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현황 및 인식 분석

        이미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단계적 도입에 따른 진로·학업 설계 지도 현황 및 인식을 분석하고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을 위해 보완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위해 교사와 학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교 구성원의 설문 조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통해서 진로·학업 설계 지도에 대한 학교 현장의 운영 현황과 변화 양상 및 진로·학업 설계 지도 관련 경험 및 요구를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진로와 직업> 과목은 1학년에 편성되어 있는 학교가 50% 이상이었고, 창의적 체험 활동에서 진로 활동은 평균적으로 1학년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진로·학업 설계 프로그램 중 선택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과목 설명회’와 ‘진로·학업 설계 상담’이다. 이는 학생들의진로·학업 설계가 교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고등학교 1학년 1학기의 진로 집중 학기제 및 1학년의 진로 집중 학년제를 내실 있게 운영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진로·학업 설계 지도 변화 양상에서 파악된 것은, 진로·학업 설계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활성화, 창의적 체험 활동을 통한 진로 연계 및 탐색 활동의 강화, 진로·학업 설계 지도에 대한 담임교사의 역할 확대 및 교원 전문성 강화, 학생의 인식 변화 등이 결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의 진로·학업 설계 지도의 협업 인식 제고방안과 축적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의 체계화 및 온라인 체제에서 학생 학업 설계 기록의 학년 연계 누적 기능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following the phased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o explore specific support plans for the full-scal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a survey of school members was conducted o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in the school field for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and the experience and demand related to career and academicn guida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ore than 50% of the schools organized in the first year of <Career and Vocation> were organized in the first year, and career activities were the longest in the first year on average. Among the career and academic programs, the highest rate of choice was ‘subject briefing session’ and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This suggests that students’ career and academic should be centered on the subject, and that the career-intensive semester system for the first semester of high school and the career-intensive grade system fo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should be properly operated. Diversification and activation of career and academic programs, reinforcement of career linkage and exploration activities through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expansion of the role of homeroom teachers in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reinforcement of teacher expertise, and change in student perception were identified in the changes in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o enhance the collaboration awareness of teachers’ career and academic guidance, systematize the functions of providing and sharing accumulated information, and strengthen the cumulative function of students’ academic records linking grades in the online system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현황과 지원 방안

        김현미(Hyun-Mi Kim),이수정(Soo J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현황을 분석하여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대상으로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학교 연차별로 차별화된 3종의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응답 결과 총 84개의 연구학교에서 응답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 조사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구성, 둘째, 진로집중학기제 운영을 통한 고1 학사운영 구안, 셋째, 진로·학업설계 지도 담당자 및 지도 현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많은 연구학교에서 교육과정 이수 지도팀 및 교육과정 전담 부서를 구성하였고, 고1 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진로 지도 프로그램 및 학업설계 지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는 교육과정 전담 부서에서 주관하거나 담임교사가 주축이 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담당 교사들의 업무 과중과 담당 인력 부족 등 운영상의 어려움도 파악되었으며,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의 체계적 운영과 역할 분담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진로 및 학업설계 지도를 위한 지원 방안으로 교사의 진로·학업설계 지도 전문성 신장과 내실화 지원, 진로 및 학업설계 프로그램 활성화 지원의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s of guiding career and studies and suggest support pla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Methods It conducted a survey of the guidance of career and studie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It developed three kinds of questionnaire for the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research schools, and a total of 84 research schools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It presented as the result of the survey first, organization of course completion guidance team,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first year school affairs as career-focusing semester, and third, the person in charge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guiding career and studies. As the result, a lot of research schools organized course completion guidance team and curriculum division, various career and studies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and curriculum division or homeroom teachers led mainly guiding career and studie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research schools were struggling from overwork of teachers in charge of guiding career and studies and labor shortages. Conclusions It suggested as the support pla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first, support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bstantiality of the guidance of career and studies, and second, support for promoting programs of career and studies.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유형 연구

