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체크리스트의 평가자간 신뢰도 연구

        이근호,구경협,신선희,안아라,손미남,조은희,김연희 대한작업치료학회 2011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9 No.4

        목적 :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체크리스트를 고안하고 기존 한글판 수정바델지수와 신뢰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뇌병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글판 수정바델지수 체크리스트(이하 K-MBI 체크리스트)는 기존의 한글판 수정바델지수(기존 K-MBI)와 수정바델지수(MBI) 원본을 참고하여 각 항목별 평가 내용을 세분화 및 체크리스트화 하였다.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K-MBI 체크리스트를 사용하는 그룹과 기존 KMBI를 사용하 는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 2명의 치료사를 배정하였다. 결과분석은 평가자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총점수준에서 급간내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세부항목 수준에서 카파검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총점수준에서의 신뢰도는 K-MBI 체크리스트(ICC= .981)와 기존 K-MBI(ICC= .973)를 사용한 두 그룹 모두에서 매우 높은 검사자간 신뢰도를 보였다(p<.001). 세부항목별 일치도에서는 K-MBI 체크리스트를 사용한 그룹과 기존 K-MBI의 경우 모두 4개 항목에서 탁월한 일치도를 보였다. Mean K값은 K-MBI 체크리스트(.725)가 K-MBI(.699)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K-MBI 체크리스트와 기존의 K-MBI 모두 총점수준에서 높은 수준의 평가자간 신뢰도를 보였다. 세부항목수준에서 역시 두 그룹 모두 전 항목에서 상당한 수준 이상의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나, 항목 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a checklist version of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K-MBI) and compare its reliability with the K-MBI. Methods : The subjects were 30 brain injury patients. We subdivided each subitem of the original K-MBI and created a checklist (so-called K-MBI checklist). We divided it into 2 groups: a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and the original K-MBI, with two randomly assigned occupational therapists for each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ascertain the inter-rater reliability through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for the total test score and Kappa statistics for the subitems of the test. Results :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total test score was significantly high in both the K-MBI checklist group (ICC=.981) and the original K-MBI group (ICC= .973)(p<.001). For the internal constancy in the subitems of the test, both groups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n four items. The mean Kappa value was higher in the K-MBI checklist group (.725) than in the original K-MBI group (.699). Conclusions : Both the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and original K-MBI showed high consistency in their total scores. In the subitems, the newly developed K-MBI checklist provided higher consistency than the original K-MBI except for dressing subitems. Meanwhile, the K-MBI showed low consistency in personal hygiene and ambulation subitems.

