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전략 분석

        왕해봉,조정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1

        사회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이 자신의 품위와 위상을 보여주는 럭셔리 상품에 대한 추구가 날로 많아지고 있다.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는 상품과 브랜드에 럭셔리의 가치를 더 부여하기 위해 브랜드와 상품에 감성적인 가치를 부여하는 다양한 다자인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럭셔리 브랜드와 디자인 믹스의 개념을 파악한다. 둘째,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에 대한 한국인의 인지도 및 선호도를 파악한다. 셋째, 3가지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전략을 비교 분석해본다. 넷째, 분석된 결과를 통해 다른 주얼리 브랜드의 가치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에 참고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2018년 한국 주얼리 시장의 브랜드별 선호도 상위 3개 전통적인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럭셔리 브랜드의 개념 및 특징을 고찰하였다. 둘째, 월곡주얼리산업연구소 사이트를 통해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인지도 및 브랜드 접촉 플랫폼의 조사결과를 도출하였다. 셋째, 실증적 사례분석으로 럭셔리 주얼리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전략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얼리 브랜드의 발전을 위해 정교한 공예와 창의적인 디자인이 중요하지만 브랜드 인지도와 판매액을 상승할 수 있는 이미지 마케팅과 PPL 마케팅 전략에 대한 투자도 필요하다. 그리고 디자인마케팅 전략과 선진적인 디지털 기술을 결합하고 소비자의 소비를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할 것도 매우 중요하다. As the social economy develops, people are increasingly pursuing luxury products that show their dignity and status. Luxury jewelry brands are actively utilizing various multi-party marketing that gives emotional value to brands and products to give more luxury value to products and brands.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concepts of luxury brands and design mix. Second, we understan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s for luxury jewelry brands. Third, we compare and analyze mixed marketing strategies of three luxury jewelry brands. Fourth, the purpose of the analysis is to provide reference to market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value of other jewelry brands. The research scope was selected as the top three traditional luxury jewelry brands according to brand preference in the Korean jewelry market in 2018. As a research method, firstly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luxury brands are considered through prior research. Seco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brand contact platform and the awareness of luxury jewelry brands were derived through the Wolgok Jewelry Industry Research Institute hompage Third, through empirical case analysis, the marketing mix of luxury jewelry brand was compared comprehensively. In the development of jewelry brands, sophisticated crafts and creative designs are important, but investments in image marketing and PPL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brand awareness and sales volume are also needed.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combine marketing strategies with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and actively induce consumer consumption.

      • KCI등재

        주얼리 브랜드 이미지와 Web Color System의 관계성 연구

        하상오,송영은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1

        근래에 이르러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의식 또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 있으며, 소비자들은 과거의 소비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그들의 가치관이나 사고방식 등에 따라서 소비방식이나 소비의식이 결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오늘날의 소비는 명품 족 혹은 L세대(Luxury Generation)로 언급되는 소비층이 새롭게 부상하게 되고 어떤 제품을 소비하느냐에 따라 그들의 가치관이나 욕구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감을 느끼는 소비자 집단이 등장하게 된다. 그 가운데서도 최근 소비자들의 중요한 소비영역으로 등장하고 있는 영역 중의 하나는 주얼리라고 할 수 있다. 주얼리 제품은 신세대 소비자, 특히 여성층에 가장 큰 소구력을 발휘하고 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특히 국내에서도 주얼리 시장의 급속한 확장과 외국 유명브랜드의 국내진출로 인하여 주얼리 시장에서의 경쟁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 경쟁력 제고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요즘 같은 브랜드 홍수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차별화가 더욱 중요해지면서 브랜드의 시각 아이덴티티의 핵심이 되는 브랜드 로고와 브랜드의 컬러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소비자와 소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컴퓨터 사용 환경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웹사이트가 다양한 영역에 걸쳐서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급부상하고 있으므로 웹사이트 디자인의 정체성과 효율성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환기시켜야 할 시점이다. 더욱이 웹사이트에서 메인페이지는 브랜드의 얼굴이며 로고마크, 브랜드 컬러, 패키지디자인 등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떠올리고 구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메인페이지의 컬러시스템을 중심으로 주얼리 브랜드 이미지와 컬러 시스템과의 관계성의 고찰을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컬러의 관계를 재정립하고, 컬러 시스템을 중심으로 주얼리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을 분석하여 주얼리 브랜드 이미지 강화를 위한 효율적인 컬러 디자인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Recently, in line with changes in the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consumers' consumption consciousness is also changing, consumers, without sticking to the past consumption patterns, tend to decide their consumption methods or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ir values or way of thinking. Especially,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Among them, one of spheres appearing as an important consumption one of consumers can be said to be jewelry. Jewelry products are those new generation consumers, especially a women class most purchases. Especially, even in the domestic markets, as competition in jewelry products is increasing day by day owing to rapid expansion of the jewelry market and foreign brands penetrating into the domestic market, raised competitive power in the design of jewelry brand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o survive in excessive brand days like today, differentiation of a brand becomes more important and the logo and color of a brand, which are essential to visual identity of a brand, became a very important element, and from the perspective of a company, it became a very important task to effectively communicate such an element to consumers. 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use environment and network technology, a web site rapidly comes to the fore as a strong communication tool spreading over various spheres, so that it is time to call our attention to the identity and effectiveness of a web site. Furthermore, the main page in a web site is the face of a brand and can lead to purchase, bringing the image of a brand in logo mark, brand color, color design, etc. to consumers' mind. So, it is urgent to establish a brand desig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seeking establishment methods of a color design system for a jewelry brand image by re-establishing relation between an brand image and brand color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a jewelry image and color system centering around color system of the web site main pate, and by analyzing jewelry brand design system centering around color system.

