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업계고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영향요인 연구

        윤지영,김한나,박수정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로 학생 개인 수준과 학교 수준에서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각 요인들이 학생의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고자했다. 이를 위해 2016년도 교육부‧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행한 직업계고(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직업반) 학생들의직업기초능력평가 전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요인에서 평가에 대한 목적을 인식할수록 평가 만족도가높고, 소요되는 시간이 길수록 직업기초능력이 높았다. 학교요인에서는 마이스터고, 일반고, 특성화고의 순으로 직업기초능력이 높았으며 설립구분에 따른 차이로 사립이 공립보다 높은 직업기초능력을 나타냈고 학교 별 취업률이 높을수록높은 수준의 직업기초능력을 보였다. 반면 학교에서 평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일수록 학생 개인의 직업기초능력은낮았는데 이를 통해 학교에서 평가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실제 학생 개인의 직업기초능력을 높이는 것으로는이어지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성별과 관련하여 개인의 영향요인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고 학교수준의 영향요인에서는여학교, 남학교, 남녀공학의 순으로 높은 직업능력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직업계고 학생 직업기초능력의 함양, 신뢰성과 타당성이 높은 직업기초능력평가문항의 개발 그리고 평가의 시행과 활용에 도움이 되는 유의미한 정책적기초자료를 제언함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basic job ability of the studen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n the student. To do this, we analyzed data on the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Upgraded Proficiency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 Meister school and Vocational class of General high school)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Chamber & Commerce Industry in 2016. As a result, it was found the higher basic ability of occupation when the higher satisfaction of the evaluation and the longer time spent. As for the school factors, the basic job ability was high in the order of Meister,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 high school.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showed that the private school had higher basic ability than the public school, and the higher percentage of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as the effort to evaluate the school has been made, the individual's basic job ability has been low but the school has made an effort for evaluation. This does not lead to the actual increase of the individual's basic job ability. According to gender, female had higher level of job ability than male. And in school factors, female, male and coeducational schools showed higher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ningful basic polic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job a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items of 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Upgraded Proficiency.