      • KCI등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에 관한 연구

        장영호 ( Jang Young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국가차원의 법적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유니버설디자인 조례제정,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수립, 유니버설디자인 시범사업 추진 등 지역적 상황에 맞추어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구성원 모두를 배려하기 위해 개발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해 단기간에 이루어진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높아진 기준으로 가이드라인의 유효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 유니버설디자인 사업의 효율적인 분석기준 제시와 지표체계를 재정립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를 운용하고 있는 서울시의 체크리스트에 대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재정립합으로써 향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를 수립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제2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유니버설디자인 조례가 정비된 23곳의 지방자치단체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운용체계에 대해 고찰하고, 둘째,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통합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그에 따른 지표 분석을 위해 공공보도부분의 공사가 완료된 사업 등 모니터링 대상지 20개소를 대상으로 심의자료를 분석하여 나타난 심의 상의 문제점과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한계점을 고찰하며, 셋째, 효율적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위한 분석기준 및 지표체계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유니버설디자인 체크리스트 구성체계에 대해 분석한 후, 이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의 4개 평가 요소를 제안한다. (결과) 심의도서 리뷰를 통해 첫째, 보도 영역 중 심의에서 실제 문제화되는 지표의 추출과 비교가 필요하고, 둘째, 주요 시설물에 대한 문제 파악이 가능한 모니터링 지표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위원회 권장 기준 및 심의 시 제시 기준을 정량값 기준으로 하여 지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보도 모니터링을 통해서는 심의제도를 통해 ‘사전 컨설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준공 후에도 심의비교 자료를 갖춘 준공보고서 의무제출 등 강력한 대책을 연동시키는 등 기본적인 인식개선과 더불어 강력한 제도 이행 인식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론) 현재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최소 평가 기준과 준수 내용을 체크리스트로 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의 모니터링 대상 안건의 다수가 기본적으로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점에 착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는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화를 위해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개선 방향성을 제시하고 보도와 시설물에 대한 평가 요소를 제안하여 전반적으로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의 효율성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there are no national legal standards related to universal design, but the situation is being opera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situation, such as enacting universal design ordinances, establishing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and promoting universal design pilot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ne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guideline based on a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universal design made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increased standards for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which was developed to consider all members of Seoul. The first purpose is to present efficient analysis standards and to re-establish the indicator system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In addition, by re-establishing the analysis standards and indicator system for the Seoul City checklist, which operates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universal design checklist, it provides useful basic data to local governments who intend to establish and operat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and checklists in the future. It is the second purpose to do. (Method) First, it review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23 local governments in which the Universal Design Ordinance has been established. It analyzes the deliberation data for 20 monitoring target sites, such as the completed project, and considers the problems of deliber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e guideline checklist. Finally, after analyzing the universal design checklist composition system, we propose the four evaluation elements of the checklist by synthesizing it. (Results) Through the review of the deliberation book, first, it is necessary to extract and compare the indicators that are actually problematic in the deliberation in the reporting area, and secondly,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onitoring indicator that can identify problems with major facilities. It was identifie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sent an index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city presentation as a quantitative value standard. In addition, through press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pre-computing' through a deliberative system, and link strong measures such as compulsory submission of a completed report with deliberation and comparison data even after completion. A conclusion was drawn. (Conclusions) The current Universal Design Guideline is a checklist based on minimum evaluation criteria and compliance details, and focusing on the fact that many of the agendas to be monitored in this study are basically evaluated based on the checklist of the Seoul Universal Design Guidelin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e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guideline checklist,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are presented, and evaluation elements for sidewalks and facilities are sugges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guideline checklist.

      • 의과대학생의 증례 구술 발표시 체크리스트 평가 및 평가자간 차이 비교

        허정원,이미애,정화순 이화여자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7 EMJ (Ewha medical journal) Vol.30 No.1

        배경: 환자 증례의 구술 발표는 의사와 의사간의 의사소통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의과대학생은 실습 기간 중 환자 증례의 구술 발표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술 발표에 대한 포괄적 평가와 체크리스트 평가 방법을 비교해보고, 체크리스트로 평가한 항목들에 대해 평가자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서 진단검사의학 실습을 수행하였던 21개조를 연구대상에 포함하였다. 먼저 교수 3명이 5개 문항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 항목을 각자 독립적으로 평가하였고, 다시 모여 토론 후 포괄적 평가를 하였다. 평가자간 차이를 보기 위해 신뢰도의 분석방법으로 급간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수치가 1에 가까울 수록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과: 평가자가 토론후 산출한 포괄적 평가 점수가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산출한 점수의 평균에 비해 더 높았으며(12.6± 1.7 vs 11.1± 2.0, P<0.001), 두 평가 점수간에 상관계수는 r=0.82(P<0.01)이었다. 체크리스트의 총 점수는 3명의 평가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12.3± 2.0, 10.8± 2.8, 10.0± 2.7, P<0.05). 급간내 상관계수는 체크리스트 총 점수의 경우 0.750(0.482~0.891)이었고, 체크리스트 5개 각 항목의 급간내 상관계수는 0.350~0.753 범위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 구술 발표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 평가는 포괄적 평가와 상관성이 높았고, 평가자간 일치율도 높았다. 그러나 체크리스트 각 문항 평가에서는 평가자간 일치율이 낮았던 항목이 있었다. 따라서 체크리스트 항목을 좀 더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수정 보완하고, 평가자들의 구술 평가 기술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진다면, 체크리스트 평가는 더욱 유용한 평가 방법이 될 것이다. Background :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should learn oral presentation skills, which are central to physician-physician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hecklist scores with global ratings for evaluation of oral case presentation and to investigate interrater agreement in the scoring of checklists. Methods : The study group included twenty-one teams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who did clerkship for 2 weeks in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of Mokdong Hospital,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06. Three faculty raters independently evaluated oral case presentations by checklists, composing of 5 items. A consensus scores of global ratings were determined after discusssion. Inter-rater agreement was measur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As the ICC values approaches 1.0, it means higher inter-rater agreement. Results : The mean of consensus global rating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ecklists by three faculty raters(12.6±1.7 vs 11.1±2.0, P<0.001).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lobal ratings and checklist scores was r=0.82(.P<0.01). The overall scores of checklis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raters (12.3±2.0, 10.8±2.8, 10.0±2.7, P<0.05). ICC values in the scoring of checklists were as follows ; for overall scores, 0.750 ; for individual checklist items, 0.350-0.753.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ecklist scores by faculty raters could be one of the most useful tools for evaluation of oral case presentation, if checklist would be modified to make less ambiguous and more objective and faculty raters would have opportunities to be educated and trained for evaluation skills of oral case presentation.

