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칸트와 최고선의 문제

        손홍국 ( Son Honggook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칸트에게 최고선은 의지의 규정근거가 아니다. 이러한 관점은 칸트 최고선 개념의 고유성을 형성한다. 칸트 이전의 철학은 최고선 개념을 의지의 규정근거로서 이해했기 때문이다. 규정근거는 반대를 배제하는 근거이고, 의지적 활동과 관련하여 의지를 제약하고 강제하는 당위로서 작용한다. 칸트는 이제, 그 이전의 철학적 이해방식과 다르게, 최고선의 개념을 더 이상 의지를 제약하고 정립하는 기준으로 파악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칸트는 왜 이러한 변화를 시도했는가? 그는 왜 더 이상 최고선을 의지의 규정근거로서 이해하지 않고, 오직 의지의 전체 대상으로서만 이해한 것인가? 칸트는 이 물음과 관련하여 고대철학의 두 학파의 견해를 참고한다. 에피쿠로 스주의에게 최고선은 즐거움이고 행복이다. 그리고 덕은 행복의 수단으로서, 행복에 포함된다. 반대로, 스토아주의에게 최고선은 오직 덕이며, 행복은 덕의 귀결로서, 덕에 포함된다. 에피쿠로스주의는 우리가 즐거움과 행복에 근거하여 살아야한다고 생각한 반면에, 스토아주의는 행복이 완전히 포함된 덕에 오직 근거해야만 한다고 이해한다. 그런데 그들은 모두 이렇게 상반된 주장을 제시했지만, 덕과 행복의 완전한 일치라는 최고선의 상태를 인간이 도달할 수 있고, 도달해야만 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강도는 서로 다르지만, 그들은 왜 최고선이 의지의 규정근거여야만 한다고 이해했는가? 그것은 인간 본성에 대한 그들의 이해 방식에 기인한다. 그들에게 인간은 본성적으로 덕과 행복의 완전한 결합을 성취할 수 있는 존재로서 이해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가능한 일인가? 칸트의 전비판기 최고선 개념은 기존의 이러한 인간 본성의 이해에 관한 회의의 시작이다. 그는 신의 인식과 인간의 지성적 법칙 사이에서, 최고선 개념을 의지의 규정근거로서 받아들여야 할 것인지에 대해 묻는다. 그리고 이러한 물음의 결론은 『실천이성비판』에서 제시된다. 인간의 본성적 인식 경험은 신을 알 수 없다. 따라서 인간의 의지를 규정할 수 있는 근거는 신학적 입장이 아니라 오직 도덕법칙이다. 칸트에게 덕과 행복의 완전한 일치로서 최고선 개념은 더 이상 의지의 규정근거가 아니고, 의지의 전체 대상으로서만 작용한다. 인간의 의지를 규정하는 근거는 최상선 즉 도덕법칙이며, 이제 덕과 행복의 완전한 근원적 일치는 오직 예지계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요청된다. 그렇다면 그는 왜 이러한 변화된 입장을 정립하는가? 최고의 근원적 선은 왜 의지의 규정근거가 될 수 없는가? 우선, 그것은 인간의 본성적 경험 구조에 맞지 않다. 인간 인식의 경험 구조는 감성과 지성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것은 우리에게 신의 인식 가능성을 말해주지 않는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칸트 이전의 철학에서의 최고선 개념처럼, 인간이 자신의 본성적 한계를 초월한다면, 무엇보다도 우리는 불가피하게 타율에 빠지거나, 자만과 독단에 빠진다. 한편으로, 에피쿠로스주의는 가장 근본적인 근거의 자리에 행복을 놓고, 그것을 최고선과 일치시키면서, 행복을 향한 가언적 명령을 의지의 규정근거로 받아들이는 내적 타율의 위험에 빠진다. 다른 한편으로, 스토아주의는 인간의 도덕적 완전성을 영웅적이면서도 신적인 것으로 이해하면서, 자의적 기준을 객관적인 것으로 참칭하는 자만에 빠진다. 이러한 자만은 자신의 자의적 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의지의 활동을 배제하고 강제하는 당위로 작용하여, 독단과 당파적 독점권을 쌓아 올린다. 이러한 도덕적 완전성은 도덕적 광신으로서, 오히려 도덕성을 파괴하는 결말을 초래한다. 칸트는 이렇게 최고선 개념을 인간의 의지의 규정근거로서 이해하지 않음으로써, 도덕성의 훼손을 방지하는 도덕형이상학을 정립한 것이다. For Kant, The highest good concept is not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pure will. This point makes the property of Kant’s highest good concept. For The philosophy prior to Kant understood the highest good concept as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Determining ground is ground that excludes the opposite, and means the ought that constrains the will in reference to the activity of it. Now Kant, unlike previous philosophical understanding method, does not regard the highest good concept as the criteria which constrains the will. Then, why does he try this change? Why dose he understand the highest good not as the determining of the will, but only as the whole object of the will? In reference to this question, Kant refers to the two opinion of the ancient Greek philosophy. For the Epicurean, the highest good is happiness, and the Virtue