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류연규(Yunkyu Ryu),김영미(Young-Mi Kim)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4

        이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증폭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에 주목해, 젠더갈등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수준, 인식의 지형과 균열지점,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적 차원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누가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지 분석한 결과,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보수성향이 중도성향에 비해, 평등하고 진보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질수록, 젠더불평등인식수준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둘째,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과 젠더갈등인식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남녀를 구분해 분석한 결과, 여성은 젠더불평등인식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했다. 이에 반해 남성의 젠더갈등인식은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과 무관했고, 20대, 대졸이상, 보수적 정치성향, 평등한 성역할태도를 가진 남성이 젠더갈등을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현재 증폭되고 있는 젠더갈등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젠더불평등인식, 성차별경험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성별에 따라 다른 갈등해소 전략이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influencing gender conflict perception in Korea, where amplifying gender conflict has been experienced rec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 perception are gender inequality perception,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conservative ideology, and young generation of twenties. Secondly, gender is a moderator of gender inequality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sexual discrimination. Women perceive more gender conflict as they perceive more gender inequality or experiences more sexism. On the other hand, men perceive more gender conflict as they are in 20s while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reveal the factors of gender conflict perception are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to suggest the strategies to settle the gender conflict being differed by gender.

      • KCI등재후보

        젠더 문화 인식 차이가 젠더 범죄에 미치는 영향

        손경이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0 한국범죄정보연구 Vol.6 No.1

        연구목적은 성(sex)을 포함한 젠더(gender)로 젠더차별도를 측정하고자, 독립변수인 가정, 조직사회, 교육, 언어 젠더차별도와 매개변수인 젠더관점이 종속변수인 젠더범죄성 가정폭력, 성폭력에 대한 영향 관계를 검증을 위해 젠더차별도 설문지를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첫째, 인구 사회학적 변수들을 통하여 평균을 비교해본 결과, 모두 성폭력보다는 가정폭력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10대에서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결과 가정폭력은 가장 높았고 성폭력은 가장 낮았다. 둘째, 성폭력과 가정폭력과의 상관분석 결과, 가장 상관성이 높은 언어 젠더차별도와 교육 젠더차별도였 으며, 반면 상관성이 가장 낮은 결과는 성별과 교육 젠더차별도이다. 언어와 교육의 중요성을 통해 인식 차이를 줄여야 할 것이다. 셋째, 남성중에 조직 젠더차별도에서 권력리더쉽 인식도가 높을수록 성폭력이 낮아지는 결과, 반면 권력리더쉽 인식도가 높을수록 가정폭력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은 조직의 권력 차별도에 의해 가정폭력과 관련이 있기에 교육 때 방향을 살펴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은 교육 젠더차별도에서는 능력과 진로의 인식도가 높아질수록 성폭력과 가정폭력 모두 높아졌다. 교육을 통해 여성의 인식개선이 의미가 있다. 언어 권력 인식도가 높을수록 성폭력은 높아지고 가정폭력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남성, 여성 둘 다 조직 젠더차별을 막기 위해 예방 교육을 조직사회에 초점을 하여야 할 것이다. 최종, 조직사회, 언어문화에서 젠더차별도를 줄인다면, 성폭력, 가정폭력의 범죄예방을 감소 하는 영역으로 나왔다. 학교에서 젠더차별이 심하면 조직사회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통계를 보았 다. 문화의 연속성으로 남성은 성폭력에서는 언어 권력이 높을수록 범죄성향이 높고, 여성은 학교생활의 젠더차별도가 높으면 성폭력의 범죄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measure gender discrimination with gender including sex, collected gender discrimination questionnaires using Likert scal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perspective as a parameter and gender discriminational sexual violence as a dependent variable,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household, organizational, educational, and language gender discrimination.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average was compared throug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and all showed higher results in domestic violence than sexual violence. Domestic violence was the highest and sexual violence was the lowest among teenagers which the results significantly varied. Second,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the most correlated language gender discrimination and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were also the highest correlated results, while sex and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were also the lowest correlated results. Through the importance of language and educa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should be narrowed. Thir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ower leadership among men in organizational gender discrimination, the lower the sexual violence, while the higher the awareness of power leadership, the higher the domestic violence. Men should look at the direction of education because it i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due to the organization's power discrimination. Fourth, in terms of education gender discrimination, women's awareness of ability and career increased, both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Improving women's awareness through education is meaningful. The higher the awareness of language power, the higher the sexual violence and the lower the domestic violence. Both men and women will have to focus their preventive education on the organized society to prevent organizational gender discrimination. Finally, If gender discrimination is reduced, ecspecially in organized society and language culture, it has come to the realm of reducing crim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Statistics show that if gender discrimination is severe in school, it can even affect organizational society. Due to the continuity of culture, men have a higher tendency to crime in sexual violence when language poewr is high, and women can check the criminal tendency of sexual violence if they have higher gender discrimination in school life.

