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쇄원과 졸정원을 통해 본 16세기 한·중 전통 정원 비교 -조영적 특징 및 원림문학에 투영된 사상을 중심으로-

        윤지훈(Yun, Ji Hoon)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1

        고대로부터 중국과 잦은 접촉을 통해 사상과 문화를 공유했던 우리나라는 전통 공간 양식에서 중국과 많은 유사성을 갖게 된다. 그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전통 정원 양식은 그 형성과정부터 중국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고대부터 중세까지 한국의 정원 양식은 중국의 그것과 흡사하게 나타났다. 그 후 조선시대에 들어오면서 중국의 영향 속에서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와 민족성, 그리고 사상이 어우러져 한국만의 독특한 정원 양식이 나타나는 변화를 맞게 된다. 본 논문은 양국의 전통 정원 양식의 차별화가 일어나는 16세기의 대표적 정원인 한국 소쇄원과 중국 졸정원의 구조와 양식에 나타난 특징을 비교하고 이러한 조영적 특징이 투영된 원림문학 ‘소쇄원 48영’과 ‘졸정원 31영’을 살펴봄으로써, 비슷하면서도 구별되는 양국의 전통 정원 조영 및 그 사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졸정원과 소쇄원은 모두 16세기 이후 비슷한 시기에 조성되었는데, 당시 양국은 공통적으로 유학을 국가이념으로 삼았으며, 농업 발달에 따른 경제력의 발전과 더불어 문화적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였다. 이러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는 중국과는 구별되는 특징적인 정원양식이 태동한 시기였는데, 특히 조선에서는 지방 사림이 대두되고 선비들의 정신세계가 건축에 반영되었다. 한국에 전해진 유교는 우리의 전통사상과 융화하여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토착화되어 가는데 조선시대에는 정치, 사회, 문화, 경제, 관습 등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오히려 유학의 시조인 중국보다 더욱 발전하여 동아시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위대한 동양사상, 성리학이 탄생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가 살펴보고자 하는 전통 정원 조영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국과는 다른 한국의 고유한 정원 양식의 특징이 두드러지게 만들었다. 인위적인 것을 가급적 배제하여 자연을 지향하고 존중하는 것이 우리 고유의 정신이다. 이는 중국의 유교문화와 더불어 고대부터 이어져 온 한국인들의 경천사상과 자연숭배사상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으며, 이 정신들이 계승되어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문화를 만들었고, 조선시대 선비정신 등 이러한 문화와 사상의 융합으로 정원 조영에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소쇄원을 사례로 한 한국 전통 정원에 나타나는 특징들을 정리하면, 그 구성원리에서 ‘그대로의 자연’, ‘자연에의 순응’, ‘관조미’, ‘단순화’를 들 수 있으며 조영의 특징으로 ‘선형 평면’, 차경 기법을 살린 ‘주변 자연과의 조화’, ‘학문과 사유’, ‘소박함‘등을 들 수 있다. 반면, 졸정원으로 대표되는 중국의 전통 원림의 경우 한국의 그것과 대조적인 특징을 보였는데, 그 구성원리에서 ’인위적인 자연‘, 소천지를 연상케 하는 ’자연의 모사‘, ’압도적 극치미‘, ’화려함‘을 들 수 있으며, 그 조영 특징으로는 ’자연의 총집합‘, ’구심형 평면‘, ’원내 경(景)으로의 집중‘, ’산책과 유희‘ 등으로 말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권진욱 ( Jin Wook Kwon ),박은영 ( Eun Yeong Park ),홍광표 ( Kwang Pyo Hong ),황민하 ( Min Ha Hwa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 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develop a universal way for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to have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s part of efforts to distribute and promote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developing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to ensure that traditional Korean gardens have individuality when they are established overseas and on establishing directional rules for planners. Although traditional Korean gardens may vary in form according to their purposes and spatial scal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should incorporate emotions that are well-matched with Korean landscapes and that their design language should be easily recognizable and understandable to everyone. The basic spatial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exhibition(fair) type, the garden type and the park type. These basic types serve as prototypes that correspond to the purposes of the gardens.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scale, the exhibition(fair) type is set as the minimum unit for composition, and suggested basic facilities include trees, a well, a pond and an island in the pond, flower beds and f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designi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 KCI등재