is contained in happiness, as means for it. On the contrary to this, according to the Stoic, the highest good is only the virtue, and happiness is contained in virtue, as the result of it. The Epicurean thinks that our lives have to has the happiness as the ground, while the Stoic thinks that we have to has the virtue containing the happiness as the ground of life. They suggest so different opinion, but there are a common point. It is that they all think that human can and must approach the highest good namely,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Although their method is different, why did they think that the highest good is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It i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method of human nature. For according to their theory, human is understood as a being who can attain naturally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But is it possible? Prior to critical philosophy, Kant’s highest good concept is skeptical of the this understanding on human nature. He questions whether the highest good concept can be accepted as the determining of the will, between the knowledge of God and human practical law. And the result about this question is suggested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God is not knew to human knowledge experience. So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human will is only moral law, not theological standpoint. In other words, the highest good concept as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is not any more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is established only as the whole object of the will.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is the supreme good, namely moral law, therefore, the perfect coincidence of two conditions is possible only in the intelligible world. Then, Why does Kant establish this change? Why does he think that the highest good can not be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Above all, it is not suitable for human natural experience system. The experience structure of human knowledge is based on sensibility and understanding, by the way, the two ability does not say the possibility on the knowledge of God. However, if, as the philosophy prior to Kant do so, human transcends his own limit, so we unavoidably are mired in heteronomy and self-conceit. On the one hand, Epicurean is mired in danger of heteronomy, in putting happiness on the ground, On the other hand, the Stoic is mired in the self-conceit that regard an arbitrary criterion as something objective, in understanding human moral perfection as heroism and something divine. This self-conceit excludes an activity of the will that is not included in his own arbitrary criterion, and it builds partisanship. This moral perfection results rather a destruction of morality, as moral enthusiasm. So, kant understands that the highest good is not the determining ground of the will, and through this standpoint, he establishes the metaphysics of morals which prevents a damage of morality.

