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연구 동향 분석

        이보아,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미디어의 빠른 진화와 기술 확장에 따라 현대 사회 환경은 무엇보다 매체에 대한 바른 이해와 올바른 사용이 강조되고 있다. 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세상 인식 방식을 바꾸어 놓았고 사회 문화와 시공간에서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영향을 주었다. 미디어의 활용도가 높은 공공공간인 복합커뮤니티 공간에서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와 발전된 양상을 선행연구된 문헌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미디어의 현재 상황을 파악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미디어가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고려한 연구를 통해 시대 변화와 발전에 따른 미디어에 활용 현황과 이용 가능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기본 자료를 토대로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범위) 연구 대상은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미디어를 적용한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국내의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동향을 분석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미디어에 대한 정의와 함께 복합커뮤니티 공간과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개념을 파악한다. 또한 빅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복합커뮤니티 공간 미디어와 연관된 단어를 생성하여 데이터 전처리 분석을 통한 최근 1년 간 포털 사이트 네이버, 다음, 구글, 트위터, 유튜브 플랫폼의 사용 키워드를 분류한다. 도출된 결과를 통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단어 활용 용어 빈도에 대한 동향을 파악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 적용과 관련성이 낮거나 중복되는 자료는 제외한다. 각각 분류와 분석 기준을 선정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통한 수량 변화와 특성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된 자료 내용의 유형과 성격의 분류를 통하여 동향과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결과) 2000년 이후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연구된 논문을 176편을 살펴본 결과 연도별 2016년 이후에 활발한 연구가 나타났으며 연구 방법에 관한 복합연구로 문헌연구와 사례, 조사연구 실증연구가 복합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분야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통해 미디어 관련 연구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신문방송학 분야 연구 빈도가 높았으며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는 건축도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관하여는 복합문화 공간과 커뮤니티 시설 공간의 연구가 많은 논문 편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을 때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 선호도 조사가 많은 빈도수로 나타났으며 상관관계 연구가 그 뒤를 이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미디어와 관련하여 연구한 동향과 최근 1년간의 포털 사이트 5곳의 빅 데이터를 기반으로 키워드를 도출하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공공공간의 미디어 활용에 관한 연구는 미디어를 이해하는 방식이 오늘날 첨단시대에 맞추어 디지털미디어에 집중되는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미디어에 대한 올바른 개념과 이해가 중요하다.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수단인 미디어가 상황과 조건에 맞게 제공되며 환경과 인간이 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apid evolution and technological expansion of media, the correct use of media is emphasized in the modern social environment above all else.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which is a public space in which media is used, are examined through the studied data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media. Through research that considers the usability of media as a means of communication in a complex community space, the current status and availability of media use in the media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imes are examined. Based on these basic data, we inte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media use of the complex community space for subsequent research and prepare basic data. (Method) The subject of the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based on a literature survey that applied media to the complex community space. I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definition of media and the concept of media in complex community spaces and complex community spaces are identified. In addition, through data pre-processing of portal sites on complex community space media based on big data, the current status is identified through keyword analysis and derived results through data collection of Naver, Daum, Google, Twitter, and YouTube over the past year, and the trend of media use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is identified through platform data analysis of five portal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 and flow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research contents. (Results) As a result of looking at 176, an active study of the composite communication space was found that the active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search method, and empirical research on the research method and investigation method. When looking at the research trends, the satisfaction survey showed a lot of frequency of satisfaction and related relationship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satisfaction, and the correlation relationship related to the phenomenon. (Conclusion)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by deriving keywords based on media-related research trends 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since 2000 and big data from five portal sites over the past year. In research on the use of media in public spaces, there is a strong phenomenon tha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media is concentrated on digital media in line with today's high-tech era. It is important to have a correct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media. It is hoped that the media, which is the core means of communication, will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and that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d humans can smoothly interact through media will be conducted widely.