        인물관계로 본 ‘운보의 집’ 정원의 조영과정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운보의 집 정원 조영과 관련된 인물의 사상과 주요행적 및 정원조영에 미친 직ㆍ간접적 영향 등을 인터뷰와 관련자료 비교분석을 통해 공간조영에 미친 관련 인물들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보의 집 정원 조영에 직접적 관련자들은 우리나라에서 문화재와 전통예술 분야의 대표적 인물들로 전통공간에 대한 전문가적 식견과 풍부한 경험으로 운보의 집을 전통공간으로 창조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 운보의 집 정원조영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운보 김기창은 부지선정, 입지선정 및 주요 정원식물 식재와 전통조경시설물의 설치에 영향을 주었으며 혜곡 최순우는 김기창의 부탁을 받아 와본 김동현을 설계자로 추천하고 전체계획에 관여한 인물이다. 와본 김동현은 주택설계 및 공간설계와 연못 등 주요시설물 설계를 담당하였다. 둘째, 간접적 영향을 미친 인물로 부인 우향 정래현은 김기창이 정원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노산 이은상, 화가 이석호는 운보의 집에 현판을 지어주었다. 이 글의 주제들은 창작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부여하는데 영향을 미쳤으며 오랜 기간 운보와 함께 한 김형태와 운보의 아들 김완은 운보의 집 정원 변화과정을 지켜보고 또 영향을 미친 인물들이다. 셋째, 인물들이 조영에 영향을 미친 주요요인으로 운보 김기창은 철저한 기록정신과 어머니와 아내에 대한 그리움이 부지선정과 정원의 향 설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미술세계에서 드러난 전통산수에 대한 인식, 전통 점경물 등의 상징성 부각에 영향을 주었다. 혜곡 최순우는 그의 전통적 의식과 경험을 운보의 집 조영에 반영하였으며 와본 김동현은 연경당을 모티브로 한 전통건축의 기본틀을 적용하면서도 장애에 대한 배려와 독창적 변화를 주었고, 동궁과 월지 발굴을 통해 습득한 연못의 입수시설 등을 전통조경 설계에 반영하였다. 노산 이은상과 이석호는 운보의 집 공간에 내재된 고유의 장소성을 완성시킨 인물들이다. 김형태는 운보의 집 정원공간 변화에 관여하였고 운보의 아들 김완은 김기창에 이어 운보의 집을 경영하였다. The study is aimed at establishing basic data to identify the original forms of the garden in Unbo's House. Through interviews and related data comparison analysis the ideas and major events of the person involved in establishing a garden in Unbo’s House. Also, deriv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people on garde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ose directly related to garden in Unbo's House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cultural heritage and traditional art in Korea. Based on their expertise and abundant experience in traditional spaces, they contributed greatly to the creation of Unbo's House as a traditional space. Unbo Kim, Gi-Chang who directly influenced Unbo's House gardening, which affected the site selection, location, and the installation of major garden plant plants and traditional landscaping facilities. Hyegok Choi, Soon-Woo recommended Wabon Kim, Dong-Hyun at the request of Kim Ki-Chang and was involved in the overall plan. Housing design, space design and desig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ond were confirmed Wabon Kim Dong-Hyun. Second, Kim, Gi-Chang’s wife Jeong, Rae-Hyun, who motived to construct a garden. Nosan Lee, Eun-Sang and Korean artist Lee, Seok-Ho were created a signboard and board of the Pillar to encourage simple life in paintings. The themes of the article motived image as creative. In addition, Kim, Hyeong-Sik and Kim, Wan who son of Unbo, has been with Unbo for a long time, watching and influencing garden changes in Unbo's House. Thir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d the garden by character are as follows. Unbo Kim, Ki-Chang had a thorough record-setting spirit and his longing for his mother and wife affected the selection of the site and setting the direction of the garden. His art world with the symbolic emphasis of traditional landscapes, including traditional facilities, and especially plant materials. Choi, Sun-Woo reflected his traditional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in the construction of Unbo's House. Kim, Dong-Hyun applied the basic framework of a traditional building based on Yeonkyongdang hall in Changdeokgung palace. He also reflected on the traditional landscaping design the facilities of ponds acquired through excavation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Gyeongju. Nosan Lee, Eun-Sang and Lee, Seok-Ho completed their unique place in Unbo's House. Kim, Hyung-Sik was involv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 while Kim Wan ran the Unbo’s House which he inherited from Kim, Ki-Chang.