      • 직업능력개발센터 사업평가 및 활성화방안

        황아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연구개발 Vol.- No.8

        I. 연구의 목적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산하 직업전문학교는 2004년 말, 기능훈련 중심의 직업전문학교에서 복합적인 직업능력개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능력개발센터로의 개편을 통해 기능과 역할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센터 사업 전반에 걸친 평가를 통해 센터가 본래의 개편 취지에 부합하게 운영되고 있는가를 점검하고, 센터의 기능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II. 연구문제 첫째, 센터는 이전 훈련중심의 직업전문학교에서 복합적인 직업능력 개발서비스를 제공하는 센터로의 개편을 통해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성과개선을 가져왔는가? 둘째, 훈련·재활·네트워크 등 각 하위 사업영역의 성과는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는 영역별 운영현황 및 성과분석을 통해 고찰되었다. III.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직업능력개발센터의 사업평가를 결과중심의 효과성 분석과 과정중심의 현황?성과분석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효과성 분석은 센터(2005년)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한 수료생의 취업가능성과 고용안정성, 직장만족도가 직업전문학교(2004년) 수료생에 비해 개선되었는지를 준실험적 방법의 계량경제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또한 결과중심의 평가과정에서 포착되지 못하는 서비스와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기 위한 과정평가로서 훈련·재활·네트워크 영역의 현황 및 성과를 분석하였다. 효과성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2004년 직업전문학교 수료생과 2005년 센터 수료생 8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자료이다. IV. 연구결과 센터로의 개편 이후 복합적인 직업능력개발서비스 제공을 통한 수료생의 고용촉진 및 고용안정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수료생의 취업가능성은 개편 이전 직업전문학교 수료생의 취업가능성보다 36.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안정모형의 추정결과, 개편 이후 센터의 훈련을 이수한 후 취업한 수료생이 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은 개편 이전 취업자 보다 3.5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만족도모형의 추정결과 추정치는 0.151로 긍정적이나 유의성을 얻지 못해 개편 이후 센터 수료생의 직장만족도가 개선 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수료생들의 취업의 질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훈련·재활·네트워크 등 각 하위 사업영역에 대한 과정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개편 이후 직업능력개발훈련에 참여한 인원과 중증장애인의 참여비중이 증가하였으며, 장애유형별로는 간장애·안면장애·호흡기장애 유형이 미약하나마 새롭게 훈련과정에 진입하기 시작하였다. 둘째, 양성훈련 성과분석 결과, 양성과정(기능계열, 인문·사회계열, 특성화훈련)수료생의 취업률은 2004년 78.6%에서 2005년 79.2%로 증가하였고, 중증장애인의 취업률 또한 2004년 76.1%에서 2005년 79.7%로 높아졌다. 중증고용프로그램 수료생의 취업률은 2004년 83.5%에서 2005년 70.8%로 큰 폭으로 떨어져,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취업률 제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직업능력평가자와 재활프로그램 참여자들의 훈련과정 연계율을 분석한 결과, 2005년 한 해 동안 학사DB에 등록된 평가 인원 중 2006년 9월까지 센터의 훈련과정에 참여한 비중은 33.2%, 재활과정 8.5%, 훈련과 재활과정에 모두 참여한 비중은 4.0%로 연계율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습능력 향상과 신체능력향상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훈련 진입이 가능한 장애인을 위한 훈련 진입 프로그램 마련을 통해 훈련기회를 부여할 필요가 있을것으로 보이며, 평가이후 재활계획 수립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 연계방안을 구체화하여 연속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2005년 사회성프로그램, 신체능력향상과정, 전문화된 평가, 중증장애인직무체험과정 참여자 670명중 2006년 10월 말까지 훈련과정에 참여한 인원은 전체의 5.5%에 불과하여, 현재의 직업재활 프로그램은 훈련 진입을 위한 중간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네트워크 구축 현황 분석 결과, 현재 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 연계는 기관 간 협조에 의지하고 있어 실질적인 서비스 연계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 네트워크 연계를 위한 다각화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함께 네트워크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타훈련기관 지원 실적을 분석해본 결과, 공공직업훈련기관의 취업률이 2003년(63.5%) 이후 큰 폭으로 떨어져(2004년 32.6%, 2005년 33.7%) 취업률 하락에 대한 원인분석 및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센터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대한 수료생 만족도를 과정별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기간과 과정의 내용 및 수준에 대해서는 모든 과정의 만족도가 2004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계획과 진행, 정보와 자료의 제공, 담당교사의 충분한 지도, 강사의 강의기술 및 전문지식에 대한 양성과정의 만족도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효과분석 결과 중, 취업효과에 대한 결과는 센터 운영과 관련해 두 가지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하나는 장애인의 직장생활참여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단계적인 직업능력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중요한 시사점과 센터 개편 이후 1년여의 운영에 대한 평가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센터 활성화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재활프로그램은 훈련진입 및 취업을 원하는 장애인의 취업가능성과 고용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지원프로그램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기능훈련과 재활서비스의 복합제공을 위한 훈련체계 재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직업능력개발을 원하는 장애인에게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서비스제공을 위한 사례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넷째, 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업의 시행 후에는 적절한 평가를 통해 운영을 점검하고, 도출된 개선사항을 사업에 반영함으로써 사업의 효과를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각 사업의 본질에 적합한 평가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강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민선향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연세 교육연구 Vol.17 No.1

        최근 전문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내부적·외부적 환경요인들은 단기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전문대학 정체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 중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전문대학의 다양한 입학정책으로 야기되는 학생들의 기초능력 저하 문제는 가장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빠른 직업세계의 변화에 보다 유연하고 능동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도 기초직업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의 결손은 결국 평생직업능력으로 이어지지 못하며 이는 전문대학 교육의 실패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초직업능력 강화는 전문대학의 질 관리 측면에서 반드시 고민해야하는 과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기초직업능력 강화를 위한 총체적인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직업능력, 기초학습능력의 개념, 그리고 기초능력과 직무와의 관련 등 문헌연구를 통해 기본적 개념과 관련 논의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전문대학생을 위한 기초직업능력 강화 방안 모색 직업교육의 총체적 학습 시스템 안에서 탐색해 보았다. 앞으로 우리나라 전문대학과 전문대학생의 현실을 반영한 기초직업능력 강화 관련 실증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 실제 사례들을 통해서 그 효과성을 입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Recently, junior colleges have faced many difficultie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Especially, low academic level of students is one of the big problems. For the competition of junior college, the importance of basic workplace literacy should be emphasiz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workplace literacy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prior studies and reports were reviewed to establish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of basic workplace literacy. Then the following contents were examined: the need of workplace literacy for the junior college, conceptualization of workplace literacy and related perspectives,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skills, and the effective program frame for the development of workplace literacy. This framework derived from interpretative perspective. A number of strategies are suggested. The dire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is the integration of vocational and academic education, work-based learning, school-based learning, and connecting activities. The program frame was fccused on integrations of academic and vocational area; contextual 1- which enhances student learning and engagement; teachers who provide high expectations and positive feedback. For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related in basic workplace literacy will be needed.

