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형 공동체 가족’ 모델의 모색과 지원방안

        심영희(Shim, 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2

        이 글에서는 1) 한국 사회의 가족/친밀성 관련 갈등의 실태는 어떠한지 진단하고, 2) 가족/친밀성 갈등은 왜 발생하는지 구조적 원인을 밝히며, 3)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가족 내 젠더갈등을 해소하는 사회통합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벡(U. Beck)과 벡-게른스하임(E. Beck-Gernsheim)의 2차 근대성 이론과 개인화 이론에 입각하여 이런 가족/친밀성 갈등이 발생하는 역사적, 구조적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21세기형 공동체 가족’ 모델을 제시한 후 이를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밀성 영역의 갈등 실태와 관련하여 결혼의 감소, 이혼의 증가, 출산율의 저하 등에서 갈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태도와 의식의 문화적-담론적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이는 결혼이나 출산에 대한 태도가 변했기 때문이라기보다 여건이 되지 않아서 일어나는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족/친밀성 영역 갈등의 구조적 원인과 관련하여 벡과 벡-게른스하임의 2차 근대성 이론과 개인화 이론에 따라 한국사회를 분석한 결과 이러한 갈등의 원인은 급속한 산업화와 세계화의 영향으로 ‘개인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개인화는 서구와 달리 ‘개인주의 없는 개인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화의 결과 한국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가족을 ‘21세기형 공동체 가족’으로 개념화하고 특징을 제시하였다. ‘21세기형 공동체 가족’의 특징은 서구의 ‘가족 이후의 가족’과는 다르게 개인화와 가족지향성이 동시에 발견되며 평등한 부부관계와 일-가족 양립의 과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친밀성 영역의 사회통합을 위해서 ‘21세기형 공동체 가족’의 지원방안을 제도적 차원과 문화적 동기화의 차원에서 제안하였다. 평등한 부부관계를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서는 친족법을 혼인법으로 바꾸는 것을 제안하였고, 일-가족 양립과 관련해서는 가족친화적 기업모델의 개발, 일-가족 양립 모델 개발, 보살핌노동의 사회화 등을 제안하였다. 문화적 동기화 차원의 지원방안으로서는 소통을 통한 평등이념의 개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타파, 기업의 사회적 책임윤리 확산, 보살핌노동의 사회화 담론 확산 등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is aimed to do the following: 1) to diagnose the present state of th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in Korean society, 2) to reveal the structural backgrounds of thes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and 3) based on these analyses to suggest measures of social integration to resolve the gender conflict within the family. More specifically, this article is to utilize the second modernity and individualization theory of Beck, analyze the historical structural context in which th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occurs, and suggest a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and measures to support i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present state of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s, they were noticeable in the decrease of marriage, increase of divorce, decrease of fertility rate, etc.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structural-objective dimension. However, it was also noticeable that in terms of the cultural-discursive dimension, it was not due to the change of the attitude toward the marriage and fertility, but because the conditions for marriage or birth were not available. Second, as to the structural background of the family/intimacy-related conflict, the author, applying the second modernity and individualization theory of Beck, could claim that the background of this conflict is due to the "individualization" pushed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However, the individualization in Korean society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ern Europe and could be characterized as "individualization without individualism." Third, the author conceptualized the new family which emerge with the individualization in Korea as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and tried to provide its characteristics. The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is, characterized by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orientation and family-orien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post-familial family." It has to fulfill the task of equality of the husband and wife as well as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Fourth, for the social integration in the family/intimacy area, that is, for the "community family model of the 21st century", the author suggested support measures in terms of institutional and cultural motivational dimension. For the institutional measures, the author suggested the change of family law into marriage law for equal spouse relationship, and development of the family-friendly enterprise model, socialization of care work for the compatibility of work and family. As support measures for cultural motivation, the author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the idea of equality through communication, the throwaway of gender division of labor, diffusion of the social ethics of the enterprises, and the discourse of socialization of care work, etc.

      • 서평 :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Paris, capital of modernity)』

        김동훈 ( Dong Hun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0 도시인문학연구 Vol.2 No.2