      • KCI등재

        일본전통정원의 해외 보급 및 확산에 관한 역사적 고찰 -1867년부터 1939년까지 만국박람회를 중심으로-

        윤상준 ( Sang Jun Yoon ),권진욱 ( Jin Wook Kwon ),홍광표 ( Kwang Pyo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4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해외 보급 및 확산을 위한 기준점 마련과 기반 구축을 위한 기본연구로서 일본의 전통정원 보급 및 확산에 있어 초기 단계인 유럽과 미국에서 개최된 만국박람회 통한 조성내용과 파급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본이 박람회를 처음 참가한 1867년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는 1939년까지 일본 정원이 조성된 박람회를 대상으로 조성된 정원을 파악하고 박람회 기간 중 그리고 폐막 이후 일본정원의 파급효과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문화적 측면에서 명치정부의 첫 박람회 참여에 있어 독일인 바그너의 충고에 따라 문화와 공예를 박람회 주제로 선정하고 정원을 전통 건축물과 하나의 단위로 인식하면서 국가적 정책으로 대외 홍보 수단으로 삼았다. 그 결과 만국박람회 일본관에 대표적으로 조성된 강호시대 회유식 정원 양식과 다정은 유럽과 미국 내에서 일본정원의 대표적 양식으로 인식되었다. 정치적 측면으로는 미국인에게 일본 정원은 도입된 ``이국적 미``이자 ``문화유산``으로 인식되면서 일본에 대한 친근감을 높이고 반일감정을 없애려는 일본 제국정부의 목적을 달성하였고 전통정원을 통해 유구한 역사를 가진 일본사회를 이상적으로 표현하여 서구 열강과의 차별성을 도모, ``전통``과 ``자연``을 키워드로 ``영원한 평온``이라는 국가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사회경제적으로는 박람회 이후 존치된 일본정원은 지속적인 일본정원의 모델 역할을 하였으며 박람회의 일본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정원과 관련된 많은 전문가가 일본에서 미국과 유럽으로 간 후 현지 정착하며 일본 정원이 현지에 녹아드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fundamentally is to develop standards and found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aims to identify the mechanism and subsequent effect of fair gardens in American and Europe on the propagation and diffusion of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Fair gardens which were constructed between 1867 and 1939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m and the ripple effect that they had on cultural disse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ulturally, the Meiji government adopted Wagener`s advice on the theme of display- including culture and handicraft-and the gardens with traditional buildings were perceived as one unit and then used as promotional tools as part of a national strategy. As a result, the stroll style garden in the Edo period and tea garden were recognized as the representative Japanese garden in America and Europe. Politically, the Japanese garden in the American context was adopted as examples of ’exotic beauty’ and ’cultural heritage’ which therefore allowed the Japanese government to achieve it`s goal of encouraging friendly relations and the lessening of hostility towards them. Throughout the traditional Japanese garden, Japan with it`s rich history presented an ideal - uniquely distinctive from the West. Using ’tradition’ and ’nature’ as keywords, the Japanese government set it`s global image as ’perpetual tranquility’. Socioeconomically, the Japanese garden which was maintained after the fair, played a consistent role as a model of the Japanese culture. Many professionals from Japan who prepared the Japanese villages and gardens for the world fairs in America and Europe, remained in these countries following construction and it were these opportunities that allowed the Japanese garden to be integrated into local Wester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정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통주택정원과 현대주택정원 비교 분석

