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주국제영화제의 주제의식과 콘텐츠 변화 연구

        유창석(You, Chang Suk),원도연(Won, Do Yeon)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1

        2000년 처음 시작된 전주국제영화제는 부산, 부천에 이어 후발주자로 시작되었으나 대안, 디지털, 독립이라는 주제의식을 내세워 16회 동안 이어져왔다. 영화라는 매체를 사용해 대안의 한 형태를 제시해왔고 영화제가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일반적인 주류영화에서는 다루지 않는 소외된 사람, 사물, 가치를 중심으로 한 영화들을 소개했다. 여성, 노인, 청소년, 동성애, 소수민족, 제 3세계, 국가권력과 자본에 의해 고통 받는 일반 시민 등 소외된 대상을 전주국제영화제의 중심으로 이끌어냈다. 전주국제영화제가 제시하는 대안은 디지털 기술의 활용과 독립영화 장르의 주목을 통해 가능했다. 전주국제영화제의 세 가지 주제의식은 영화제의 콘텐츠 구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해낸 것이다. 변화기에 놓여있는 전주국제영화제는 세 가지 주제의식에서 디지털을 떼어내고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대안, 디지털, 독립이라는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전주국제영화제의 콘텐츠는 변화했다. 콘텐츠의 변화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것은 JIFF 프로젝트인 디지털 삼인삼색과 숏숏숏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두 가지 프로그램이 지나온 것을 확인하는 것은 곧 전주국제영화제의 콘텐츠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JIFF 프로젝트는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직접 생산하는 콘텐츠들을 확인 할 수 있다면, 다른 섹션에서는 대안적 형태의 실험적 성격이 강한 독립영화들이 관객과 만날 수 있는 장을 제공하고 있다. 다른 국제영화제에서도 독립영화들에 대한 지지와 소개할 수 있는 섹션을 운영하지만, 전주국제영화제는 출범하면서부터 독립영화를 주목하고 그에 맞는 정체성을 내세웠다. 결과적으로 전주국제영화제는 16회가 진행되는 동안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대안적이고 실험적인 콘텐츠를 생산해왔다. 전주국제영화제의 주제의식이 이제는 기존의 디지털이라는 주제의식을 떼어내고 대안과 독립 두 가지로 주제의식을 수정했다. 제 1회 전주국제영화제가 출범할 당시 디지털이 가지고 있던 의미가 이제는 사라졌지만, 대안으로서의 성격은 유지되고 있다. 전주국제영화제의 대안적 성격은 지금도 유효하고 의미 있는 도전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대안영화들이 주류 영화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대안문화를 새롭게 해석하는 다양한 도전과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from the 1st festival held in the year 2000 to the 16th festival held in the year 2015 from an organizational aspect.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as a late starter after Busan and Bucheon but with its alternative, digital, and independent themes, it has continued on for 16 years. It has presented alternative forms using film media and it has covered various themes during its progression. It has introduced films that focus on people, objects, and values that are neglected and not covered by general mainstream films. Neglected subjects such as women, the elderly, adolescents, gays, minorities, those in third world countries, and general citizens suffering from government power and capital have been brought out as focused subjects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alternatives proposed by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ere made possible through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focus placed on the independent film genre. The three themes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the contents of the film festival.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n its changing phase removes the digital element from three themes and is preparing for a new leap. The contents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ve changed to place focus on alternative, digital, and independent themes. Changes in contents can be seen at a glance through the JIFF projects ‘Digital Short Films by Film Makers’ and ‘Short! Short! Short!’. The passing of the two kinds of programs shows the flow of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ontents. However the identity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s yet to become known to many people. Directors and actors who have produced works through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its numerous film contents have only been met by the limited number of people who have sought out the film festival. As a result, while the themes and film contents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ve fully been recognized for their value by film festival experts and enthusiast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it lacks popular appeal which would allow it to be experienced by many more people. In the future,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hould find ways to bring the contents that it has produced over the past 16 years to a wider public that also includes those who have visited and will visit the film festival. At thi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presented four methods with which to utilize the contents of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 KCI등재