      • KCI등재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

        손홍국 ( Son Hong Gook ) 한국칸트학회 2021 칸트연구 Vol.47 No.-

        최고선의 개념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덕과 행복의 완전한 결합으로 정의된다. 그런데 칸트는 이러한 완전한 결합이 과연 의무로서 우리에게 명령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칸트는 최고선의 촉진과 추구를 말한다. 본 논문은 칸트 최고선 개념의 이와 같은 두 가지 관점을, 그를 둘러싼 문맥과 함께 분명히 한다, 칸트는 에피쿠로스주의와 스토아주의의 최고선 개념을 비판한다. 두 학파는 최고선이 감성계에서 실현 가능한 것으로서, 의무로 여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의 내적 문맥은 최고선의 현실성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하지만 동시에, 최고선개념의 조건인 최상선 즉 덕은 최고선의 가능한 실현 또한 명령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최고선 개념은 두 개의 최고선 개념으로 구별되어 정립된다. 하나는 최고의 파생된 선이고, 다른 하나는 최고의 근원적 선이다. 전자는 감성계에서 가능한 최고선을 의미하고, 후자는 감성계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요청으로서의 최고선을 의미한다. 칸트의 이러한 구별은 중요하다.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는 이러한 구별을 통해서 적절하게 설명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칸트 최고선 이론에서 의지의 규정근거 문제에 관해, 본 논문은 이러한 구별과 그것을 둘러싼 문맥에 주목함으로써, 칸트의 최고선 개념은 최고의 파생된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최고의 근원적 선의 입장에서 보면 의무로서 이해될 수 없다는 점을 구체화한다. The highest good concept is defined as the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But Kant throw a doubt on such coincidence. Conversely, he states that “we ought to strive to promote the highest good”. This study treats these two points in his context. He criticizes the highest good concepts of the Epicurean and the Stoic. The two opinions understand the highest good concept as duty that can be attained in this world. Accordingly, Kant limits the idea in reference to perfect coincidence of virtue and happiness. However, because again, the practical idea postulates the possibility of such coincidence, here, Kant’s highest good concept is distinguished. The first is the highest derived good, and the other is the highest original good. The former is possible only in this world, and the latter is only possible only in the intelligible world. This important distinction by Kant provides a proper explanation of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ground of pure will. Namely, the highest good concept must be understood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derived good, but not as du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highest original good.

      • KCI등재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

        최소인(Choi, So-In),정제기(Jung, Je-Ki)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본 논문은 칸트 도덕철학에서 최고선이 어떻게 실천적으로 가능한가에 대해 추적한다.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는 인간 이성의 관심이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의 세 물음으로 통합된다고 설명한다. 그 중 최고선은 둘째 물음과 셋째 물음에 관련되어 있다. 왜냐하면 최고선은 행복해도 좋을 자격인 도덕성(덕)과, 그에 상응하는 행복의 필연적인 결합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칸트에 따르면 감성계에서는 도덕성과 행복이 이처럼 결합될 수 없다. 자연 법칙의 지배를 받는 감성계에서 도덕성에 비례하는 행복은 필연적으로 보장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최고선은 어떻게 실천적으로 가능한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칸트는 『실천이성비판』에서 영혼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한다. 그러나 칸트는 이미 『순수이성비판』에서 신, 영혼불멸, 자유 개념이 선험적 가상이자 이념이기 때문에 인간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 있음을 확증했다. 그렇다면 칸트는 이미 이론 이성의 차원에서는 증명 불가능한 것으로 증명한 신의 현존을 실천 이성과 관련해서 어떻게 요청하는가? 그리고 이러한 요청을 통해 그는 어떻게 최고선의 가능성을 실천적으로 확보하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순수이성비판』에서 최고선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살펴본다(2장).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실천이성비판』에서 최고선의 실천적 가능성의 문제로 넘어간다. 실천이성은 최고선이라는 무제약자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이율배반에 빠질 수밖에 없다(3장). 이러한 이율배반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영혼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해야만 한다(4장). 이러한 요청 개념을 통해 인간은 도덕성의 완성에 이르기 위해 불가피하게 종교로 이행하게 되며, 도덕적 신앙을 가진 인간은 결코 행복이 보장되지 않는 감성계에서도 도덕적으로 행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researches how the highest Good can be practically possible in Kant’s Moral Philosophy. Kant explains that, as revealed in 『Critique of Pure Reason』, all interests of human reason are integrated into three questions: “What can I know?”, “What should I do?”, “What may I hope?” The highest Good is related to the second and the third question. Because the highest Good is necessary combination of morality, as right to be happy, and happiness which corresponds to morality. But, according to Kant, this combination of morality and happiness is impossible in the world of sense. Because the world of sense follows the law of nature, so happiness which is proportional to morality can‘t be necessarily guaranteed. How can the highest Good then be practically 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Kant postulate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existence of God. But Kant, in 『Critique of Pure Reason』, already proved that conceptions of Existence of God, Immortality of the Soul and Freedom exceed the limit of human knowledge, because this conceptions are noting but transcendental ideas. Then, how can existence of God be postulated? How can this postulate make the highest Good be possible? To answer this problem, this paper will analyse how the highest Good is possible in 『Critique of Pure Reason』(Chapter 2), and, in addition, how the highest Good can be practically possible in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When practical reason pursues the unconditioned as highest Good, it falls necessarily into the Antinomy(Chapter 3). To solve this antinomy,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existence of God should be postulated(Chapter 4). Through concept of postulate, we must move inevitably to realm of religion in order to attain the completion of morality. Therefore a man who has a moral faith can decide to act morally in the world of sense, where happiness which corresponds to morality can never be guaranteed.

