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자기식 센서의 용접선 검출특성에 관한 연구

        최상봉,유병희,김재웅 경북실업전문대학 1998 慶北實業專門大學論文集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식센서의 모재와의 거리에 따른 용접선 검출과 각종 금속재료에 따른 용접선 검출 능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전자기식 센서는 아크전류에 의한 노이즈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어 아크용접 공정에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냉간압연강판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센서와 모재간의 거리를 4mm이하로 하면 출력신호에 의한 용접선 검출 능력이 극히 양호하나 용접 대상물과의 충돌 등을 고려하면 약 4mm의 거리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센서와 모재간 거리에 따른 출력 전압값의 변화특성에서 8mm까지는 출력 전압값의 변화가 뚜렷하여 금속체와의 거리측정 또는 용접토치의 높이제어 등에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전자기식 센서는 냉간압연강판은 물론 스테인리스강, 구리, 알루미늄 판재의 맞대기 용접선을 검출할 수 있었으며, 구리와 알루미늄에서는 검출 특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용접선 추적시스템의 적용이 가능한 수준임을 볼 수 있었다.

      • KCI등재SCOPUS
      • KCI등재

        공간적 제한 하의 전자기-열 연성 해석을 통한 철도차량 2차 현가장치용 선형 전자기식 액추에이터의 설계

        김동욱(Dongwook Kim),윤준호(Jun-Ho Yoon),박노철(No-Cheol Park)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2 No.2

        철도 차량의 승차감이 중요해짐에 따라 승차감에 영향을 많이 주는 횡방향 진동 저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수동형 현가장치가 아닌 능동형 현가장치가 적합하다. 능동형 현가장치로서는 높은 추력밀도와 제어 성능을 가지고 있는 원통형 전자기식 액추에이터가 적합하다. 원통형 전자기식 액추에이터의 구동 방식 중 배선이 쉽고 높은 추력 밀도를 가지고 있는 슬롯이 있는 영구자석 이동식 액추에이터를 선정하였다. 주어진 크기 내에서 얻을 수 있는 추력을 알기 위해 전자기-열해석 모델을 구축하였고 이를 연성하여 최종적으로 최대 추력을 도출하였다. 목표 추력인 7500N 이상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은 전자기 회로의 길이가 600mm에 직경이 300mm인 모델이었다. 열차의 주행에 따른 강제 대류로 인한 냉각 조건을 더 부여할 시 그 크기는 더 줄어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reduction in lateral vibration in railway vehicles, which has an effect on ride comfort. For this purpose, active suspension rather than conventional passive suspension is suitable. A tubular electromagnetic (EM) actuator is appropriate for an active suspension as it has a high thrust density and controllability. Among the several driving methods of the actuator, a permanent moving-magnet type with slots that have easy wiring, and a high thrust density, was selected. To obtain the thrust force for a given actuator size, an EM-thermal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maximum thrust was obtained. A model of 300 mm diameter and 600 mm length satisfied the target thrust of 7500 N. It is confirmed that the size can be further reduced when forced convection due to the operation of the train is applied.

      • KCI등재후보

        전자기식 체외충격파쇄석술시 하부요관 결석 환자에 대해 적합한 충격강도와 C-arm 총 가동시간

        박정규(Jeong kyu Park),조의현(Euy Hyun Cho)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7