        유우경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coming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dult career guidance by analyzing the career design type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it. The participants were seven adults who were working or looking for a job after college, and each of them participated in counseling to solve the problem of career transition. The counselor used six questions of career composition interviews to draw out the small stories of the clients, and they created an biographical grand career story called life portrait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de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co-construction of them. In this counseling, clients became clear about their career path and became convinced that they should pursue their lif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ir life stor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what types of career design in the clients can be classified in this counseling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and the client's change design type was derived as a part of revealing the substantive theory of the change process. As a result, the client types of ‘self-expansion design type’, ‘internal defense design type’ and ‘others consciousness design typ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types facing the career field were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benefit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the process wer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clude the specific measures for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client’s types, the need for preventive measure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use of storytelling intervention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career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진로 설계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 구성 상담과 성인 진로 지도에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이후 직장 생활하고 있거나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7명이다. 이들은 각자 진로 전환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담에 참여하였다. 상담자는 진로 구성 인터뷰의 6가지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들의 작은 스토리들을 이끌어내고, 내담자와 함께 이들을 구성-해체-재구성-공동구성하여 생애 초상화라는 전기적 거대 진로 스토리를 만들어 내었다. 본 상담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들은 자기 진로를 명료화하게 되었고 자기 스토리의 주인공으로서의 삶을 추구해야겠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연구 문제는 본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변화 과정을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로 삼았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변화 과정에 대한 실체적 이론을 밝히는 일환으로 내담자 변화 유형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확장 설계형’, ‘내적 방어 설계형’, 그리고 ‘타인 의식 설계형’ 3가지의 내담자 유형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현장에서 마주하는 내담자 유형들의 특성을 진로 적응가능성(adaptability) 관점에서 다양하게 논의하였고, 또한 진로 설계 서비스의 유익함과 그 과정에서 반성(reflection)과 성찰(reflexivity)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시사점으로는 내담자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을 위한 구체적 방안, 진로설계 서비스의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성 제기, 그리고 진로 실무에서 반성과 성찰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개입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진로⋅학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한 진로집중학기 교수⋅학습 지원 모형 개발 연구

        이민형,최정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진로집중학기에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학업 설계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지원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고교학점제 및 진로집중학기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5년 이상 경력의 학교 교육 전공자 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6일부터8월 3일까지 델파이 조사를 2차례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진로집중학기 설계 모형과 원리의 타당화 작업을 수행하였다. 결과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지원 모형을 개발하였는데, 1) 단위학교가 주체가 되어 진로집중하기를 설계하고 수행하며 평가하는 모형, 원리, 상세지침인 ‘단위학교 진로집중학기 설계 모형과 원리’, 2) 교사가 주체가 되어 진로집중학기의 교과/창의적 체험활동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모형과 원리, 상세지침인 ‘학습자의 진로⋅학업 설계 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과 원리’ 로 나눌 수 있다. 결론 이를 통해 진로집중학기에서 학습자의 진로⋅학업 설계 역량 신장을 목표로 통합적이고 유기적으로 진로⋅학업 설계 지도를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고교학점제 진로‧학업설계지도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장창곡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2 중등교육연구 Vol.70 No.4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진로‧학업설계지도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를 활용하여 인천광역시 소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1학년 여고생 2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자의 수업시간에 따라 진로‧학업설계지도 프로그램을 진행한 5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기존 진로교과서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한 5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10개 반의 모든 수업을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로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고교학점제 진로‧학업설계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고교학점제 진로‧학업설계지도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 향상에 효과적이며, 진로‧학업설계지도가 고교학점제에서 강조하는 학생의 소질과 적성에 맞는 과목 선택 및 진로․학습설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준다.