      • KCI등재후보

        칸트 최고선의 도덕적 해석과 비판

        안현석 ( Ahn Hyun-seo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감성연구 Vol.0 No.13

        이 논문의 목적은 최고선을 칸트 윤리학과의 연관성 속에서 해석하는 주요 주장을 검토함으로써, 최고선의 도덕적 도출과 적용이 어렵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칸트에 따르면 최고선의 두 요소인 덕과 행복은 서로 전혀 다른 성격의 것이기 때문에 이 둘을 조화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칸트는 신을 요청하는 한편 행복의 다의적 전개를 수행함으로써 도덕세계와 감성세계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실버는 칸트와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최고선의 도출을 이끌어 내는데, 사변적 표상들과 실천적 표상들 간의 상보적인 연관성 속에서 자연세계와 도덕세계의 합일을 이끌어낸다. 그리고 이러한 기반 위에서 실버는 최고선을 다시 도덕성의 직접적인 실현의 도구로 사용하려고 시도하는데, 벡은 칸트의 기본적인 도덕 원리에 비추어 그러한 시도가 불가능함을 주장한다. 칸트 스스로가 강조하듯이 도덕 법칙만이 행위의 도덕성을 근거 짓는 원리이며, 질료적 요소가 배제되어 있는 선험적 형식으로서 의지를 근원적으로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버 이후 최고선을 세속적인 문제로 해석하려는 사람들은 형이상학적인 부분을 제외함으로써 최고선의 도덕적 도출과 적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최고선과 도덕법칙의 동일성에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그러한 시도들 역시 최고선의 의도와 특성을 왜곡하거나 칸트 윤리학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방식으로 전개되는 구조적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고, 필자는 최고선을 도덕 외적인 것으로 간주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how that the desire for the Highest Good is not to be justified in terms of morality, and interpret it from the extra-moral point of view. To do this, I examined the functions and the status of the Highest Good in Kant`s philosophy, and compared th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it. One is to emphasize the moral significance of the notion, and the other is to regard it as an extra-moral element. Based on Kant`s ethics and Beck`s opinion, I can say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Highest Good is not to serve as the final ground for the moral will. Only the moral law is the principle to determine the morality of conducts, and the Highest Good rather destroys the autonomy of the morals. Second, the key role of the Highest Good in Kant`s practical philosophy is to serve the fulfillment of virtue and happiness. The Highest Good in Kant’s practical philosophy is meant to reconcile virtue and happiness without damaging morality, and thus, satisfy the ends of practical reason as a whole that aims at happiness in physical condition with moral nature. Third, the Highest Good is just a teleological ideal. As the Highest Good follows a rational nature that demands the synthesis of ends into a system, it does not mean to bear moral implications. Therefore,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Highest Good can play directly moral roles.