      • KCI등재

        역사의 공중이용시설에서 편의시설 설치실태평가에 관한 연구 - 전국의 KTX 역사 37개소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

        김수정 ( Kim-soo Jo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3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이용객이 폭증하고 있는 전국 37개소 KTX철도역사 대상으로 활동(행동, 움직임)을 보조해줄 수 있는 편의시설이 얼마나 향상되었는가를 체크리스트로 분석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KTX철도역사공간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수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철도역사 공간에서 편의시설의 개선 및 발전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편의시설 설치유무를 확인하고 철도역사 사용자의 편의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노인·임산부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2004년 기존 체크리스트)과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인증제도(2016년 보안 체크리스트)의 설치문항을 비교한 결과 2004년 기존체크리스트 시설구분 9개에서 평균 설치비율은 67%이며, 2016년 보안체크리스트 시설구분 14개에서 평균 설치비율은 59%로 조사되었다. 2004년 기존체크리스트에서 편의시설이 선행되어 있기 때문에 2016년 보안체크리스트는 시설구분이 더 세분화 되어서 설치기준 반영은 -8% 정도의 미미한 차이로 반영되었다고 판단된다. 둘째, 총 162개의 세부문항에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한 전국37개소 KTX철도역사의 시설구분 평가 결과 합계 평균은 63%로 기본이상이 되었다. 셋째, 전국 37개소 철도역사 시설평가 중에서 경사로(평균 27%), 에스컬레이터(14%), N. 경보 및 피난시설(3%), K. 대변기(36%), L. 세면기(36%) 등은 시급한 개선이 요구 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완성된 체크리스트는 시설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추후 연구를 통하여 철도역사 편의시설 기준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This study analyzes the improvement of amenities facilities that can assist activities (action and movement) in 37 KTX stations nationwide which are experiencing heavy increase of users. The study understands the current situation using a checklist and evaluates the space of KTX station based on it. Methods The paper checks the installment of amenities aiming at suggesting a direction for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amenities in the space of station that is used by numerous people and presents a direction for enhancing user convenience. Resul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conclusions. First, comparing the installment questions between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Guarantee of Access for the Disabled, the Aged, and Pregnant Women (the existing checklist in 2004) and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 Certification Rule (security checklist in 2016), the average installment rate of the nine facility divisions in the existing checklist in 2004 was 67% and the average installment rate of the 14 facility divisions in security checklist in 2016 was 59%. The security checklist in 2016 has more segmented facility division as the checklist in 2004 already contained evaluation on the amenities.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the installment criteria is thought to be showing an i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roximately -8%. Secon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facility division in 37 KTX stations nationwide based on the checklist that is composed of a total of 162 sub questions, the average of the sum was 63%, indicating higher than average. Thir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facilities in 37 stations nationwide implied that ramp (27% on average), escalator (14%), N. alarming and evacuation facilities (3%), K. closet bowel (36%), and L. washbowl (36%) required urgent improvement. Conclusion We expect that the checklist comple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studies as a fundamental material for facility evaluation and further be used as a standard for amenities in station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 설계모형 및 체크리스트 개발