      • KCI등재

        국가 수준의 초등학교 진로교육 문서 설계 방식 탐색: 캐나다 British Columbia주 진로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나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향후 초등학교 진로교육과 관련된 국가 수준 문서의 재설 계 상에서 요구될 수 있는 개선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캐나다 BC주의 역량기반 진로교육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설계상의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초·중등 진로교육과 관련하 여 해외 진로교육의 문서 체계에 대한 소개와 기본적인 특징을 다루는 국내 학술연구 및 정책연구가 매우 제한적인 상황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진로교육 관련 문서의 설계와 관련된 향후 연 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교과 및 교육과정 연구자들이 개정 교육과정을 앞두고 가장 주목하고 있는 BC주의 진로교육 문서상 제시된 진로교육의 성격, 교육목표, 내용체계의 구조와 진술 방식을 중심으로 주요 특징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 구는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진로교육과 관련된 국가 수준 문서의 재설계 시, 1) 간명한 진로교육의 성격 진술, 초등학교 학년(군)별 주안점 및 평생학습 차원에서의 진로 의미 명시 필요성, 2) 진로교육 목표 진술에 있어서 핵심 사항 중심으로 기술 및 구체적인 세부 진술의 필요성, 3) 설계에 필요한 프레 임 워크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 4) 학년(군)별 특성을 고려한 위계성 있는 내용 체계 구현의 필요성, 5) 정교화된 초등학교 진로교육 내용체계 설계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new direction of re-designing national document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ahead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articularly, in the limited domestic contexts of academic and policy research climate dealing with the document systems of overseas career education in relation to primary and secondary career education,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national document design of career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ocuments of career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in British Columbia from three different aspects: characteristics, goals, and content structures of the care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meticulously discussed how the national documents of Korean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re-designed through pointing out five major issues; the necessity of articulating the cor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schools’ career education with grade-specific aspects, the necessity of writing core ideas with elaborative explanations in the goal of the career education, the necessity of systematic contents’ structure based on the grades, and the necessity of the elaborative design structure of competence-based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사회인지 진로자기관리모형에 기반한 청소년의 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설계역량 간 구조적 관계

        이주미(Lee, Jum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진로자기관리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설계역량 간 구조적 관계를 탐구하고, 그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청소년 456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및 결정 학습경험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과기대척도, 진로설계역량척도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청소년의 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진로설계역량 간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진로자기관리모형을 기반으로 한 경로분석모형의 모형적합도가 양호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진로자기관리모형이 청소년의 진로설계역량이 개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에 적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청소년이 진로 관련 정보를 학습한 것은 인지적 해석 과정(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을 거쳐 진로설계역량에 영향을 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design competency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elf-management. Also, mediating rol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and career design competencies were examined. A total of 456 adolescents’ self ratings on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 Learning Experiences scal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areer Outcome Expectation scale, and Career Design Competency scale were used. A path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studied in this study and a bootstrapping procedure was applied to test mediated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showed that the path analysis model had an adequate model fit. Moreover, results of the bootstrapping procedure indicat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ed effects between learning experiences and career design competencies. These results support that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elf-management can adequately explain the process to develop adolescents’ career design competencies. Also, adolescents’ learning experiences about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 influenced on their career design competencies through their cognitive interpretations(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

      • KCI등재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구성요인 간에 나타나는 구조적 관계

        신용주,허균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child concept, sociality, academics, career recognition, and career design preparation, which are the component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SPSS and AMOS analysis tools and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onsisting of positive child concept, sociality, academics, career recognition search, and career design preparation using 7052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data. It was analyzed using.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the academic factor was the normal level, and all of them were high. Next, the concept of positive child, sociability, and academic factors, which are the career basi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career recognition exploration, which is the career management area. Career recognition search factors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design preparation factors. Lastly,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positive child concept, sociability, schoolwork, career recognition, career design prepa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total effect between social performance and career design preparation was the highest. Therefore, the direction of effective career education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s a cyclical education in which career classes, career experiences, and career counseling work organically to improve the components of career foundation area, career management area, and academic area according to the hierarchy and stage. Should b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multiface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career class level to advance to the career design preparation factor through the career recognition exploration factor based on the sociality factor, which is the career foundation area. 본 연구는 진로개발역량 구성요인인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성, 학업, 진로인식 및 탐색, 진로설계 및 준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일반고등학교 2학년 학생 7052명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긍정자아개념, 사회성, 학업, 진로인식탐색, 진로설계준비 등으로 이루어진 진로개발역량 구성요인을 SPSS와 AMOS 분석도구 및 이를 활용한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구성요인의 특성은 학업 요인이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이 외에는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고등학생의 진로기반영역인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성, 학업 요인 등은 진로관리영역인 진로인식 및 탐색 요인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인식 및 탐색 요인은 진로설계 및 준비 요인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고등학생의 긍정적 자아개념, 사회성, 학업, 진로인식 및 탐색, 진로설계 및 준비 간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사회성과 진로설계 및 준비 간 총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고등학생의 효율적인 진로교육의 방향은 진로기반영역, 진로관리영역, 학업영역 등의 구성요인들이 위계와 단계에 맞게 향상될 수 있도록 진로수업, 진로체험, 진로상담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순환적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진로기반영역인 사회성 요인에 바탕을 두고 진로인식 및 탐색 요인을 매개로 하여 진로설계 및 준비 요인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진로수업 차원에서의 다각적인 교수학습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2009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 집중 과정’ 설계 방안 탐색