        유윤진 ( Yoonjin Ryu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하, 정원법)」이 지난 7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됨에 따라 산림, 정원 산업이 국내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원은 개인의 것이라 할지라도 정원 조성은 넓은 의미에서 지역사회의 환경조성과 직결되고, 개인생활에 있어서 풍부한 정서생활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인류 문화에 대한 ``가장 오래된 문명의 표현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 중 개인주택정원은 전체 대지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을 제외한 비건폐지이지만 사람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곳으로 주거환경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안의 개인주택정원은개인적 취향에 맞추어 조성되는 것이기는 하나 정원 조성 기준, 방법, 관리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변화하는 시대에 따라 정원유형, 가치 등을 반영한 정원 조성 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의 정원이 가지는 공간, 시설물, 식재에 대해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정원이 가지는 가치와 조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는 전국을 대상으로 전통정원, 현대정원 각 30개소 총 60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시설물, 식재, 공간구성에 대해 조사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시설물의 경우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관리시설, 휴식시설, 농업시설, 경관시설 비중이 높아졌으며 경계시설, 이동시설물은 감소하였다. 비율로 분석을 해보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5% 시설물 면적이 감소하였으나 전통정원과 비교해 보았을 때 그 비율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설물 종류로 보았을 때 전통정원은 생활양식에 따른 시설물이 주로 나타났으나 현대정원의 경우 활동, 휴식시설물 위주로 조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의 경우 전통정원은 과실수 위주로 조성을 하였으며 현대정원은 감상, 활동, 계절감을 느낄 수 있는 식물로 조성을 하였다. 공간구성의 경우 전통정원과 현대정원 모두 바닥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바닥면적은 약 18.2% 감소하였으며, 식재 면적의 경우 현대정원으로 넘어오면서 약 17.3% 증가하였다. (결론) 정원 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공간구성, 시설물, 식재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전통정원에서 현대정원으로 넘어 오면서 시설물, 식재, 공간 비율이 활동 위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으며 변화된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활동이 나타날 수 있는 정원 조성이 필요하다. 그 중 공간구성은 잔디밭, 텃밭 면적을 높여 휴식 및 휴게 활동, 생산 활동이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하고, 식재는 다양한 경관 형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계절감이 있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한다. 또한, 시설물은 벤치, 퍼고라, 그네등 활동이 나타나는 시설물 위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is study) The Act on the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Arboretums and Gardens was implemented last July, and forest and garden industries have been received the Blue Ocean design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gardens belong to individuals, constructing gardens is directly related to a local society``s environmental development. Further, this activ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fostering rich emotions. In fact, it is the oldest expression method of civilization. The garden in a private residence is an open space-the site left after the building site has been excluded; it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it is directly connected to people``s lives. Although a personal garden is constructe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preferences, there have not been enough researches on standards, methods, and management of garden construction projects.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nstruction methods that reflect the value of the garden in a changing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presents the value and construction method pertaining to gardens of the future based on an analysis of trends in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in existing gardens. (Method) Field research was performed on 60 gardens (i.e., 30 traditional gardens and 30 modern gardens) throughout the nation; accordingly, spaces, facilities, and plantings were analyzed. (Results) In terms of facilities, management facilities, rest facilities agricultural facilities, and scenery facilities were analyzed; it was noted that modern garden facilities have fewer boundaries and transportation options than traditional gardens. In fact, boundaries decreased by 1.5% for modern gardens, although ratios remained almost the same. Traditional gardens usually have facilities for living, whereas modern gardens have facilities for relaxing or engaging in activities. Regarding plantings, traditional gardens contain more fruit trees, whereas modern gardens incorporate more plants for their appreciation value, related activities, and seasonal events. Concerning space composition, both traditional gardens and modern gardens reflect a preference for flooring, though the amount of flooring decreased by 18.2% in modern gardens. However, the size of plantings increased by 17.3%. (Conclusion) Space composition, facilities, and planting methods that allow various activities in a single space need to be developed to promote a garden culture. Regarding space composition, relaxation or orchestration of activities can be encouraged by increasing the size of a lawn or kitchen garden. Concerning planting, trees that can present the changes of seasons should be used to make create sceneries that incorporate benches, pergolas, or swings.