        정현미 ( Hyun Mi Ch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교수설계자(혹은 교수자)의 PBL설계과정을 안내하는 PBL설계모형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둔다. 개발연구에 해당하며, 연구의 결과물로서 문제중심학습 설계모형과 그 모형을 토대로 한 PBL설계활동 체크리스트가 개발되었다. PBL설계 및 개발과정 관련 문헌분석결과, PBL수업사례연구를 통해 확인된 PBL수업 시 학습자의 어려움 분석결과와 PBL설계 시 초보 교수설계자의 어려움 분석결과를 토대로 1차 PBL설계모형 및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1차 모형과 체크리스트에 대한 사용자 검토와 전문가 검토가 동시적으로 진행되었는데, 사용자 검토에 초보 교수설계자로서 교육공학전공 학생 17여명이 참여하였고, 교육공학전공 교수 1명으로부터 전문가 검토를 받았다. 사용자 검토에는 1차 모형의 안면 타당성을 묻는 설문조사(모형 활용 전과 후)와 모형 및 체크리스트를 활용한 PBL설계과제 수행 후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차 모형과 체크리스트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2차 PBL설계모형 및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고, 2차 모형에 대한 전문가 검토(2명)를 받았다. 전문가들은 2차 모형 및 체크리스트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2차 PBL설계모형은 분석단계, 설계단계, 형성평가단계를 포함하는데, 분석단계에 요구분석, 내용분석 및 자료수집, 학습자분석, 환경분석이 진행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PBL적합성 판단이 이루어진다. 설계단계에는 학습환경결정(면대면, e-러닝, 블렌디드) 후 문제상황설계가 수행되고, 문제 해결과정 촉진설계, 학습자원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가 동시적으로 진행된다. 초기 결정한 학습환경 유형에 따른 각 학습환경별 설계가 진행된 후 1차 PBL설계안에 대한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수정하여 최종 PBL설계안을 완성한다. 개발된 PBL설계모형과 체크리스트는 실제에서 교수설계자의 활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되며, 지속적인 현장적용을 통한 모형 검증 작업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PBL and a checklist for guiding instructional designers in designing a PBL course. The PBL design model and a checklist were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1)conducting literature review to find the components of model, and a PBL case study to identify learners` difficulties in PBL and novice instructional designers` difficulties in designing a PBL course, 2)developing the 1st PBL design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the PBL case study, 3)conducting the user review which included a questionnaire and a focus group interview of students after using the 1st model(and a checklist) in designing a PBL course, and the expert review about the 1st model and a checklist, 4)developing the 2nd PBL design model and a checklist, 5)conducting the expert review about the 2nd model and a checklist. The results of expert review were positive about the 2nd PBL design model and the checklist. The 2nd PBL design model consists of the analysis stage, the design stage and the formative evaluation stage. The analysis stage includes needs analysis, content analysis & gathering materials, learner analysis, and context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ctivities, an instructional designer decides whether the PBL approach as an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is appropriate in the setting. In the design stage, after deciding the type of learning environment(offline, e-learning, blended), instructional designers conduct problem situation design and then proceed other design activities concurrently(design to facilitate problem solving process, learning resources design, implementation strategy design, evaluation design). According to each learning environment, general design activities such as creating a lesson plan are conducted. Formative evaluation & revision is conducted and a final PBL design is accomplished. The PBL design model and the checklist is expected to guide an instructional designer`s activities in designing a PBL course.

