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어 어말 자음의 통시적 변화

        이병훈(Lee, Byeong H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5 일본문화연구 Vol.0 No.56

        일본어 어말 자음의 통시적 변화를 최적성이론의 틀 속에서 설명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상대일본어에서는 음절말 자음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추정되고 있다. 최적성이론의 틀속에서 논하자면 이는 유표성제약 NoCoda가 충실성제약인 Max-IO나 Dep-IO보다 상위에 위치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다. 이후 NoCoda 제약의 강등에 의해 일본어에도 음절말 자음이 발생했고, 중세일본어에서는 어말 자음으로 [t]와 [n]이 존재했다. 이에 반해 현대일본어에는 어말 자음으로 [N]만이 존재하는데, 본고에서는 제약순위 변경(constraint re-ranking)으로 이러한 통시적 변화를 설명한다. 중세일본어에서는 Dep-IO 제약이 [NoCoda & *Cor]seg 제약보다 상위에 위치해 설정음인 [t]와 [n]이 어말 자음으로 존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대일본어에서는 [NoCoda & *Cor]seg 제약이 Dep-IO 제약보다 상위에 위치해 설정음인 [t]나 [n]은 더 이상 어말에 올 수 없게 되었다. 이에 따라 현대일본어에서는 조음위치가 없는 비음 [N]만을 어말 자음으로 허용하게 된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achronic changes in word-final consonants in Japanese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In Old Japanese,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re was no coda consonant. It is caused by a markedness constraint called NoCoda. In Old Japanese, NoCoda was more highly ranked than the faithfulness constraints Max-IO and Dep-IO, so consonants could not stand in the coda position. However, due to the demotion of NoCoda, Japanese began to allow coda consonants. There were two word-final consonants [t] and [n] in Late Middle Japanese, while there is only one word-final consonant [N] in Modern Japanese. I account for this diachronic change with constraint re-ranking. In Late Middle Japanese, Dep-IO was ranked higher than [NoCoda & *Cor]seg, so coronal consonants [t] and [n] were allowed as word-final consonants. However, because [NoCoda & *Cor]seg are ranked higher than Dep-IO in Modern Japanese, coronal consonants [t] and [n] are no longer allowed in word-final positions. Therefore, Modern Japanese allows only a placeless nasal [N] as a word-final coda.

      • KCI등재

        최적성이론에 의한 도호쿠 남부방언 유성음화와 무성음화의 분석

        이병훈(Lee, Byeong-Hoo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7 일본문화연구 Vol.0 No.63

        일본어의 도호쿠방언에서는 무성폐쇄음이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한다. 그러나 같은 환경에서 무성마찰음은 유성음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대칭성은 음절초 자음의 유표성 위계에 기인한다. 음절초 자음으로서 유성마찰음은 유성폐쇄음보다 유표적이다. 때문에 무성마찰음은 무성폐쇄음과 달리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하지 않는 것이다. 이 방언에서, 2개의 무성자음 사이에 낀 고모음은 후속 음절의 모음이 비고모음일 때 무성음화한다. 그러나 후속 음절의 모음이 고모음일 때는 무성음화하지 않는다. 대신 이러한 환경에서는 모음 간 무성폐쇄음이 유성음화한다. 본 연구는 도호쿠 남부방언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유성음화와 무성음화에 대한 통일적인 설명을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의 틀 속에서 제시한다. In the Tohoku dialect of Japanese, voiceless stops are voiced in an intervocalic position. However voiceless fricatives are not voiced in the same position. This asymmetry is caused by the onset markedness hierarchy. Voiced fricatives are more marked as onsets than voiced stops. Therefore, voiceless fricatives are not voiced in the intervocalic position, unlike the voiceless stops. In this particular dialect, high vowels between two voiceless consonants are devoiced when a non-high vowel follows in the next syllable. However, they are not devoiced when a high vowel follows. Instead, the intervocalic voiceless stops are actually voiced in this environment. This study offers a unified explanation of these voicing and devoicing patterns in the southern Tohoku dialect within the framework of Optimality Theory (Prince & Smolensky 1993).

      • KCI등재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RDO내 DCT 공유구조의 HEVC 화면내 예측부호화기

        이석호,장준영,변경진,엄낙웅,Lee, Sukho,Jang, Juneyoung,Byun, Kyungjun,Eum, Nakwoong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4 스마트미디어저널 Vol.3 No.4