        민용성(in Yong Seong),백경선(Baek Kyung Sun),한혜정(Han Hye C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적합한 ‘진로 집중 과정’ 의 구체적인 설계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의 실천을 돕고 진로 집중 과 정의 내실화를 도모하는 데 있다. 학교 현장의 실제 진로 집중 과정 편성 현황과 선 행연구를 통해 진로 집중 과정(안)을 설계하였으며, 1, 2차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진로 집중 과정(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 고등학교의 진로 집중 과정은 4개 계열(인문사회, 자연이공, 예체능, 기타), 10개 과정(인문, 사회, 경상, 자 연, 공학, 의약, 예술(음악), 예술(미술), 체육, 기타)으로 제안되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진로 집중 과정을 내실있게 편성․운영하기 위한 정책 제 언으로, 세분화된 진로 집중 과정과 대학입학전형 간의 협응도 제고, 고교-대학 간 교육과정 정보 교류 및 대입 전형 방식의 타당성 제고를 위한 국가 및 시․도교육청 차원의 협의체 구성, 학교 현장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진로 집중 과정 편성 매뉴얼’ 개발․보급, 대학의 전공 계열 및 계열별 필수 이수 과목의 내용 범위에 대한 체계화 연구, 진로 집중 과정의 현장 정착과 학교 업무 체계의 효율성 담보를 위한 교원 수 급 방안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cheme for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Pathway-focused course of the general high school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constructs the effective scheme for organizing and implementing Pathway-focused course through investigating the current practice concerned with Pathway-focused course in general high schools. The validity of this constructed scheme was examined two times by a group of specialists consisting of teachers, curriculum specialists, and university professor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4 departments(Humanities․Social Studies, Natural Sciences․Engineering, Art․PE, the Others) and 10 courses(Humanities, Social Studies, Economics․Business,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Medical․Pharmaceutical Sciences, Music, Fine Arts, PE, the Others) should be established for Pathway-focused course in the general high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is study designates the following strategic suppor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athway-focused course ;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ordination between segmental Pathway-focused course and admissions to the university for ensuring internal stability of Pathway-focused course of general high school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uncil at the level of the nation or MPEAs for the active inter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mote the final scheme for Pathway-focused course to high schools.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study on ‘courses and contents in a field of specialization’ for the field utilization of Pathway-focused course. Lastly, it suggested facilitating the demand and supply of teachers.

      • KCI등재

        중학교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의 백워드 설계

        김아영(Kim A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진로활동을 통합하여 자유학년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을 백워드 모형으로 개발하는 데 있다. 수정된 백워드 개발 템플릿을 사용하여 백워드 설계 모형의 3단계의 절차를 거쳐 단원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설계된 ‘직업적 진로탐색’ 단원은 첫째, 바라는 결과로는 학생들이 자신의 직업적 기질을 이해하고, 관심 있는 직업 세계를 탐색하여 필요한 진로 의사결정을 수행할 것이 설정되었다. 둘째, 수용가능한 증거로는 전시회에 출품한 자신의 진로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일과 팀별 관심 직업군에 대한 웹진 창간호를 제작하는 일이 수행평가로 설계되었다. 셋째, 학습경험과 수업계획 단계에서는 직업 세계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는 활동과 수행과제를 완성하는 일, 진로장벽을 예상하고 극복방안을 모색하는 일을 포함하여 15차시의 단원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자는 수정된 백워드 모형을 활용한 단원 설계가 진정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목표설계의 세분화를 가능케 해준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설계한 단원이 창의적 체험활동과 자유학기제 및 교과 수업과의 통합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guidance program by backward designing which could be implemented in free-semesters. The unit title of ‘vocational exploring’ was integrated in the field of extra curriculum and elements of free-semester’s activity. Three stages of templates in the revised model of backward design were used in the study. To make a career relevant decision which was based on understanding my vocational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as a desired result in the unit of ‘vocational exploring’. Making a career portfolio and creating web-magazines were determined as acceptable evidence. The activities of a hook strategy, complet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vocational decision-making with overcoming career barriers were planned a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unit. The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 revised model of backward design enabled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ategorized objectives in the unit. Integrated form with extra curriculum and free-semester’s fields was suggested in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