      • KCI등재

        트랜스 히스토리(Trans History) - 새로운 역사 분석 범주로서의 트랜스젠더 -

        이춘입 ( Lee Choonib ) 한국여성사학회 2021 여성과 역사 Vol.- No.34

        이 글은 최근 미국 역사학계에서 논의되기 시작한 새로운 역사 연구 분야 ‘트랜스 히스토리’(Trans History)에 대한 것이다. ‘트랜스 히스토리’란 기본적으로는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줄인 말이지만, ‘트랜스젠더’(transgender)에 한정된 역사 분야이거나 ‘트랜스젠더에 대한 역사’에 국한된 개념도 아니다. 트랜스 히스토리는 성소수자의 역사를 확장하는 차원을 넘어서며, 기존의 여성사, 젠더사, 퀴어사에서 강조되는 정체성의 범위도 초월한다. 왜냐하면 ‘트랜스’(trans)는 그 자체로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등의 정체성 범위를 넘어서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트랜스젠더는 하나의 젠더 정체성을 초월해서 경계를 가로지르는 운동과 실천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제 트랜스젠더는 그 자체로 새로운 역사 분석의 범주가 된다. 더 나아가 역사상 트랜스젠더는 섹스·젠더·섹슈얼리티뿐만 아니라 계급·인종과 같은 다양한 역사적 분석 범주를 가로지르는 교차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서, 트랜스 히스토리는 새로운 역사 분석 범주로서 트랜스젠더를 통해 역사학에서 교차성을 실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 히스토리는 기존에 여성·젠더사나 퀴어사에서 이론적으로 벗어나고자 했으나 실제로는 벗어나지 못했던 섹스의 본질주의를 벗어난다. 이러한 트랜스 히스토리는 주로 이성애 규범성 토대 위에 형성되었던 미국 역사를 새로이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계기를 제공한다. This article is about a new field of the study called “trans history,” which has recently been discussed in American history. Trans history is basically short for transgender history, but it is not limited to a “transgender” nor the concept limited to “the history of a transgender.” Trans history goes beyond expanding the history of sexual minorities and transcends the scope of identities emphasized in existing women’s, gender and queer history. This is because “trans” itself is a concept that goes beyond the identities of race, gender, sex, etc. Since a transgender means a movement and practice that transcends a gender identity and crosses boundaries, a transgender is now itself a new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Furthermore, in history, a transgender shows intersectional aspects across various historical analysis categories, such as class and race, as well as sex, gender, and sexuality. In other words, trans history realizes intersectionality in history through a transgender as a new category of historical analysis. In addition, trans history is beyond the essentialism of sex, which has previously sought to theoretically escape from women's, gender, or queer history, but has not actually escaped. This trans history also provides a new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on of American history, which was formed primarily on the basis of heterosexual normativity.

      • KCI등재

        우리나라 건강 연구를 위한 젠더변수모델 개발 및 적용 예비 연구

        우수정,김수,이혜숙,강민지,신승배,백희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2 No.2

        연구배경: 건강 연구에 젠더혁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젠더변수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도구가 필요하다. 젠더는 문화마다 다른 사회 문화적 개념이기 때문에 서구 국가에서 개발된 방법과 도구를 한국에서 사용하기 전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문헌에서 개발된 젠더변수 설문지를 한국인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설문지 보완과 타당성 예비 연구로 이루어졌다. 방법: 본 연구는 (1) 해외문헌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한국인에 적합하게 보완하기 위한 전문가 그룹 협의, (2) 남성과여성 수가 동일한 세 그룹의 연령대의 19세 이상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 조사의 두 단계로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7개의 젠더변수에 각 2-6개 항목, 총 24개의5점 Likert 척도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젠더변수 점수는 각변수에 포함된 항목의 Z-점수의 평균으로 계산되었다. 결과: 대상자들의 젠더그룹 분포는 남자 45.6%, 여자 43.9%, 그 외의 성 10.5%였다. 돌봄제공자 긴장, 일 긴장, 독립성, 정서적 지능 및 차별의 다섯 가지 젠더변수 점수는 성별과젠더 그룹에 따라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여성은 다섯 가지성별변수 모두에서 남성보다 높았지만 연령 그룹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젠더변수 중 일 부담, 돌봄제공자 부담및 차별은 건강 상태 및 건강관련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몇 가지 젠더변수가 한국 성인의 건강 상태 및 건강행동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비서구 국가에서 건강 연구에 사용된 젠더특성을 정량화하려는 첫 번째 시도이다. 본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와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실제질병 진단 결과를 사용한 분석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이 강행하는 성혁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곽혜원 ( Hye Won Kwa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1 조직신학연구 Vol.38 No.-

