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 자서전을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지역 대중조직 창설 운동

        김재웅 한국근현대사학회 2018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86 No.-

        This study focused on mass organizations constructed by North Korean people shortly after liberation. Numerous organizations were formed, ranging from organizations for public peace to maintain social order to parties representing various levels of interest. Although the goals of the mass organizations were inconsistent, they had the same orientation in that they sought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new nation. This study used the autobiographies and personal histories captured in North Korea by US troops during the Korean War as basic data. The materials contain key informations for each individuals, including the author’s growth environment and past experiences and so on. This study, which paid attention to the movements to construct mass organizations in North Korea, listened to the voices of unknown general public. This study attempts to recreate the concrete aspects and dynamics of form of the North Korean power structure through their voices. 이 연구는 해방 직후 북한지역민들이 주도한 대중조직 창설 운동에 주목하였다. 사회적 혼란의 수습과 질서 유지를 모색한 치안조직으로부터, 다양한 계층의 이해관계를 대변한 정당 조직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조직들이 결성되었다. 대중조직들의 목표는 일치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국가 건설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했다는 점에서 그들은 동일한 지향성을 지니고 있었다. 한국전쟁 시기에 미군이 북한지역에서 노획한 자서전과 이력서가 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그 자료들은 작성자들의 성장 환경과 과거 경력을 비롯한 개개인들의 핵심 정보를 수록하고 있다. 북한지역 대중조직 창설 운동에 주목한 이 연구는 그를 주도한 알려지지 않은 일반 대중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이 연구는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북한지역 권력 구조형성의 구체상과 역동성을 재현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송대(宋代) ${\ll}$영조법식(營造法式)${\gg}$ 대목작(大木作) 포작(鋪作) 관련용어의 파생에 관한 연구

        김재웅,Kim, Jae-U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11 건축역사연구 Vol.20 No.2

        This paper aimed at analyzing of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y for bracket structure in Yingzaofashi ${\ll}$營造法式${\gg}$in the era of Song Dynasty and illuminating coinage characteristics and method of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y for bracket Structure through graphonomy research and system and structure of these terms.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ies for structure were identified to be approximately 23 words, and terminology of bracket structure鋪作 is largely categorized into 3 categories of Type鋪作次序, Structure, Place.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ies for parts largely categorized into 2 categories of Bracket structure鋪作, Others. Bracket structure terminologies for parts were derived from the core of Dou枓, Gong?, Ang?, Fang方. The phenomena of derivation in structural carpentry terminology for bracket structure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the shape of subsidiary material and the location for usage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part of the subsidiary material and their functions.

      • KCI등재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김재웅 택민국학연구원 2022 국학연구론총 Vol.- No.30