        이 글의 목적은 영국 출신의 지리학자 데이비드 하비의 책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Paris, Capital of Modernity)』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속에 담긴 인문학적 상상력의 깊이를 가늠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평자는 우선 하비가 보들레르의 힘을 빌려 정의하는 근대성 개념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하비에 따르면 근대는 그 이전에 배태되어 있던 가능성의 발현이면서 동시에 창조적 파괴를 통한 그 이전의 역사와의 단절이라는 이중적 성격을 지닌다. 그런데 이를 통해 근대성을 형식적으로 정의할 수는 있겠지만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제시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정의는 근대성을 근원적으로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지만 다른 한편 하비는 구체적 상황들을 분석하고 설명하기 위해 끊임없이 보들레르, 플로베르, 발자크, 도미에 등의 시나 소설, 삽화의 도움을 구하는데, 이러한 인문학적 상상력은 통계숫자와 공식적인 문건에만 매달리는 연구로는 절대로 접할 수 없는 사태의 이면을 통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의 글이 매우 흥미롭게 읽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그가 오늘날 역사지리학자로서,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로서 누리고 있는 명성이 근거 없는 것이 아님을 여실히 보여준다. 하비가 이 책에서 주로 고찰하고 있는 것은 1848년 혁명과 그 이후 등장한 1848 제2제정 하에서 파리가 겪은 엄청난 변화, 그리고 그 결과로 인해 발생한 1871년의 파리 코뮌이며, 그는 특히 제2제정 파리지사였던 오스망이 입안하고 실천에 옮겼던 엄청난 도시재편계획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로 인해파리는 프랑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유럽의 자본주의 발전에 있어서 모범적이고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근대성의 수도라는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런 의미에서 『파리』는 오늘날 도시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를 파악하려는 이들에게나 창조적 파괴를 통하여 도시의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이들 모두 에게 필독서로 추천되기에 부족함이 없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analyse the content of "Paris, Capital of Modernity" which is a recently published book of David Harvey. To this purpose, I analysed the characteristic of modernity which Harvey suggests by the help of the Baudelairian concept of modern art. For him, modernity has a dialectical structure which consists of the contradiction between realization of the possibility of former period and radical rupture with former history through creative destruction. But this definition is insufficient for an enough explanation of modernity, for it can only formally suggest the definition of it, but not the content of it. Meanwhile, Harvey cites incessantly poems of Baudelaire, romans of Balzac, illustrations of Daumier in order to analyse and explain the concrete events and situations. This enables him to get an insight to the innermost nature of reality, which is impossible to get for a geological research which clings only to the official statistical data. Herein can we find the reason why one can read this book with ease and with great interest. These facts shows that there is a reasonable ground for the reputation which he nowadays enjoys as a historical geologist and a Marxist theorist. Harvey examines in this book principally the revolution of the year 1848, the dramatic change which Paris experienced under the rule of the Second Empire and Paris Commune of the year 1871. Especially, 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building of Paris which Haussmann, at that time the prefect of Paris, designed and materializ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Paris was the capital of modernity which played the leading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not only in France but also in the whole of Europe. For this reason, "Paris, Capital of Modernity" can be regarded as a book which must be read by the people who will grasp the meaning of the change in the contemporary cities and also who seek after the change of their cities by creative destruction.

      • KCI등재

        사회과학의 고전과 대학의 교양 수업 -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호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firm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tasks of Dongguk University’s <GreatBooks Seminar on Economy and Society>(<GBSES>) by examining the actual operation case of it(the first semester of 2021). In general, Great Books Seminar(GBS)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skills(CCS1)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CCS2). <GBSES> is held for classics or Great Book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insight to grasp modernity in addition to the merits of GBS in general. Class was centered on group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but in light of the students’ lecture evaluations, it was found that It was found that these advantages were not fully exhibited. Although many students evaluated that they received a lot of help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few evaluated that they received help in cultivating CCS1 and CCS2, and som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group activity. This means that <GBSES> course does not stop at cultivating an eye or insigh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but also have a task of securing ways to enhance CCS1 and CCS2. Of course, It is not easy of CCS1 and CCS2 to improve with just one semester class, and it may not be easy for students to comment on whether these skills are improved in lecture evaluations. Even so, it cannot be deni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secure a way to improve CCS1 or CCS2 in the long term as much as improving the eye to understand modernity. 이 글은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의 실제 운영 사례(2021년 1학기)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개선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명작세미나는창의·융합 능력과 소통·협력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는 사회과학 분야 고전 혹은 명작을 대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명작세미나 일반의 장점 외에 근대성을 파악하기 위한 안목과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장점까지 지닌다. 이러한 교과목을 조별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운영했는데, 학생들의 강의평가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학생들이 근대사회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는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했지만,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한 학생은 거의 없으며, 일부 학생은 조별 활동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드러내기까지 했다. 이는 곧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 교과목이 근대 사회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나 통찰력을 함양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창의·융합 능력, 소통·협력 능력 등을함양하기 위한 방안의 확보를 과제로 떠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론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은 1학기 수업으로 쉽게 향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학생들이 강의평가에서 이러한 능력의 향상 여부에 대해 언급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도 근대성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향상시키는 것만큼이나 장기적으로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부인될 수는 없을 것이다.