      • 도시구조로 본 전통중국정원에 관한 연구 -소주의 정원들의 분포적 특징을 중심으로-

        ( Young Lee ),( Duk Sam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1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9 No.2

        소주의 전통정원은 전통중국정원예술이 이루어온 대표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소주의 옛 도시지역 안의 전통중국정원을 분석함에 있어, 정원의 분포적 특징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시 구조의 역사적 변화와 정원 축조의 시기와 규모에 관한 특징들의 관련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원의 대 부분은 소주의 구도시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도시의 구조적 특징과 함께 오랜 시간의 흐름 속에서 축조되어져 왔다. 전통정원을 도시적 문맥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전통정원의 외부적 형성요인을 확인하였으며, 도시구조 변화가 정원의 형성에 특별한 영향을 끼쳤음을 밝힐 수 있었다. 명나라 청나라 때에 축조된 소주의 전통정원은 송나라 때의 주요 정원이 도시 남쪽에 위치한 것과는 대조적으로 대부분 구도시 지역의 북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것은 송나라 때에는 관아 등의 주요 시설이 도시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고, 정원이 관아의 부속 공간으로 축조된 배경과 관계가 있다, 명나라와 청나라, 특히 청나라 때에는 도시 북서쪽이 상업지구로 확산되면서 사대부나 부호들이 정원을 대대적으로 소유하게 됨에 따라 북쪽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정원들이 축조되었던 바, 정원 축조 및 분포가 도시의 공간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원의 규모면에 있어서는 명나라 때에 축조된 정원이 청나라 때에 축조된 정원보다 큰 규모였는데, 이것은 청나라 시대로 내려오면서 일부 운하의 상실과 인구 급증, 급속한 경제성장 따른 토지 사용의 부족 및 정부의 통제가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蘇州) are the representative of the accomplishment of traditional Chinese garden art. This paper analyses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in the old city area of Suzhou,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 of the gardens. We find some interesting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s` distribution in association with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in terms of their size and time of the con- struction. The majority of thes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are located in its old urban area, which has developed through a long history with its specific urban characteristics.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from the perspective of its urban context, tries to learn the formative external factors of the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The study reveal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tructure played particularrole i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Suzhou gardens, which consequently merits more attention.

      • KCI등재

        베를린 서울정원 이용객의 한국성 인지 양상

        윤영조 한국전통조경학회 201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6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Koreanesss, preference factors and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from adjacent Chinese and Japanese gardens for foreign visitors of Seoul gardens, a Korean traditional garden located within the Marzahn garden in Berlin, Germany. Overall, the Chinese garden and the Japanese garden were better known to most visitors than the Seoul garden due to their earlier construction. The awareness of the specialty to the Korean garden was at an average level indicating most visitors did not recognize the difference among the traditional gardens constructed from other countries. These less awareness on the Korean garden was because the traditional gardens of the three countries are located adjacent to the park in a continuous landscape with similar plant species created through natural planting techniques. This means the Korean garden is required for considering diversity and representativeness of planting species, uniqueness in space composition and recognition of Korean oriental garden culture in an initial design project stage. Visitors without prior information has better understanding on Korean garden and higher revisit intention resulting in increasing publicit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Among the preference factors representing Koreaness of the Seoul gardens, the waterfall, stream, pavilion and natural stone within the water landscape were visitors favorite interests due to design concept with a representative Korean stream scenery of Dokrack-dang and Byeolseo garden resulting in differences from the landscape displaying technique for other oriental gardens. Thes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dominant landscaping of garden architecture from surrounding the physical environments, the garden displaying technique derived from Korean natural landscape can be recognized as an unique garden element for foreign visitors. 본 연구는 독일 베를린 마르찬 세계정원 내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인 서울정원의 현지 이용객을 대상으로 한국정원에 대한 인지성과정원의 선호요소, 인접한 중국, 일본 전통정원과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서울정원은 앞서 조성된 중국정원, 일본정원보다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르찬공원 내에서의 한국정원의 특별성에 대한 인지도는 평균수준으로 타 국가의 전통정원과의차별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동양 3국의 전통정원이 공원 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 이용객들의 연속적인 관람이이뤄지고 있다는 것과 자연형 배식기법의 적용에 따른 유사한 수종의 구성을 통해 경관이 연출되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있으며, 나아가 한국정원이 타 동양정원과 비교될 만한 독특한 공간구성, 식재 수종의 다양성과 대표성, 설계단계에서의 해당 국민의 동양정원문화에 대한 인지성 분석 등 다각적인 차별화 방안이 향후 제시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방문 전후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 결과는 사전정보 없이 방문한 이용객의 경우 한국정원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고, 재방문의사도 높게 나타나 서울정원이 한국전통정원의 홍보와 이해에 기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성을 표출하고 있는 서울정원의 선호요소 중 수경관의 폭포와 계류, 정자와 자연석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설계개념에서 제시한 독락당과 별서정원의 입지구조, 독락당 전면 너럭바위와 계류를 모티브로 한 한국정원의 경관연출기법이중국과 일본의 전통정원과 차별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물리적 환경에서 지배적인 정원 건축물에 대한 양식적 차이와함께 한국적 자연경관 형성을 통한 정원의 연출은 외국인에게 독특한 정원요소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마샤 마 패션에 나타난 소주 전통정원 건축미학 특성 확장에 대한 논의 - 마샤 마(Masha Ma) 2014 S/S ~ 2016 S/S 컬렉션을 중심으로 -