        HEVC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은 ITU-TSG16 WP와 ISO/IEC JTC1/SC29, WG 11 두 단체 공동으로 2013년 표준화가 완료되었으며 기존 H.264 하이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압축효율은 두배 정도이다. HEVC에서 화면내 예측 (intra prediction) 모드는 planar와 DC 모드를 포함한 35개의 방향성 모드가 있으나 모든 모드를 적용한 부호화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복잡도가 증가하며 각 코딩유닛(coding unit) 사이즈에 따라 정확한 모드예측을 위한 RDO (rate distortion optimization) 계산에 필요한 DCT 사이즈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양자화를 위한 DCT와 SSE 계산을 위한 RDO 블럭내 DCT를 공유하는 화면내 예측부호기를 제안한다. 성능은 HEVC 참조소프트웨어인 HM-13.0과 비교하여 BD-rate는 평균 20% 증가하며 부호화시간은 4배 이상 단축되어 300MHz에서 FHD ($1920{\times}1080p$) 영상의 초당 60 프레임 실시간 부호화가 가능하다. HEVC is the latest joint video coding standard with ITU-T SG16 WP and ISO/IEC JTC1/SC29/WG11. Its coding efficiency is about two times compared to H.264 high profile. Intra prediction has 35 directional modes including dc and planer. However an accurate mode decision on lots of modes with SSE is too costly to implement it with hardware. The key idea of this paper is a DCT shared architectur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HEVC intra encoder. It is to use same DCT block to quantize as well as to calculate SSE in RDO. The proposed intra encoder uses two step mode decision to lighten complexity with simplified RDO blocks and shares the transform resources. Its BD-rate increase is negligible at 20% on hardware aspect and the operating clock frequency is 300MHz@60fps on FHD ($1920{\times}1080$) image.

      •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국소제연 시스템 연구

        한상준,안승주,박상헌,신현준,유용호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최근 도심지와 산간지역에 설치되는 도로터널의 경우 터널개소의 증가와 장대화로 화재 사고가 점차 증가되고 있어 터널의 방재시설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터널화재 발생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연기질식사 방지를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발생시 연기확산을 차단하여 질식사 최소화 및 대피시간을 확보 할 수 있는 에어커튼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에어커튼 시스템은 방재설계 사례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CFD)을 통한 최적화 방안(분사각도, 분사량 등)을 도출하였으며, 실내 Lab Test 및 실제 도로터널서 화재실험을 실시한 결과 차연성능을 발휘하였다. 이론적/실험적 검증을 통한 에어커튼 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도로터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운 방재시설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 단순 다각형 내부의 두 가시성 다각형에 대한 집합 연산을 수행하는 최적 알고리즘

        김수환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1 No.1

        The visibility polygon of a simple polygon P is the set of points which are visible from a visibility source in P such as a point or an edge. Since a visibility polygon is the set of points, the set operations such as intersection, union, or difference can be executed on them. The intersection (resp. union) of two visibility polygons is the set of points which are visible from both (resp. either) of the corresponding two visibility sources. The difference of two visibility polygons is the set of points which are visible from only a visibility source. Previously, the best known algorithm for the set operations of two polygons with total n vertices takes O(nlogn + k) time, where k is the output size. In this paper, we present O(n) time algorithms for computing the intersection, the union, and the difference of given two visibility polygons, which are optimal. 단순 다각형 P의 가시성 다각형을 점이나 에지와 같은 P에서의 가시원으로부터 가시적인 점들의 집합을 말한다. 가시성 다각형은 점들의 ,집합이므로 가시성 다각형들에 대해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등과 같은 집합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두 가시성 다각형의 교집합은 해당되는 두 가시원으로부터 동시에 보이는 점들의 집합이고, 합집합은 하나 이상의 가시원으로부터 보이는 점들의 집합이다. 두 가시성 다각형의 차집합은 하나의 가시원으로부터만 보이는 점들의 집합이다. 모두 n개의 정점을 가진 두 개의 일반적인 다각형에 대해 집합 연산을 수행하는 기존의 알고리즘으로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은 O(nlogn + k) 시간이 소요된다, k는 집합 연산의 출력의 크기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가시성 다각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O(n) 시간에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을 구하는 최적인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 KCI등재

        원칙이론의 기본권이해와 헌법국가

        유승익 ( Seung Ik Yoo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고려법학 Vol.0 No.70

        This article tries to analyse the premises of Principle Theory and those effects on theories of constitutional law. Principle Theory presents fundamental rights as principles, and principles as optimization commands. The range of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is, therefore, determined by a balancing which means the optimization commands. The concept of optimization commands is reinterpreted as the Weight Formula. This formula provides the mechanism for the solution of constitutional problems. There are three methodical requirements in Principle Theory. First, the scales the theory has set forth cannot be handled in constitutional law, for those are too demanding. Second, the theory can create the commensurability of constitutional values that can be scales as cardinal. Third, the theory is likely to eliminate legislative power. It can be said that principle theory does not endorse the Rahmenordnung-model, but the Grundordnung-model. Since Principle Theory is founded on the conception of optimization, this approach has various effects on theories of constitutional law. The theory conforms with the constitutional state in which the constitutional court achieves a dominant position. Functions of lawmaking and jurisdiction are likely to converge. The idea of Principle Theory is based on the idea of substantial constitutional state that requires the sovereign posi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