      • KCI등재

        주얼리브랜드와 컬러마케팅의 상관성

        최지아,안일훈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Background Among various consumer goods products, jewelery products are a representative product group that can express consumers' consumption sensitivity, and the interest of diversity of preference is increasing. As the competition in the jewelery market expands, it is very important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esign of the jewelry brand. However, color marketing of domestic jewelery brands and creation of brand value through them are considered to be insufficient in view of foreign jewelery brands. As a result, it is a reality that the brand recognition and industrial competitiveness are not secured. Methods Eight brands with high recognition and preference among jewelery brands were selected and color analysis was conducted. We surveyed and analyzed the color sampled in five areas of CI, web, advertisement, package and interior of each brand. Through this, we try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jewelry brand and color marketing. Resul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brand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famous brands, and the consistent color was used for the design elements of CI, web, advertisement, package and interior of the jewelry brand. It has been concluded that companies with color marketing through a consistent color system can increase their awareness and preference, and that brand image can be imprinted on consumers. Conclusion In order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differentiated jewelery marke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imprint the brand image with color marketing through systematic and consistent color system construction. The color of the beginning and the foundation of every design is a very important part to recognize the identity of the brand to consum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domestic jewelery brand with low recognition and preference will be reborn as a luxury jewelery brand through systematic color system management. 연구배경 다양한 소비재 상품 중에서 주얼리 상품은 소비자의 소비 감성을 표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 군으로, 기호의 다양성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주얼리 시장에서의 경쟁이 확대됨에 따라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 경쟁력 제고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현재 국내 주얼리 브랜드의 컬러마케팅과 이를 통한 브랜드 가치창출은 외국의 유수 주얼리 브랜드에 비추어 볼 때 상당히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 결과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고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연구방법 주얼리 브랜드 중 인지도와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 8개사를 선정하여 컬러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브랜드의 CI, 웹, 광고, 패키지, 인테리어의 5영역을 대상으로 샘플링한 색채를 조사·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주얼리 브랜드와 컬러마케팅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유명 브랜드의 인지도·선호도와 컬러는 상관성이 있으며, 주얼리 브랜드의 CI, 웹, 광고, 패키지, 인테리어의 디자인 요소에 동일 색상을 사용하여 일관된 컬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일관된 컬러 시스템을 통한 컬러마케팅이 확보되어 있는 기업은 인지도와 선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이미지가 각인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결론 앞으로의 차별화된 주얼리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일관된 컬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컬러마케팅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킬 필요가 있다. 모든 디자인의 시작이자 근간이 되는 컬러는 소비자들에게 브랜드의 정체성을 인식시켜주는 장치로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지도와 선호도가 낮은 국내 주얼리 브랜드도 체계적인 컬러 시스템 관리를 통해 명품 주얼리 브랜드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한·중 주얼리 브랜드 컬러와 마케팅에 관한 연구