        여권신장·남녀평등 운동으로 시작한 초기 페미니즘은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을 거쳐 21세기에 들어와 젠더 이데올로기(gender ideology)로 변천함으로써 인류문명을 위협하고 있다. 나는 급진적 페미니즘과 젠더 이데올로기의 사상적 결합인 ‘젠더-페미니즘’(gender-feminism)을 전체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양자를 함께 조망해야 이 시대의 위기를 근원적으로 파헤치고 실효성 있는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젠더-페미니즘을 논의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글로벌 세계에서 여성 주도 성혁명을 강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 주도 성혁명의 핵심 전략 및 주요 특징으로는 1. 성별 해체의 젠더 주류화: 파워 엘리트 & 젠더-페미니스트 주도 위로부터의 혁명, 2. 성규범 해체의 성애화: 사회문화 전체에 타락과 패륜의 확산,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를 해체하는 비혼화: 여성 간 파행적 연대와 레즈비어니즘(여성 동성애) 강화를 들 수 있다. 여성 주도의 성혁명이 글로벌 세계를 횡행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 사회에서는 남녀 간에 극심한 대립을 통해 사회갈등 및 국민분열을 일으킴으로써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치닫고 있다. 양성(兩性) 간에 조롱과 혐오가 극단화되다 보니, 이성(異性)에 대한 견제와 경계가 나날이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급기야 남녀가 서로를 생존에 해로운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남과 여로 양극화되는 ‘성(性) 양극화’, 소위 ‘젠더 전쟁’이라 불릴 만큼 남녀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천부적으로 부여된 남녀 고유의 신체적 기능은 물론 남녀가 결합하여 이루는 결혼 및 가정이 지난 50여년 사이 급속도로 해체되고 있다.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성혁명의 폐해가 성규범의 해체로 이어지고, 이것이 인류문명사에 어떤 암울한 그림자를 드리우게 될 것인지는 너무나 명약관화한 일이다. 이러한 위기상황 속에서 21세기 한국 기독교는 1. 남녀의 성별 해체를 넘어 무수히 많은 성정체성의 다원화를 추구하는 젠더 주류화의 실체 및 폐해를 파헤치는 연구자들을 양성함으로써 건강한 성정체성 형성을 공론화해야 할 것이다. 2. 패륜적 성혁명이 강타한 21세기 문명사에서 사회 전체를 성애화(sexualization)시키는 흐름에 저항하고 사회적 성화(social holiness/santification)를 확산시켜야 할 것이다. 3. 이성애적 결혼 및 가족제도에 가장 적대적인 시대적 흐름에 저항하여 건강한 가정공동체 구축과 건전한 세대 전승의 사명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젠더-페미니즘이 강행하는 여성 주도 성혁명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면서 상생하는 남녀관계와 진정성 있는 양성평등을 구현해야 할 21세기의 시대적 요청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이제 21세기는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관계를 확립해야 할 전환점에 서 있는데, ‘성별 해체-성윤리 해체-가정 해체’로 치닫는 젠더-페미니즘에서 벗어나서, 남녀가 서로 공존·상생하는 길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중심주의, 남성을 억압하는 여성중심주의를 모두 내려놓고, 남성과 여성 모두의 존엄성이 회복된 공동체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Feminism in its initial stage, which started as a movement for empowerment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s threatening human civilization by transitioning from radical feminism to a gender ideology in the 21st century. I argue that ‘gender-feminism’, an ideological combination of radical feminism and gender ideology, should be discussed as a whole. This is because only when we look at both sides together can we understand the crisis of this era at the root and find effective countermeasures. The important reason we need to discuss gender-feminism today is that a female-led sexual revolution is taking place in the global world. The key strategies and key characteristics of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are as follows: 1. Gender mainstreaming of gender deconstruction: a revolution from above led by power elites and gender-feminists 2. Sexualization of deconstruction of sexual ethics: corruption in society and culture as a whole and the spread of infidelity, 3. Immortality that dismantles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strengthening of abnormal solidarity between women and of lesbianism(female homosexuality). In a situation where women-led sexual revolution is rampant in the global world, in Korean society, social conflicts and divisions between men and women occur due to extreme confrontation between men and women, leading to a social pathology. As ridicule and hatred between men and women are intensified, checks and vigilance against reason are increasing day by day. As men and women perceive each other as harmful to survival, gender conflict is intensifying to the point of polar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which is polarized into men and women, and so-called ‘gender war.’ As gender-feminism expands its influence, marriages and families made by combining men and women, as well as inherent physical functions, have been rapidly dismantled over the past 50 years. The evils of the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have led to the dissolution of sexual ethics, and it is very clear what kind of gloomy shadow this will cast on the history of human civilization. In this crisis situation, the task of Christianity in Korea in the 21st century is as follows: 1. The formation of a healthy sexual identity should be publicized by training researchers who reveal the true and harmful effects of gender mainstreaming, which seeks to diversify gender identity. 2.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hit by the sexu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to resist the trend of sexualizing society as a whole and spread social holiness/santification. 3. We must resist the trend of the times most hostile to heterosexual marriage and family systems, and fulfill the mission of building a healthy family community and passing on a sound generation. Finally, it should be accepted as a request for the 21st century to realize co-prosperity relations and sincere gender equality while concluding discussions on the women-led sexual revolution enforced by gender-feminism. Now, the 21st century is at a turning point where men and women ne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where men and women coexist and coexist with each other. something to do. It is necessary to put aside both androcentricism that oppresses women and feminism that oppresses men, and move toward a community in which the dignity of both men and women is restored.