      • KCI우수등재

        儒家에 있어서 最高善의 문제

        이상익(Sang-Ik Lee) 한국철학회 2002 哲學 Vol.73 No.-

        유가는 본래 인격적 주재자(上帝ㆍ天)에 대한 믿음을 전제로 최고선이 반드시 실현된다고 인식해 왔었다. 그러나 周代 중기 이후로 현실의 不條理로 인해 상제에 대한 믿음은 붕괴되기 시작하였다. 朱子는 상제를 ‘理’로 해석하여 인격적 주재자의 관념을 완전히 탈피하였고, 최고선을 역시 인간이 달성해야 하는 과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경향이 이후 유학사의 主流를 형성하였다. 上帝를 전제하면 복선화음의 필연적 실현을 보장할 수 있으나 현실에서의 악의 횡행을 설명하기 어려우며, 현실에서의 악의 횡행을 이유로 上帝의 존재를 부정하면 복선화음의 필연적 실현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윤리학의 큰 딜레마이다. 또한 최고선을 보장하지 않으면 도덕적 행위의 동기화가 어렵고, 보장하면 보상을 바라는 것이 되어 도덕적 행위의 순수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것도 역시 윤리학의 큰 딜레마이다. 주자학은 上帝의 존재를 부정하고, 최고선을 둘러싼 두 딜레마를 ‘언젠가는 이루어짐’ㆍ‘저절로 실현됨’이라는 맥락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법은 또한 유교의 신앙적 위상을 현저하게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 KCI우수등재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에서 최고선 구상의 사회정의론적 통찰과 그 한계

        이행남(Haeng-Nam Lee)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6

        칸트가 최고선을 정의하기 위해 활용하는 최상선과 완전선은 공히 덕과 행복을 인과적 관계로 잇는 개념들이다. 전자는 ‘덕을 갖추었다면, 반드시 행복할 자격이 있다’고 말하는 개념이라면, 후자는 더 나아가 ‘덕스러운 자의 행복할 자격이 세계 안에서 정말로 실현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는 개념이다. 이를 통해 칸트의 최고선은 궁극적으로 ‘최상선의 실현으로서의 완전선’으로 정의된다. 이렇게 정의된 최고선 개념 안에는 덕스러운 자들이 곤궁하고 비참한 사회는 ‘불의’한 세계이며, ‘행복할 자격’이 있는 자들에게 정말로 ‘행복한 삶의 현존’을 보장해주는 사회가 정의로운 세계라는 것, 그리고 이런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하는 것이 윤리적 존재로서의 우리의 책무라는 수수하지만 강력한 통찰이 담겨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칸트는 이런 통찰을 본격적으로 전개하는 쪽으로 나아가지 않고, 최고선의 가능성을 보증하기 위해 영혼의 불멸과 신의 현존을 요청하는데 그친다. 이런 도덕-신학적 해법은 지극히 불충분하다. 칸트의 말대로 덕과 행복이 이질적 성분들이며 이 양자의 인과적 종합을 요하는 ‘실천적’ 이념이 최고선이라면, 이 이념은 이 세계 안의 유한한 존재인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물질적, 경험적 조건들을 고려하고 개선할 때에만 실현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칸트의 ‘순수’ 이성의 실천 철학이 포괄하기를 거부하는 것이 바로 이 조건들이다. The supreme good and the complete good, with which Kant defines the highest good, are both concepts that link virtue and happiness in a causal relation. If the former says that virtue is the supreme condition for having the worthiness to be happy, the latter requires that such worthiness of the virtuous person to be happy must really be realized in the world. In this way Kant defines the highest good as the complete good which ultimately means the realization of the supreme good. Accordingly, a society in which virtuous persons live poor and miserable life should be called ‘unjust’, while only the society that guarantees really happy life to those entitled to happiness must be categorized as the ‘just’ world. Therefore, Kant’s concept of the highest good seems to contain a modest but strong insight, insofar as it demands of us responsibility as ethical beings to realize a just society. However, Kant does not develop such productive insights further, but only introduces the transcendental postulates such a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existence of God in order to guarantee the possibility of the highest good. But this moral-theological solution is extremely inadequate. For if virtue and happiness are two heterogeneous components, as Kant himself said, and if the highest good refers the causal synthesis of these two components, the possibility and the realization of the highest good requires the consid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material and empirical conditions that determine our finite lives in this world. However, it is precisely these conditions that Kant’s practical philosophy of “pure” practical reason cannot embrace.