      • KCI등재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인프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해진 지역민들의 요구수용과 높은 토지비용, 공간 조성에 수반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 대안으로 시설 복합화 방식이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는 제한된 토지 사용과 비용 효율화의 필요성을 넘어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 실현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건축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이 불가피한 현대건축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한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활용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활용 특성 도출과 시설 복합화 유형에 따른 사례 분석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의 실제상황을 살펴본다. (결과) 지역민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 공동체 유지와 활성화를 위한 필수적인 공간으로 공공공간과 그 특성을 공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공동체 활성화 촉진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 사례 분석을 위해 지역성, 개별성, 접근성, 공유성, 다양성, 안전성 등 6개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지역 커뮤니티 공간 유형으로는 지역 특성을 기반으로 개별 커뮤니티 공간의 중심기능에 따라 공공행정 기관 중심, 학교 시설 중심, 문화 편의 시설 중심 등 3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사례 분석 결과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요구수용을 바탕으로 공간의 중심기능을 선정하고 선정된 특정 기능이 중심되어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의 실질적인 이득은 지역 공동체 내부의 만성 민원의 해결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 주민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화합 도모에 이르기까지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지역 정체성 확립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서는 각 지역 특성에 적합한 복합화 유형을 선택하고 그 유형에 따른 공간 조성이 이루어질 때 커뮤니티 공간 조성의 본래의 목적인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 복합화 양상 자체가 최근 10년 사이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현상이고, 시설 복합화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겠다는 정부 정책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대한 더욱 면밀한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Background and Purpose) Community spaces for local community members can be classified as a social infrastructure that revitalizes the community. In addition, mixed-use facilities have become a general trend as an efficient alternative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local residents, high land costs, and the cost problems accompanying the creation of a space. The mixed-use community spaces are also a feature that reflects the current situation facing modern architecture; it is inevitable to accept various programs through architecture beyond restricted land use and the need for cost efficiency to realize diverse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members and to establish a local identity. Under this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meaning through case studies by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utiliz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by categorizing the mixed-use facility aspect of local community spaces. (Method) It deriv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amined the actual situation of mixed-use facility aspects of local community spaces through case analysis. (Results) The community spaces for local resident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nd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they share the characteristics with public spaces. Based on this, si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ity, singularity, accessibility, commonality, diversity, and safety, were derived for the case analysis of community space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The local community spaces c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entered on public administrative agencies, centered on school facilities, and centered on cultural amenities by the main function of individual community spa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main function of the space was selected based on the needs of the local residents to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ommunity spaces were built focusing on the selected specific function. The tangible benefits of mixed-use community spaces have been shown in various form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from solving chronic complaint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o working on harmony by operating various programs for local residents. (Conclus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uch spaces coul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the original purpose of creating a community space when a complexity type suitable for each region was selected. Space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type for creating the community space to establish the local identity and revitalize the community.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mixed-use aspect of community spaces has emerged prominently in the last 10 years, and the government policy promotes building various types of community spaces through mixed-use facilities, a further in-depth study on the mixed-use type of community spaces may be needed.

      • KCI등재

        중국 커뮤니티형 쇼핑센터 공간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마려죽,임선희,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의 도시화 발전 배경에서 도시 발전의 초점은 도시의 범위 확대에서 도시의 삶의 질에 대한 향상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시 지역 주민들의 편리한 쇼핑, 레저 및 엔터테인먼트와 같이 일상적인 사회적 장소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커뮤니티형 쇼핑센터는 기능적이고 종합적인 공간으로서 도시계획, 상업 개발 및 커뮤니티 건설 분야의 핵심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형 쇼핑센터에 필요한 공간디자인 요소를 범주화하고 커뮤니티형 쇼핑센터의 공간 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쇼핑센터 공간과 커뮤니티를 위한 상업공간의 발전 추세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고 관련 선행 문헌을 통해 중국 커뮤니티형 쇼핑센터의 공간디자인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요소 간의 유사성은 전문가 설문지와 다차원척도법을 통해 분석되며, 도출된 그래프로 요소를 범주화한다. (결과) 범주화를 바탕으로 도출된 커뮤니티형 쇼핑센터 공간디자인 요소는 사회자원의 공유기능, 일상생활의 서비스기능, 자연생태의 연결기능, 문화예술의 진흥기능, 소비공간의 복합기능과 같은 5가지 공간기능으로 정리되었다. 범위 1에서 개방성, 참여성, 공공성 세 가지 항목을 나타내는 사회자원의 공유기능은 커뮤니티형 쇼핑센터가 주민들에게 개방적이고 공유 가능한 사회적인 모임 장소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위 2에서 정보성, 접근성, 기능성, 서비스성, 편의성, 일상성 6가지 항목의 일상생활의 서비스 기능은 커뮤니티의 기능적 측면에서 주민들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 시설과 업종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주 3에서 쾌적성, 생태성 2가지 항목의 자연환경의 연결기능은 커뮤니티형 쇼핑센터가 자연생태와 연결되어 주민들에게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주 4에서 문화성, 체험성, 오락성, 예술성, 목적성, 독특성, 테마성, 지역성 8가지 항목의 문화예술의 진흥기능은 커뮤니티형 쇼핑센터가 주민들에게 다양한 주제의 예술문화 교류 및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범주 5에서 다양성, 모호성, 복합성, 가변성, 전이성 5가지 항목의 소비공간의 복합기능은 커뮤니티형 쇼핑센터가 소비 기능을 기반으로 주민들에게 여가 활동, 관광 체험, 학습 성장 등 다양한 공간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 공간디자인 요소에 기반한 사회자원의 공유기능, 일상생활의 서비스기능, 자연생태의 연결기능, 문화예술의 진흥기능, 소비공간의 복합기능 총 5가지 커뮤니티형 쇼핑센터의 공간 기능은 중국의 미래 커뮤니티형 쇼핑센터의 공간 개선 전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현재 중국의 쇼핑센터 및 커뮤니티의 상업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

