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령기 저소득층 가정과 일반 가정 아동의 메타구문인식 능력

        윤매희,정경희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ta-syntactic awareness of school 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average-income families. Methods : For this study, 31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31 students from average-income families participated. They were tested using a word-ordering task and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to verify their meta-syntactic awareness. Results : First,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lower scores in word-ordering ability. In each sentential type, the differences between simple sentence and complex-compound sentence, and complex-embedded sent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ntential type and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erformance gap appeared that is larger than in simple and complex sentences.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for all sentential types. Second, the children from low-income provided lower performance on their grammaticality judgment competence than the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Within the category of grammaticality, both groups had difficulties in post-position, suffix, and affix respectively. The main effects for all categories were the difference between post-position and suffix, post-position and affix, suffix and affix.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ntential type and group were relevant as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hich scored lower than the children from average-income families in using post-position, and showed similar ability in affix and suffix. Conclusions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give practical support to the syntactic awareness skills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because these skills can be developed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during their preschool and school years.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저소득층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메타구문인식능력의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저소득층가정 아동 31명,과 일반가정 아동 31명이참여하였다. 메타구문인식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문장구성 과제와 문법성 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문장구성 능력에서 저소득층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문장유형별로는 단문과 복문 이어진 문장, 복문-이어진문장과 복문-안은문장 유형 간의 차이가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문장유형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하였는데 단문, 복문-안은문장에 비해복문-이어진문장에서 저소득층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수행력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문장유형에서 저소득층가정 아동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문법성판단 능력에서 저소득층가정 아동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문법성 범주에따라서는 조사와 연결어미, 조사와 접사, 연결어미와 접사 간의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범주에 따른집단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하였는데 조사에서는 저소득층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수행력을 보였으나, 연결어미와 접사에서는 저소득층가정 아동과 일반가정아동이 비슷한 수행력을보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메타구문인식능력은 학령전기에서부터시작하여 학령기를 거치면서 비교적 오랜 기간 발달하는 능력임을 생각할 때 저소득층 아동의메타구문인식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의 노력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하미용,남상권 한국예술치료학회 201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Y군 내 위치한 지역 아동센터 초등학교 저학년 8명(남아 1명, 여아 7명)이다. 프로그램은 매주 2회, 90분씩 총 15회기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투사검사 인 K-HTP(동적 집-나무-사람)와 KSD(학교생활화), Coopersmith(1987)의 아동용 자 아존중감 척도를 신철(1997)이 수정보완 한 자아존중감척도, 정범모(1971)가 제작한 초 등학교 인성검사 중 사회성 검사 내용을 권영세(1999)가 수정, 보완한 사회성척도를 초등학교 2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검사 도구에 의해 측정된 사 전, 사후 검사 점수를 토대로 t검증 하였으며, 조사된 자료의 처리는 SPSS/PC(ver. 11.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존중감 하위 척도의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 고, 가정에서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투사 검사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둘째,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 났다. 특히 사회성 하위척도의 협동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사교성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 램은 회기별 활동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와 몇 가지 연구의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효과를 검증한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류분석(TA)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최수진,남승미 한국예술치료학회 202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미치 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W복지관을 이용하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사전/사후 각각 10명과 통제집단 사전/사후 각각 10명 무선 표집으로 선정하여 본 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실험집단 사전/사후에서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소감 활동과 관찰을 통한 회기별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 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가? 이다. 자료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 동질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비모수 검증인 맨-휘트니U 검증과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 료프로그램의 실험집단 사전과 통제집단 사전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유의미한 변 화가 나타나지 않아 동질성이 검증되었다. 