      • KCI등재

        디자인교육 현장실습을 위한 체크리스트 내용 개발 연구

        이상화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현장실습 참여에서 효율적인 운용의 어려움과 참여자들의 참여 의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현장실습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과 현장실습 과정을 제공하는 기업 사이에 만족할 수 있는 실습 과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 실습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 내용을 개발하고자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기본 요인을 바탕으로 한 차례의 델파이 개방형 조사와 두 차례의 폐쇄형 조사에서 실습 실행 경험이나 실습생 관리 경험이 있는 패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체계적인 체크리스트 내용을 탐색하기 위하여 정량적 방법의 접근을 활용하였다. 다음의 델파이 개방형 조사에서 이용된 현장 실습 주요 요인들은 선행 연구과정에서 도출된 요인을 활용하였으며 실습 단계의 세부 항목에서 업무실행 항목의 5개 세부 항목, 인성표현 항목의 9개 세부 항목, 기술습득 항목의 9개 세부 항목을 도출하였다. 2차 델파이 설문조사를 폐쇄형으로 진행한 후 요인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습 단계의 세부 항목에서는 항목 4개가 문항의 타당성 미확보로 제외되었다. 3차 델파이 설문조사를 폐쇄형으로 진행한 후 분석 결과는 비모수 검증을 통해 체크리스트에 사용 할 가중치의 평균 순위에 대해 통계적 의미의 유무를 알아 볼 수 있었다. 3차례의 델파이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를 통해 체크리스트 항목 내용과 가중치 개발이 이루어졌고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인 현장 실습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체크리스트를 내용을 개발하였다. 30개 질문의 실습 실행 단계의 체크리스트 내용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실습 활동을 위한 실습 체크리스트를 내용을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It tried to make a practice process which satisfies between attending students and the company offering the field practical process to settle down the problem about difficulty of efficient operation and attending desire of attendees about the field practice attendance. For this, it investigated for the development of check-list content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e field practice can use. Based on the basic aspects through the prior investigation, it surveyed on the target of panels with the practice commitment experience or having the control experience over trainees from one time of Delphi open-typed investigation and two times of close-typed investigation. It utilized the approach of quantitative method to research the specific check-list content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main aspects of the filed practice used in the following Delphi open-typed investigation were utilized with the aspects resulted from prior investigation process and drew the 5 subsections of work practice lists in subsections of the practice stages, 9 subsections of the personality expression list and 9 subsections of skill acceptation lists. After processing the second Delphi surveys as close-typed, it drew the result of aspect analysis. In the process of this, 4 lists were excluded due to no security of the validity of questions in subsections of practice stages. The result of investigation after processing the close-typed surveys of third Delphi showed the existence of analytic meaning about average ranks of weight used for check-lists through the non-parametric examination. It developed the check-list contents through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3rd Delphi surveys and weight and meaningful check-lists used for field practice that is a final purpose. It made check-list contents consisted of practice commitment stages with 30 questions. This investigation is aimed on developing practice check-list contents for systemic practice activities.

