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이종형,최상락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practical problems, find out recogni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EPE), curriculum, supervision, administration, facilities, teaching tools and other problems, explore possible changes and provide future development courses of EPE.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the study first examined understandings about EPE. Using the Delphi method, the study asked four groups of EPE professionals: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ors(20), professionals of physical education(20), education administrators(20), education professionals(20) with third round Delphi questionnaires. SPSS 10.0(a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Median, mean, quartiles and standard deviation of possible changes and hope scale were found. F-probe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professional group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dministrator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PE and extend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in order to normalize and substantialize EPE. Second, a flexible, practical curriculum should be performed in order to ensure to teach and learn with no difficulty in doing and to cope with changes quickly.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various supervis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incident, practical supervision and administration should be performed. Fourth, physical education surroundings, including gyms and swimming pools, are being improv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re being decreased. But, complex physical educ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ensure modernization and advancement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nd teaching tools. 이 연구는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초등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체육교육 과정, 체육장학 및 행정, 체육시설 및 교구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초등체육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탐색하여 초등체육이 발전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체육교육 에 대한 전문가 집단으로 체육교육행정가 20명, 체육교육전문가 20명, 교육행정가 20명, 교육전문 가 20명 등 80명을 선정하여 3차례의 델파이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 등체육교육의 정상화․내실화를 위해서는 교육행정가와 교사 모두 초등체육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초등체육에 대한 전문성과 책무성을 신장하여야 한다. 둘째, 초등체육과 교육과정 은 교사와 학생이 수월하게 배우고 가르칠 수 있으며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기 위한 유연성과 현실성 이 있는 교육과정이 운영되어야 한다. 셋째, 교수․학습 방법의 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장학 프로그램 의 개발과 일관성이 있고 실천적인 체육장학 및 행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학급당 인원수가 감 소하고 체육관, 수영장이 늘어나는 등 체육시설 환경이 호전되고 있으나 체육시설 및 교구의 현대화․ 선진화를 위한 복합적인 체육시설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와 전문가 양성 방안

        전세명(Semyung Joe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이후 초등체육의 미래모습과 초등체육 전문가 양성 방안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래 교육에 대한 다양한 문헌분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체육의 미래 모습을 교육환경과 교육내용, 교육방법, 정과 외 체육활동에서 살펴볼 수 있었고, 전문가 양성 방안에서는 현장교사와 예비교사 교육으로 구분하여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체육은 교육환경 측면에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확대와 학교 공간의 혁신이 예상되며, 사물인터넷과의 연동 가능성도 제안하였다. 교육방법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자율화와 함께 놀이 교육의 확장과 1-2학년의 체육시간 확대를 제안하였다. 교육방법에서는 온라인을 통한 상시학습, 지역사회의 인적, 물적 자원 활용과 스마트 교육의 실시를 예측하였고, 정과 외 체육활동으로 학교운동부와 스포츠클럽은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운영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양성 방안으로 현직교사의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초등체육전담교사에 대한 중장기적인 전문연수과정이 필요하며, 교사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초등체육 전문가의 등용을 제안하였다. 예비교사 교육에서는 현장성 강화와 실제 지도할 내용에 대한 실기교육 참여경험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초등체육은 평생 체육의 밑바탕으로 미래 사회로의 변화에 맞춰 초등체육이 활성화되고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교육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체육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초등교사의 역량 강화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directions and plan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cument analysis and delphi survey were undertaken to collect data. In terms of the future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ee domains emerged: i) employing virtual reality based physical education will be expanded, ii) curriculum redesign, digital textbooks, expanding play education and establishing physical education in year 1 and 2 were discussed, iii) the importance of online-based learning plans for school-community conn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ies school sport teams and sport clubs were explained. Regard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veloping specialized training courses, using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and expanding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initial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lans making students understand education field and participate in a range of sports.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교육자의 체육교수경험에 대한 셀프연구