둘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실험집단 사전/사 후에서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류분석에 기반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회기별 소감 활동과 관찰을 통한 질적 분석의 결과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이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프로 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기표현능력과 사회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 학교생활에 적응이 어려운 아동 들을 대상으로 확대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an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low-income children using the W welfare center in D city.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i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effective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low-income children? Second, i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before/after the experimental group effective in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low-income children? Third, Does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transactional analysis for each session through emotional activity and obser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For data analysis, the Mann-Whitney U test, which is a non-parametric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for effectivenes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roup homogeneity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omogeneity was verified becaus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vance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before/after the experimental group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ir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s for each session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lf-expression ability and sociality of low-income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 KCI등재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자아지각,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양부모 가정과 이혼 가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준아 한국아동권리학회 2010 아동과 권리 Vol.14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mothers' childrearing stress by children's sex and parental divorc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ith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maternal childrearing stress in low income famil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6 children of 4 to 6 grades and their mothers from low income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OVA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 were as follows:(1)Children's behavior problems were not different by children's sex but between the children of divorce and intact families. Children of divorce families had more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than the children of intact families. Children's self-perceived compet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children's sex and parental divorce, except for physical competence and behaviors domain. Boys had better perception on themselves in physical competence than girls. In divorce families, girls had better perception on themselves in behaviors domain than boys, but boys had better perception on themselves in behaviors domain than girls in intact families. Mothers' childrearing str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children's sex but parental divorce. Mothers of divorced families had more childrearing stresses than mothers of intact families. (2)In divorced families, children's self-perception of appearance and maternal childrearing stress accounted for children's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In intact families, children's self-perception of global self-worth and maternal childrearing stress accounted for children's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And maternal childrearing stress accounted for children's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in both divorced and intact families.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문제 행동, 자아지각,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부모의 이혼 여부와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아지각과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4~6학년 아동 중 이혼 가정 아동 83명, 양부모 가정 아동 83명, 총 166명의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16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이원변량 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저소득층 아동의 문제 행동은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의 이혼 여부에 따라 내재화 문제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이혼 가정의 아동이 양부모 가정 아동보다 내재화 문제 행동을 많이 나타냈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 행동에서는 부모 이혼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아지각의 하위 영역 중 ‘신체적 능력’에 대해서는 남아가 여아보다 자신의 신체 능력에 대해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 능력’, ‘사회적 수용’, ‘외모’, ‘전반적 지각’에 대한 자아지각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부모의 이혼 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행동’에 대한 자아지각에서는 아동의 성과 부모의 이혼 여부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저소득층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아동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혼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서, 이혼 가정의 어머니가 양부모 가정 어머니보다 양육에 관한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하였다. 이혼 가정 아동은 자신의 외모에 대한 지각을 낮게 지각할수록, 어머니가 아동이 내재화 문제 행동을 많이 보인다고 보고하였으며, 양부모 가정 아동은 자신의 가치를 낮게 지각할수록, 어머니가 아동이 내재화 문제 행동을 많이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이혼 가정과 양부모 가정의 어머니가 자녀 양육에 관해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아동이 내재화, 외현화 문제 행동을 많이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실태 및 만족도

