community, originating from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e Kingdom of God, this article is suggesting to extensively view the notion of the Church in the Fourfold Gospel as the community of God’s Word of the regenerated, as the sacramental community of the regenerated, and as the community of the Kingdom of God of the regenerated. Furthermore, the author attempts to make a comparison of the ecclesial nature and substance between the eccleisology of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and the nature of the true Church, declared by the creed of Nicene-Constantinople(381): “ecclesia una, sancta, catholica, et apostolica.” Put in more detail, the unity of the Church corresponds to the basileia of the regenerated, the holiness of the Church is related to the koinonia of the sanctified,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is connected to the diakonia of the healed, and the apostolicity of the Church is interpreted by the kerygma of the second coming. Consequently, we come to know that various ecclesiological heritages are running in the streams of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the Fourfold Gospel Theology. In other words, the doctrine of the Church in the Fourfold Gospel Theology is properly accepting the creed of Nicene-Constantinople(381) as “ecclesia una, sancta, catholica, et apostolica,” the reformation-protestant tradition of the Church as ‘the people of God, the body of Christ, and the new creature of the Holy Spirit,’ the radical notion of the “believer’s church” in the Free Church, and the Puritan Church of John Wesley as “ecclesiola in ecclesia.” Depending on this scrutinization, the author argues that the Church of the Fourfold Gospel is rooted in the streams of these diverse eccelsiological traditions.

      • KCI등재후보

        케리그마 언어사용을 통한 해결중심치료의 적용

        장명수 ( Myoung Soo Cha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4 복음과 상담 Vol.22 No.2

        인간은 언어를 중심으로 관계를 맺고 영향을 발휘하며 살아가는 존재이다. 언어는 사람다움을 드러내고 사람사이의 관계와 성장 그리고 갈등과 상처와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언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와 조직은 그 역할을 다하게 된다. 내담자의 심리적인 문제는 언어생활로 야기되는 경우가 많으며, 언어의 효과적인 기법과 활용방안은 개인과 가족의 건강과 성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소고에서는 해결중심치료의 언어사용의 효율성을 도구로 하여 케리그마 언어를 적절하게 접목하여 내담자의 전인적 성장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전인적 성장은 심리적인 건강성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와의 참된 만남을 통하여 가능하다는 전제 아래 상담적 케리그마언어로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문제해결과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접근이 있을 수 있으나 언어를 활용하면서 복음적 언어 개발과 함께 언어의 간결성과 효율성을 장점으로 하는 해결중심치료의 접목은 기독교 상담 방안의 하나로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언어의 치료적인 개발은 상담자의 과제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고 상담사역의 활성화에 자극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케리그마 언어를 통한 상담적 접근을 통해 내담자의 전인적 성장에 미력하나마 작은 통로가 되어가고자 한다. People use language to make relationships and influence the lives of others. Language represents human character. It has deep relevance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Human language also has the power to stimulate conflicts and create scars. Language enables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o perform their roles in society. In many cases,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people are caused by language so that the effective use of language would have a huge influence on the health and the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like.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holistic growth of a client by properly leveraging language kerygmatically and relating it to solving-focused therapy. On the premise that a whole growth of the individual would be completed by not only maintaining psychological health but also a spiritual meeting with Jesus Christ, this study focuses on using the counselling kerygmatic language to solve the client’s problems. Although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solve problems and mature, the solving-focused therapy is a remarkable way of Christian counselling that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the evangelical language and also use concise language. It is the task of a counselor to develop therapeutic language, facilitating the starting point of counseling ministry. This study hopes to be that starting point, making the holistic growth of a client through the counseling approach of kerygmatic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