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양 꽃 전시회의 전시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2007-2012년 작품을 중심으로

        박은영 ( Eun Yeong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2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5

        꽃의 소비 수준과 정원의 수준이 그 나라의 문화적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고 있다. 환경·문화·예술의 화두가 계속되는 현재 지자체들은 산업축제 중에서 꽃을 주제로 한 꽃 전시회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에서 2012년까지 최근 6년간 개최된 고양 꽃 전시회의 전시디자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제가 어떻게 전달되고, 표현되고, 체험되는지에 관해 주제전개, 장면구성, 층위설정의 세 가지 틀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공간구성과 재료사용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전시디자인 기법에서 주제의 전개를 리얼리티와 메타포의 관점에서 보면 오브제가 가장 중요 수단이다. 벽과 천장을 주로 활용하고 식물은 분위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장면의 구성은 회화적 풍경을 위해 바닥에 식물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구도와 원근법을 이용하여 아름다운 정원을 조성하고 있다. 시적 풍경을 위해 벽과 천장을 이용하여 식물의 형태를 재배치시켜 새로운 의미로 탄생시키고 있다. 층위의 구성 차원에서 보면 틀짜기는 벽과 천장을 이용하여 컨텍스트에서 텍스트를 분리해 내기 위한 수법으로 강한 시선의 초점을 오브제를 통해 나타내며 난색계열의 강한 꽃색과 수직의 형태를 선호하고 있다. 켜만들기는 풍부한 미적체험을 위해 유사한 색의 식물을 반복하여 사용하고 식물의 질감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고양 꽃 전시회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해보면, 미적체험을 위한 오브제와 식물의 예술적 결합, 꽃의 의미와 상징성에 대한 개연성 있는 스토리의 시각적 전달, 사회적 맥락과 추세를 반영한 재료의 선택, 고양 호수공간의 어메니티 활용 등이다. The level of flower consumption and gardens plays as a yardstick to judge the level of a country`s culture. As environment, culture and art became a topic, local governments are paying their attention to flower-themed exhibitions amongst many industrial shows.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xhibition design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Goyang Flower Shows in the last six years from 2007 to 2012. To understand how subjects were delivered, expressed and experienced, the designer conducted analysis based on the three-level framework of theme development, scene composition and layer setting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space organization and material use. From the perspectives of reality and metaphor, objects are the most important tool to develop theme in exhibition design. Main objects include walls and ceilings, while plants are used to create an atmosphere. In terms of scene composition, beautiful gardens were composed using traditional structures and perspective centering on plants on the ground, thereby creating a painterly landscape. To make a poetic landscape, walls and ceilings were used to reorganize the form of plants, from which new implications were derived. In terms of layer setting, framing was used as a method to separate context from text using walls and ceilings and express a strong focus of view through objects. Hot-colored flowers and vertical structures were preferred. For aesthetic experiences, layering repeatedly used plants in similar colors and gave emphasis on the texture of plants.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Goyang Flower Show include: an artistic combination of objects and plants for visitors` aesthetic experiences; the delivery of probable visual stories on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flowers; the selection of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social contexts and trends; and the utilization of amenities in the Goyang Lake Park.

      • KCI등재

        지역대학생의 농촌경관 개선사업 참여를 위한 발전방안 연구 - 금산읍 농촌중심지 사업을 대상으로 -

        박은영,Park, Eun-Yeong 한국농촌계획학회 2018 농촌계획 Vol.24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more reasonable and efficient development plans to engage local university students in landscape improvement projects in rural areas. To survey university students, residents, administrators and experts involved in such projects on important considerations in this regard, SWOT analysis was employed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llowed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evaluate their relative importance,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SWOT group was in the order of opportunity, strength, threat, and weakness. For each SWOT factor,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rengths was in the order of students' aspiration and passion, availability of creative ideas and designs, and improved attachment to their community. The relative importance of weaknesses was in the order of the lack of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short preparation periods and insufficient budgets, and the lack of experience in similar projects. The relative importance of opportunities was in the order of young students' activity itself being a boost factor to the community, students' endeavors arising a consensus among residents, and students feeling a sense of duty as representatives of their schoo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reats was in the order of projects being one-shot, temporary events, immaturity, and differences in preferences between older and younger generations. To draw an overall ranking of the sub-factors evaluated, the overall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cision-making factors was evaluated. Among the sub-factors for each SWOT group, young students' activity itself being a boost factor to the community as an opportunity factor was shown to be the most important, while the lack of experience in similar projects was shown to be the least important as administrators and experts made appropriate interventions in each stage.