        양정모(Jeong-mo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교육자의 체육교수경험에서 발현되는 교육적 현상에 대한 고민과 반성적 숙의, 성장의 구체적인 실체(實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셀프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체육수업의 실천 과정과 결과, 동료 교수들과의 관계 및 대화, 그리고 학습공동체 형성과정과 결과, 수업에서의 학생과의 상호작용, 실천적 체험학습의 장을 통한 과정과 결과, 체육수업에서의 모든 교육적 경험과 현상에 대한 내용을 연구자 스스로 기록한 자기 성찰지와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과정 재구성, 강의계획서, CQI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강좌운영 과정에서의 고민 이야기로 ‘현실과 교육적 신념의 차이’, ‘인지적 편향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그리고 반성적 숙의과정의 이야기로 ‘학습공동체 형성’, ‘체험 네트워크’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강좌 운영의 고민을 통한 성장 이야기로 ‘체육수업의 재개념화’, ‘체육수업의 변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딜레마 상황에 놓인 연구자의 고민은 반성적 숙의와 통섭, 지식의 생산자라는 실천적 체험의 장을 통해 교육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성적 숙의와 실천적 체험에서의 소통 과정은 교사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이었으며 통합적 학습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가치가 지대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rete reality of the agony, reflective deliberation, and growth of the educational phenomena manifes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self-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self-reflection paper,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lecture plan, and CQI, which recorded the contents of all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henomena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lationship with the fellow professors, the process and results of forming the learning community, the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in the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 (1979). Results It was categoriz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educational belief’ and ‘cognitive bias’ as the story of worries in the course management process, and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and ‘experience network’ as the story of reflective deliberation process. In addition, it was categorized into ‘reconceptu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vari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s a growth story through the worries of course management. Conclusions The researcher's agony in the dilemma situation could be reborn as an educational expert through the field of reflective deliberation, consilience, and practical experience as a producer of knowledge.,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reflective deliberation and practical experience was an essential process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meaning and value were great in that it could form an integrated learning culture.