      • KCI등재

        세계사회, 지구화, 세계시민주의 사회학

        홍찬숙(Chan Sook Hong)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4

        이 논문의 목적은 루만의 세계사회 개념, 기든스의 지구화 이론, 그리고 벡의 세계시민주의 사회학을 세밀하게 비교하는 것이다. 이들을 비교하는 이유는, 다른 세계화론자들과 달리 이들의 이론에서 ‘성찰성(reflexivity)’ 개념이 매우 핵심적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성찰성’ 개념을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상이함은 사회의 세계연관성에 대한 그들의 상이한 설명에도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성찰성’ 개념과의 연관성을 염두에 두고, 이들의 논의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 세 논의가 출현한 순서와 달리, 여기서는 루만, 기든스, 벡의 순서로 비교분석을 진행한다. ‘근대성’과 ‘세계화’ 사이의 ‘단절’ 정도를 설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삼아, 단절의 정도가 점차 강해지는 방향으로 비교하려는 것이다. 비교분석의 결과, 루만은 세계사회에서 나타나는 불평등과 문화적 이질성의 문제가 기능분화라는 근대성 자체의 문제라고 판단했다. 기든스는 근대성의 독특한 성과인 행위자의 성찰적 능력을 통해 세계시민주의 규범이 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벡은 ‘위험’이라는 비인간의 관점을 택할 경우에만 인간주체가 실용주의적으로 연대할 수 있고, 또한 그런 방식으로 세계시민주의 규범이 출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This study attempts an analytical comparison of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approaches of Luhmann, Giddens, and Beck with regard to the world scale of modernity. The reason for this comparison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reflexivity’ plays a central role in all of their theories. Nonetheless they use the concept so distinctively that it leads to different diagnoses of the times in each case. Luhmann’s concept of ‘world society’ first appeared in the 1970s, when the world system theory of Wallerstein was very influential. Beck’s sociological approach to the global risks of science and technology began in the 1980s. Giddens started to discuss globalization in the 1990s, when the social result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were coming into sight. In their diagnoses of the times, all three sociologists defend a modernity frame rather than postmodernism. They are all also against fundamentalism as a reaction to cultural differences and coexistence in the globalizing society. However they display core differences not only in understanding and observing modernity but also in framing the structure change which is ongoing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Luhmann sees the inequality, imbalance, and cultural heterogeneity of world society as a consequence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Giddens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and need for cosmopolitan norms. Beck proposes pragmatically yielding the political initiative to risks as byproducts of civilization rather than to conflicting human political subjects, in order to let cosmopolitanism emerge.

      • KCI등재
      • KCI등재

        ‘물질적 전회’를 통해서 다시 본 벡의 제2근대성 이론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이론사회학회 2017 사회와 이론 Vol.30 No.-

        이 논문의 목적은 ‘물질적 전회’의 관점을 통해서 벡의 제2근대성 이론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그런데 ‘물질적 전회’가 다양하고 이질적인 이론적 시도들을 포괄하는 매우 느슨한 집합적 개념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벡이 자신의‘실용주의’를 설명하기 위해 인용한 라투르와 해러웨이에서 시작한다. 벡이 실용주의를 주장하는 출발점인 ‘과학에 의한 무지의 생산’ 또는 라투르가 말하는 ‘다자연주의’나 ‘복수의 과학들’ 개념으로는, 민주적이지만 위험천만한 ‘시행착오’만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행위가 어떻게 물질적 실재와 관련되는지에 대한 좀 더 세밀한 설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해서 구성주의와의 단절을 한층 명확히 한 버라드의 ‘행위실재론(agential realism)’을 준거로 삼았다. 또한 ‘실재론 대구성주의’의 이론적 문제를 명확히 제시하기 위해서, 특히 루만의 복잡계 사회이론과 한국이론 물리학의 ‘서울해석’을 참조·비교하는 방법을 취했다. 연구결과, 벡의 실용주의는 과학에 대한 다분히 고전역학적인 그의 관점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했다. 결론적으로 버라드의 개념을 사용하여, 벡이 말하는 제2근대성의 발현은 새로운 ‘생태-역사적 절단’의 문제라고 해석했다. This study aims to reinterpret Ulrich Beck’s concept of “second modernity,” in particular via the so-called “material turn”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The discussion starts with Haraway’s and Latour’s approaches and extends to Barad’s “agential realism.” Beck presents second modernity as a pragmatic choice of the contemporary risk society where science produces risk, disasters, and uncertainty. His pragmatism is indeed situated between realist and constructive approaches to risk and risk politics. My thesis is that this pragmatism, which can be not only inclusive but also irritating, is a remnant of the influence of the philosophy of classical physics. So I introduce Barad’s agential realism, the product of a realist interpretation of Niels Bohr’s quantum physics, and also conduct a theoretical comparison between Luhmann’s constructivist complexity theory and Beck’s pragmatism or between the so-called “Seoul interpretation of quantum physics” and Barad’s agential realism. In conclusion, I interpret the second modernity as a social “cut” in the material-discursive world, in which ecology and human history are entangl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