        1인 가구를 위한 공유 공간 커뮤니티 특성 연구 -베이징 연경리 공유 공간을 중심으로-

        안국강 ( An Guoqiang ),홍창기 ( Hong Chang-k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중국에서 독신 청년층이 증가하면서 ‘청년 1인 가구’ 중심으로 형성된 공유 공간 커뮤니티 형태가 새로운 주거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공유 공간의 커뮤니티 특성을 연구하여 중국 베이징 연경리 공유 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청년 1인 가구가 공유 공간에서 생활하면서 주거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공유 공간의 커뮤니티 분위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유 공간과 커뮤니티의 특성요소를 파악하고 공유 공간 커뮤니티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 다음 그린스마트 커뮤니티 시범사업의 중국 베이징 연경리 공유 공간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연경리 공유 공간 커뮤니티의 생활에서의 부족한 점을 발견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연경리는 공유 공간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인 기능성과 영역성이 부족하며, 정서적인 측면인 친화성과 휴머니티성이 잘 나타나 있었다. 이는 현재 중국 공유 공간에서는 공간 친화력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공유 공간 커뮤니티의 기능적인 면인 기능성과 영역성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다. 따라서 공유 공간 기술과 서비스를 보장하면서 서로 다른 디자인 방식을 통해 공유 공간의 잠재적 커뮤니티 속성과 다변화적 기능을 탐색하고 공유 공간과 시설에 대한 세부적인 커뮤니티 분위기를 조성하여 공유 공간 커뮤니티의 기능성과 영역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코로나19 이후 주거 패러다임의 변화로 공유 공간에서의 커뮤니티 분위기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 상황에서 청년 1인 가구의 요구를 맞춰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발도상국의 공유 공간과 커뮤니티 생활에서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어 공유 공간 커뮤니티 특성에 대한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hared space communities centered on the model of young one-person families are becoming a new trend in living with the growing number of single youths in China. Taking the Yanjingli shared space in Beijing, China as an exampl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spac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young one-person families living in the shared space, and to improve the community atmosphere of the shared space. The research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to firstly grasp the elements of shared space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community. Secondly, this study selected Yanjingli shared space in Beijing, China, which is a demonstration project of green smart community, as the object of analysi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Yanjingli shared space community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ficiencies in the current Yanjingli shared space community life are identifi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mad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Yanjingli lacks functionality and domainality in terms of shared spaces, but is very friendly and humane in terms of emotions. This proves that Chinese shared spaces currently focus on continuously improving the intimacy and service of the space, and therefore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functional functionality and domainality of the shared space community, and this part must be improved. The improvement method is to explore the potential community attributes and diversified functions of shared spaces through different design approaches while safeguarding the technology and services of shared spaces, and to create a detailed community atmosphere of shared spaces and facilities to realize the functionality and domain of shared space communities. The results of such a study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young one-person families in the era of new coronavirus due to the change of living patterns and the increased demand for community atmosphere in shared spaces.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reference for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 communities as a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shared spaces and community life i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1인 집합건물 입주자들의 사회적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활동 공간에 대한 연구

        오영주(Oh, Young Ju),강성중(Kang, Sung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1