      • KCI등재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실기평가에 대한 발전방향

        이종형,이광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problems by analyzing the practical skill test of the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sent a development course of the new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suggest a systematic improvement plan for appointing desirably qualifie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s a study method, Delphi Technique was used in order to ensure a proposal for the new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by collecting various opinions of physical education experts and other education experts. Education administrators, education experts,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ors and physical education experts analyzed the present problems of the practical skill test of examination system for appointing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predicted a desirable improvement course.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up through repeated Delphi questionnaires (three times). First, it was predicted that subjective, fair standards for evaluation and marking of the practical sill test would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real conditions of each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estimation methods and marking standard of practical skill test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and opera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from expert groups of various items and age groups, including physical education experts and pedagogists as well. It can be considered that all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jointly organize and operate an estimation committee. Second, it was predicted that various items needed for the actual teaching spot would be selected and estimated. If items easy to estimate and difficult to raise an objection are selected, examinees prepare for the practical skill test by mastering pertinent skills in the training institutes. Therefore, various items and methods including various strategy operations can inspire the training institutes to relate preparation to them. Teachers capable of proceeding various items in class should be selected. Third, it was predicted that possible relative disadvantage (getting familiar with tips or preparation of mind) of examinees to be estimated ahead could be reduced if the practical skill test is not open to the examinees waiting in the gym. For example, examinees can be divided into various items and evaluation of the same item can be performed in two or three places. For this, the estimation management committee of each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 education office should deliberate in full. 이 연구는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실기평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임용시험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바람직한 자질을 가진 체육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체육 및 교육분야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합의하고 수렴함으로써 새로운 체육과 임용시험제도에 대한 제안을 가능하게 하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교육행정가, 교육전문가, 체육행정가, 체육전문가 등의 전문가들이 중등체육교원 임용 시험제도의 실기평가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개선의 방향을 예측하였으며 3차례에 걸쳐 반복된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기평가에 대한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기준 및 채점기준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각 시․도 실정에 맞도록 체육뿐만 아니라 교육학 전문가를 비롯한 다양한 종목, 다양한 연령층의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실기평가에 대한 평가방법, 채점기준 등을 명확하게 수립하여 운영해야 한다. 또한 각 시․도가 공동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 둘째, 교육 현장에 필요한 다양한 종목을 선정하여 평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평가하기 수월하고, 문제제기가 되지 않을 것을 선정하니, 양성기관에서 해당 기술만을 숙달하여 실기평가를 준비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전술 운용을 비롯한 다양한 종목과 방법을 제시하여 양성기관의 학습이 연관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종목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교사가 선발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실기평가가 체육 관내의 대기 수험생들에게 공개된 상태에서 이루어져 앞 번호 수험생이 상대적으로 받을 수 있는 불이익(요령 숙지 및 마음의 준비)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즉, 다양한 종목으로 인원을 분산시켜 대기 수험생의 인원을 줄이는 방법과 같은 종목의 평가를 2~3곳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방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각 시․도교육청의 평가관리위원회에서 충분한 심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나주영(Na Ju Young),고문수(Ko Moon S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한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체육수업 운영에 관한 연구자의 기억자료 및 자기 성찰 내용, 교사의 체육수업일지, 학생들의 체육일기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귀납적 범주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인터뷰, 전문가 협의, 동료 간 협의 등을 활용하였다. 첫째, ‘나’ 자신이 체육수업 전부터 겪었던 딜레마에서는 초등학교의 독특한 교직문화, 체육 또는 수업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현실의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둘째, ‘나’ 자신의 체육수업 운영에서 겪는 딜레마는 체육 환경의 어려움과 체육수업을 운영하는 여교사로서의 정체성 인식의 혼돈이 표출되었다. 셋째, 수업 운영을 통한 ‘나’의 성장은 교과 전문가로 거듭나기, 학생과의 소통에 관한 중요성 인식 그리고 학생의 체육수업에 관한 긍정적 태도의 형성 등이 도출되었다. 넷째, ‘나’ 자신의 체육수업에 관한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올바른 체육수업에 대한 가치관이 형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sing an autoethnography of a female teacher, to explore the alternative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lesson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teacher s journals and students physical education journals, and students interviews.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used on the collected data. Interviews, specialist meeting, and peer debriefing were used to secure trustworthi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contains different sorts of dilemma which ‘I’, myself, already have experienced before the starting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there were dilemmas which occurred while managing classes, troublesome conditions for teaching physical education, and identity confusion between a female classroom teacher and a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hird, I had grown up during the research not only by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sation between a femal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and students, but also by providing quality lessons for students’ positive changes during quality lessons. Fourth, autoethnography helped me to form self-efficacy and beliefs on teach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필기평가에 대한 발전방향

        이종형(Lee, Jong-Hyoung),이광재( Lee, Gwang-jae)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필기평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새로운 임용시험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교육행정가, 교육전문가, 체육행정가, 체육전문가 등의 전문가들이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제도의 필기평가에 대한 현재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바람직한 개선의 방향을 예측하였다. 3차례에 걸쳐 반복된 델파이 설문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문항 출제 시 검증되고 일반화된 이론을 출제하고, 시대에 맞는 현실적인 문학개발이 필요하다고 예측하였다. 둘째, 교육 현장과 연계된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개발·연구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전공 필기시험의 출제 범위를 중요도에 따라 반영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출제 위원 선정 방법에 있어서 현직교사의 출제 참여 비율을 높여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다섯째, 임용시험 중 필기평가에 대한 정확한 체점 기준을 마련하고, 정답을 공개하여 투명성을 확보해야 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여섯째, 학생들의 생활지도 능력이 평가 될 수 있는 문항이 개발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 new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of the written examination system for employ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by grasping the present problems through extensive analysis of the present examination system. Four different professionals, such as Education administrators, professionals of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ors and professionals of physical education,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current written examination system and predicted desirable improvement policie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hree times and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First, questions should be based on generally verified theories and contemporary, realistic questions are required. Second,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required to create suitable questions related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Third, the reflection percentage of a range of possible questions should be consistently maintained according to the importance levels. Fourth, with regard to selection of committee members that make questions, the ratio of present teachers in attendance should be increased. Fifth, the precise grading standard of the written examination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orrect answers should be disclosed in a clear manner to the public. Sixth, questions for evaluating a teacher's ability to provide personal guidance for students is required.