      • KCI등재

        젠더전환수술과 성별 변경

        음선필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2

        Today, gender transitoning (transgender) is one of very important legal isues inKorean society. A legal isue directly related to it is the change of name and legalsex (legal gender). There is curently no law governing gender change of those whowant it through a gender(sex) reasignment surgery. Acording to the SupremeCourt's rule revised on February 21, 2020, gender transitoning wil be posiblewithout a genital reconstruction surgery. The revised rule, in efect, greatly expandsthe discretion of individual courts to alow gender change. As a result, theuniformity and consistency of the court decisions could be greatly undermined.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d for the legislation concerning legal sex change forwhich a gender reasignment surgery is required as a requisite. Legal sex changewithout botom surgery has numerous social problems. This inevitably negates thegender binary of men and women, and recognizes not only “third gender” but alsovarious genders. So it wil bring about the fundamental chaos of the nationalidentiy system and the huge disruption of legal order. In conclusion, the changeof legal sex may be permited only in the case of gender transitoning in the narowmeaning by gender confirmment surgery in the narow meaning, i.e., by a genital reconstruction surgery, on the premise of the gender binary. 오늘날 젠더전환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법적 쟁점의 하나이다. 젠더전환과 직접 관련한 법적 문제는 이름의 변경과 법적 성의 변경이다. 현재 젠더전환수술에 따른 성별 변경을규율하는 법률은 없다. 2020년 2월 21일 개정된 대법원의 사무처리지침에 따르면, 외부성기형성수술을 하지 않은 상태로도 성별 변경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개정된 사무처리지침은사실상 개별 법원에게 성별 변경을 허용하는 재량을 크게 넓혀줌으로써 법원결정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크게 해칠 수 있다. 이로 말미암아 젠더전환수술에 따른 법적 성 변경에 관한 입법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성기변환 수술을 하지 않은 젠더전환은 실로 여러사회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으로 말미암아 필연적으로 남성-여성의 젠더이분법(gender binary)을 부정하며 제3의 젠더 뿐 아니라 다양한 젠더를 인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협의의 젠더전환과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국가신원제도의 근본적인 혼돈과법질서의 엄청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법적 성의 변경은 젠더이분법을전제로 하여 협의의 젠더전환수술에 따른 협의의 젠더전환의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허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초기 기독교에서의 여성의 지위와 젠더 변환