      • KCI등재

        효과적인 설교 작성과 전달을 위한 체크리스트 구성에 관한 연구

        성민경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목회자는 교회에서 설교, 행정, 심방, 교육, 전도, 선교 등 다양한 사역을 감당한다. 이러한 교회의 다양한 사역 가운데 설교는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사역으로서 성도들에게 성경을 가르칠 뿐만 아니라 말씀대로 살도록 권면하는 중요한 소통의 도구가 된다. 따라서 설교자는 하나님 말씀의 대언자로서 지속적으로 좋은 설교를 위해 자신의 능력을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목회자들이 설교를 준비하는 과정을 도입, 실행, 정리 단계로 나누어 설교의 준비 단계부터 설교 후 정리 단계까지 절차를 따라 점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구성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초조사로 문헌을 고찰하여 체크리스트 문항을 구성하고, 목회자를 대상으로 두 차례의 초점집단면접(Focused Group Interview, FGI)과 마이크로티칭을 차용한 설교 시연을 시행하여 문항을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체크리스트를 완성하였다. 본 체크리스트는 크게 도입, 실행, 정리 단계로 분류된다. 도입 단계에는 시간확보와 분석, 원고 작성, 원고 완성, 설교 직전의 영역이 포함되었다. 실행 단계에는 설교 진행, 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청중과의 관계, 설교 도구의 영역이 포함되었다. 또한 정리 단계에는 자료 정리와 자료 보관의 영역이 포함되었다. 본 체크리스트는 단계별로 42개, 30개, 4개의 문항으로 총 7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76개의 문항에 대해 설교자는 스스로 점검을 하면서 좀 더 나은 설교를 작성하고 시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목회자 본인뿐만 아니라 맡겨진 양떼들에게 유익한 도구가 되기를 소망한다. Pastors perform various ministries including preaching, administration, nurturing, education, evagelism, and mission. Among these, preaching is an important medium for pastors to speak for God's Words and encourage saints to live according to the Word. Accordingly, preachers should continuously work to develop competencies for effective preac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hecklist for pastors to prepare for sermo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to construct preliminary questions and conducted two focused group interviews and micro preaching to complete a checklist for effective sermon writing and delivery. This checklist is composed of introduction, implementation and conclusion phases. The introduction phase includes domains of securing the time, writing sermon, completing sermon, and before preaching. The implementation phase includes domains of while preaching, verbal expressions, non-verbal expressions, relationship with the audience, and sermon tools. The conclusion phase includes domains of organizing data and storing data. This checklist is composed of a total of 76 questions. Preachers can be able to make and deliever their sermons by checking these 76 item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n useful tool for pastors.

      • KCI등재

        국제기술이전의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개발과 활용방법: 기술제공기업의 관점에서

        박주홍 ( Joo Hong Park ) 한독경상학회 2008 經商論叢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해외직접투자, 합작투자 및 라이선싱 등을 통한 국제기술이전의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가 개발되었고, 그 활용방법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국제기술이전을 평가하기 위한 6개의 체크리스트는 기술제공기업의 관점에서 개발되었다. 각각의 체크리스트는 총 20개의 평가항목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독자적인 개발과정을 거쳐서 완성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국제기술이전의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실무적인 사용방법을 예시하기 위하여 라이선싱을 통한 국제기술이전에 대한 가상평가가 수행되었다. 이러한 가상평가 사례는 국제기술이전에 대한 평가를 하는 기술제공기업의 실무자들에게 경영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각각의 체크리스트에서 제시하고 있는 20개의 평가항목은 모든 기업 및 산업의 국제기술 이전에 대한 의사결정 상황을 완벽하게 고려할 수 없는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지만, 이러한 한계점은 일부 평가항목을 기업 및 산업의 상황에 맞도록 추가 또는 제외하거나,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해외직접투자, 합작투자 및 라이선싱을 통한 국제기술이전의 평가를 위한 체크리스트를 기술제공기업의 관점에서만 개발하였다. 그러나 성공적인 국제기술이전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기술취득기업의 관점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 취득기업의 관점에서의 국제기술이전에 대한 체크리스트의 개발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checklists for the assessment of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through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joint venture and licensing were developed in this article. In particular, an application case for practical use was illustrated in this article. From the viewpoint of licensor, six different checklists were developed to evaluate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in term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joint venture and licensing. Each checklist, which includes 20 evaluation items, was completed by own development process in this study. The checklist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contains 6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market factors in the host countr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host country, regulations in the home country, management ability of foreign subsidiary, usability of transfer technology and payment characteristics of royalty in the host and home countries. The checklist for joint venture contains also 6 evaluation criteria including market factors in the host countr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host country, regulations in the home country, management ability of foreign partner company, usability of transfer technology and cooperation between headquarters and foreign partner company, while the checklist for licensing includes 6 evaluation criteria covering market factors in the host country,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host country, regulations in the home country, management ability of licensee, usability of transfer technology and cooperation between licensor and licensee. Although 20 evaluation items in the each checklist contain a limitation which can not examine all situations about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of firms and industries, it can be overcome by adding or excluding of items, or by adjusting weights. This study had developed checklists based on the only licensor`s point of view to assess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through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joint venture and licensing. But special regard will be paid to the licensee for successful evaluation of international technology transfer. It will be remain further research.