      • KCI등재

        데카르트 윤리학과 덕(vertu)

        이재환 철학연구회 2017 哲學硏究 Vol.0 No.118

        이 논문의 목적은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덕 개념을 해명하는 것이다.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최고선은 덕이기 때문에 이 덕 개념을 해명하면 데카르트윤리학의 다른 핵심 개념들이 더 분명하게 드러난다. 데카르트에게 행복은 ‘정신의 완전한 만족과 내적인 충족’이고, 이러한 만족과 충족은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노력으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데카르트 윤리학은 행복을 최고선으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과 달리 행복은 최고선이 아니라 최고선을 전제한다. 또 데카르트에 따르면, ‘최고선=덕=이성이 최선이라고 판단한 것을 수행하려는 확고하고 지속적인 의지(결의)’이다. 이러한 데카르트의 덕 개념은 데카르트 철학 내에서 매우 독특한데, 왜냐하면 데카르트는그저 최선이라고 판단되는 것을 수행하라고 말하기 때문이다. 즉 데카르트는 이론적 영역에서의 ‘형이상학적 확실성’과 실천적 영역에서 ‘도덕적 확실성’을 구분한다. 또 데카르트는 덕이 습관이라는 사실, 습관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신적 성향’임을 강조한다. 데카르트의 덕 개념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특징은,데카르트에게는 복수의 덕이 아니라 하나의 덕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개념과도 다르고, 행복이 최고선은 아니지만 최고선인 덕이 행복의충분조건이라는 점에서 스토아 철학의 덕 개념과도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What is important in ethics is how to define what the supreme goodis,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and ends and meansof our actions hinges on this definition. Descartes argues that thesupreme good is (the practice of) virtue. According to Descartes, virtueis “undoubtedly the thing we ought to set ourselves as the goal of allour actions.” This claim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virtue lies in thecore of Descartes’ ethics. For Descartes, happiness is “perfectcontentment of mind and inner satisfaction.” Descartes maintains thatthe practice of virtue itself is sufficient to make our lives happyregardless of the outcome of our actions. What then is virtue for Descartes? He claims that virtue is “a firmand constant will to bring about everything we judge to be the best.”This Cartesian concept of virtue is very unique within Descartes’philosophy. Given the Cartesian concept of virtue, the relationshipbetween the role of judgment (or intellect) and will in the Cartesianphilosophy will be elucidated by explicating the concept of virtue. Inaddition, in Descartes’s ethics, there is a virtue, not plural virtues, soit is different from Aristotle’s concept of virtue. Descartes concept ofvirtue – virtue is the supreme good and the sufficient condition ofhappiness - is not only different from Aristotelian concept of virtue -happiness is the supreme good - but also different from the Stoicconcept of virtue, according to which happiness has nothing to do withhappiness.

      • KCI등재

        연구논문 : 『최고선과 최고악』에 나타난 스토아학파의 윤리학교 구아가데미학파의 윤리학

        김용민 ( Yong Min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0 韓國 政治 硏究 Vol.19 No.3

        논리학-물리학-윤리학으로 구성되는 헬레니즘 철학체계에서 윤리학은 정점 위치 한다. 키케로는 이런 철학체계에 따라 자신의 작품세계를 구상했는데. 윤리학에 관한 작품이 『최고선과 최고악』이다. 그는 이 작품을 어느 작품보다 중요한 것으로 여겼다. 왜냐하면 인간의 행복에 직결되는 최고선이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여기에서 피쿠로스학파, 스토아학파. 구아카데미학파의 윤리학을 소개하고 비판하고 있는데, 그의 주된 관심은 스토아학파의 윤리학과 구아카데미학파의 윤리학의 경합관계에 놓여 있다. 본 논문은 두 학파의 윤리학의 특징을 철학체계. 카르네아데스의 윤리학설 분류법, 민간본성과 도덕발전, 최고선과 행복의 네 가지 주요한 관점에서 비교 ·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키케로는 단지 윤리학에 대한 검토만 제시할 뿐. 어떤 특정한 최고선을 선택할 것을 독자에게 요구하지 않는다. 최고선을 선택하는 것은 행복하길 바라는 우리의 몫이다. In the Hellenistic philosophical system composed of logic-physics-ethics, ethics locates at the top. Cicero wrote lots of philosophical works in keeping with the Hellenistic philosophical system, of which On Moral Ends is on ethics. He said that no one will judge that any is more worth reading than this work. This work has a significant importance because in it the chief good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human happiness is carefully examined. In it, Cicero introduces and criticizes each ethics of Epicureanism, Stoicism, and Old Academy. His main interest lies in the compet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toic ethics and the Old Academy`s ethics.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comparatively the main traits of two ethical theories from the four points of (I) Hellenistic philosophical system, (2)Carnedes` classification of ethics, (3) human nature and moral development, and (4) the chief good and happiness. In On Moral Ends, what Cicero had done is only to provide the readers with knowledge of the chief good, not to requiring them to adopt a specific chief good. It is our responsibility to choose the chief good for our happiness.