        만화의 시나리오 전환 과정 고찰(1)

        홍재범(Hong Jae-beom) 한국현대문학회 200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3

        본고는 만화 〈올드 보이〉가 시나리오를 전환되는 과정에 대해 구명한다. 영화 〈올드 보이〉는 일본 원작 만화를 각색하여 영화화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색의 과정에서 변화의 주요 동력은 주제의식의 차이에서 발생하며 〈올드 보이〉 역시 마찬가지이다. 원작은 인간의 존재론적인 고독을 주제의식으로 삼고있다. 만화 〈올드 보이〉가 시나리오 〈올드 보이〉로 각색되면서 가장 크게 변화된 것은 주제의식이다. 시나리오 〈올드 보이〉의 주제의식은 복수의 대상과 결부되어 있다. 그것은 죄의식이다. 죄의식을 불러일으킨 최초의 원인제공자인 오대수의 말과 누나를 죽음으로 몰아간 이우진의 죄의식이다. 이우진의 죄의식이 오대수에게 투사되어 그를 감금하게 만드는 서사의 추동력으로 작용한다. 만화의 영화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변화는 매체 성격의 상이함에 의해 필연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만화가 제시하고 있는 감금의 원인은 인물의 행위가 사건의 중심이 되는 영화 매체에서는 수용하기 곤란한 것이다. 지나치게 관념적인 내용의 장면들을 그대로 영상으로 옮겨 올 경우 관객들은 흥미를 느끼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매개사건이 근친상간적 사랑과 말의 힘(소문)이다. 이 과정에서 인물의 추가와 성격변화가 발생하고 주어진 상황이 변경되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부각되는 주제의식은 인간의 자유의지와 진정한 사랑의 한계이다. 이러한 주제의식이 관객들에게 강한 호소력을 지닐 수 있는 것은 그것이 발견-깨달음과 함께 이루어지는 급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원작은 결말에서 인물의 내면을 고양시키는 발견-깨달음이 부재한다. 시나리오 〈올드 보이〉는 새로운 주제의식을 구현하기 위해 주어진 상황과 인물의 성격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변화시킴으로써 원작의 평면성을 넘어서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결과 각색 행위의 창조적 가치를 탁월하게 제시하였다. Focusing on the conversion of a comics into a scenario at the level of written text, this paper examined the adaptation of Old Boy(a comics). The movie Old Boy is an adaptation of Japanese comics. It is often observed that the gap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adapted is subject matter, and Old Boy is the same case. The comics deals with the ontological solitude of humanity. This theme has changed a lot when the comics was adapted into movie. The scenario Old Boy focuses on revenge. And revenge is caused by guilty. The guilty is Lee Woo Jin’s. His guilty made his sister suicide. His guilty was reflected into Oh Daesoo and made Lee himself imprison Oh. Such change emerging from the adaptation of comics into move is inevitable due to the difference of medium. The reason of imprisonment in the comics is hardly receptive for movie. As actions centres around event in it. The audience would not be interested when too much ideal things are transferred on the film. To avoid this, the movie employs the incestuous love and the power of speech, rumour. Here, another characters have been created and personality and given circumstances changed. Through this change, man’s will to freedom and the limitation of true love came to be the theme of the movie. The power of the theme into the audience is due to the fact that it comes with discovery-awareness. In it, a character experiences heightening his inner nature. The cartoon goes without discovery-awareness. The scenario Old Boy succeeded in overcoming the flatness of the original. It changed original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organically combined given circumstances and characters. And it built up the new subject matter. As a result of this, the excellent creativeness of adaptation has emerged.