      • KCI등재

        전문대학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운영 방안 연구

        김선희,권영심,신지숙 한국기업경영학회 2012 기업경영연구 Vol.19 No.2

        Many researches have emphasized necessary key competencies at the workplace in recent years because we have faced changes in the world of work and the implications of those changes for learning. However, colleges do not recognize rapid changes in workplace. Meanwhile, colleges do not prepare their students for work. In other words, colleges do not establish and develop programs and curricula which are included with basic skills, thinking skills, and personal quali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examine key competencies which students needed to succeed at work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improving of key competencies-communication skills, technology information application skills, interperson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work ethics-for a success vocational life of college graduates. 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d necessary skills for reinforcing lifelong employability, analyzed needs of employees who took charge of students in the workplace, and provided practical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s’ competen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ary skills of foreign countries and investigated needs analysis of employees about sub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pervisors who took charge in the workpla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irty five questions which were six categories of necessary skills in the workplace. Results could not generalized to other colleges because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M college students. Results of survey revealed that problem solving skill was the lowest one among the six categories of key competencies, and the second lowest one was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development. Otherwise, work ethics was the highest. Especially on problem solving skill, it appeared that followed words arrange the lowest in order-‘Students suggest innovative and unique idea to solve the problem.’ ‘Students constantly monitor their action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Students set up practical target to solve the problem.’ ‘On communication skill, supervisor’ response of question ‘Students are proficient in presentation skills.’ was the lowest and it of ‘Students communicate effectively in writing to clearly get across their ideas.’ was the second lowest on. Otherwise, on self-development, response on the ‘application of know-how and technology’ and ‘career development’ was relatively low in other terms. The major achievements from this study’s results were as follows. Programs of key competencies should be leaded, supported and operated by government, college, and each department in order for college students to acquire necessary key competencies. First, government should have concern, support financially, and suggest guideline for key competencies. Second, college should encourage and provide programs for students to reinforce their abilities. College should also develop simple manuals, divided into skill levels from basic to advanced, for each department. Especially, college systems should be integrated with students’ needs and institutions’ needs to be comparative. and investigated to demands of government, college, and department of key competencies. Third, each department should help students to have fundamental skills needed to succeed in the world of work. In order to do so, each department should understand how curriculum and instruction were changed to enable students to be comparative.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and redeveloped regularly by analyzing needs of industries and students. Last, government, college, and each department should be cooperative to efficient delivery and participate in teams for operating programs effectively. This study examined needs of supervisors who coached students in field about key competencies. But it will be needed to survey the students’ needs in key competencies. Therefore, it will be ne... 본 연구는 전문대학 졸업생이 급변하는 직업 환경 속에서 평생에 걸쳐 직업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직업기초능력-문제해결능력, 기술 정보 활용,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직업윤리, 자기개발-을 증진시키기 위한 운영방향 및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국의 사례 분석과 현장에 근무하는 실습 담당자를 대상으로 전문대학 학생들이 강화해야 할 직업기초능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기초능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M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전체 전문대학 재학생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설문조사결과, 직업기초능력 여섯 영역에 있어서 보통수준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낮고 그 다음이 ‘의사소통능력’과 ‘자기개발’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직업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소통능력이 뛰어난 학생일수록 다른 영역도 뛰어난 것으로 보고 있었다. 특히 문제해결능력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한 ‘참신하고 독특한 아이디어 제시’ 및 ‘자신의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 ‘실현가능한 목표 및 방향 설정’ 능력이 낮았으며, 의사소통능력에서는 ‘보고서 작성’ 및 ‘프리젠테이션’ 능력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개발능력’에서는 ‘알고 있는 지식과 기술의 활용’ 및 ‘자신의 능력에 대한인식’ 측면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업기초능력 중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직업윤리’에 있어서 학과 간에 약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직업기초능력 증진 방향 및 운영방안은 다음과 같다. 즉, 직업기초능력 프로그램 운영은 학생들의 평생고용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기초능력을 습득하도록 하되, 직업기초능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정부, 대학, 학과 차원에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직업기초능력을 수준별로 구분하여 운영하되 통합적이고 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학년별 혹은 단계별로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한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실습생을 지도하고 있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으나 후속연구로 실습생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함으로써, 실습생이 스스로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영역과 현장 담당자가 실습생에게 인식하는 능력간의 차이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에 대한 마이스터고 및 특성화고 교사와 산업체의 중요도와 타당도

