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얼굴 미학을 통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

        이종현(Lee Jong Hyun) 한국영화학회 2017 영화연구 Vol.0 No.72

        본 논문은 최근 국내 학계에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개념을 재고하여, 구체화를 시도하는 연구이다. 트랜스 아이덴티티는 인간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체성 전환의 변곡점을 가리킨다. 더불어 스토리텔링적 관점에서 본다면, 수많은 서사체에 정체성 전환을 통해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인물 형상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정체성의 관한 여러 학계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정체성이란 사회적으로 규정되는 외부적 정체성과 내면의 자아가 규정하는 내면적 정체성을 모두 포괄한다. 트랜스 아이덴티티 역시 정체성의 두 가지 특징에 기반을 두는데, 학계의 경향이나 서사체의 이야기 전개 측면에서 내면적 정체성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트랜스 아이덴티티가 공감을 얻으려면 내면적 정체성의 전환이 잘 표현되어야 하는데, 비가시적인 내면적 정체성은 쉽게 표상되지 않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얼굴미학은 내면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데에, 즉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으로서 효과적인 방안이 된다. 얼굴은 내면적 자아와 가장 밀접하게 있으며, 표정을 통하여 비가시적인 자아, 영혼, 정신을 가시적으로 드러나게 해준다. 다시 말해 얼굴은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내면적 정체성 전환을 설명하는 데에 가장 훌륭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트랜스 아이덴티티 표상의 구체적인 사례 연구로 영화 <죽여주는 여자>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영화 <죽여주는 여자>는 매춘여성에서 살인자로 정체성이 전환되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 인물의 내면적 정체성은 배우 윤여정의 얼굴로 발현되는데, 윤여정은 탁월한 표정연기로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내적갈등 과정을 완벽하게 표상한다. 이와 같이 영화 속 배우의 얼굴은 트랜스 아이덴티티 표상의 좋은 도구가 된다. 트랜스 아이덴티티의 표상으로서 얼굴미학의 가치는 무궁무진할 것이다. 우리가 얼굴미학에 주목해야하는 이유이다. This study specifies a newly rising concept called ‘trans-identity’ in academy in Korea by reconsidering its meaning. Trans-identity is an inflection point where an identity transformation may occur in a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 a storytelling perspective, it means that there exists a figuration which leads a story by transforming an identity in many narratives. Considering many different perspectives in academy, ‘identity’ embraces both external identity which is defined by a society and self-identity which is defined by an ego. While the concept of trans-identity is also based in both of them,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self-identity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terms of developing a story in narratives or in academ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how how the self-identity has been transformed to gain the sympathy. However, the invisible self-identity is not easily le self-identity is not easily represented. In this context, facial aesthetics is an effective tool to express self-identity as a representation of trans-identity. A face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elf-identity and facial expressions enable invisible egos, souls and spirits to be seen. Thus, the face is the most effective tool to explain self-identity transformation of trans-identity. This study examines a movie, <The Bacchus Lady>, and analyzes it as a case study of trans-identity. In the movie, there is a female protagonist whose identity is converted from a prostitute to a murderer. Her self-identity is expressed on an actress’ face and the actress whose name is Yeojeong Yoon represents the inner conflicts between two different identities with her outstanding facial expressions. Thus, an actor/actress’ face is the effective tool to express trans-identity. The value of facial aesthetics as trans-identity is infinite. This is why we should pay attention to facial aesthetics.