        Text analysis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eight types of “Chunhyangjeon” manuscripts in the Chungcheong area to examine the literary response of manuscripts. As a result for reviewing the eight manuscripts,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was continued for manuscripts, not for Banggak or typography. These works have been used as the texts of “Byoulchunhyangjeon” affiation for 13 years from 1909 to 1922. From the Gaehwagil(a period of transition to a modern socie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radition of writing “Chunhyangjeon” continued, but after that, it is thought that it changed from handwriting it to reading it. The scribes of “Chunhyangjeon” are mostly women (6 types). The predominance of female scribes is similar to that of Yeongnam, but it shows differences from Honam. “Chunhyangjeon” was transcribed during the rest of farming with concentration. This is because during the rest of farming, there was a time that women from poor sunbi families could learn Hangul. The transcription tradition and literary response reflect the regional culture of Chungcheong. First, the scribes from the Chungcheong region prefe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entered stories and the characters of reading materials through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Chunhyangjeon.” Second, the begining of the work shows the nature of the initial work that Yidoryeong appears first. The works with Confucian rewards for Chunhyang's chastity at the end are quite poor. Third, the part of Saranga(Love song) is shortened, but Ibyeoulga(farewell song) is expande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men from Sunbi families have changed the text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love and expangind farewell. Fourth, alo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Chunhyang's dream in prison, there is a wealth of lamentation over the new life and the sexual desire of Bongsa(a blind man) who grops through Chunhyang's body. Fifth, Yi Mong-ryong's pass of the government examination has been reduced, while his performance as a secret royal inspector has been expanded. Nevertheless, the scribes in the Chungcheong region focuses on dramatic reunion between Yi Mong-ryong and Chunhyang without punishing Byun Hak-do. In the above,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Chunhyangjeon” in the Chungcheong region and the literary response of the scribes are similar to that of the Yeongnam region, while they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nam region. Literary value can be given in that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Chunhyangjeon” are grasped. 충청 지역 필사본 <춘향전> 8종에 대하여 텍스트 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국문본 <춘향전> 이본을 검토한 결과 방각본이나 활자본이 아닌 필사본을 대상으로 필사의 전통을 지속했다. 이 작품들은 1909~1922년까지 13년간 ‘별춘향전’계열을 텍스트로 활용하고 있다.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춘향전> 필사의 전통을 지속했지만 그 이후에는 필사에서 독서로 향유문화가 변모한 것으로 생각된다. <춘향전> 필사자는 남성보다 여성(6종)이 풍부하다. 여성 필사자가 풍부한 것은 영남과 유사하지만 호남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충청 지역 <춘향전>도 농한기에 집중적으로 필사되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가난한 선비집안 여성들이 농한기를 이용하여 언문을 배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문학적 대응은 충청 지역문화를 반영한다. 첫째, 충청 지역 필사자는 <춘향전> 필사의 전통을 통해서 이야기 중심의 서사 전개와 독서물적 성격을 선호하고 있다. 둘째, 작품의 서두는 이도령이 먼저 등장하는 초기본의 성격을 보여준다. 작품의 결말은 춘향의 정절에 대한 유교적 보상이 첨가된 작품이 상당히 빈약하게 나타난다. 셋째, 사랑가 대목이 축소된 반면에 이별가 대목은 확장되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집안 여성들이 사랑가를 축약하고 이별가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텍스트를 변모했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춘향의 옥중 해몽과 함께 봉사의 신세 한탄 및 춘향의 몸을 더듬는 봉사의 성적 욕망이 풍부하다. 다섯째, 이몽룡의 과거급제는 축소된 반면에 암행어사로서 관직을 수행은 확장되어 있다. 그럼에도 암행어사가 변학도를 처벌하지 않으면서도 춘향과의 극적 상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상에서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은 영남 지역과 유사한 반면에 호남 지역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은 <춘향전>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사증후군 진단요소 및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과 폐기능 간의 상관관계

        김재웅,김동현,안지현,김재택 대한비만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2 No.3

        연구배경 : 대사증후군과 비만의 유병율은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폐기능에 이 두 질환들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는 계속되고 있으나 명확한 위험인자의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과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과 폐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 2010년 1월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중앙대학교병원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20세부터 60세까지의 총 1,962명(남자 545명, 여자 1,417명)을 대상으로 횡단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정의는 2005년 미국심장학회에서 발표한 AHA/NHLBI에 따랐으며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은 체성분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남자에서 낮은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혈증군과 고혈압군에서 FEV1/FVC가 정상군에 비해 각각 84.2 ± 6.2%(P < 0.001)와 83.7 ± 6.2%(P < 0.05) 로 낮게 나타났고 체지방률과 체지방량이 증가할수록 FVC, FEV1, FEV1/FVC 모두 감소하였다. 여자에서는 고혈압군에서 FEV1이 93.8 ± 11.1%(P < 0.05), FVC 가 104.3 ± 13.0%(P < 0.05)로 정상혈압 군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체질량지수에 따라 FEV1, FVC가 증가하고 FEV1/FVC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 대사증후군 진단 요소와 체성분 분석을 통해 얻은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과 폐기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남녀에서 각각 다른 인자들이 폐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명확한 단일 인자는 밝힐 수 없었다. 따라서 폐질환이 없는 60세 미만의 정상군에서 대사증후군이나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체지방량에 따라 폐기능의 변화는 그 예측도가 낮으며 임상적 의의는 미미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여성’·‘어린이’·‘섹스’를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의 가족문화