        함승연,은태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1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mplications about continuous and stable operating and future directio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TEEN&UP) through analysis of importance and validity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which is performed by total inspection by Meister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Importance and Validity of including subject knowledge of curriculum and ability of problem-solving about the actual job situation as assessment element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was high. Second, Importance and Validity of lesson of 'Safety and Environment' of subject content elements of 'Industry entrance' and lesson of 'Drawing Plans based on Basic Drawing Methods' of subject content elements of 'Basic drawing'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was the highest. Third, All of Teacher and industries recognized that prac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of diagnosing and finding a solution in the event of unexpected circumstances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is most important. Forth, Appropriate question number of Action area of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was 2 questions on 'System analysis and execution', 2 questions on 'Explore and selection of Alternative‘, 3 questions on ’Execution and application of Alternative‘ and 3 questions on 'Evaluation of Alternative and generalizations’Finally, they recognized it most important to be information about the"collaborative situations with colleagues and superiors' as the questions material of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에서 전수 검사로 실시되는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현장 교사와 산업체의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와 직업기초능력평가로서의 타당도를 분석하여 직업기초능력평가가 지속적이며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상의 개념지식의 습득 정도와 실제 직업 상황의 문제 해결능력을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 요소로 포함하는 것이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타당도 또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 교육내용 요소 중 교과 1(공업 입문)의 ‘안전과 환경’과 교과 2(기초 제도)의 ‘기본 도법에 의한 도면 그리기’ 단원의 중요도와 타당도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 문제해결 과정의 문제해결능력 요소 중 문제해결 과정에서 돌발 사건이 발생한 상황에서 그 상황의 원인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실제적인 문제해결 과정이 산업체 관계자와 교사 모두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 행동영역 별 적절한 문항 수로 ‘체제 분석 및 실행’에 두 문항, ‘대안 탐색 및 선택’에 두 문항, ‘대안 실행 및 적용’에 세 문항, ‘대안 평가 및 일반화’에 세 문항이 가장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기초능력평가 문제해결능력 평가틀의문항 소재로 ‘동료나 상사와 협업 상황’에 관한 내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최은혜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단소속의 직업무용수들과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비직업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 수행능력성취감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무용수행능력에 변별력을 주는 자기관리행동의 하위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와 광역시에 위치한 7개의 무용단 직업무용수 300명과 최근 1년 동안 프리랜서로 활 동하고 있는 비직업무용수 300명으로 설정하였다. 직업과 비직업 무용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 비교를 위 해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고, 자기관리행동과 무용수행능력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유의도 α=.05로 설정하였다. 결론적으로 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자기관리행동의 훈련(연습)관리 요인이며, 비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영향요인 들과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이다. 즉, 직업무용수보다 비직업무용수들의 훈련(연습)관리 요인에 대한 부분을 개선시 킴으로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속적인 무용수로서 활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behavior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professional dancer of dance company(N=300) and freelance dancer(N=300).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If the data gathered through the survey were considered inadequate or unreliable, they were not used in the analysis. Only those data that could be analyzed and available were used by category to get the statistics in Window SPSS 18.0 version. Various statistics were used in the study including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Training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behavior variable were significant higher in dancer of dance company than freelance dancer but, there were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 between groups. Self-management variables partially affect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tow groups but not intrinsic behavior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behavior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professional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nacer group