      • KCI등재

        윤동주의 신앙정체성의 성장과 교회에게 던지는 메시지

        김태형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7

        에릭슨은 정체성이란 “한 개인이 자신이 연속된 존재이며 독립되어 있는 존재로 인식하는 감각”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그는 정체성을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개인적 정체성은 개인으로서 자기 자신에 대하여 가지는 동일성과 연속성에 대한 감각을 뜻하고, 사회적 정체성은 자기 자신과 관계있는 어떤 조직에 대해서 일치성을 간직하고, 개인이 그 조직의 어떤 가치를 공유하기 때문에 그 조직에 속했다고 느끼는 연대감을 뜻한다. 에릭슨은 인간은 개인정체성에 근거해서 사회정체성을 형성하게 되며, 동일한 사회정체성을 공유하는 구성원들의 개인정체성이 끊임없이 그들이 속한 사회정체성을 발전시킨다고 말한다. 필자는 오늘날 교회의 신앙생활이 예수 그리스도와의 지속적인 인격적 만남을 통하여 신앙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성장시키도록 돕기 어려운 경향을 보인다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또한 교회 공동체가 성도들로 하여금 삶의 상황과 고난가운데에서 그 의미를 진지하게 살펴보도록 도와서, 성도들이 신앙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성장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일 때에 형식적인 신앙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런 관점에서 필자는 구체적으로 역사적 인물인 윤동주의 고뇌의 삶과 그 삶에서 만들어진 시문학은 개인 정체성과 사회정체성을 신앙적 관점에서 신앙적 정체성으로 연결시켜서 성장하려는 분투의 시도라고 본다. 본 연구는 윤동주의 정체성의 성장에 대한 시도가 오늘날 교회에게 예수 그리스도와의 인격적 만남을 통하여“자신에 대한 인식 능력을 키워가기”, “영적 성숙을 지향하기”, “약함을 수용하는 공동체 되기”라는 세 가지 과제를 실천할 것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던진다고 보았다. Eric Erikson defines Identity as "Continuity of self, Sense of oneness, singularity, uniqueness and Consciousness of Individual Sameness". He also distinguishes between Individu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Individual Identity means a sense of within sameness and continuity, while Social Identity means feelings of unity with the institution to which he belongs and a sense of oneness to the institution, because of his sharing of values with it. Erikson insists that a man can form his Social Identity, based upon Individual Identity and as many people share a same Social Identity, they are likely to develope it continuously. This study focuses on the trendy of today's church in that it cannot supply enough environment for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Jesus Christ and Christians to get firm Christian Identity through church life. And also based upon this study, I try to insist that church community help people to inspect their life and hardships deeply to get true meanings enough to raise Christian Identity through meeting Jesus Christ intimately. In this point, Yoon-Dong Ju's Development of Christian Thought and his anguish in finding his real self can be explained as a try connecting his Individu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In this essay, I insist that Yoon-Dong Ju's endeavor of Forming his own Christian Identity can send a message to today's christian in three points: "Improvement of Self-Awareness", "Proper Spiritual Growth" and "Becoming Communities in expressing and embracing of Weakness" through personal relationship with Jesus Christ.

      • KCI등재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형성 과정

        장용선(Yong-Sun Chang) 한국경영사학회 2018 經營史學 Vol.85 No.-

        본 연구의 목표는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선언된 조직정체성에 담겨 있는 전략선택과 조직정체성과의 상호관계 및 삼성전자 내 사업들 사이의 정체성 관계를 통해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성전자는 한국의 대표기업으로 관련 기록과 문헌이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형성 과정을 관련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서 1차 분석은 문헌과 기초자료를 통해 영역을 분류하였고, 2차 분석은 유사한 영역들을 범주화하여 주제별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삼성전자는 초기정체성 형성을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1기 정체성 선언과 조직정체성 원형 형성, 삼성전자의 2기 정체성 선언과 정체성 관리, 다중조직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겪었다. 삼성전자는 1969년 창립하여 가전제품의 OEM 기업으로 명확한 존재감을 형성하지 못하다가 1980년대 후반 부터 반도체산업에서 빠른 속도로 세계적인 기업이 됨으로써 전자산업에서 강한 조직정체 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를 시작으로 바람직한 조직정체성을 형성 한후 정체성 특성을 관련 디지털산업인 LCD, 스마트폰, 디지털 TV사업 등으로 확산시켜 세계 정상 기업이 되었다. 삼성전자는 삼성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고유한 정체성을 발전시켜 삼성그룹의 대표적인 기업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경영사 관점에서 삼성전자의 조직정체성 및 발전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 다. 1970년대 당시에 삼성전자가 지금과 같은 세계 최대 전자회사가 될 것으로 예측한 사람은 적을 것이다. 그러나 메모리반도체 사업의 성공을 시발점으로 삼성전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자회사가 되었다. 세계 최대 전자회사인 삼성전자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조직정체성을 형성하였고 발전하였는지에 대한 이해는 한국기업의 경영자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Samsung Electronics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professed organizational identity and identities among various businesses. Samsung Electronics is a representative company in Korea. Records and documents related with Samsung Electronics are accumulate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he organizational identity of Samsung Electronics through related literatures. Samsung Electronics was not able to establish a definite organizational identity as an OEM company for home appliances until the early 1980s since it was founded in 1969. But it became a global company rapidly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from the late 1980s. Thereby Samsung Electronics has formed strong organizational identity. Samsung Electronics has become a global leader by spreading its identity not only in semiconductors but also in related digital industries such as LCD, smart phones, and digital TV busin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nagers of Korean companies.