        최혜영 ( Hae Young Choi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3

        젠더나 여러 젠더 변이의 개념을 통해 보면, 로마제국 당시 기독교도 사이에 표출된 젠더의 개념과 그 사회적 역할에 대한 개념이 시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을 보게 된다. 이 글에서는 초기 기독교 사회에 보이는 젠더개념의 변천을 주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젠더 역전과 관련된 내용이 두드러졌던 테클라와 페르페투아 및 프리스길라 세 여성을 중심으로 젠더 역전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테클라는 세례를 준다든가, 가르친다든가 하는 남성적 영역에 도전하였던 여성이었지만, 길을 나설 때 남성의 옷을 입고 다녔던, 즉 공적인 영역에서 남성적 젠더를 가져야 했던 여성이었다. 페르페투아의 경우, 영적 환상에서 여성의 젠더를 벗고 남성적 몸을 가짐으로써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반면, 그리스도가 여성의 옷을 입고 나타났다는 프리스카의 경우는 놀라운 젠더 역전의 사례, 젠더 평등의 한 국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여성형 소피아가 예수 그리스도 혹은 하나님으로도 교차되어 나타나는 Q 문서와도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관점은 사라지거나, 정통 기독교 세계로 수용되지 못하였다. 즉 평등한 젠더 전환이나 젠더 초월의 사례는, 사라지게 되거나, 이단으로 낙인찍히게 되었던 반면, 여성이 남성적 젠더를 취하는 것, 즉 여성을 없애는 것이 성스러움으로의 전환이라는 이념은 점차 확산되게 되었다. 이리하여 초기의 보다 젠더 교차 혹은 초월적인 사고나 가르침은 당시의 기존 가부장적 질서와 만나면서 점차 남성 중심적 젠더 체계로 변하게 되고 고착화되기에 이르렀다. This paper is to survey the meaning of trans-gender or gender reversal in early Christianity, tracing the process of intensification of women`s subordination to men and the patriarchical social order associated with gender. The reversal of roles between the social body and the physical body reflects the social oppression of the patriarchical society. The social status and roles of women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ies seems to be relatively equal to men. The practice of oral preaching as well as ecstatic experience or prophecy, as performed in the “New Prophecy” movement, would have given women more opportunities to play significant roles in the Christian community. However, as time passed, the social position of women became gradually lowered, the transition of which is reflected, in my opinion, in the gender reversal episodes. The cases of Thecla, Prisca and Perpetua illustrate the human body as a metaphor of the social body, offering particularly effective media for the transition from a relatively more egalitarian society to a more oppressive patriarchy. Prisca`s vision of Christ in the form of a woman shows a phenomenon of trans-genderism which could be permitted in the former. However, Perpetua who fought successfully against an Egyptian by becoming a man and Thecla`s dressing like a man show the tendency toward an `andro-centric` Christian society.

      • KCI등재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통해서 본 ‘젠더’