        이애진 ( Li Ai-zhen ),김현주 ( Kim Hyun-joo ),한설아 ( Han Sul-a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9 No.-

        본 연구는 중국 소주 전통 정원 건축의 특성을 재해석 하여 현대적으로 표현한 마샤 마의 컬렉션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녀의 디자인과 소주 전통 정원의 조형적, 미학적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소주 전통정원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적 패션, 그리고 해체주의에 관련한 이론 고찰 및 소주 전통정원의 조형적, 미학적 특징 분석에서 출발하여, 마샤 마의 2014S/S ~ 2016 S/S 마샤 마의 파리 컬렉션 작품서 나타난 소주 전통정원의 재해석 과정과 패션의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마샤 마의 패션 디자인은 전통 정원 문화의 영향과 중국 음양오행설 문화를 용합하여 새로운 방향성의 건축적 패션 디자인을 창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창조의 방형성은 다음의 세 가지 흐름 안에서 압축 할 수 있었다. 첫째, 전통 정원 문화의 영향과 중국 음양오행설문화를 용합한 음양(陰陽)적 색채 사용과 배색 특성을 보였다, 둘째, 중국 전통 건축의 기학 미의식(美意識)을 재해석 하여, 이를 패션디자인 조형 방식의 변화 및 착장 순서의 변화, 문양 등을 통해 그 특성을 표현하였다. 셋째, 소주 전통정원의 치경(置景)적 특성은 문양, 시스루 소재를 통한 레이어링 기법 등으로 재해석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마샤 마 디자인에 있어서 전통 건축 조형요소와 미학에 대한 이해는 새로운 방식으로 현대 패션디자인을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그녀가 중국 전통 건축과 문화에 현대 패션의 미의식을 접목 시켜 새로운 중국식패션 디자인 흐름의 단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도 중국 전통문화뿐만 아니라 세계 전통문화를 활용한 현대 패션 디자인의 조형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어, 패션 디자인에 다각도로 이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Chinese modern costume designer Masha Ma`s collection has been analyzed in this study, based on re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e from traditional Chinese gardens of Suzh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design and the modeling and aesthetics of Suzhou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is study, the starting point i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architectural fashion of traditional garden of Suzhou, and researches the Masha Ma`s 2014 S/S~2016 S/S Paris`s collection that had been presented process of reinterpretation and fashion`s modeling features at the Suzhou garden. In order to know the impact of traditional garden culture and Yin - Yang theory for Masha Ma`s fashion design, a new way of architectural fashion design is conducted, the creative direction mainly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by the impact of traditional culture, the Yin-Yang mainly use opposite colors matching Yin and Yang includes brown, blue, white, black, etc. Seco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Chinese architectural geometry is reinterpreted. Geometric mainly utilize modelling of asymmetry which differs from other traditional architecture of Suzhou gardens. Third, the Suzhou garden scenery features through the perspective of fabrics and other forms is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architectural modeling elements and aesthetic understanding of Masha Ma`s fashion design can be said that the new directions of the creative development of modern fashion design. It unfastens a new way of Chinese-style fashion design which fuse the architecture and culture of traditional China and fashion beauty consciousnes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hinese culture, for the world`s traditional culture, it also deeper research the levels and aspects of modern modeling fashion design`s features.