      • 부여의 지역정체성에 대한 지역 주민의 부정적 수용

        박진희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14 地理學論叢 Vol.59·60 No.-

        지역정체성은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라고 여겨졌다. 그러나 공간의 사회적 구성론의 대두와 더불어 지역정 체성은 국가나 지방정부가 주도하여 특정한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거나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점차 지역개발방식이 하향식 개발에서 상향식 개발로 변화하고, 주민의 권리의식이 신장되면서 주민참여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므로 지역정체성 역시 지역민의 수준에서 다루어야 할 시의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백제의 수도’로 널리 알려진 부여군을 사례지역으로 삼아 부여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갖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마케팅이나 지역발전전략과 결합하여 지역판촉에 적합한 정체성을 형성하고 강화하는 데 집중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지역 주민의 입장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부 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지역주민이 지역정체성을 대하는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지역정체성 형성에 관한 논 의와 부정적 수용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둘째,‘ 백제의 수도’라는 부여의 지역정체성은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역사적 진정성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와 지방정부의 노력에 의해 형성되고 강화되었다. 셋째, 지역정체성에 대 한 주민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정체성에 대해 주민이 가진 태 도를 파악하였고, 왜 부정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심층면접과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부 정적 수용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지역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불만이 있는‘소극적 수용’계층, 지역 정체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거부하지 못하는‘비판적 수용’계층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 성을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원인으로는 경제적 원인과 정책적 원인이 작용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부하지 않는 이유는 역 사적 정통성과 경제적 이득, 정서적 자부심 때문이다. 두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부정적 수용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연 구는 지역정체성 논의에서 그간 관심이 저하였던 지역주민의 입장에 주목하여, 지역 주민이 지역정체성에 대하여 반드시 긍 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 다른 학문 분야에서 쓰이 고 있는‘부정적 수용’이라는 개념을 지역정체성 논의에 적용하였다는 점,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진 지역 주민의 입장을 다 루었다는 점 역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와 그 정치적 효과

        유성진(Sung-jin Yoo),손병권(Byoung Kwon Sohn),정한울(Han-Wool Jeong),박경미(Kyungmee Park) 한국정당학회 2018 한국정당학회보 Vol.17 No.2

        글은 세대에 대한 학문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가 갖는 개념적인 그리고 이론적인 특징에 주목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특히 이 논문은 세대를 경험적으로 연구할 때 유권자들을 단순히 연령대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세대의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이 개념적으로 타당하지 않으며, 집단에 대해 개인이 갖는 주관적인 정체성을 고려해야 할 경우에만 집단정체성으로서의 세대가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분석 결과, 집단에 대한 주관적 정체성에 기반하여 새롭게 측정된 세대는 생물학적 연령과 관련되어 있지만 이보다는 훨씬 더 복잡한 개념임이 확인되었다. 개인의 복수의 세대정체성을 동시에 가지는 경우가 빈번할 뿐 아니라 같은 연령대 집단이라도 다른 세대정체성을 가질 수 있었다. 또한 세대정체성의 형성에 있어서도 각 세대정체성이 차별화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음이 확인되어 세대를 경험적으로 연구할 때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이 논문은 우리 사회에서 세대가 아직은 제한적인 집단정체성으로만 기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주관적 정체성을 고려한 세대는 연령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개인의 이념과 정치참여에 차별화된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세대구분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갈등에 대한 인식이 매개될 경우에만 내집단에 대한 선호와 외집단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는 한국에서 세대갈등에 대한 우려가 과장된 측면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claims that current research on ‘generation’ has both theoretical methodological problems mostly because it regards generation as age cohort. Theoretically, to measure a group identity, we need to take subjective identification to the group into account, and generation cannot be an exception. This paper proposes new measure for generation as group identity by taking subjective identification towards names of generation into account. Generation measured with new method is shown to be different from ‘age cohort.’ Not only is it possible to have multiple generational identifications, but individuals in same age can also have different generational identification. Furthermore, generation causes positive attitude toward in-group and negative one to outgroup only with saliently conflicting situation.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wo important points. First, we should be cautious to deal with generation empirically. Simply, generation as group identity is not the same as age cohort. Second, generation plays as a group identity only in the condition of salience, which suggests generational conflicts in Korea may be exaggerated.