        권순정(Kwon, Sun-Ju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2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하게 하는 것이다. 기존의 젠더의 의미가 섹스의 불변성을 토대한 반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산물이므로 본질의 존재 자체를 부정한다. 그럼에도 기존의 논의들이 고정적 정체성을 가정하는 이유는, 버틀러의 논의에 의하면 인간존재의 이상적 모델로 설정해 놓은 가상의 세계가 혹은 담론이 의도하는 젠더가 ‘본질’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젠더는 그러한 가상의 세계를 패러디하는 정체성으로, 권력에 반복해서 복종하는 정체성으로, 제도의 금기를 내면화하는 우울증적 정체성으로 드러난다. 말하자면, 버틀러의 젠더는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통해 규정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두 가지의 논점을 통해 버틀러의 젠더의 의미를 명료화할 것이다. 즉 이 연구는 정체성의 본질이 가상임을 니체의 『도덕의 계보』를 통해 증명하고, 젠더 주체가 주권적 자율성을 가진 주체가 아니라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수행적 주체임을 증명한다. 『도덕의 계보』는 선·악의 구도가 인간이 설정한 이상, 즉 이분법적 구도로부터 출현한다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본질’의 의미를 깨뜨린다. 이 논의는 젠더 정체성의 고정성이 권력의 책략일 뿐이라고 말하는 버틀러의 주장을 정당화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언급되는 근대 주체에 대한 논의는 본질적 정체성을 가지지 않는 인간 존재가 제도 담론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논한다. 이 논의에서는 젠더가 어떻게 주권적 주체인 것처럼 형성되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수행적 주체임을 말하고자 한다. 그의 수행적 주체는 제도 담론, 즉 이성애적 이데올로기와 남근로고스중심주의의 분류를 통해 형성되고, 그것을 수행함으로써 비로소 사회의 성적 주체가 된다. 따라서 그의 젠더는 총체성이 영원히 보류되고, 주어진 시간대에 완전한 모습을 갖출 수도 없는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날 뿐이다. 버틀러의 젠더양상들, 즉 패러디적 정체성, 반복·복종의 정체성, 우울증적 정체성은 본질을 상실하고 제도 담론의 수행성을 수행하는 버틀러의 젠더의 모습이다. 그리고 그의 수행적 주체는 역사의 우연성 속에 존재하는, 변화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는 주체이다. The aim of this thesis clarifies the meaning of Judith Butler‘s gender. While the meaning of gender has been dependent on constant quality of sex, Butler‘s gender is a product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Butler‘s gender identity is of no essence. Butler‘s gender is regulated by the performative of system of discourse. Therefore, first, with genealogy of moral written by F. Nietzsche, this thesis refutes the point of view that identity essentially is being. According to genealogy of moral, good and evil are established on the assumption of human idealism. By exposing that they precisely appear in binary system, meaning of the essence is destroyed. According to Butler, it is only through the ruse of power that gender identity is fixed. Second, this thesis refuses the point of view that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It seems as if modern subject has sovereign autonomy, even though it is performative subject that acts on discourse. That is because of the performative of subject.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is formed by the system of discourse, more specifically, by consolidation of heterosexist and phallogocentric power regime. If they performed it, then, they become a sexual subject within society. Thus, gender is only a complexity whose totality is permanently deferred, never fully what it is at any given juncture in time. It appears in the context variously. Parodic identity that does not assume that there is an original, the identity of iterabilitive and subjective gender that does repetitively perform power, and melancholic identity that internalizes taboo of system or ritual all together are gender‘s appearance. They do not have essence. And they perform the system of discourse. Thus Butler‘s performative subject enters existence of the contingency of history, and it recognizes that endless change is its destiny.

      • KCI등재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서 젠더분석과 기술혁신

        김혜련 ( Kim¸ Hyu-r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4

        이 글의 목적은 젠더분석을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 제안하고, 젠더분석이 과학과 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실제로 어떤 기술적ㆍ실천적 지식 혁신을 가져왔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젠더분석은 궁극적으로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해소하고 공정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것을 추구하지만, 그러한 실천적 목표를 정당화하기 위해 먼저 합리적인 절차에 의거한 타당한 지식 산출에 기초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제도적ㆍ정책적 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젠더분석은 이른바 ‘지식 문제’에 대해 합리적이고 타당한 논증을 제시한다. 즉 젠더 분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편견과 무지에 기인하는 지적 손실을 막고 풍요롭고 도덕적으로 정의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균형 있고 책임감 있는 지식 생산 과정과 실천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이 글의 전반부는 젠더와 ‘지식 문제’에 중점을 두어 논의한다. 여성주의 과학 기술과 연관하여 지식 문제는 지식 생산에서 젠더의 입지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 하는 물음을 둘러싸고 전개되어 왔다. 과학적 지식과 젠더는 아무런 내적관계를 갖지 않는다고 보는 전통적 입장에 따르면 젠더는 오히려 과학적 지식을 오염시키는 오염변수가 될 수 있다. 과학자 자신의 개인적인 기호나 편견이 그가 탐구하는 학문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듯이, 젠더는 단지 연구자의 개인적인 문제일 뿐이므로 과학적 지식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 반면에 현실의 변화를 도모하는 기술가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변수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현실 세계를 초기 조건으로 갖는다. 변화를 추구하는 일은 연구자 자신을 비롯하여 기술의 잠재적 수혜자들의 신체적 필요와 욕구, 그리고 사회적 역할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그러므로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 과정에서 연구자의 젠더를 중요한 변수로 다루는 것은 오히려 객관적이고 풍성한 지식 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젠더를 고려하지 않는 과학이나 기술은 피폐한 최소주의적 지식을 산출할 수밖에 없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젠더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삼아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지식의 생산과 기술 혁신을 이룬 사례를 고고학과 자동차공학에서 제시한다. 여성의 삶에서 유의미한 활동들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고학적 자료에 접근할 때, 그러한 이해 없이는 접근할 수 없는 지적 지평이 열리고 창의적인 상상력을 통해 과거의 기술의 양태를 복원해낼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자동차 공학의 경우, 여성 운전자의 필요와 욕구를 분석하여 종래의 남성중심적인 자동차 설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볼보사의 YCC 사례를 보여줄 것이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offer ‘gender analysis’ as feminist research method, and to show how gender analysis can make possible knowledge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Gender analysis ultimately pursues to dismantle the barriers against autonomy and equality and to bring about ‘material change’ in women’s life. However, gender analysis as research method first must deal with the so-called ‘knowledge problem’ in order to justify itself as the matrix of rational, objective, and just knowledge. Therefore, feminist philosoph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ttempts to offer a valid argument for gendered scientific knowledge before s/he delves into decision making procedures toward new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is to say, gender analysis aims to protect men and women from intellectual loss due to gender-insensitivity and to offer practical initiatives for inducing the balanced and responsible knowledge producing process. I give some of the successful examples of knowledge or technical innovations from delivering gender analysis as research method in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I pick up two instances from Archaeology and Automobile engineering. Olga Soffer succeeded in making ‘a big find’ through reconstructing and reenacting of women’s craft and textile technology. Such findings can only be made possible by creating imaginative and gender-sensitive narratives. Women engineers team at the Volvo auto company designed the concept car ‘YCC’ in 2004. The car was designed to satisfy the professional and tasteful female driver. The design team applied Ergovision to YCC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hysically non-standard drivers and to enhance the level of security. The outcome was satisfactory and the team got the positive feedbacks from the professional dealers and ordinary people.