      • KCI등재

        미술.도덕 주제중심통합수업이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김정아(Kim, Jeong A),노용(Row, Y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2

        디지털 또는 정보화로 특징지어진 현대사회는 전통적으로 분과적인 성격이 강한 교과교육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의 변화로 교육 역시 학습자가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인 동시에 현 사회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 간의 통합을 강조하는 통합교육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 이슈인 ‘저작권 침해’라는 현상과 관련하여 청소년의 정보통신윤리의식 부재의 심각성을 깨닫고 ‘정보사회에서 존중의 가치’를 주제로 선정하여 초등학교 6학년 미술과 및 도덕과를 연계한 주제중심통합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이 수업이 초등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을 위하여 먼저, 초등학교에서 미술교육과 연계된 정보통신윤리교육과 주제중심통합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한 후 이를 토대로 총 8차시 교수-학습지도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통합교육프로그램을 정보통신 윤리의식에서 동질집단임이 검증된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67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적용하고 ‘정보통신윤리의식검사지’를 통하여 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미술과와 도덕과의 주제중심통합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정보통신윤리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digital information requires new changes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which was used to be traditionally divided subjects. According to these social changes and needs, education needs to transform itself to be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integrate and emphasized these changes among various subjects.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integrated educ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issues faced by modern society learners and ways in solving them. Therefore, the chosen theme was ‘respect for the value of the information society’ which is related to the seriousness of absence and ignorance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nd ‘copyright infringement’ phenomenon among youth in the moder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ogram of integrated education for art and ethics. Apply developed program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of learn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rst item is to develop the theme-based integrated instruction through study. Secondly, develop teaching plan for 8 classes and materials according to theme-based integrated education model. Thirdly,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teaching the developped program to the S elementary school 6th grade 67 students in Yangcheongu Seoul.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appeared that theme-based integrated instruction gives good effects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improvement.

      • KCI등재

        현대시조 주제에 대한 비평적 고찰

        최재선(Choi Jae-Sun) 한국시조학회 2006 시조학논총 Vol.25 No.-

        이 글은 현대시조의 다양한 주제 양식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하여 시조의 제재를 시인의 자아, 혹은 인간사의 내면에 깃든 근원적 문제에 천착해 주제로 형상화한 작품을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자아성찰과 시인의 자의식과 시인의식을 주제로 다룬 시조에는 메타시조 형식의 시, 시 쓰기에 대한 ‘시론’격의 작품 등이 있다. 시인 자신이 자아에 대한 인식이 치열할수록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갈등을 통해 ‘부끄러움’을 느끼지만 이를 극복하고 의미 있는 시를 창작하고자 하는 진지한 자세와 시인의식이 주제로 표출된다. 둘째, 인간이 직면할 수밖에 없는 죽음의 문제를 다룬 시조는 죽음의 타나톱시스(Thanatopsis: 死觀)를 표현한다. 그러나 죽음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깊은 담론보다는 직정적인 감정과 죽음에 대한 단상들이 표현되고 있어 이러한 주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죽음에 관한 다양한 제재가 시조의 영역에서 주제화되는 것은 현실적 삶의 태도를 돌아보고, 생의 깊은 이면에 깃들인 인간의 본질적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셋째, 인간과 신에 대한 근원적 문제를 제기하는 주제의식은 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토대로 창작된 작품을 통해 나타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는 시조의 경우 속악하고 부조리한 현실의 삶을 방관하는 신의 의지에 대한 항의와 불만, 이기적 욕망으로 인해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적 사유를 바탕으로 쓰인 시조에는 역설적으로 신의 섭리에 대한 순명이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기독교 세계관과 종교적 신앙을 주제로 표현할지라도 시인이 지닌 자유로운 시 정신과 창작태도가 있다면 생경한 종교적 언어에 함몰되지 않고, 호교적 신앙시로 축소되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위에서 살펴본 몇 가지 주제들은 우리 시조의 관심을 피상적인 현실의 문제를 넘어 생의 깊은 국면으로 전환해 그 이면에 깃들인 인간의 자아의식과 고독, 삶과 죽음, 절대적 존재에 대한 물음 등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시인의식의 지평을 넓히고 현대시조의 주제 의식을 심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oetic theme is a unified principle of which a poet writes poems out in his work. Theme is a poet's central thought expressed in his works. And it was described on the basis of writer's view of the world and life. In this study, I divided the themes of modern Sijo into three kinds according to the materials for a poem. Especially I am interested not so much in the poems taking outer problems of human life for the subject of a poem as in poems dealing with fundamental problems of human life such as self-consciousness, death, God's presence. Firstly, in modern Sijo which deals with poet's self-reflection and self-consciousness as a poet, poets examine himself. And he intends to write poems more severely. The more poet reflects self-consciousness, the more earnestly he tries hard to write good poems. As a poet, he feels complication between real-self and ideal self, so he tries to conquer the shame made in the gab of them. And he takes writing poems into his divinely appointed work in life. A kind of meta-Sijo is written in this circumstances. Secondly, there are modern Sijo, which shows deep concerns in death problems of human life. Thanatopsis expressed in modern Sijo is connected with poet's personal experiences. In most cases, poet describes fragmentary thoughts, sorrows and agony after death of his intimate persons. In Sijo, however, poets don't dig into the death problem deep enough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But it is very significant work to take various materials of death into poetic themes in Sijo in that it makes us to reflect of human attitude of life. Thirdly, the poetic themes of dealing with fundamental problems of human and God are expressed in Sijo based on Christian view of the world. In such a poems, poet complains to God who looks in illogical human situations as a spectator of vulgar realities of life. But ultimately, poet expresses deep affirmation and obedience of God in his poems. So he manifests Christianity by the poetic paradox. Such poems change over the theme of modern Sijo the superficial problems of reality to the deep situation of life.