      • KCI등재

        다중정체성을 통한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

        김소영(Kim, So 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4

        일반적으로 개인의 정체성은 주로 사회적 신분 혹은 역할에 의해 규정된다. 그러나 학문적으로 접근할 경우, 그 논의는 매우 다양하다. 본 연구는 정체성에 관한 논의 중, 최근 국내 학계에서 임대근이 제기한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을 재고하였다. 캐릭터의 정체성 변화에 주목하는 트랜스아이덴티티는 정체성 역전, 정체성 전치, 정체성 횡단, 정체성 초월로 나뉜다.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에 대한 재고와 확장을 위하여 본고는 피터 버크의 ‘다중정체성’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는 크게 두 관점에 의해 규정된다. 먼저 외적 관점인 ‘사회적 구조’에 따라 ‘사회적 정체성’, ‘역할 정체성’, ‘개인 정체성’으로 세분화된다. 내적 관점으로 보면, ‘성품’과 ‘환경’이라는 ‘제어 시스템 1’, ‘제어 시스템 2’로 구성되는 자아의 통합적 ‘제어 시스템 3’이 개별 정체성을 형성한다. 다중정체성을 통한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은 캐릭터의 정체성 전환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는 데 기여한다. 이에 관한 사례 연구로, 레오스 카락스 감독의 영화 <홀리 모터스>의 두 캐릭터-하루에 아홉 명의 삶을 살아가는 오스카와 그의 비서이자 고용주인 셀린-를 선정하였다. 분석 내용은 먼저 트랜스아이덴티티 개념을 활용하여 두 캐릭터의 정체성이 정체성 전치에 해당하는 근거를 제시한다. 이어 다중정체성 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기준에 의한 외적 정체성과 캐릭터의 자아 심리를 동원한 내적 정체성을 살펴본다. 이와 같이 학제 간 사유를 통해 정체성 담론을 고찰하고,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확장 가능성을 시도한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Generally, we consider that identity is defined by personal and social role. However, in case of dealing with it as academic topics, we can discuss in various ways. Recently, Great Root Wood suggests the word of trans-identity and he analyses characters’ identities within trans-identity storytelling and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turing identity, changing identity, crossing identity, and transcending identity. Moreover, he also tries to extend it to diverse discourses related to narrative, artistic, aesthetic, cultural, social, legal, ethical, political, and economical categories. For this, this study makes use of Peter J. Burke s multi-identities, which is defined by external focus and internal focus. The former is composed of social identity, role identity, and personal identity and the latter consists of perceptual control system and individual identity. For an application of this study, I analysed <Holy Motors>(2011) directed by Leos Carax. Firstly, two characters who are Oscar and Celine are in accordance with changing identity using the concept of trans-identity. Secondly, this study goes into details about their identities with the theory of multi-ident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can be mentioned that it tries to expand trans-identity to discourses. Also, I hope that we can have a chance to think about each identity in modern society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정체성 갈등 시대 정체성 정치문화에 대한 소고 : 자기 동일성으로서의 정체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접근을 중심으로

        유용민(Yongmin Ryu)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3 OUGHTOPIA Vol.37 No.3