        체외 충격파 쇄석술시 쇄석기종에 따라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전 처치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전자기식 ESWL시 하부결석환자에서 적합한 충격파의 강도를 찾아보고, C-arm의 총 가동시간을 측정해 보았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6월까지 경북지역 일개시의 C대학병원에서 전 처치를 시행하지 않고 ESWL을 받은 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비는 남자가 48명, 여자가 17명으로 남자가 더 많았으며, 연령은 50대가 가장 많았다. 하부요로결석의 발생은 왼쪽이 더 많았으며, 결석의 크기는 5mm 이하가 39명으로 가장 많았다. 적합한 충격강도는 1의 강도이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C의 강도로 전환하여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C-arm의 총 가동시간은 241.73±30.37초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하부요로결석의 크기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ESWL시 전 처치를 시행하지 않고 시술을 할 경우 요관 결석의 부위에 따라 적합한 충격강도와 충격빈도의 기준이 필요로 하며, C-arm 총 가동시간도 요관 결석의 발생부위에 따라 방사선으로 인한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총 가동시간에 대한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various models of crushed ESWL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and their various side effects due to pre-treatment have been reported. We look for the appropriate intensity of the shock wave in the electromagnetic ESWL treatment of patients with lower Inferior Ureter Stones and measure the total running time of C-arm saw. This study is based on the January-June 2014 launch of 65 patients of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buk, who conducted ESWL without pre-treatment. Patients are composed of 48 male and 17 female which were more common in men, while the most common age is 50s. The occurrence of lower urinary tract stones were left and they were more absent than 5mm in size in 39 of the most common. Optimal intensity is one of the suitable intensity of pain, and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strength of impact to C if one appeals pain. In addition, the C-arm of the total operating time showed 241.73 ± 30.37 seconds, which is the size of the lower urinary tract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Therefore, ESWL treatment without pre-enforce treatment, the standard for the impact frequency and impact strength depending on the site of ureteral stones is required. The standard for total operating time of C-arm generated for ureteral stones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and the standard for the total operating time for the criteria is needed depending on the site in order to minimize the exposure.

      • KCI등재

        전자기식 체외충격파쇄석술시 하부요관 결석 환자에 대해 적합한 충격강도와 C-arm 총 가동시간

        박정규,조의현 한국방사선학회 2014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8 No.7

        체외 충격파 쇄석술시 쇄석기종에 따라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전 처치로 인한 여러 가지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전자기식 ESWL시 하부결석환자에서 적합한 충격파의 강도를 찾아보고, C-arm의 총 가동시간을 측정해 보았다. 본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6월까지 경북지역 일개시의 C대학병원에서 전 처치를 시행하지 않고 ESWL을 받은 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성비는 남자가 48명, 여자가 17명으로 남자가 더 많았으며, 연령은 50대가 가장 많았다. 하부요로결석의 발생은 왼쪽이 더 많았으며, 결석의 크기는 5mm 이하가 39명으로 가장 많았다. 적합한 충격강도는 1의 강도이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C의 강도로 전환하여 충격을 가할 수 있다. 또한 C-arm의 총 가동시간은 241.73±30.37초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하부요로결석의 크기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ESWL시 전처치를 시행하지 않고 시술을 할 경우 요관 결석의 부위에 따라 적합한 충격강도와 충격빈도의 기준이 필요로 하며, C-arm 총 가동시간도 요관 결석의 발생부위에 따라 방사선으로 인한 피폭을 최소화하기 위한 총 가동시간에 대한 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various models of crushed ESWL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and their various side effects due to pre-treatment have been reported. We look for the appropriate intensity of the shock wave in the electromagnetic ESWL treatment of patients with lower Inferior Ureter Stones and measure the total running time of C-arm saw. This study is based on the January-June 2014 launch of 65 patients of C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Gyeongbuk, who conducted ESWL without pre-treatment. Patients are composed of 48 male and 17 female which were more common in men, while the most common age is 50s. The occurrence of lower urinary tract stones were left and they were more absent than 5mm in size in 39 of the most common. Optimal intensity is one of the suitable intensity of pain, and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strength of impact to C if one appeals pain. In addition, the C-arm of the total operating time showed 241.73±30.37 seconds, which is the size of the lower urinary tract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Therefore, ESWL treatment without pre-enforce treatment, the standard for the impact frequency and impact strength depending on the site of ureteral stones is required. The standard for total operating time of C-arm generated for ureteral stones is needed in order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and the standard for the total operating time for the criteria is needed depending on the site in order to minimize the exposure.