      • KCI등재

        플랜트사업 설계사례의 체크리스트기반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이상엽,손재호,유영훈,한충희,Lee, Sang-Youb,Son, Jae-Ho,You, Young-Hun,Han, Choong-Hee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9 No.3

        Since the year of mid 2000, the EPC industry in Korea has the highest amount of orders received due to tremendous need form middle east asia region. However, the quality requirement from the owner is getting critical, which lead to the more competitive engineering capacity equipped. In order to do so, the development of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model of engineering process is essential. In order to develop the engineering checklist model for case-based evaluation of EPC project, first, the general description of worldwide EPC industry as well as the literature review of prior study have been performed. Then, the survey interview with experts in the engineering area of EPC project was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engineering work tasks and the critical check items, which should be checked during engineering process. Based on these checklist, the weights of check items as well as engineering work tasks also have been defined. The developed checklist model evaluated the two EPC project cases of S company in Thailand in order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From the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based on checklist model can help the EPC practitioner check the critical items in engineering process more efficiently and take an appropriate action for better engineering performance, which finally can lead to the Korea EPC industry being more competitive. 2000년대 후반 들어 플랜트산업은 초유의 호황기를 누리고 있으나, 시장 확대에 따라 사업주의 품질, 기술요구가 점차 강화되고 있어 이러한 국내 플랜트 산업이 대외경쟁력을 구비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가능한 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우수한 설계능력의 확보를 통한 고부가가치 기술집약산업으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우수설계를 위한 체크리스트의 도출과 그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객관적인 사례평가모델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랜트사업의 설계사례의 체크리스트기반 평가모델 개발을 위해 우선 국내외 플랜트 EPC 산업현황과 체크리스트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해 각 설계분야의 업무항목별 중요도와 업무별 체크리스트 항목의 중요도를 도출하여 체크리스트 평가에 따른 정량적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델의 사례평가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플랜트 설계사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우수사례의 도입 초기 단계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건설사업 단계별 업무 체크리스트를 향후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의 상호 협동을 통해 지속적인 연구와 적용을 통해 발전시켜 나간다면 국내 EPC업체의 우수설계능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글 체크리스트로부터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 방안

        김현동,김대준,정기현,최경희,박호준,이용윤,Kim, Hyun Dong,Kim, Dae Joon,Chung, Ki Hyun,Choi, Kyung Hee,Park, Ho Joon,Lee, Yong Y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6 No.8

        본 논문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 테스트에 많이 사용되는 테스트 항목이 기술된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체크리스트에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항목이 정의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테스트 케이스 생성 전략에서는 테스트 하고자하는 항목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이 조건에서도 테스트하기를 권하고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한글로 기술된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여 시스템 입출력과 연산 정보를 찾아낸다. 그리고 찾아낸 정보와 설정하는 테스트 케이스 생성 전략에 따라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 방법은 테스트 케이스를 수동으로 생성할 때, 일으킬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크리스트에는 기술되지 않는 다양한 변이 테스트 케이스도 생성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구현되고, 실제 의료기기용 임베디드 시스템의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실험에서는 체크리스트로부터 여러 커버리지에 적절한 테스트 케이스가 오류 없이 통계적으로 정확히 생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어서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generate test cases in an automatic manner, based on checklist containing test cases used for testing embedded systems. In general, the items to be tested are defined in a checklist. However, most test case generation strategies recommend to test a system with not only the defined test items but also various mutated test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parses checklist in Korean file and figures out the system inputs and outputs, and operation information. With the found information and the user defined test case generation strategy, the test cases are automatically generated. With the proposed method, the errors introduced during manual test case generation may be reduced and various test cases not defined in checklist can be generated.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and the experiment is performed with the checklist for an medical embedded system.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through the test cases generated from the checklist. The test cases are adequate to the coverages and their statistics are corr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