        정체성 정치는 현대사회 상이한 정체성 사이의 공존과 상호 인정을 도모하는 민주적 기획으로 환영할 수 있지만 동시에 정체성 사이의 과도한 긴장과 갈등을 불러오는 폭력적인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점에서 복합적인 성찰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정체성 정치에서 정체성 개념이 특권화되고 과잉 도덕화되는 경향이 정체성 정치에 갖는 의미에 주목해 보았다. 정체성은 불변하는 자아를 지지하는 관념인 것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있지만 자아의 동일성과 지속성에 대한 현대철학적 사유들은 실체로서 주체가 갖는 의미가 고정적이지 않음을 일깨운다. 정체성 정치가 자기 동일성에 대한 지나친 믿음에 기초할 때 그러한 정체성 정치가 민주주의와의 관계에 제공하는 함의는 무엇일까? 이 글은 자기동일성에 대한 데이비드 흄의 철학과 정체성 논쟁을 정치철학적으로 제기한 토머스 홉스 그리고 우연적 자아의 개념을 도입해 본질주의적 정체성 개념을 비판하고 비본질주의적인 주체의 개념을 상정하는 미국 프래그머티즘 논의를 탐색하면서 완벽한 정체성의 추구를 부르짖는 정체성 정치의 위험성을 진단한다. Identity politics is a controversial concept that requires complex reflection. The reason is that it has the violent possibility of causing excessiv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differentt identities. This essay pays attention to the implications of the tendency for the concept of identity to be privileged and overmoralized in identity politics. Identity tends to be perceived as an idea that supports an immutable self. However, modern philosophical thoughts awaken that the meaning of the subject as a substance is not fixed in relation to the identity and continuity of the self.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identity politics for their relationship to democracy when it is based on an over-belief in self-identity? This article examines David Hume’s philosophy on self-identity, Thomas Hobbes who raised the identity debate as a political philosophy, and American pragmatism that criticizes the essentialist concept of identity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the contingent self and assumes the concept of a non-essentialist subject. Exploring the discussion, this author criticizes the dangers of identity politics calling for the pursuit of perfect identity.

      • KCI등재

        정체성,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노두

        박승규(Seung-kyu Park) 대한지리학회 2013 대한지리학회지 Vol.48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정체성이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는 데 있다. 지리학은 지표위에 새겨져 있는 인간의 흔적에 관심 갖는다. 누가 왜 그와 같은 흔적을 남겼는지 탐색한다. 인간이 지표위에 남긴 흔적을 통해 존재에 대해 설명한다. 인간은 내가 누구이고, 우리가 누구인지를 알리기 위해 지표위에 흔적을 남긴다. 인간이 새겨놓은 흔적은 그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는다. 우리는 그 흔적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고, 인간을 이해한다. 인간이 새겨놓은 흔적은 나의 정체성을 표현한다. 그 흔적에 담겨있는 이야기는 나만의 것이다. 자신만의 이야기로 구성된 정체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변화하는 정체성’과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이다. 변화하는 정체성은 차이와 다름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다. 변화하지 않는 정체성은 동일시와 같음을 통해 정체성을 구성한다. 하지만, 매일의 삶의 과정에서 생성되는 나의 모습이 같은 듯 다른 모습이듯이 정체성 역시도 생성과 반복의 과정을 통해 변화한다. 그렇기에 정체성은 지금도 변화하고 있는 현재형이고, 진행형인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at ‘identity’plays the crucial role of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s and space. Geography is preoccupied with footprints of humans which are engraved on the ground. It explores why such tokens are left over. It explains the existence of humans through footsteps of them. Men leaves traces of themselves to notify that who I was and who we were. The traces left behind by humans contain narratives of their own. Through those narratives, the very men who left the traces on the ground are to be grasped. A trace engraved by a person expresses its own identity of representing that person, so the narrative contained by one trace is the narrative of that individual. The identify which is composed of its own narrativ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The two are ‘changing identity’and ‘unchanging identity’. ‘Changing identity’ shapes the identity of oneself by difference. ‘Unchanging identity’ constructs the identity by identifying itself with sameness. However, as one’s figure in everyday life becomes identical or different, identity also varies through processes of generation and repetition. Therefore, identity is currently changing and in prog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