      • KCI등재

        체외 충격파 치료술을 위한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식 충격파 발생기: 구성 및 음향학적 특성

        최민주,이종수,강관석,팽동국,이윤준,조주현,임근희,Choi Min Joo,Lee Jong Soo,Kang Gwan Suk,Paeng Dong Guk,Lee Yoon Joon,Cho Chu Hyun,Rim Geun Hie 한국음향학회 2005 韓國音響學會誌 Vol.24 No.5

        솔레노이드 코일을 이용하여 체외 충격파 치료술에 적합한 전자기식 충격파 발생기를 구성하였다. 충격파 발생기의 충격파의 특성은 바늘형 하이드로폰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충격파 발생기 방전 전압이 8에서 18 kV로 증가할 때 측정된 충격파의 최대 양압 (P+)은 $10\~77\;MPa$사이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충격파 최대 음압 (P-)은 $-3.2\~-6.8\;MPa$ 에서 변화하고 있으며, 방전 전압이 14 kV에서 -6.9 MPa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동일한 설정에서 반복 측정된 충격파의 크기 P+는 평균값의 $5\;\%$ 이내에서 변화하며, 전기 수력학적 방식 충격파 발생기 경우의 $50\;\%$ 정도와 비교하여, 매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축에서 1 ms 동안 측정한 하이드로폰 신호로부터 충격파에 의해 야기된 음향 공동 현상, 즉, 기포의 파열 현상으로 발생된 다수의 순차적인 음향 임펄스를 관찰할 수 있었다. 웨이블렛 변환 기법을 이용하여, 충격파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첫 번째와 두 번째 기포 파열 시간 지연을 정확히 측정하였다. 충격파 크기 P+가 10 에서 77 MPa로 증가할 때 측정된 기포 파열 지연 시간은 120부터 $700\;{\mu}s$ 로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An electromagnetic type shock wave generator suitable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has been constructed by employing a solenoid coil. The Property of the shock waves produced by the shock wave generator was evaluated using a needle hydrophone. It was shown that, as the capacitor discharging voltage increased from 8 to 18 kV, the Positive Peak Pressure (P+) of the shock wave increased non-linearly from 10 to 77 Wa. In contrast. the negative peak Pressure (f) varied between -3.2 and -6.8 MPa. had its absolute maximum of -6.9 ma at 14 kV The peak amplitudes P+ measured repeatedly under the same voltage setting varied within $5\;\%$ from mean values and this is very small compared to about $50\;\%$ for electrohydraulic type shock wave generators. It could be observed, from the hydrophone signal recorded over 1 ms. several sequential acoustic impulses representing bubble collapses. namely. acoustic cavitation. induced by the shock wave. A technique based on wavelet transformation was used to accurately measure the time delay between the 1st and 2nd collapse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hock strength. It was observed that the measured time delay increased almost linearly from 120 to $700\;{\mu}s$ with the shock wave Pressure P+ increasing from 10 to 77 MPa.

      • 전자기식 충격흡수구조의 설계를 위한 동특성 해석 및 실험

        이미선,배재성,황재혁,임재혁,Yi, Mi-Seon,Bae, Jae-Sung,Hwang, Jae-Hyuk,Im, Jae-Hyuk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2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6 No.1

        A shock absorber with magnetic effects is suggested for a lunar space-ship expected to launch in 2025. The device consists of a copper steel combined tube, two magnets, and a piston. The piston is designed to move a magnet through the tube when it is pushed by an external impact. While the magnet is moving in the tube, it generates the eddy current force with the copper part of the tube and it also makes the large friction force with the steel part of the tube. Beside, it gets resistive forces against its movement such as the magnetic force with a steel-ring at the first time of the movement and the repulsive force with a same pole opposed magnet at the end time of the movement. In this thesis, results of analyses and experiments of each force are represented and the expected performance of the electromagnetic shock absorber is drawn from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