        호옥 ( Hu Jin ),한석원 ( Han¸ Seok-w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미국 마케팅계의 "7초의 법칙"을 통해 컬러가 브랜드 마케팅 수단에서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브랜드는 컬러를 통해 제품에게 일정한 감정을 부여하고 브랜드의 사상을 대중에게 전달해야 한다. 많은 상품 속에서 주얼리는 소비자 개인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품이다. 주얼리 시장의 경쟁과 확장으로 인해, 브랜드는 주얼리 디자인에서 새로운 것을 더 많이 창조해야할 뿐만 아니라 브랜드가 컬러의 디자인에서 적당한 컬러를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6개 주얼리 브랜드를 택하여 컬러분석을 이루었다. 주얼리 브랜드의 로고, 앱 페이지, 패키지 3가지 방면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많은 연구조사와 참고문헌으로 구성되었다. 한국표준의 인증을 받은 종합정보센터에서 제공한 한국 표준컬러 분석프로그램을 통해 컬러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정리한다. 색상의 면에서 한국 주얼리 브랜드가 선택한 보조컬러는 기본적으로 메인컬러와 접근한 컬러계열이다. 보조역할을 하는 동시에 컬러디자인의 전체성(entirety)을 잃지 않았다. 중국 주얼리 브랜드는 보조컬러가 메인컬러들과는 차이가 커 강조하는 역할을 했지만 브랜드 컬러 디자인의 전체성은 잃었다. 주얼리 브랜드들은 한국과 중국을 막론하고 웜톤 컬러로 브랜드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웜톤 색상으로 주얼리 브랜드의 이미지를 살리할 수 있어 컬러 마케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품시장에서 주얼리 브랜드의 컬러 마케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컬러디자인의 전체성, 그리고 컬러의 인식도의 최적화된 선택을 통해 효과적인 컬러시스템을 구축하여 브랜드의 이미지를 높이고, 컬러마케팅을 통해 대중에게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 특유의 매력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The U.S. marketing community's "7 Seconds Law" showed that colors play a huge part in brand marketing. The brand must give certain feelings to the products through colors and it must convey the ideas of the brand to the public. Jewelry is a representative product that can express consumer personality in many products. Due to the competition and expansion of the Jewelry market, brands must not only create more new things in Jewelry design, but also use appropriate colors in the design of colors. In this study, six Jewelry brands were selected for color analysis. The Jewelry brands' logos , app pages, and packages are studied in three areas. It included a number of researches and references. It analyzed the data of colors and organized analysis results through a Korean color analysis program which provided by Korean Standard Certified Comprehensive Information Center. For colors, the secondary colors chosen by the Korean Jewelry brands were basically color series close to the main colors. At the same time, it had not lost its color design integrity. Chinese Jewelry brands emphasized secondary colors because they were different from the main colors, but lost the integrity of brand color design. In terms of positioning, both Korea and Chinese Jewelry brands used warm-tone colors to express their brand images. Choosing a warm-tone color c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lor market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lor marketing of Jewelry brands in the product market,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ffective color system. What's more, Jewelry brands should improve the brand's images through the entirety of brand color design and optimization of color recognition. In addition, Jewelry brands should also show the unique culture of the brand to the public through color marketing.