        저출산, 고령화 등에 의한 인구 구조와 경제 환경변화로 가구 유형은 급격한 1인 가구로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개인의 심리적 정서적 문제는 사회적 문제로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에 비해 소흘해지고 있는 사회적 소통을 강화하고 심리적 안정과 행복한 삶을 위한 건강한 주거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문헌연구와 문헌연구 분석에 기초한 커뮤니티 활동 공간을 제안으로 진행하며, 도시지역의 1인 집합건물을 대상으로 한다. 커뮤니티 활동은 주민의 교류와 소통을 위한 모든 활동이며, 구성원의 요구(Needs)에 맞는 변화와 활성화가 필요하다. 소통를 위한 구성요소는 정보의 개방성, 접근성, 인터랙션 3가지로 구성 하였다. 커뮤니티의 모임 및 공간 이용 행태에 따라 지점형, 순환형, 네트워크형으로 구분돤다. 지점형과 순환형은 건축물 내의 활동 유형이며, 네트워크형은 외부 공간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활동 유형이다. 지점형은 한 장소(공간)을 기점으로 구성원이 함께 모여서 커뮤니티 활용을 영위하는 것이며, 순환형은 고정된 장소가 아니라 여러 개의 장소를 번갈아 활용하는 커뮤니티 방식이다. 네트워크형은 건축물 내부의 커뮤니티 공간과 더불어 외부의 공간을 함께 활용하는 방식이다. 지점형 커뮤니티 활동은 공동 관리 중심으로 개인과 참여자가 함께 공유하고 소통하는 독립된 활동 공간이다. 순환형 커뮤니티 활동은 입주자의 개실을 중심으로 개인적 관계가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서로 순환하며 참여하는 활동 공간이다. 네트워크형 커뮤니티 활동은 집합건물의 공간적 범위를 넘어 지역사회로의 확장을 의미하며, 사회적 플랫폼으로 잉여 공간을 활용하는 활동 공간이다. 1인 집합건물의 커뮤니티 활동공간은 입주자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고, 사회적 문제를 소통으로 보다 나은 주거 환경과 건강한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면 효과적이다. As a result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economic environment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the aging of societ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rapidly increasing. This shift has led to a growth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isolation, which is expanding into a social problem, thus triggering the ne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solve this social issue. With the aim of strengthening social communication, which is being neglected with the rapid increas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building a healthy residential environment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 happy life,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activity spac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The target of the study is buildings occupied by single-person households. The term ‘community activity’ refers to all activities that involv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residents, and that must be changed and vitalized in accordance with its members’ needs. The three major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are openness, accessibility, and interaction of information. Types of community activities vary based on their purposes and usages of space, and can be categorized into the unity type, circulation type, and networking type. Unity and circulation types of community activities are activities held indoors, while the networking type of community activities utilizes outdoor environments. The unity type involves a single venue (space) where the participants gather to engage in the community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circulation type utilizes different venues instead of a fixed place for its activities. The networking type not only uses indoor areas but also maximizes the use of outdoor space. The community activities under the unity type involve an independent space that is managed by everyone, and each individual and participant share togeth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irculation-type activities highlight the individual’s own space and move around from one place to another while focusing on personal relationships. The networking-type community activities signify going beyond the spatial extent of the buildings and expanding to a local society. The space of the buildings occupied by the single person households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space to create a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healthy community through social communication by activating exchanges among residents.