      • KCI등재후보

        협성대학교교육과정혁신을위한RWP 교육현황고찰 : 주제문 분석을 중심으로

        정대현(Jung, Daehyun)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19 교양학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협성대학교 RWP 교육과정을 혁신하기 위하여 교육 현황을 고찰하고, 이에 더 나아가 주제문 교육의 교수 방향에 도움을 주는 근거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업 시간에 시각디자인 학과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주제문 작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수업이 끝난 후 시각디자인 학과 40명에게 주제문을 교재에서 제시한 소재로 작성해 올 것을 요구하고 이를 e-class 시스템에 올리도록 요구하였다. 주제문은 다음과 같은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제문 작성에 근거가 되는 형식성, 참신성, 문제의식, 합리적 근거를 기준으로 학생이 작성한 주제문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서 각 요인별 평가 기준의 내용을 정하고 가치가 있으면 1점, 가치가 없으면 0점을 부과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는 주제문 형식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신성 요인도 그 타당성이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는 것에 는 주저함이 없었다. 무엇보다도 문제의식에 대한 점수가 가장 낮게 나왔는데 이는 문제의식이 형식성, 참신성, 합리적 근거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상관분석 결과 형식성은 참신성, 문제의식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문제의식은 형식성, 참신성, 합리적 근거와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는 주제문 교육에서 무엇에 중점을 두고 교수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in order to innovate the RWP curriculum of Hyupsung University, and to clarify the basis for the teaching direction of thematic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40 subjects of visual design in class were described for writing a thesis. After class, 40 visual departments were asked to write the text of the topic in the textbook and upload it to the e-class system. The thesis used the following analysis method. The student s written thesis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rmality, novelty, problem consciousness, and reasonable grounds upon which the subject was written. To this end,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factor was determined and 1 point for value and 0 point for no value were assigned.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had a poor understanding of the topic sentence format. And novelty factors were found to have low validity.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hesitate to express his argument. Above all, the score for problem consciousness was the lowest, indicating that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that problem consciousness is closely related to formality, novelty and rational evidence.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y factor revealed that formality was related to novelty and problem consciousness. And problem consciousness was found to be related to formality, novelty, and rational evidence, suggesting what to focus on teaching in the thematic education.