      • KCI등재

        스포츠 속 구현된 젠더고정관념에 대한 소고

        홍지은(Ji Eun Hong),임용석(Yong Suk Y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2

        스포츠는 사회의 변화를 직간접적으로 반영해주는 문화요소이자 사회의 축소판이다. 오랜 역사 속 사회 전반에 걸친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과 불공평은 기저적인 사회현상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사적으로 스포츠는 오랜 기간 ‘남성 중심 영역’으로 분류되어 왔다. 스포츠 분야의 젠더와 관련된 상당수의 연구는 여성의 젠더갈등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특정 스포츠 참여에 있어 남성 또한 젠더 고정관념에 따른 갈등을 경험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으로 구축된 ‘여성성’의 젠더고정관념을 갖은 스포츠 참여에 있어 남성들 또한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과 상반된 젠더유형 스포츠에 참가하고 있는 남성과 여성참여자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여 그들의 스포츠 참여 맥락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포츠 참여에 있어 젠더고정관념이 작용하는 맥락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알아보고 젠더 중립적 스포츠참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다.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정의된 ‘성’과 상반된 젠더유형 종목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그들의 경험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젠더유형과 상반된 종목 참여에 있어 연구 참여자들은 유사한 경험을 토로하였다. 남성참여자와 여성참여자의 유사한 경험은 젠더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보여준다. 남성 중심사회 속 구축된 견고한 여성 중심사회가 스포츠 속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적으로 구축된 젠더에 따른 갈등을 겪고 있는 경험이 비단 특정 ‘성’에게만 해당되지 않는 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의 젠더 고정관념으로 인해 국내 스포츠 종목은 불균형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젠더고정관념은 성에 따른 스포츠 참여를 장려하여 남성지배적 혹은 여성지배적 구조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양성평등이란, 특정 성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해당하는 ‘평등’의 개념으로 인식되고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Sports is a cultural element that directly and indirectly reflects changes of society, it also could defined as a microcosm of the society. Throughout the long history of sports, gender has been shown substantial effect on quality of practices,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Since women have experienced unfair treatment in sports participation, many papers related to gender in sports focus on gender conflicts of female and their participation challenges. However, gender is not synonym term of female. It determines social and cultural consideration both for male and female. Expanding the scope of gender, men also experience constraints on gender stereotypes in certain sports participation. Men are not also free to participate in sports with a strong social awareness of feminity.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difficulties of participating opposite gender stereo type sports both for women and men in Korea in-depth.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even the participants were faced with different situation in different sports,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had similar experiences. The results indicated new implications of gender. The participants explained existence of both male-dominated and female-dominated structure in s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ences of gender conflicts are not limited to specific gender. Due to the gender stereotypes of society, sports are having unbalanced growth. Because invisible pressure or promotion are existing in the society which make people to participate gender stereotype matching sports. Gender equality is not intended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specific gender. We should recognize a concept of ‘gender equality" is for both men an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