      • KCI등재

        복합커뮤니티 공간 공공미디어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이보아,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인터넷의 확산과 디지털 미디어의 확대에 따라 사회 환경 속 미디어 사용은 다양화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의 관리가 필요한 환경에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할 커뮤니티 공간은 다양한 정보와 미디어의 증가로 인해 사회 계층간의 미디어 불평등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공적인 장소인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다양한 미디어의 활용과 올바른 정보의 제공은 모든 계층의 미디어에 대한 이해가 상승하고 궁극적으로 이용자 입장에서 선택이 가능한 미디어의 사용과 정보의 데이터를 생산, 유통, 소비하는 과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공공미디어에 대한 정의와 공공성의 의미를 시작으로 미디어의 요소와 특징을 분류하고 미디어가 적용되는 공간인 복합커뮤니티 공간에 사례를 분석한다. 미디어의 공공성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현재 제공되는 미디어의 다양한 종류를 바탕으로 복합커뮤니티 공간을 누구나 쉽게 접근하며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인 미디어테크, 인포메이션 커머스, 라키비움, 메이커스페이스의 4가지 형태의 공간 사례를 바탕으로 각각 성격에 따라 개념과 용도를 분류하고 또한 미디어의 특성요소를 도출한다. 이러한 분류는 향후 미디어의 유형 분석을 활용하여 유형별 서로 상호 보완적인 미디어의 적용과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결과) 공공미디어의 개념은 우리가 사는 사회 환경에서 사람과 사람, 사람과 공간,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중요한 요소로 공공미디어를 통한 정보와 데이터를 생산, 유통 소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는 공공성을 바탕으로 시민의 공공가치나 공익을 위한 방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으로 미디어의 활용성이 높은 도서관 성격의 미디어테크, 인포메이션 커머스, 라키비움, 메이커스페이스는 각각의 성격과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새로운 방식의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현재와 미래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에서 사용되는 미디어는 현재 상태를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은 이용자 입장에서 매우 중요하다. (결론)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용되는 공공미디어의 성격과 요소를 파악해 보았다. 복합커뮤니티 공간 내에 있는 많은 요소 중 미디어를 통한 시민의 편의와 주변 환경과 공공성을 통한 사회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복합커뮤니티 공간의 공공미디어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인 특성요소 도출의 기초 연구를 진행한다. 복합커뮤니티 공간인 미디어테크, 인포메이션 커머스, 라키비움, 메이커스페이스의 4가지 성격이 차이를 보이는 공간 사례를 공간의 개념과 용도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고 공공미디어 특성요소인 보편성과 평등성, 우수성, 다양성, 공유성, 혁신성의 요소를 도출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spread of the Internet and the expansion of digital media, the use of media in the social environment is diversifying. Community spaces that require smooth communication in an environment that requires management of time and space also cause problems of media inequality between social classes due to the increase in various information and media. In other words, the problem of media inequality between various classes can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and format of the media that provides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tilize various media and provide correct information in public complex community space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media in all classes and ultimately solve the problems of differential use of media and provision of correct information.(Method) Based on research on the publicity of the media and the various types of media currently available, we emphasize the need for media that allows anyone to easily access and use complex community spaces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the four types of space cases: Media Technology, Information Commerce, Rakibium, and Maker Space, which are the concepts and uses of ea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media are derived. This classification will utilize the analysis of media types in the future to present complementary media applications and alternatives for each type. (Results) The concept of public media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onnects people to people, people to space, and space to space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which we live. It plays a role in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information and data through public media. These media are creating a new paradigm for citizens' public values and public interest based on publicity. Media Technology, Information Commerce, Rakibium, and Maker Space, which have high media utilization as complex community spaces, present the present and future of new types of complex community spac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use. It is very important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o analyze and organize the current status of the media used in these spaces.(Conclusion) Among the various factors within the complex community space, we considered the convenience of citizens through media,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ways to maintain sociality through publicness. Through this study, we conduct basic research on deriving characteristic factors with the goal of increasing the usability of public media in complex community spaces. In the case of spac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omplex community spaces of Media Technology, Information Commerce, Lachivium, and Maker Spac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cept and use of the space are examined and universality factors are considered. We deriv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public media such as equality, excellence, diversity, sharing, and innovation.