      • KCI등재

        장용학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

        홍상언(Hong Sangeo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0 No.-

        필자는 장용학 전기소설에 비해 연구가 미미한 실정인 후기소설에 대한 주제의식과 후기소설 연구와 같은 상황인 에세이를 천착함으로써, 장용학이 교육자이면서 한때 언론인으로서 비평적 태도를 보여준 지성적인 작가임을 다시 한 번 인식할 수 있었다. 후기소설 주제의식에 연계된 장용학 에세이 가운데 본고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 것만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다. 근대화로 인한 소외양상을 보여준 에세이에서는 善, 自由, 그리고 現代人에 대한 장용학의 소견과 자본주의 사회와 근대화의 병폐를 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의 주제의식에 연계된 또다른 에세이로는 도시계획을 강행하는 서울시장을 비판하고 있다. 독재정권의 고발을 보여준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박정희의 장기집권을 위한 대통령선거 여부에 대한국민투표 자체를 비판하고 있다. 왜곡된 일본사를 비판한 장용학의 에세이로는 일본인의 통념을 비판하고 있는 글이 있다. 이상으로 장용학 후기소설에 나타난 주제의식에 연계된 에세이 고찰은 장용학 전기소설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장용학 연구에 있어 총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Until recently, studying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was considered immaterial when compared to studying his earlier ones. A study of the author’s essay was also considered immaterial . This thesis is a review of a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This study, however, helped us re-identify Yong-hak Jang for his intelligence and critical temper in his capacity as author, educator, and journalist. We closely examined a part of the affiliated essay on subject consciousness seen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These essays reveal his critical bent of mind toward modernization, especially his views regarding the alienation of people from one another caused by modernization. His essay looks at not only the positive aspect of freedom and of modernization, but also at his opinion of the twofold capitalist society that emerged as a result of the so-called modernization. His essay is a reflection of his opinion about the city planning enforcement of a Seoul mayor. The essay criticizes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In the essay, he emphasizes the role of the plebiscite in long-term seizure of power from the Revitalizing Reforms system under the dictatorship of the government of Jeong-hee, Park. In the same critical fashion, his essay mentions the distortion of history introduced by Japan and his opinions about Japanese conventions . To conclude, the study on subject consciousness in the later works of Yong-hak Jang and its affiliated essa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a general study of the literature world created by Yong-hak Jang.

      • KCI등재

        「義勝記」의 주제 의식 고찰

        이연순(Lee Yeon-Soon)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서강인문논총 Vol.0 No.34

        본고는 滄溪 林泳(1649~1696)의 작품 「의승기」에 드러난 주제의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의승기」의 창작 배경으로 17세기 중반 사회와 문화, 그리고 창계의 생애와 학문에 대해 살피고, 「의승기」의 주제의식에 대해 두 가지 점을 밝혔다. 「의승기」가 창작된 17세기 중반 조선 사회에서는 병자호란을 겪은 사대부들이 벼슬을 거부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문단에서는 산문이 유행하며 문학의 향유층이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시대에 창계는 어려서 누이들에게 언문 소설을 듣고, 조부께 窮理修心의 학문에 힘쓸 것을 家學으로 전수받으며 「의승기」 창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창작된 「의승기」는 16세기의 천군전과 다르게 地上에 국한한 공간을 설정해 천군을 지상의 존재로서, 도적은 바다의 주인으로 제시하며, 宦海를 도적의 제일 요해처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천군을 돕는 충신으로 敬을 대변하는 성성옹과 義를 대변하는 맹호연의 인물 형상을 조화롭게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창계의 「의승기」는 벼슬[宦]을 경계하며, 敬과 義를 조화롭게 추구한 주제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당시 병자호란 직후 오랑캐의 무력적 침입에 의해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며 아울러 정신적 불균형 상태를 조화롭게 만드려는 유자들의 정신적 회복 의지를 보여준 작품이라 파악된다. This paper looked at the subject of consciousness exposed to 「Ui-Seung-Gi」(1664 works) written by Chang-Gyega Lim-Young(滄溪 林泳, 1649~1696). The first, I examined the creative background of the mid-17th century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then the life and learning of Chang-Gyega. The second, I analyzed the text of 「Ui-Seung-Gi」 and clarified the theme of 「Ui-Seung-Gi」 in two ways. As a result, I identified that 「Ui-Seung-Gi」 of Chang-Gyega is restoring self-esteem destroyed by barbarians invading and reveals the spiritual restoration by persuating harmonious state of mental imbalance.