      • KCI등재

        패션 주얼리 브랜드의 로고 특성 연구

        신혜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1

        패션주얼리는 개성적이고 패션지향적인 표현문화의 흐름을 배경으로 빠른 성장을 하고 있으며 브랜드 가치 창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요구되고 있다. 패션 상품에서 브랜드를 타인에게 가장 가시적인 형태로 보여주는 한 요소가 브랜드의 로고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44개의 패션주얼리 브랜드를 선정하여 브랜드 컨셉 및 로고의 구성요소를 심볼유형, 서체, 색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 패션주얼리 브랜드 컨셉에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는 아름다움, 여성미이며 그다음으로 명품, 우아함, 현대적, 세련미등으로 나타났다. 패션 주얼리 브랜드 로고마크의 서체를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대문자와 볼드한 느낌의 산세리프 계열의 서체는 모던하고 심플하며 깔끔한 이미지를 표현하여 세련되고 쉬크한 컨셉을 지향하는 패션 주얼리 브랜드 로고마크에 그대로 반영하고 있으며 세리프계열의 서체는 우아하고 여성적이며 클래식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로고의 유형에서는 워드형 로고가 중심적으로 이는 브랜드 명칭을 모두 사용하여 정확한 브랜드 명을 전달하고자하는 정보전달의 기능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상형의 경우 구체적인 대상은 반지,왕관, 하트등을 이용한 이미지 와 캐릭터 동물( 강아지, 곰, 백조, 물고기 등)을 심볼화한 디자인이 많았으며 로고의 색상에서는 세련미, 합리성등을 추구하는 브랜드의 경우 black/grey계열의 색상 사용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 패션쥬얼리 브랜드 로고는 형태, 색채, 서체등의 시각적 특성에 의해 형성되어 브랜드 컨셉이나 기능 및 특징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has been rapidly growing amid with the help of the trend of the unique and fashion-oriented expression culture, raising the importance of marketing strategies to create brand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elements that compose the logos in fashion jewelry brand, considering that brand logo is one of the factors of a fashion product which shows the brand in the most visible way. For this study, 44 fashion jewelry brands were selected from KOREA Fashion Brand Annual and analyzed on the focus with symbol, word-type and colors.It was found that beautiful and “feminine” were the words most frequently used for fashion jewelry brand concept, followed by “luxury, elegance, chic, and “fashionable. It was also found that the fashion jewelry brand used the sans-serif typeface that represents the images of modern, simple and chic images in the typeface of logos and the typeface of serif series to give the images of ladylike, elegance and classical tenderness, as for typefaces of fashion jewelry brand logo marks. The word-type logos for jewelry brands used the full name of brands, thus suggesting that they put more emphasis on delivery of information rather than on the symbolic aspect. In case of combining characters with concrete objects, they were found generally to use objects that give elegance, cute and feminine image, such as ring, heart and small pets. Also, colors in the series of black/grey seemed to be used to convey the concept of jewelry brand that pursue such images as modern, sophisticate and practic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ashion jewelry brand logos formed by visual characteristics such as forms, colors and typefaces function as an important factor to represent the concept, functionality and features of a brand concept.

      • KCI등재

        LVMH의 주얼리 브랜드에 관한 연구 -크리스찬 디올, 루이비통, 프레드, 쇼메, 불가리, 레포시, 티파니 앤 코를 중심으로-

        신정혜,이형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LVMH is currently the fastest-growing luxury brand group, owning 75 luxury brands, five world-class jewelery brands, and jewelery divisions of Christian Dior and Louis Vuitton. However, studies on LVMH’s jewelry brands in Korea are insufficient. Therefore, by analyzing LVMH’s jewelry brands through various channels, I investigated what criteria the group selects and manages brands. LVMH first started acquiring Fred, a jewelry brand, in 1995, launched a jewelry division for Christian Dior, and acquired Chaumet. It was merged with Bulgari through a strategic alliance and launched the jewelry part in Louis Vuitton. It formed a partnership with Reposi and recently acquired Tiffany & Co. LVMH highly evaluated the jewelry brand’s tradition, Brad’s reputation, and product quality. When managing a brand in the group, the brand’s tradition, jewelry product quality management, design, marketing, and brand independence were divided into five elements and analyzed. It can be seen that by taking over, the unique identity and quality of the product were preserved, and the design was transformed to fit the trend. In addition, it was recently observed that LVMH’s jewelry & watch yields nearly doubled, and the group’s jewelry division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in the future. LVMH는 현재 가장 급성장을 이루고 있는 명품 브랜드 그룹으로서 명품 브랜드 75개를 보유하고 세계적인 주얼리 브랜드 5개와 크리스찬 디올과 루이 비통의 주얼리 파트를 소유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LVMH의 주얼리 브랜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다양한 경로로 LVMH의 주얼리 브랜드를분석함으로써 그룹에서 브랜드를 어떤 기준으로 선정하고 관리하는지 알아보았다. LVMH는 1995년 처음 주얼리 브랜드 프레드를 인수하기 시작하여 크리스찬 디올에 주얼리 파트를 론칭하고 쇼메를 인수하였다. 불가리와 전략적 제휴를통하여 합병하였으며 루이 비통에 주얼리 파트를 론칭하였다. 레포시와 파트너십을 맺고 최근 티파니 앤코를 인수하였다. LVMH는 주얼리 브랜드의 전통성, 브래드의 지명도, 제품의 품질을 높게 평가하였다. 그룹에서 브랜드를 관리할 때 브랜드의 전통성, 주얼리제품 품질 관리, 디자인, 마케팅, 브랜드의 독립성 5가지의 요소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구조적인 문제로 정체된 브랜드를인수하여 고유의 정체성과 제품의 품질은 살리고 디자인은 트렌드에 맞게 변형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최근 LVMH에서 주얼리&시계 수익률이 2배 가까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향후 그룹의 주얼리 부문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 KCI등재