        김경화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08 아동중심실천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방과후 프로그램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이를 위해 교육기회를 제공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방과후 보육 서비스가 더 발전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저 소득층 아동들은 방과후 프로그램을 일주일에 주2회정도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과후 프로그램 이용기간을 보면 1년 정도 이용하였다. 방과후 프로그램의 하루 이용 시간을 살펴본 결과 2시간이 가장 높았으며,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아동이 환경 적응에는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격문제는 어느 정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과후 프로그램 참여도를 보면 아동이 자발적으로 선택하였고 적극적인 참여를 하였다. 또한 방과후 프로그램에서 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프로그램을 접하게 된 계기는 부모나 교사의 권유에 의해서가 가장 많았다. 방과후 프로그램의 이용하는 목적과 초점으로는 아동의 인성교육과 보육을 위해 방과후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소득층 아동의 방과후 프로그램 만족도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는 장소의 환경에 대해서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낮은 아동들은 방과후 프로그램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문제향상을 살펴본 결과 신체적, 정서적 상태를 향상시키는데 도움되었다. 따라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하여 인성교육과 보육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으며 아동이 적극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저소득층 아동, 방과후 프로그램

      • KCI등재

        한국 아동 복지의 형평성

        장경은(Kyung Eun Jah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2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8

        본 논문은 현행 아동 복지 제도 중 보육정책과 저소득층 아동복지정책을 중심으로 모든 아동의 삶의 질이 복지 사업을 통해서 공평하게 보장받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편적 보육 정책은 평등한 분배의 원칙에 따른다. 모든 아동들이 건강하게 양육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잘 의도된 아동 복지 정책이기는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복지의 중요 개념 중 하나인 사회적 위험에 대비한 불평등 완화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고 있다. 즉 보편적 복지 추구의 이면에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다는 점에서 아동들은 부모의 재산과 사회적 신분 등의 차이에 따라서 사실상 지속적인 불평등을 경험하게 된다. 보육정책을 구성하는 사회경제적 담론들을 알아보고 지역·시설유형별 보육정책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차이도 살펴본다. 그리고 시설유형별 보육의 질적 수준 차이와 이에 대한 개선책의 부재 등을 논한다. 또한 저소득층 아동복 지정 책에서 복지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과 종사자의 자질 향상 및 보수교육 강화 등의 필요성도 아동복지의 형평성 문제와 관련 지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육정책과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복지 프로그램에 관련된 현재의 복지 수준을 논함으로써 아동복지가 단지 평등한 분배원칙이 아닌 형평성의 관점에서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는 평등한 분배라는 그늘에 가려진 아동 복지의 이면을 통해서 현재의 아동복지 정책이 일정수준 소득보장, 사회적 위험에 대비한 불평등 완화 그리고 최상의 서비스 제공이라는 복지의 기본 기능에 얼마나 충실한지 되짚어보기 위함이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quality of life is ensured fairly for every child through the current child welfare policy,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child care policy and the policy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present universal child care policy follows the principle of equal distribution. It is well-intended in that it aims to provide all children with the opportunity to have a healthy and sound development. However, when a close look is taken, the policy reveals that it does not meet the criteria of "welfare" which aims to alleviate the state of inequality to overcome social hazards. In other words, the universal welfare policy puts relatively less weight on supporting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refore, low-income children would experience sustained inequality based on the economic and social capital that their parents poss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hild care policy and discusses the child welfare policy in respect to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he current discourses constituting the child care policy and the difference in child care quality across different types of child care centers i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programs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is also emphasized in this paper. This leads to the discussion regarding the issue of inequity in child welfare which is hidden by the well-intended principle of equal distribution, Whether the current child welfare policy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of welfare, such as a guarantee of minimum standards, soci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insecurity, and the provision of services at the best level possible is reexamined.

      • KCI등재

        집단음악활동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

        김선정,김근식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2, 3학년의 저소득층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음악활동을 실시하였을 때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북 A시에 소재한 종합사회복지관 부설 A지역아동센터의 방과 후 프로그램(집단음악활동)에 참여하는 저소득층 아동 40명과 방과 후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저소득층 아동 40명으로 2013년 11월 13일부터 2014년 4월 2일까지 1주일에 1회씩 총 18회기의 50분 수업으로 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즉흥연주, 노랫말 만들기, 음악 감상, 음악과 신체움직임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자와 사회복지사 한 명의 도움을 받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집단음악활동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컸는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roup music activities on children in second and thir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examine how the group music activities produce an effect on their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e children for the study were in two groups. One group was composed of forty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joined the after-school program at the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in North Kyoungsang province. The other group was also composed of forty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who did not join the after-school program.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the group music activity programs for fifty minutes every week from November 13, 2013 to April 2, 2014. for a total of eighteen times. Contents of the program was composed of singing, playing instruments, improvisation, song writing, music, music and body movement.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ssistance of one social worker. As the result, the group music activities to improve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had a great effect, especially on th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과 품행장애아동의 가족지원 사례관리 연구