      • KCI등재

        거투르드 지킬(Gertrude Jekyll)의 와일드 가든(Wild Garden)에서 사용된 식물 관계 분석

        박은영,Park, Eun-Yeong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4

        본 연구는 거투르트 지킬(Gertrude Jekyll)이 조성한 와일드 가든 형식의 작품에 사용된 식물의 종류와 식물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식재패턴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를 위한 사례지는 코츠월드 코타지(Cotswold Cottage), 드라이톤 우드(Dryton Wood), 리틀 애스톤(Little Aston), 클랭프 코트(Frant Court) 4개소이다. 작품별로 사용된 식재 패턴에서 식물간의 직접적인 연결관계를 보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분석 프로그램인 R을 이용하여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결과에 따라 상위그룹의 3순위에 속하는 식물을 도출하여 식물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연결중심성이 가장 높은 식물은 철쭉류로 나타났고, 야생 장미가 그 다음 순이었다. 내한성이 강한 교배종의 철쭉류는 하부식재로 여러 수종과 연결되어 비정형식의 숲정원 느낌을 추구하였다. 야생 장미 또한 자생 수종으로 생태적인 면과 미적인 면에서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다층식재를 이루고 있다. 또한, 마가목, 채진목, 둥글레, 서양매발톱 등 흰색의 작은 꽃이 피는 수종을 식재하여 드리프트를 통한 식물 종을 자연스럽게 연결지을 수 있는 식물군락으로 와일드 가든을 조성하였다. This is an empir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lants used in Gertrude Jekyll's wild gardens,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plants, and analyze the planting patterns. Four sites were chosen for the study: the Cotswold Cottage, the Dryton Wood, the Little Aston, and the Frant Court. To find direct relationships between plants from the planting patterns shown in these gardens, the social network analysis program R was used to analyze degree centrality, which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op three plants, followed by looking into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zaleas(Rhododendron spp.) showed the highest degree centrality, followed by wild roses (Rosa spp.). Cold-resistant crossbreed azaleas were used as underplanting connected to many different plants, creating the feeling of an atypical woodland garden. As an indigene, wild roses showed high degree centrality in terms of ecology and aesthetics, forming multiple layer planting. Also, plants with small white flowers, for example rowans(Sorbus commixta), shadbush(Amelanchier asiatica), sealwort(Polygonatum odoratum), and American columbines(Aquilegia vulgaris) were planted in these wild gardens as plant colonies to make natural connections with other plants through drifts.

      • KCI우수등재

        지속가능한 도시재생 모색을 위한 일상적 도시정원 가꾸기 유형 특성 연구 - 성남시 수진2동을 중심으로 -

        박재민,최정권,박은영,Park, Jae-min,Choi, Jung-Kwon,Park, Eun-Yeong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3

        열악한 도시환경에서 주민이 일상적으로 가꾸어온 정원은 과연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을까? 본 연구는 일상적 도시정원을 살핌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수진2동을 대상으로, 정원 조성 유형, 특성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일부 조성 이유와 목적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수진2동의 도시정원은 협소한 공간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평지형보다는 입체형 정원이 주로 나타났다. 정원 조성 위치에 따라 6가지(건물 앞, 옥상, 현관지붕, 계단, 벽면, 마당)로 구분되었으며, 이중 공간 확보가 용이한 옥상 정원이 가장 많았고, 주로 생산을 목적으로 조성되었다. 지역 내 건축적 특징으로 인해 계단 정원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났는데, 주로 심미적 목적을 위해 조성되었다. 건물 앞 정원은 입구성, 시선차폐, 불법주차방지 등 다기능으로 사용하였다. 그 외, 단독주택에서는 적극적으로 조성한 수준 높은 정원이 확인되었고, 반면 다가구 주택에서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며, 계단정원이 감소하고 벽면녹화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수진2동 도시정원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진행하고 있는 성남시 도시재생사업에서 철거와 신축만이 아니라 그 속에 살아가고 있는 주민의 삶 속에 담겨진 지혜를 발견하여 이용하는 것 또한 중요함을 말하고자 하였다. 특히 도시 공간 내에서 정원을 가꾼다는 것은 단지 개인의 취미를 넘어 도시의 공공성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재생 사업과 일상적 도시정원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What are the roles and functions of urban gardening created by citizens in Sujin 2-dong, Seongnam-si? This study has looked into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in a bid to find possible solutions for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e paper has examined the types,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gardens in Sujin 2-dong, where the urban restoration project is in progress. This study has conducted primarily on-site inspections and interview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urban gardens in Sujin 2-dong have a vertical structure rather than a regular ground-based one due to lack of land. Six major locations of building a garden include the front of a building, rooftop, top of a gate, stairs, wall, and yard. Rooftop gardens are most common and are built mostly for production purposes. Due to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is village, there are relatively many stair gardens built mostly for aesthetic purposes. The garden in front of a building has served multiple functions, including formation of entry, privacy protection, and prevention of unauthorized parking. Other than those, detached houses have quality urban gardens built with greater effort and care, while multi-household houses have seen a decrease of stair gardens and an increase of vertical gardens due to their comparatively limited space. By utilizing this research, we hope to show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ocal's wisdom and voice for a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as well as keep these findings in mind during the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This study would be expected to be useful as primary research for urban gardening in everyday life and alternative ways of urban regeneration.