        김재웅 한국근현대사학회 2014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71 No.-

        North Korea with a socialist orientation gave affirmative meaning to functionsof family, unlike prospect of Marxism that it will become extinct with abolitionof private possession. Also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patriarchal system rejectedby Marxism were recognized as effective mechanisms that can support State policiesin family unit. The Supreme Court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tried to suppress divorces increasing suddenly with proclamation of law on equalitybetween men and women. Divorces were suppressed because of negative effectson upbring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Task of raising revolutionary childrenwas recognized as the most noble mission to women in charge of social and culturalreproduction. Like women and children and teenagers, families were mobilized for realizationof national ideology and policies. An attempt to convert home into political spacewas the starting point. Letters sent to their parents and brothers and sisters andwives and lovers from Korean students studying in the Soviet Union at the timeof the Korean War indicate significant shrinking of private space in the home. The politicalization of family that led to shrinking of private space reveals thatthe power of the State penetrating into home tried to use it as a tool of rule. Also love and sex, medium of reproduction of family were put under the controlof the State. Sex under control by various ways was utilized as a means to carrypolitical goal of the State. It was an effective means utilized to criticism againstimmoral culture of hostile countries and display of moral superiority of their country. North Korea oppressed and covered up sex in case of mobilization of the crowdfor nation building. Whereas they utilized it as an exposing means in case ofcriticism against hostile countries. In that sense, sex in North Korea involved duplicity.

      • KCI등재
      • KCI등재

        연좌제와 출신성분의 규정력을 통해 본 해방 후 북한의 가족정책

        김재웅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7 No.-

        After the liberation, North Korea applied an implicative system to family relations. Unlike the South Korean implicative system, which was mainly applied to left-wing families, in North Korea it was widely applied to landowning, pro-Japanese, and Christian families, and so on. Discrimination based on the family class was a key element of the implicative system in North Korea. The family class, which meant the parental occupation at the time of birth, was used as a measure for the state to subsume or exclude family members by putting them into a single class frame. This study will examine the family culture of North Korea based on autobiographies written by individuals and the evaluation documents written by officials who evaluated them. In addition, it will investigate how North Korea, which tried to put the Marxist perspective on class into practice, handled families belonging to various classes. The autobiographies reveal vivid images of the times through people’s voices. By considering individuals’ inner world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contemporaries, this study will try to reconstruct North Korea's family and class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and everyday history by piecing these experience fragments together. 해방 후 북한은 가족관계에 연좌제를 적용하였다. 주로 좌익 가정에 적용되었던 남한의 연좌제와 달리, 북한의 연좌제는 지주·친일파·월남자·기독교도 등의 가정에 이르기까지 광범하게 적용되었다. 출신성분에 따른 차별은 북한의 연좌제를 구성한 핵심 요소였다. 출생 당시 부모의 직업을 의미하는 출신성분은 가족 구성원들을 하나의 계급 틀에 가둠으로써, 국가가 그들을 포섭하거나 배제하는 척도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개개인들이 작성한 자서전과 그들을 평가한 당국자들의 평정서에 기초하여, 연좌제가 적용된 북한의 가족문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마르크스주의적 계급관을 현실에 적용한 북한이 상이한 계급의 가정에 어떠한 접근법을 구사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자서전 자료는 역사의 현장에 있었던 이들의 목소리를 통해 당대의 시대상과 사회상을 생생히 드러낸다. 당대인들의 활동은 물론 내면세계에까지 접근한 이 연구는 그들의 경험 조각들을 하나하나 이어 붙여, 북한의 가족 정책과 계급 정책을 사회사적·일상사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