      • KCI등재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 활용 방향에 관한 연구

        정수연,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도시화로 인한 개인주의화로 점차 공동체 의식이 감소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의 지속적 활용 및 지역 커뮤니티 증대를 위한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는 집합주거단지에서의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외부 공간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지역 관찰조사 및 주민 인터뷰를 통해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제공 방식이 아닌 주민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의 특성에 맞는 커뮤니티 공간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적 활용 및 활성화를 위해 주체, 목적, 방법론에서의 주민 중심적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방향성은 향후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의 지속적 활용 증대 및 지역 문화를 담는 주민중심형 커뮤니티 공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mmunity spirit in Korea has been decreased by individualism due to urbaniz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 for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for continuous use of the space and the expansion of local communities by focusing on the outdoor space of a residence complex. (Method)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in a residence complex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rough local survey and interviews based on status and problems of outdoor spaces in Korea. (Result) The direction for the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to be suggested based on the conclusion deducted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pace has to be formed depending on its residents’ demand and needs rather than is offered by the government. Second, the community spac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door space of Korean residence complexes should be formed. Third, for continuous use and 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space, the main subjects, goals and methods need to be changed into those centered on its residents. This direction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xpanded continuous use of the outdoor place of a residence complex and the formation of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reflecting the local cul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라결여,김경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시대로 인해 야기되는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사회경제적 현황 및 전통적 가족 개념이 반영된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가 현재 중국의 주류 양로(養老)방식으로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 공용 공간은 에이징 인 플레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현재 중국에서는 매우 미흡한 상태이며, 고령층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 또한 매우 부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처하고 기존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령자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중요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해 관련 변수의 개념을 정리하고 연구 모델을 수립하여 변수 간의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 도시 및 지역의 고령 인구수와 비율에 따라 상하이 도심 지역의 낙후된 커뮤니티에 거주하는 60세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진행한 설문조사는 SPSS 및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고 커뮤니티 공용 공간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를 도출하여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결과)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인 '접근성', '편의성', '안전성', '식별성', '쾌적성', '다양성'은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개방성'은 이용 만족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가 노인의 커뮤니티 공공 공간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일부 채택하였다. 또한 노인의 커뮤니티 공용 공간 이용 만족은 노인의 에이징 인 플레이스 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관련 가설을 채택하였다. 동시에 표준화된 경로계수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 순위는 안전성>편의성>접근성>다양성>쾌적성>식별성의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의 특성과 니즈를 파악하여 커뮤니티 공용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고령 친화 디자인 원칙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개선 시. 해당 고령 친화 디자인 요소 및 원칙을 합리적으로 활용하여 노화로 인한 각종 스트레스와 어려움에 직면한 고령층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안전하고 편리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을 제공하는 시도는 향후 에이징 인 플레이스를 보다 잘 지원하기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 고령 친화 디자인에 대하여 시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과 공간 디자인 특성 비교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서수미,이준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3

        일본의 복합화 시설들은 도시에서 급속한 정보화, 국제화, 저 출산 고령화 등의 사회‧경제 여건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인식하고 도시적 맥락과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것에 기본적인 의의가 있다. 한국 역시 공급자 위주의 공공시설 분산배치와 익명성이 강조되어 닫혀진 주거문화 등으로 인하여 갈수록 약해진 지역공동체 문화를 회복하자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커뮤니티지원센터의 특성과 비교를 통하여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복합화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는 사례 내용 중 시설명과 시설의 계획개념이 커뮤니티지원센터 혹은 복합화라고 칭하며 실제 완공되어진 커뮤니티지원센터들로 한정하며, 복합화라는 용어의 등장이 나타나기 시작한 2000년 이후에 완공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국내사례들은 현장답사를 병행한다. 국내사례는 월간현대건축(CONCEPT), 일본의 사례는 건축전문지인 신건축(新建築)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내용에 대한 방법적 절차로는 커뮤니티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커뮤니티의 개념과 복합화 현황을 파악한 다음 한국과 일본의 복합화 유형과 디자인 특성을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의 결과로는 현대의 커뮤니티의 특성은 부분적 커뮤니티, 결사체적 커뮤니티, 네트워크형 커뮤니티, 개방적 커뮤니티, 공적 커뮤니티로 나눌 수 있다. 이를 생활권 단위로 분류하여 도심의 공공행정 시설 중심인 주민자치센터의 복합화 유형을 분석하였다. 복합화의 유형에는 하나의 기능을 가진 단독형과 동일한 기능의 복합인 동종시설 중복형, 서로 다른 기능의 복합인 이종시설 복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디자인 특성으로는 지역 환경을 고려한 공간디자인 구성, 상호관계성, 자유로운 동선, 사용자 중심의 계획, 공간의 가변성, 색채의 활용으로 구분하였다. 비교연구를 통한 결과로는 한국의 커뮤니티지원센터는 시설간의 복합화 초기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일본은 서로 다른 커뮤니티지원센터간의 복합화를 통해 조금 더 다양한 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간의 디자인특성으로는 ‘상호관계성’과 ‘공간의 가변성’이 서로 연관되어 함께 나타났다. 한국과 일본의 사례 모두 사용자들의 커뮤니티활성화와 부족한 빛을 실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오픈 스페이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개방적인 공간을 지향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 커뮤니티지원센터의 더 나은 발전을 위한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Convergence in Japan's facilities has the fundamental meaning that the facilities are intended to deal with problems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rapid informatization, globalism, low birth rate, and ageing in cities and improve the urban context and national competitive power. Convergence in Korea's facilities also has the intent to recover the culture of a community which has weakened due to the dispersed arrangement of supplier-oriented public facilities, the individualized life style, and the closed housing culture where anonymity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ypes of convergence by speculating on the concept of moder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types of convergence in them through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unity support centers.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community support centers whose names and planning concepts were for community support or convergence and only those which were actually completed. Among the books on architecture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when the term 'convergence' appeared, this study focused on a monthly magazine called 'CONCEPT' in Korea and an architectural magazine from Japan called 'New Architecture.' I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current convergence types i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cases focusing on convergence types in Korean and Japanese center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ommunity were categorized into a partial community, bodies of associations, a network-type community, an open community, and a public community according to the living zones and convergence types of public centers as a center of public administration facilities was analysed. The convergence types include overlapping of the same kind of facility, a combination of the single function type with the combined same function type, and different facility convergence types where different functions are converg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here spatial composition is made considering the regional environment, interrelatedness, free movement, user-oriented plans, the variability of space, and the use of color. Through comparison, it was discovered that Korean centers showed the initial phenomenon of convergence while Japanese centers presented modern diverse spatial characteristics through convergence of different centers. In spatial characteristics, ‘interrelatedness’ was related with ‘variability of space’, and in both Korean and Japanese cases, users introduced the open space actively to create communication and flow in a light interior.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esent further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for national centers.