      • KCI등재

        FGI를 통한 직업기초능력 관련 이슈 진단 및 최신화 방안 연구

        김진실,정동열,오춘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issues related Foundational Common Competency(FCC) in Korea and to prepare the plans for updating them through FGI. Specifically, issues were diagnosed and the updating plans were drawn, focusing on 1) the concept, area and contents of FCC, 2) use inf recruitment of FCC, and 3) certification and qualification of FCC.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used to conduct this research, and the exper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a total of 15 persons based on those with Ph.D. degrees in related fields such as pedagogy and HRD, and those with experiences in institutions related to utilizing the foundational common competency. From December 12th to 18th, the feasibility study was conducted through collecting opinion and questionnaires on major issues and improvements for a week.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FCC means the competency that all workers should have in common, and it is necessary at the level of employment. In the ope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mpetency based HR system, it is conceptually defined as the minimum standard of employment level and needs to be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finance and dissemination of FCC which should be able to serve as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education, training and recruitment. Second, the FCC are mostly used in the public notice and writing screening stage during the hiring stage, and only some institutions are used in the screening and interview screening stage. Due to the lack of budget for the project and the lack of examination in the FCC area suggested at the public announcement stag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ployment of the FCC were perceived as low. To improve this, the guideline for FCC evaluation should be developed, the qualification system for FCC evalua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the validity study of FCC should be reinforced. Third, FCC should be converted from subject based education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by reflecting it in the formal curriculum, and to certify the curriculum and institution that operates FCC. In addition, the FCC of small institutions should be handled by public institutions in order to, reduce the proportion of FCC when hiring, and in the long run, the system should be reviewed. 이 연구의 목적은 FGI를 통하여 직업기초능력 관련 이슈를 진단하고 최신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직업기초능력 개념, 영역 및 내용, 둘째, 직업기초능력의 채용에서의 활용, 셋째, 직업기초능력의 인증 및 자격화 방안을 중심으로 이슈를 진단하고 최신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총 15인의 전문가를 구성하여 2019년 12월 12일부터 12월 18일까지 주요 이슈 및 개선사항에 대한 FGI를 통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으로, 먼저, 직업기초능력은 입직자 시기부터 직업인으로서 공통적이며 기본적으로 필요한 능력으로 개념을 정의할 수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현행 10개 대영역과 34개 하위영역을 유지하는 안과 장기적으로 개편하는 안으로 영역의 최신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직업기초능력 교재는 학습자 및 활용자 오해 해소를 위하여 “가이드북”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가이드북 개발 주체 및 제시범위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 최신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은 채용 단계에서 대체로 공고와 필기 전형 단계에서 활용되며 서류와 면접 전형 단계에서는 일부 기관만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기초능력 기반의 문항 출제를 위한 개발 기간의 부족, 문항 개발을 위한 예산 부족 및 공고 단계에서 제시된 직업기초능력 영역에 대한 검사 미실시 등으로 인하여 직업기초능력 채용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이 낮게 인식되는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직업기초능력 평가 가이드 개발, 직업기초능력 평가자격 인증제 도입, 및 직업기초능력 문항 타당도 연구 확대 등의 최신화 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직업기초능력 관련 인증 및 자격화를 위해서는 정규교육과정에 반영하여 초중등교육부터 역량중심 교육으로의 전환 및 직업기초능력을 운영하는 교육과정과 기관을 인증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소규모 기관의 직업기초능력 평가는 공공기관에서 대행하고, 채용 시 직업기초능력 비중을 줄이며, 장기적으로는 직업기초능력 인증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 KCI등재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박동열,황영아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stablish the concept and dimensions of core competency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derive leveled main activities based on BARS(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 to develop reasonable test for diagnosing core competency, and to find out it's usage. This test was developed on basis of BARS process for improving validation and reliability. Accordingly, it was aimed to find out the level of core competency and main activities, which were inquired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onference with experts. Also we figured out the priorities of core competency inquired in business field and defined the core competenc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oreover, to develop the test based on BAR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the twice survey for teachers and the responsible persons in charge of Sect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uncils(SHRDC). As a result of this process and method, the 12-categorized test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with 6 to 10 behavioral anchors in each category and the definition of the category of core competency. Finally, the test result explained the gap between their responded level and the behavioral level required in business field. To find out the value of core competency and compare with its norm, students and teachers fill in the form of one decimal places. The result indicated that competencies levels which teachers evaluated were higher than the levels of businesses, except the numeracy area. This means that efforts should be strengthened for improving the numeracy skill and that the core competencies that required to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could be de-evaluated.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행동기술척도(BARS)에 기초하여 직업기초능력 수준별 주요 활동을 구안,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활용방안을 모색함에 있다. 이에 따라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내외 문헌 고찰 및 전문가 협의회를 통하여 전문계 고등학생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 및 주요 행동을 모색하고, 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직업기초능력 영역을 정의하였다. 또한 행동기술척도(BARS)에 의한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2차에 걸쳐 학생 및 교사, 기업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와 방법을 거쳐 수행된 연구 결과, 12개 영역에 해당하는 척도진술문이 고정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정의 및 각 영역별 6~10개의 행동사례가 제시된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진단도구를 통해 전문계 고교생 및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 결과, 12개 영역으로 구분된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은 모두 학업성취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계 고교생의 직업기초능력 수준은 수리능력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반적으로 기업에서 전문계 졸업생에게 요구되는 직업기초능력이 보다 낮게 나타난 것은 기업에서 요구되는 능력이 평가 절하되거나, 혹은 현장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적절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고용형태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