      •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 가치발굴

        ( Shin Hyun-sil ),( Lee Kyung-mi ),( Jin Hye-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8 No.-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예비 잠재자원을 추출하고 각 정원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전라도 지역 민가정원의 역사성은 조선 중기에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정원들은 대종가의 형태가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등록문화재를 넘어 국가지정문화재에 버금가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었다. 현존 민가정원들은 대부분 조영자의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으며, 일상관리를 통해 전반적인 주거형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과거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었다. 둘째, 정원의 입지는 대부분 배산임수 지형을 바탕으로 동족촌 인근 또는 농지로 사용되는 넓은 평야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집성촌이나 전통마을, 주요 역사문화자원들과 인접하여 상대적으로 전통공간에 대한 통합적 보호 속에서 현재까지 그 모습이 이어져 올 수 있었다. 셋째, 조사대상 가옥의 배치는 二자형, ㅁ자형, ㄱ자형, 축선형, 병렬형 등이 확인된다. 각 공간들은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건조물을 기준으로 공간의 위계를 설정하였으며, 가옥의 배치와 조합을 통해 정원 공간의 성격을 부여하였다. 특히 축선형 가옥은 가옥 내부에서 정원 조망에 용이하도록 지형을 활용하거나 건조물 일부를 덧달아 조성한 사례가 확인된다. 넷째, 전라도 민가 정원 대부분 노거수가 현재까지 생육하고 있어 가옥의 오랜 역사를 짐작케 한다. 또한 향토 수종을 중심으로 전통재식 방법에 따라 수목들이 식재 되었고 각 공간의 특성에 따라 개화 특성 및 수목이 지닌 상징성, 계절감을 고려한 수종의 선정 및 식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전라도 지역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의 분석 결과 각 민가정원 모두 조영자의 후손들이 실제 거주함으로써 역사성과 주거 형태가 유지되고 있었으며, 집성촌 기반 정원의 입지선정 및 정원의 배치, 향토수종 중심 소규모 정원의 조성, 대형 연못 조성, 외부 수림과의 유기적 연결 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유주의 노령화, 현대적 생활공간으로 개조, 부지 또는 건조물의 매매에 따른 변형, 소유주나 관리인력이 상주하지 않는 정원의 변형 등의 위협요인에 대해 시급한 정비가 요구된다. 또한 지속적 보존관리를 위해서는 초기 조성형태로의 시기적 분류, 민가정원으로서의 가치 강화 등의 중장기적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tracted preliminary potential resources from unregistered private gardens of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ach garden, resulting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private households in Jeolla Province vary from the mid-Joseon period to the modern era, and some gardens had historical characteristics comparable to thos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s the house of the head family continued to the present. Most of the existing private households are inhabited by descendants of the creator, and the overall change in residential type was not seen through daily management, allowing us to infer the past. Second, most of the gardens were located near a clan village or on a large plain used as farmland, based on the feng shui thought, 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In addition, it has been able to continue to the present day in the integrated protection of traditional spaces, adjacent to clan villages, traditional villages, and maj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ird, the subject houses to investigation are arranged in 二-shaped, ㅁ-shaped, ㄱ-shaped, axis-type, and parallel-type. Each space was constructed based on a relatively flat terrain and the hierarchy of the space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struc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rden space were given through the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houses. In particular, the axis-type houses have been constructed by utilizing terrain or adding some of the buildings so that they can easily view the garden from inside the house. Fourth, most of the private house gardens in Jeolla-do have grown old trees so far, which gives us an idea of the long history of the house. In addition, trees were planted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farming methods, focusing on local species,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trees were selected and planted considering the symbolism and seasonality of the trees.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unregistered garden of cultural heritage in Jeolla-do, the descendants of the creators of each private home are actually living, so historicality and residential type are maintained.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location selection and the placement of gardens based on clan villages, the creation of small gardens centered on native species, the formation of large ponds, and the organic connection with external forests. However, urgent maintenance is required for threats such as aging owners, remodeling modern living spaces, changing sites or buildings according to sales, and transforming gardens without owners or management personnel. In addition, mid- to long-term measures such as time-based classification into the initial form of creation and strengthening the value as a private garden should be considered for continuous preservation management.