      • KCI등재후보

        중년층의 효의식에 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

        박종윤,곽종형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tation on the parental support of middle-aged people,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 meditations affect the parents' throughout middle-aged counseling or educational activities, policies, and institutions. A total of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result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obel tes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sense of 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Thi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ationale and useful data that can be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hen it comes to counsel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the hyo ritual for the middle aged, parental support. The system can enforce it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 i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and will be able to make a useful resource. Second, Policies to Recognition for Hyo increase Hyo can sha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 would have to take measures. Third, the effects of Hyo-consciousness on parental support, Hyo-recognition, the content of Hyo and the theme of Hyo have affected economic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physical support without affecting the theme of Hyo on physical support. 본 연구는 중년층의 효의식이 부모부양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효의식, 부모부양에서 문제를 겪고 있는 중년층 상담이나 교육활동, 정책 및 제도에 중요한 이론적 근거와 유용한 자료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인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有意性) 검증을 위해 소벨 시험을 실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별 효의식, 부모부양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중년층을 위한 효의식, 부모부양에 대한 상담이나 교육활동, 정책 및 제도를 시행할 때 각 집단별 특성에 맞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와 유용한 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효의식이 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효의 주제가 신체적 부양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효인식, 효의 내용, 효의 주제가 경제적 부양, 정서적 부양, 신체적 부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부모부양의 인식을 고양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효인식과 효의 내용, 효의 주제에 대한 인식과 의식을 높이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의 마련도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중년층의 효의식이 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

        박종윤 ( Park Jong-yoon ),곽종형 ( Kwak Jong-hy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韓國思想과 文化 Vol.92 No.-

        본 연구는 중년층의 효의식이 부모부양에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 지에 대하여 심층적인 이해를 돕고, 효의식, 부모부양에서 문제를 겪고 있는 중년층 상담이나 교육활동, 정책 및 제도에 중요한 이론적 근거와 유용한 자료 등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총 8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인 SPSS 22.0 프로그램으로 통계분석을 실행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有意性) 검증을 위해 소벨 시험을 실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별 효의식, 부모부양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중년층을 위한 효의식, 부모부양에 대한 상담이나 교육활동, 정책 및 제도를 시행할 때 각 집단별 특성에 맞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와 유용한 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효의식이 부모부양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효의 주제가 신체적 부양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한 효인식, 효의 내용, 효의 주제가 경제적 부양, 정서적 부양, 신체적 부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부모부양의 인식을 고양하고 확대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효인식과 효의 내용, 효의 주제에 대한 인식과 의식을 높이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의 마련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tation on the parental support of middle-aged people, to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he meditations affect the parents' throughout middle-aged counseling or educational activities, policies, and institutions. A total of 8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program.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results we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obel test.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sense of efficacy and parental support. Thi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rationale and useful data that can be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hen it comes to counseling and educational activities, policies and institutions for the hyo ritual for the middle aged, parental support. The system can enforce it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gment i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and will be able to make a useful resource. Second, Policies to Recognition for Hyo increase Hyo can shar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I would have to take measures. Third, the effects of Hyo-consciousness on parental support, Hyo-recognition, the content of Hyo and the theme of Hyo have affected economic support, emotional support, and physical support without affecting the theme of Hyo on physical support.