      • KCI등재

        초등 교원양성기관에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에 관한 셀프 연구

        하혁(Ha 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이 연구는 교육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초임 시간강사의 교수 경험이라는 실질적인 맥락 안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변화와 성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셀프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자이자 연구 대상인 ‘나’의 교수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교수 상황적 맥락에 대한 의미를 이야기로 전개해 나가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수집은 반성적 일지, 개인적 기억 자료, 온라인 수업 녹화 영상, 강의 계획서, 학생의 강의 평가 등을 통해 질적 자료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 중 연구자의 반성적 일지를 토대로 주제 분석을 실시했다. 이후 개인적 기억 자료나 온라인 수업 녹화 영상 등 보조 자료를 추가하여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세 가지 핵심 범주와 여섯 가지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다. 핵심 범주 ‘수업의 근간이 되는 것들’, ‘수업을 명시하다’, ‘교육전문가로 나아가기’와 이의 하위 범주 ‘경험과 편견’, ‘교육적 신념’, ‘문제상황에 직면’, ‘수업 해체하기’, ‘가르치고, 배우며, 연구하는 시간’, ‘좋은 수업’를 통해 시간강사로서 개인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전개하였다. 결론 ‘나’의 시간강사로서의 교수 경험은 ‘나’ 스스로에 대한 성찰과 ‘수업’에 대한 성찰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나’에 대한 성찰의 과정으로 ‘나’의 과거 경험과 현재의 인식이 수업 활동으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업’에 대한 끊임없는 반성과 실천 그리고 변화는 좋은 수업을 지향하는 교수자로서의 필수적 자질이었으며, 이러한 경험은 교육전문가로서 성장하는 데 밑바탕이 되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and the growth of a newly appointed part-time instructor in teaching experiences in order to take steps towards education experts.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teaching experiences of ‘myself’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subject was analyzed by using a self-research methodology. To develop the meaning of this teaching context into a story, narrative exploration was perform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used qualitative data through reflective diaries, personal memory data, online class recording videos, syllabus, and student lecture evaluation. Among the collected data,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er s reflective journal. After that,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dding auxiliary data such as personal memory data and online class recording videos.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ree core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Results Narratives on the personal experiences as a part-time instructor were developed through the core categories of ‘Bases for lectures,’ ‘Specifying the aims of lectures,’ and ‘Taking a step towards education expert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ing experiences of ‘myself’ as a part-time instructor were divided into ‘myself’ reflection and ‘class’ reflection. And the experiences were the basis for growth as an education exper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의 심층면접 평가에 대한 문제점과 발전방향

        이종형,이광재 교육종합연구원 2009 교육종합연구 Vol.7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an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of the examination system for employ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 of secondary schools, by grasp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 in-depth interview and researching possible changes of the essay test system.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on the basis of the Delphi method, which was repeated three times: First, the suggestion is that reliability can be raised by training interviewers in a sufficient level in advance. Second, concrete and detailed evalu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interview evaluation in the examination system for employ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tried for development. Third, the suggestion is that questions to evaluate explosive thinking, such as originality, logical power, leadership, etc., should be developed. Fourth, it should be tried that questions to evaluate personality of potential teachers can be developed and adopted in a diverse level. Fifth, the suggestion is that the number of interviewers in a various range of ages as well as interview time should be extended in order to ensure an in-depth evaluation. Accordingly, the interview time should be extended and interviewers should be composed of various ages in order to ensure fair and in-depth interview evalu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