        강미라,이효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변화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저소득층 장애아동을 위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는,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회기 중에 일어나는 아동과 가족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개인적 요인(지적장애, 행동문제)과 특정 환경적 요인(편모가정, 저소득층 가정)을 모두 고려하여 사례관리라는 포괄적이고 복합적인 중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서 사례관리 대상자로 의뢰된 저소득층의 지적장애아동 1명과 품행장애가 의심되는 아동 1명 그리고 그 아동의 가족이다. 사례관리 절차는 아동과 가족의 기본 정보 수집, 요구 사정, 중재목표 설정, 지원서비스 제공, 그리고 종결평가와 사후관리이다. 중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아동의 개별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가족지원 서비스를 가족에게 제공하였다.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 가족요구를 조사하였고, 아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A아동은 포테이지 발달 검사를, B아동은 K-CBCL과 K-ABC를 실시하였다). 사례관리 대상아동과 가족의 변화를 제시하기 위해 변화과정 연구(Change Process Research; CPR) 방법의 3가지 성과, 즉각적 성과, 중간적 성과, 최종적 성과를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중재 목표는 달성되었지만, 가족의 역량강화는 성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지적장애아동의 가족은 29개월 간의 사례관리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수급자로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사례관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at changes process in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fic goal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develope case management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t is to analysis that change process of child and family in sessions. Subjects were 2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D city, referred to the case management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that with diagnose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at who is judged to be at risk of conduct disorder. The procedures of case management were as follows: collection of basic information, needs assessment, goal setting, providing support services, evaluation of program and follow-up activities. Thus, individualized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developed. Also,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provided. Results indicated that final outcomes for children A and B were accomplished, but family empowerment was not attained.

      • 저소득층아동의 집단미술치료를 통한 사례연구

        임혜숙,송노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9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저소득층이 밀집한 A지역 주민지역자치센터의 방과후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활동을 실행한 사례를 통하여 저소득층아동의 창의성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창의성을 하위요인별로 분석함으로써 개인내의 차이와 요인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TTCT검사를 실행하였는데 전체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며, 특히 ‘독창성’ 요인과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요인에서는 모든 아동에게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HTP검사를 집단미술치료활동 전․후에 실시하여 저소득층아동에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정서적인 문제를 함께 알아보았는데 활동 후에 자신감이 많이 생기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표현을 나타내었으며, 주제와 맞지 않게 표현이 산만하던 것이 비교적 정확하게 주제에 맞는 표현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저소득층 아동에게 집단미술치료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창의성 증진과 정서적 안정을 꾀하며 사고력이 발달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통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일경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통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서울시 G구 아동복지 통합서비스 프로그램 D에서 대상자로 선별된 8-11세 아동들로 이 중 프로그램 참여 가능 아동 11명을 실험집단으로, 비참여 아동 11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였다. 실험집단 아동에 실시된 통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은 자아탄력성 변화를 치료목적으로 음악, 미술, 놀이를 통합 구성하였으며, 아동 자아탄력성의 보호요인인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 향상을 위해 실험집단 어머니에게도 집단 모아 놀이치료를 포함한 통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4주 7일간 총 21회기에 걸쳐 함께 실시하였다. 아동의 자아탄력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탄력성 척도(Ego Resilience Scale: ERS)’를,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검사(Parent Attitude Test: PAT)’를 사용하였으며,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으로 결과를 분석한 후 관찰된 각 아동의 특징적 변화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통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층 아동들은 자아탄력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가족관계, 자신감 및 쾌활함, 낙천성 및 자기수용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적 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증명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 therapy on ego-resilience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children from 8-11 years old from low income families were selected for participant of G-gu Dream start center, Seoul. Eleven children who can participate the progra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 non-participant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o ameliorate the ego-resilience of children, an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 which consists of music therapy, art therapy, and play therapy was given to them. As a protective factor, a separate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 which include the mother-child group play therapy was given to their mother. These programs were executed 21 sessions for 7 days in 4 weeks. The scores of ERS & PAT wer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ego-resilience of children and parent's attitude respectively and the value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 paired t-test using SPSS 20.0 software. Then, distinctive changes of each child observed were described. As results, the ego-resilience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 were chang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 family relation, self-confidence & brightness and optimism & self acception factor.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n integrative art therapy program is an effective treatment to ameliorate the ego-resilience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