      • 정원 식물의 실제 색과 색 표현의 차이

        박은영(Eun-Yeong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

        본 논문에서는 정원 식물의 색 사용에 있어 적절하고 타당한 표현을 위한 실제 색과 색 표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외국에서 수입하는 식물 종을 중심으로 제킬(Jekyll)의 저서와 보편적인 식물 카탈로그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상징적인 의미로 인한 차이, 척도의 불분명으로 인한 차이, 무분별한 수식어의 사용으로 인한 차이, 광범위한 사용으로 인한 차이, 질감과의 혼용으로 인한 차이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향후 정원 설계에서 식물 수급자와 설계자 간의 언어적 표현의 차이로 인한 혼돈과 오류를 줄이고, 공통적인 색 표현의 작성에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 시각예술적 요소가 융합된 과학실험의 적용이 학생의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박은영 ( Eun Yeong Park ),강성주 ( Seong Joo Ka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cience experiment integrated with a visual arts element on the improvement in the scientific creativity of students. Two classes were chosen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led group was implemented with the regular textbook experiments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lemented with the science experiment integrated with a visual arts element. After the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experiment integrated with a visual arts element was more effective to enhance the creative thinking, in particular, its sub-factor ``creativity and fantasy``.

      • KCI등재

        재식설계의 관점에서 본 칼 푀르스터(Karl Foerster)의 정원 연구

        박은영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1 No.3

        칼 푀르스터(Karl Foerster)는 독일 정원문화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서, 새로운 소재의 선정과 정원을 보급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특히, 재식설계의 관점으로 볼 때 최근 들어 유행하고 있는 자연식재의 계기를 만들었고, 현대에 사용되고 있는 그라스류를 이미 사용하여 디자인한 점 등 현시점에서 재조명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칼 푀르스터의 정원을 통해서 그의 재식설계방법과 역사적인 의의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간의 형식면에서는 기후와 시대적인 영향에 의해 선큰가든 스타일로 조성하였고, 자연스럽게 개방된 목초지와 양치류, 그라스류의 사용으로 자연식재의 유행을 선도하였다. 둘째, 소재의 사용은 다년초의 필요성을 주장함과 동시에 일반인들이 쉽게 재배할 수 있고, 추위에 잘 견디는 강한 식물의 다년초를 직접 육종하였다. 또한, 식물의 특징과 결합방식을 전시용 정원으로 조성하여 대중에게 알려주는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 셋째, 재식설계의 미적 원칙은 색상과 계절에 집중하고, 파란색, 노란색, 흰색을 선호하여 델피니움, 루드베키아, 플록스 등의 신품종 개발을 하였다. 계절을 세분한 7계절에 대한 생각은 지금의 윈터가든을 조성하는 효시가 되었다. Karl Foerster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stablishment of the German garden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planting design, in particular, he greatly contributed to the selection of new materials and the distribution of gardens. Therefore it is worth re-exploring his garden in that he triggered the use of natural planting that is widely used these days and already used ornamental grasses in his garden designs. This study aimed to review Foerster`s garden to understand his planting design methods and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suggest: Firstly, in spatial structure he designed sunken gardens influenced by the climate and triggered the use of natural planting by applying naturally open meadow, ferns and grasses. Secondly, in terms of the use of materials, he pointed out the necessity to use perennial plants. He bred perennial plants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easily grow and that were resistant against cold and created show gardens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s and possible combination methods to the public. Thirdly, in terms of the aesthetical principles of his planting design, he focuses on colors and seasons and was interested in blue, yellow and white colors. In doing so, he developed new varieties such as Delphinium, Rudbeckia and Phlox. 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seven seasons, which served as the ancestor of contemporary winter gardens.