        브랜드 주얼리디자인의 소비자 의식 조사 연구

        형성은 ( Sungeun Hyoung ),조광수 ( Kwangsoo Cho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 2022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6 No.1

        연구배경 국내주얼리 시장에서 브랜드주얼리는 시장 규모가 과거에 비해 감소하고 있지만, 아직도 전체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찾이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의식 변화와 가치에 맞는 주얼리디자인의 연구는 미래 불확실성이 높은 주얼리 시장에서 디자인의 새로운 전략을 세우는데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브랜드 주얼리 제품의 가치, 소비자 의식, 라이프스타일의 구매성향 등 소비자 의식과 관련된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연구는 1차 조사에서 소비자의 내부적/외부적 요인이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2차 조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적/사회적 인식수준을 평가하였다. 연구종합 1차조사의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인자(주변사람 의식, 브랜드의 우수성, 개인만족, 브랜드 가치)로 조사되었다. 2차조사는 3개의 인자(주얼리의 긍정이미지, 주얼리의 부정이미지, 주얼리의 일반적 이미지)로 조사되었다. 결론 기존 연구결과물인 주얼리디자인의 전형성 평가 연구 결과와 함께 종합해보면 주얼리 브랜드의 전형성 요소는 “시대성, 상징성, 기능성의 요인이 관련이 있다. 그리고 브랜드와 소비자 인식은 “주변사람 의식>브랜드 가치>브랜드의 우수성>개인만족” 순으로 관련성이 높았다. 또한 주얼리의 의식수준에 관련된 인자로는 주얼리의 긍정이미지>주얼리의 일반적 이미지>주얼리의 부정이미지“순으로 관련이 있었다. Background Although the market scale of brand jewelry is smaller than before in the domestic jewelry market, it still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in the whole market. Therefore, the research on jewelry design in line with the change of consumer awareness and value will become a reference for formulating new jewelry design strategies in the future jewelry market that with high uncertainty.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ducts’ value of brand jewelry, In order to understand jewelry well, the brand jewelry market, Jerry brand strategy and jewelry brand strategy were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survey. In the first the study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internal / external factors was analyzed. The second survey evaluated the personal / social awareness level of consumers. Comprehensive The factor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survey showed four factors ( awareness of surrounding people, brand excellence, personal satisfaction and brand value). Three parameters (positive image of jewelry, negative image of jewelry and general image of jewelry)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 survey . Conclusion Together with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the jewelry design evaluation, the typical elements of jewelry brands are related to the factors of the “times, symbolism and functionality”. The brand and consumers' awareness have high correlation in the order of “peripheral awareness > brand value > brand excellence > personal satisfaction” . In additi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level of jewelry awareness are the “positive image of jewelry > the general image of jewelry > the negative image of jewelry”.