      • KCI등재

        학점제형 고등학교의 학습 커뮤니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 학교 공간 조성 사업 선정 거점형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박보윤,이태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학생 수요를 반영한 교육과정인 고교학점제는 일반계고 부분 도입을 거쳐 2025년부터 전체 고등학교에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학급 중심이 아닌 교과 중심의 운영을 위해 학급의 개념은 모호해지고 휴게 및 거점 공간인 학습 커뮤니티 공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교육부와 교육청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춰 크게‘학교 공간 조성 사업’과 ‘학교 공간혁신 사업’을 진행 중이다. 두 사업 모두 학점제형 공간 조성을 위한 재구조화를 목적으로 하지만, 사업 규모 및 예산 등의 차이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를 위해 공간 재구조화를 마친 학교 공간 조성 사업 해당 학교의 공간 사례를 분석하여 적절히 도입되었는지 파악하고자 시작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내 학교 공간 조성 사업 해당 학교 중 꿈 두레 공동 교육과정의 거점형에 해당하는 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문헌 연구와 현장답사로 이루어졌다. 첫째, 선행연구와 보고서를 통해 고교학점제의 개념과 요구되는 공간의 조성 원리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2019년도부터 2023년도까지 인천광역시 고교학점제 운용 현황과 학점 제형 공간 조성 사업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어서 학교 공간 조성 사업이 완료된 거점형 학교를 선정하여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유형과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학교 단위 사업의 계획안을 참고하여 영역 단위 사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결과) 학교 공간 조성 사업 대상 학교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학습 커뮤니티 공간은 첫째, 수용성은 대체로 양호하지만, 접근성은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파악되었다. 둘째, 부분적인 리모델링이 진행되어 대부분이 소규모의 학습 커뮤니티 공간이었다. 셋째, 학습 커뮤니티 공간이 개실형 또는 홀형과 연결형으로 계획되었는데, 유형이 적절히 조절된 학교는 학생들의 공간 활용도가 좋았으나, 연결형만으로 조성된 경우에는 영역성이 부족하여 공간의 기능이 유기적이지 못했다. 넷째, 학습 커뮤니티 공간의 세부 계획을 통해 효율성, 유연성, 연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구의 종류와 배치 형태, 바닥재 등의 마감 재료 선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 (결론)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앞두고 학점제형 학교 공간 조성을 위한 고등학교의 리모델링 및 증개축을 위해 다음과 같은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거점형 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학습 커뮤니티 공간은 학생들의 원활한 소통과 교류 활동을 위해 대규모의 중앙집중형으로 조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접근성과 공간의 활용도를 고려하여, 특정 유형으로만 구성하지 않고 개실형 또는 홀형과 연결형을 적절히 조절하여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유기적인 공간을 위해 다양한 가구를 사용하여 이용자들이 공간을 연계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소통 및 교류 공간을 조성하는 데 효과적인 학교 단위 사업인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과 달리, 영역 단위 사업인 학교 공간 조성 사업은 고교학점제에서 추구하는 유기적이고 입체적인 공간계획을 위해 보다 확장된 범위 내에서 공간 재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