        최은혜 ( Choi Eun-hye ),김희진 ( Kim Hee-ji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들과 비직업 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알아보며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에 변별력을 주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무용수 300명과 비직업 무용수 300명을 표집으로 설정하였고, 선행 질문지들의 탐색적 요인 분석과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비교를 위해 독립적 t-test를 실시하였고, 심리적 안녕감과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 집단의 변별력 검증을 위해서 판별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적 유의도 α=.05로 설정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대인관계 요인은 비직업 무용수들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자율성 요인은 직업무용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 .05). 둘째, 본 연구의 직업무용수들을 무용수행능력성취감 요인의 신체관리능력 및 실기능력성취감, 무용수행자신감, 무용수행집중 및 무용수행성취 요인은 비직업 무용수들 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해능력성취감 요인은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05). 셋째, 본 연구에서 직업무용수들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은 환경에 대한 지배력 및 삶의 목적, 자율성, 자아수용 요인이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비직업 무용수들은 모든 하위 요인들에 부분적으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본 연구의 직업무용수와 비직업 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 변별력을 보여주는 결정적인 요인은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의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개인적 성장 요인이 직업무용수들의 무용수행능력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인이며,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비직업 무용수들이 명확하게 변별되는 요인이다. 즉, 이러한 부분들을 개선시킴으로서 무용수행능력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무용수로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and effectively determine which impact the factors will have on difference between dna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r. The subjects were dancer of dance company(N=300) and freelance dancer(N=300) engaged in korean dance, modern dance and ballet. For this study analys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data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was used various statistic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is study result are as follow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th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 higher in freelancer dancer(p<.05) but autonomy support was significant higher in dance of dance company(p< .05), There were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variables between groups(p. >05). The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 included environment governing power, purpose in life, self-acceptance and autonomy support partially affect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in dancer of company dance and the freelance dancer.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variable included autonomy suppor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an effectively distinguish the dance performance achievement between the dancer of dance company and freelance dance group.

      • KCI등재후보

        준고령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 및 욕구특성에 관한 연구 - 직업군인 전역자를 중심으로-

        박중호,변상해,Park, Joong-Ho,Byun, Sang-Hae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 is affected by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especially utilization of external cooperative network, government's policy funds and venture capital funds, using '2008 Venture Business Investigation'. This study further analyzed how the effect of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varies according to growth stag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ll variables related to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i.e. external cooperative network, government's policy funds and venture capital funds, were observed as affecting positively to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However, adjustment effect was not observed as statistically meaningful according to growth stage of venture business. Further analysis just observed that th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t each growth stage varies according to type of utilization of external resources. 본 연구는 준고령자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준고령자들의 기존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와 효과를 분석하고, 직업능력개발욕구를 조사하여 사회복지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시사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직업능력개발훈련 실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준고령자의 56.5%가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고, 훈련을 받는 이유로는 여가선용이 주된 이유였다. 훈련을 제공받는 곳은 인정훈련기관이 많았고, 훈련내용으로는 실무 기능습득교육이 주를 이루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과 관련하여 대부분이 전혀 비용을 부담하지 않았다. 85.2%가 훈련에 관한 정보를 주변 사람 등 제한된 경로를 통해 얻고 있으며, 훈련 후 취업지도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욕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매우 필요로 하고 있으며,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필요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로는 직업능력 향상이 가장 많았다. 이에 정책 대안으로는 준고령자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법제도 개선이 필요하고, 준고령자 직업훈련원의 설립하는 등 연구기관의 설립, 훈련실시기관의 담당자와 정책담당자 등의 전문 인력 양성, 훈련 대상자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프로그램개발 및 운영, 홍보강화 및 참여촉진, 직업능력개발훈련을 실시한 후에는 훈련수료자들이 전원 취업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후관리 및 재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