      • KCI등재

        개화기 교과서의 주제격과 목적격에 대한 표기 분석 및 한글간찰과의 비교 연구

        김성옥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9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ubjects and objects of textbooks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and compare and interpret them related to the no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I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16∼19th centuries, when the final noun iwas closed syllable, the subject case tended to change as ‘ᄋᆞᆫ/은>은’ and the object case as ‘ᄋᆞᆯ/을>을.’ However, when it was open syllable, it was often ‘ᄂᆞᆫ’과 ‘ᄅᆞᆯ’ with ‘ㆍ’. I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the final noun was closed syllable, it was unified as ‘은’ or ‘을’ but when it was open syllable, ‘ᄂᆞᆫ’ and ‘ᄅᆞᆯ’ were dominant. The subject cases are ‘ᄂᆞᆫ, 는, 난, 은’, and object cases varied, such as ‘ᄅᆞᆯ, 를, 랄, 을’. In addition to thes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this study examined the subject and object cases of textbooks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Thus, ten kinds of the textbooks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showed ‘은’ and ‘을’ when the final noun was closed syllable. When it was open syllable, the national textbook showed the subject case of ‘ᄂᆞᆫ/는’ and object case of ‘ᄅᆞᆯ/를’ to ‘ᄂᆞᆫ’ and ‘ᄅᆞᆯ’. The private textbook showed 3 patterns. First, the subject case and object case showed ‘ᄂᆞᆫ’ and ‘ᄅᆞᆯ’ with ‘ㆍ’. Second, the subject case showed ‘ᄂᆞᆫ’ with ‘ㆍ’, and the object case showed ‘를’ with ‘ㅡ’. Third, the subject and object cases showed both showed ‘는’ and ‘를’ like modern Korean language. In this regard, it revealed that the ‘ᄂᆞᆫ’과 ‘ᄅᆞᆯ’ of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ere not unique features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Unlike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hich reflect highly spoken elements, the textbooks from the time of enlightenment reflected normative elements such as grammar consciousness. Therefore, this study argued that whether the final noun is closed or open syllable, it is characterized as unifying into one of two forms including the subject case as ‘ᄂᆞᆫ’ and ‘는’, and object case as ‘ᄅᆞᆯ’ and ‘를’. 본 연구는 개화기 교과서의 주제격과 목적격을 분석하고, 이를 한글간찰에서의 표기 특징과 관련하여 비교·해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16∼19세기의 한글간찰은 체언말이 폐음절이면 주제격은 ‘ᄋᆞᆫ/은>은’, 목적격은 ‘ᄋᆞᆯ/을>을’로의 변화 과정을 보이지만, 체언말이 개음절이면 줄곧 ‘ㆍ’가 있는 ‘ᄂᆞᆫ’과 ‘ᄅᆞᆯ’로의 양상이다. 그리고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의 한글간찰은 체언말이 폐음절이면 주제격과 목적격이 ‘은’과 ‘을’로의 단일화이나 체언말이 개음절이면 16∼19세기 한글간찰의 연장선이라 할 수 있는 ‘ᄂᆞᆫ’과 ‘ᄅᆞᆯ’형이 우세한 가운데, 주제격은 ‘ᄂᆞᆫ, 는, 난, 은’, 목적격은 ‘ᄅᆞᆯ, 를, 랄, 을’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본고는 이러한 한글간찰에 이어 개화기 교과서에서의 주제격과 목적격을 살피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개화기 교과서 10종에서는 체언말이 폐음절일 땐 ‘은’과 ‘을’로의 단일화임을, 체언말이 개음절일 땐, 학부 편찬 교과서에서는 주제격 ‘ᄂᆞᆫ/는’과 목적격 ‘ᄅᆞᆯ/를’이 ‘ᄂᆞᆫ’과 ‘ᄅᆞᆯ’의 양상을, 민간 교과서에서는 세 가지의 양상으로서 첫째, 주제격과 목적격 모두 ‘ㆍ’가 있는 ‘ᄂᆞᆫ’과 ‘ᄅᆞᆯ’형. 둘째, 주제격은 ‘ㆍ’가 있는 ‘ᄂᆞᆫ’형, 목적격은 ‘ㅡ’가 있는 ‘를’형. 셋째, 주제격과 목적격이 현대국어와 같은 ‘는’과 ‘를’형임을 살폈다. 이로써 한글간찰에서의 ‘ᄂᆞᆫ’과 ‘ᄅᆞᆯ’형이 비단 한글간찰에서만의 표기 특징이 아님을 논하였다. 그리고 구어적 요소가 높게 반영된 한글간찰과는 달리 개화기 교과서는 교육을 목적 하에 많은 피교육자를 독자층으로 한다. 이에 개화기 교과서에서는 문법형태소를 단일화하려는 편찬자의 표기 의식 등이 높게 반영되어 체언말이 폐음절일 땐 ‘은’과 ‘을’로, 개음절일 때엔 주제격은 ‘ᄂᆞᆫ’과 ‘는’, 목적격은 ‘ᄅᆞᆯ’과 ‘를’ 중에 어느 형태로든 둘 중 하나의 형태로 단일화하려는 특징임을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