      • 문화재 미지정 민가 정원의 유산적 가치 및 조영특성

        ( Jin Hye-yeong ),( Jeong Mi-ae ),( Shin Hyun-sil ),( Rho Jae-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9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 Vol.17 No.-

        본 연구는 영남지역의 조선시대 조성된 문화재 미등록 민가정원을 대상으로 국가지정문화재로 등록되지는 않았으나 현재까지 전통 민가 정원으로서의 가치가 계승되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그에 대한 진정성과 완결성에 해당되는 가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보존이 필요한 현재의 전통민가 정원을 도출하고 이를 보존하여 한국 정원문화의 대중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남지역에 위치한 문화재 미등록 민가로서 건조물이 최소 50년 이상의 역사성을 지닌 민가를 대상으로 전통정원 공간의 진정성과 완결성에 근거하여 최종 대상지를 추출한 후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대상지 20개소의 민가정원은 최소 70년을 넘는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정천상 가옥의 경우 약 350년이라는 조영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 현재 국가지정 등록문화재의 기준 연대를 상회하는 역사적 진정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이는 대상 가옥마다 최초 조영이후 후손에 의해 계승되어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둘째, 대상지들은 모두 전통마을, 동족촌, 역사마을에 위치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유교적 위계체계에 따라 가옥들이 입지하고 있으며 그중 15곳의 고택들은 풍수사상에 따라 배산임수의 입지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전통공간의 보호가 용이했고 현재까지도 그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다. 셋째, 건조물의 배치에 있어서 대상지 대부분은 영남지역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ㅁ자형 주택형태를 띄고 있다. 구획된 각 공간들은 생활의 변화에 따라 건축선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는 등의 변형이 나타났고 이로 인해 정원 공간 또한 변화되었다. 넷째, 대상지 내 전통조경의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였으며 그중 괴석, 입석, 물확, 토석담 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수목들이 나타내는 의미에 따라 전통 재식 방법에 따라 식재되었다. 다섯째, 대상지 중 14개소에서 36본의 노거수가 존재하여 전통민가 정원으로서의 가치를 충족하고 있었다. This study established the hypothesis that the value of private gardens not designated as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s is being inherited. In addition, the value of authenticity and integrity was derived for unregistered private gardens crea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Yeongnam region. Through this, we will draw out traditional garden that need preservation today, and preserve it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opularization. To this end, the final destination was extracted from unregistered private gardens located in the Yeongnam region based on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of traditional garden spaces for at least 50 years of histor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onducting a study. First, the private home garden of 20 sites has a history of at least 70 years. The Jeong, Cheon-Sang’s house had a history of 350 years, so it now secured a historical authenticity that goes beyond the standard date of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heritages. This is because each house has been used as a living space, inherited by its descendants after the initial support. Second, the study areas were all located in traditional villages, single lineage village, and historical villages. Houses were located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hierarchy of the Joseon Dynasty, and 15 of the old houses had the location of Baesanimsu(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according to the Feng-shui. This made it relatively easy to protect traditional spaces and allowed them to stay in shape until now. Third, most of the sites in terms of the layout of the buildings have a “ㅁ shape-type" housing,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Yeongnam region. Each of the zoned spaces had variations, with building lines expanding or depending on the changes in life, which also led to changes in the garden space. Fourth, elements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existed in the study area, and among them, a large proportion of the elements, including an oddly shaped stone, standing stones, stone mortar, and earthen wall. It was plant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planting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 trees. Fifth, there were 36 old trees in 14 of the study areas, meeting the value of traditional ga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