      • KCI등재

        주얼리 브랜드 에쿼티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요소에 관한 연구

        위경효,강종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9 No.1

        아커의 브랜드 에쿼티 모델은 브랜드 에쿼티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명 인지, 지각된 품질, 브랜드 연상 및 기타 독점적 브랜드 자산을 기반으로 형성된다는 것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후 많은 후속 연구들이 아커의 모형을 적용하여 브랜드 에쿼티 측정을 시도해 왔으나 기타 독점적 브랜드 자산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얼리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로서 독점적 브랜드 자산과 다른 브랜드 에쿼티 구성개념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브랜드 관리와 발전에 유용한 통찰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모형 분석을 위해 두 번의 설문조사를 수행 하였다. 첫 번째 설문조사 데이터는 각 주얼리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5개 주얼리 브랜드 기업 종사자들로 부터 수집하였으며, 두 번째 설문조사 데이터는 각 주얼리 브랜드의 SCA로 규명된 요인들이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직각된 품질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그러한 브랜드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들로부터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주얼리 브랜드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 요인이 브랜드 에쿼티 구성 개념들(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은 특정 브랜드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브랜드 충성도의 중요한 동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는 각각의 주얼리 브랜드별로 각기 다른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에 전략적 포커스를 맞추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aker's brand equity model demonstrates that brand equity is developed based on the five dimensions of brand loyalty, name awareness, perceived quality, brand associations, and other proprietary brands assets. Henceforth, a number of subsequent studies have applied Aaker's model in order to measure brand equity and yet, without considering other proprietary brands asset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of proprietary brand asset as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f jewelry brand and other constructs of brand equity with the purpose of providing useful insight into brand management and advancement. For the purpose of analysing research model, two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he first survey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employees of five jewelry brand firms in order to identify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s of each jewelry brand and the second survey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customers with experience of purchasing those brands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those factors identified as SCA of each jewelry brand on brand image, recognition, perceived and loyalty. Results make evident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n the constructs of brand equity namely perceived quality,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nd brand loyalty. However, findings reveal that brand image brand awareness and perceived quality are not as important a driver of brand loyalty in some cases as put forward in previous research and evidence suggesting strategic focus of different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or each jewelry brand are required.

      • KCI등재

        주얼리 브랜드 구성요소들이 브랜드 인지와 차별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경효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1

        마케팅 문헌들은 차별화는 고객들에 의해 차이가 있다고 지각되어야 하며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Sharp and Dawes(2001)은 차별화가 현대시장에서 만연한 시장의 특성이라 주장하였다. 특정 시장 내 경쟁 브랜드들은 유사하게 차별화 되어 있으며 소형브랜드와 대형브랜드 간의 예측 가능한 부조화가 있을 뿐이라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브랜드는 주로 브랜드 수준보다는 개인의 구매상황 수준에서 차별화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얼리 브랜드 구성요소가 개인차원의 브랜드 동일시와 차별화된 수준의 브랜드 양쪽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또한 두 요인들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주얼리 브랜드 구성요소는 차별화와 동일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시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차별화는 동일시와 충성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사한 범주 안에 있는 주얼리 브랜드들은 유사한 차별화 수준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품질과 기업이미지에 있어 국내 주얼리 브랜드들 보다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들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러한 분야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주얼리 브랜드에 있어 가격은 여전히 품질 및 다른 브랜드 구성요소에 대한 판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주얼리 산업의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 몰입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여영(LYU, LING),최정애(CHOI, JEONG-AE)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1

        현재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주얼리 산업이 무한 경쟁의 시장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효율적인 브랜드 관리가 고객의 소비 성향이다. 본 논문은 주얼리 브랜드 개성과 소비자 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모형을 분석하였다. 브랜드 개성, 소비자 몰입, 브랜드 충성도 등의 요인들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25.0 및 AMOS25.0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로 첫째, 브랜드 개성 변수의 하위 변수(유능함, 역동성)들은 소비자 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개성 변수의 하위 변수(유능함, 역동성)들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개성 변수의 하위 변수(유능함, 역동성)들은 소비자 몰입이 매개변수로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얼리 산업의 브랜드 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소비자 몰입의 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몰입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소비자 몰입이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충성도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브랜드 개성은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소비자 몰입의 매개 효과는 부분매개로 인식하였다. Currently, efficient brand management is the propensity of customers to consume in order for the jewelry industry to survive in an infinite competitive market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analyzes the overall model to verify the impact factors of jewelry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 commitment on brand loyalty. Factors such as brand personality, consumer commitment and brand loyalty were selected, survey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25.0 and AMOS25.0. As a major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sub-variables (competence, dynamics) of brand personality variables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commitment (+). Second, consumer commitment has been shown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Third, sub-variables (competence, dynamics) of brand personality variables have been shown to be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 Fourth, sub-variables of brand personality variables (competence, dynamics) have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effects of consumer commitment on brand loyalty as parameter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brand personality in the jewelry industry directly affects the degree of consumer commitment. Furthermore, a higher level of consumer commitment means greater loyalty to the brand. It can be seen that consumer commitment serves as a medium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brand loyalty. However, since brand personality directly affects brand loyalty, the mediating effect of consumer commitment is recognized as a partial parame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