      • KCI등재

        영국 화이트 가든(White Garden)의 초화류 설계기법 -20C 초반 작정된 시싱허스트, 배링턴 코트를 중심으로-

        박은영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8 No.4

        정원을 만드는데 있어서 정원설계가들은 특정한 색을 이용하여 원칙을 정하고 소재를 수집하여 각자의 미의식으로 결합해가는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흰색을 배색의 주조톤으로 하여 유명한 정원인 제킬(Gertrude Jekyll)의 배링턴 코트(Barrington court)와 비타(Vita Sackvill-West)의 시싱허스트(Sissinghurst)의 화이트 가든에 사용된 초화류의 종류와 특성을 통해 설계기법을 연구한다. 사용된 개별식물을 계절, 색, 형태, 초장, 향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화이트 가든 조성 시 초화류의 미적 결합방식을 제킬과 비타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제킬은 봄의 신선함을 위한 정원으로 초롱꽃류(Campanula spp.), 백합류(Lilium spp.)를 위주로 식재하였다. 비타(Vita Sackvill-West)는 주로 여름밤의 달빛을 겨냥한 정원으로 델피니움류(Delphinium spp.), 장미류(Rosa spp.)가 대표적인 수종이다. 꽃의 색은 흰색계열로 조성하였으나, 순수한 흰색에서부터 아이보리색과 실버색을 포함하였으며, 꽃의 형태는 흰색의 단일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해 강한 형태를 사용하였다. 또한 잎의 색은 흰꽃이 잘 돋보일 수 있도록 연록색, 연회색, 밝은 녹황색 잎을 조합하였다. 전반적으로 차가운 색상 계열을 사용하여 신비감과 시원함, 청정함, 밤에 빛이 반사되었을 때 흰꽃과 더불어 매혹적이고 애상적인 이미지를 추구하였다. 화이트 가든의 조경사적 의의는 색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재식설계기법의 아이디어와 기술로 주제색상을 통한 정원설계의 시발점이 되었으며, 미적 원리에 의한 결합으로 정원예술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In making gardens, garden designers establish a principle using specific colors, collect materials, and combine them with their own aesthetic senses. This study is design mothed through the species and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plants used in the Barrington court created by Gertrude Jekyll and Sissinghurst`s white garden created by Vita Sackville-West, both of which are the most renowned gardens that used the white color. The analysis of each individual plant used in the gardens will be based on the season, colors, shapes, plant heights and aromaticity. Through their gardens, how the flowering plants aesthetically united with each other in creating the white gardens will be reviewed. To represent the freshness of spring, Jekyll planted Campanula spp. and Lilium spp. in the garden. Vita Sackvill-West aims at the moonlight in a summer night and features Delphinium spp., Rosa mulliganii, and R. longicuspis. The color of the flowers is in white, varying from pure white, ivory and silver. To prevent monotony due to monocolor flowers, the forms of the flowers are intense. To make white flowers look better, the colors of leaves include light green, light gray and bright and greenish yellow. Overall, cool colors are used to give a mystique, coolness, cleanness and to produce an fascinating and plaintive atmosphere, getting joined with white flowers and reflected light in the night. The White Garden has mad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it was the starting point of garden design through theme colors, based on the idea and technology of planting design methods that discover the potential of colors and withdraw limits. And it als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garden art with combinations by aesthetic principles.

      • KCI등재

        그라스(Grasses)류의 현대 활용추세 관점에서 본 피에트 우돌프(Piet Oudolf)의 정원 디자인 특징

        박은영 ( Eun Yeo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자연식재의 경향, 기후변화, 유지관리 면에서 유리한 새로운 조경식물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그라스의 사용은 늘어날 것이며, ‘그라스류를 어떻게 조경공간에서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 에 관한 해답을 제공할 목적으로 숙근초와 그라스의 사용에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현대적인 식재디자인의 추세를 이끌어 내고 있는 피에트 우돌프(Piet Oudolf)의 정원디자인을 통해 그라스 사용의 식재기법과 의미를 디자인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돌프의 그라스를 통한 정원디자인 특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연구결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그라스와 숙근초의 결합방식에 있어 일대일로 대응시키거나, 확대되어 드리프트(drift) 기법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이때의 그라스는 주로 공간을 전환하거나 이미지가 전이될 때 삽입되는 연결 소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둘째, 정원에서 시간의 지속성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그라스의 갈색(brown color)과 질감(texture)을 이용하였다. 이는 가을, 겨울의 서정성과 회화성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규모가 커지면서 시점과 동선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층위를 설정하고 있다. 매트릭스, 섬, 분산층위를 통해 반복적으로 숙근초와 그라스를 교차시키고 있다. 이때는 장면과 장면을 설정해 가며, 그 속에서 그라스는 추상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Given the recent trend of natural planting, the recognized needs for new landscaping plants that have advantages in terms of climate change and maintenance, and expected increases in demands for grasses in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from the design point of view the techniques to use grasses and their significance through garden design by Piet Oudolf who is attracting international interests with the use of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and is leading the trends in modern planting design, thereby answering the question: how to best use grasses in landscaping spaces? The characteristics of Oudolf’s garden design using grasse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Oudolf combines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to make one-to-one correspondences or express expanded drifts. Here grasses mainly serve as an element to change over to other spaces or as a connecting element between image transitions. Second, the brown color and texture of grasses represent Oudolf’s considerations on the temporal continuity of gardens. They express the lyricism and pictorialism of autumn and winter. Third, grasses serve to set layers in wide areas resulting in discordance between viewpoints and circulations. Oudolf repeatedly cross perennial plants and grasses using matrices, islands and distributed layering. Here grasses are used to express abstractive meanings in the settings of sce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