      • 무엇이 가장 좋은 것인가?

        박찬영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1

        우리가 최고선을 가치의 위계 질서에 있어서의 최상선 혹은 주도적 목적으로 파악한다 면,우리는 서양의 가치론에서 쾌락,인식,도덕성(정의 및 사랑) 등이 각각 최상선의 후보 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유용 가치 - (감성적) 쾌락 가치 - 생명 가치 - 정신 가치 (미적 가치,도덕적/윤리적 가치, 인식 가치) - 종교적 가치[聖]의 순서로 나타나는 쉘러 식의 가치의 위계 질서의 아프리오리한 구조에서도 우리는 최상선을 찾아 볼 수 있다. 종 교적 가치인 거룩함의 가치 존재를 인정하는 사람들은 이 성(聖)의 가치가 최상의 가치라 고 생각한다. 이 종교적 가치는 신(神)의 존재를 인정하는 입장 흑은 선에 대한 형이상학 적 입장에 관계하므로 실천적인 최고선을 문제삼는 우리의 논의에서 방법적으로 배제되었 다. 유미(唯美)주의자는 미(美)를 최고의 가치로 추구하며 인생을 오직 미적 측면에서만 고찰하는데,우리는 이러한 미적 가치를 그 가치 실현의 당위성과 긴박함에 있어 다른 정신적인 가치들보다 뒤처지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논의하지 않았다. 정신적인 가치가 생명 가치를 포함하는 감각적인 가치보다 상위의 가치임은 대다수가 인정한다. 또 정신적 인 가치 안에서는 도덕적 가치가 미적 가치보다 상위의 가치임을 대다수가 인정한다. 그 러나 도덕적 가치가 인식의 가치보다 더 높은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입장이 다르다. 바 로 이러한 입장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좋은 길’로서, 앞[5.7)]에서 언급한 것처럼,결국 우리는 우리의 삶 전체와 관계하는 실천적인 최고선을 주도적 목적으로서의 최상선이 아 닌 포괄적 목적으로서의 최고선인 행복으로 보고자 하였다.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가 도덕적인 의미로 좁게 해석된다면, “나는 어떻게 살아 야 하는가?”라는 물음이 실천적인 최고선에 대한 물음 방식으로 더 적절해 보인다. “무엇 이 가장 좋은 것인가?”라는 물음은 영원한 수수께끼 물음이다. 각자의 성격에 따라,각자 의 처지에 따라 이 물음에 대한 구체적인 대답의 시도는 다양하다. 아마도 묻지 않는 자 에 게보다는 묻는 자에 게 복이 내릴 것이다. gratia supponit naturam.

      • 基督敎 倫理의 最高善

        박노진 東國專門大學 1993 金龜論叢 Vol.1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fine the "Summum Bonum" in Christian Ethics. Therefore the topics of the study are What is a good? and what is the highest good? These are the fundamental question in our life. The study consists of three chapters. First Philosopher's definition of good and the highest good from Socrates to Hartmann in philosophical history. Second, meaning of □ (tob) in Hebrew and αγαθο□ (agathos) in Greek in biblical language. And what is the Summum Bonum? in the Bib1e. Third, "Summum Bonum" is the purpose of in our life is a gift of God, love your neighbor ad yourself and purpose of in our life is a gift of God, love your neighbor as yourself and practice of God's will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