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시대 예술에서 "장치(Dispositif)" 개념의 분석

        노영훈 ( Yang Houn N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2

        ‘장치(Dispositif)’개념에 있어, 기술문명 발달은 도구에서 장치로의 외형적인 기계적 진화와 더불어, 개념상 ‘의미의 진화’를 거듭하였다. 미셀 푸코의 학교, 병원, 군대의 의미로 회자되었던 규율 장치의 개념은 조르지오 아감벤(G.Agamben)을 통해 ‘생명체들의 담론, 의견, 행동 등을 규제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가진 장치’로 해석되며 그 범위를 확대하였다. 특히, 이것은 조형예술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설치’ 개념과 관계되어, 《허구장치》(1985)라는 제목의 전시에 이어 《장치-조각》(1981)라는 제목의 전시로 프랑스와 독일에서 각각 개최된 전례가 있다. 수잔 파제(Suzanne Page)가 “속임수들, 가식, 은유적 외관, 은폐의 형태로 허구 속에서 점진적으로 미끄러지며 언어와 공간의 분절에 개입하는 정신적이고 형식적인 장치” (Dispositif-Fiction, ed.Musee d’art Modern de la ville de Paris, 1985, p.3)라고 전시 카탈로그 서문에서 밝혔던 것처럼, ‘장치’의 개념은 그 활용과 정의가 특정한 정의를 위해 사용되거나, 여러 사용자들에 의해 빈번하게 수정되고 확대되며 오늘에 이르렀다.또한, 장치 개념은 인간 사유의 기저에 자리잡은 언어와 텍스트로부터 사물, 공간, 환경, 관계의 개념에 이르기까지, 주체를 의도적으로 배열·배치하여 통제하는 장치만의 특이한 ‘전략’을 구사하며 일상 속에 그 본연의 모습을 감춘다. 이는 플로랑스드메르디외(Florence de Meredieu)가 로버트 아르디안(Robert Ardien)을 거론하며 밝힌 ‘화면의 저편에 있는 공간에 접속하기’ 위한 화면 위의 아이콘에서 파악 가능한 것처럼, 주체의 인식과 지각은 눈앞의 배치물에 의해 이쪽에서 저쪽으로 넘나들기도 하는 ‘가상적’이고 ‘잠재적인’ 장치의 영역에 직면한 것이 사실이다. 동시대 예술영역에서 ‘장치’를 사유한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장치의 힘으로 가득한 세상의 발전에 따른 기술적 고려만이 아닌, 지각과 그 지각을 자각하는 주체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비장치’(non-dispositif)’의 특성은 학습되지 않은 미완의 인격으로서 전문적 교육을 받지 않은 브리꼴라주 하는 사람((Bricoleur)의 특징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개성은 장치의 속성에 내포된 부정적 속성을 띄지 않는다. ‘장치적 인간성’는 근대 교육 시스템 및 기관에 의해 효율성의 전략 위에서 생겨났으며, 통제되고 획일화된 개성의 개념은 비인격화 및 인간 소외를 지시할 뿐 아니라, 개성들의 다양성이란 점에서 위험을 경고한다.위의 설명들은 실제적인 예술 작품의 전시에서 ‘가상’에 기초한 전시에 이르기 까지 전시적 주체의 특성에 적용 될 수 있다. 특히 가상에 기초한 주체의 몰입과 몰두는 ‘비장치’적인 관점에서 ‘탈선의 맥락’, 즉 ‘경계 위의 사건’이라 할 수 있으며, 주체의 작동을 설명하는 또 다른 유형일 수 있다.결국, 장치의 제거를 위한 끊임없는 주체의 허구성에 대한 ‘자각(自覺)’과 ‘각성(覺醒)’은 예술과 삶의 영역에서 항상 ‘창조적’인 삶의 주체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Regarding the concept of ‘Dispositif’, development of technical civi-lization has continued to grow its form from a tool to a device, which means an externally mechanical evolution. In addition to this,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volution of its meaning. G.Agamben in-terpreted the regulatory apparatus, told by Michel Foucault`s term of an educational institution, a hospital and military power, as the device for regulating discourse of organism, opinion, behavior, and enlarged the range of its meaning. Especially, relating to the notion of installation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art, it had been exhibited in France and Germany under the name of ‘Dispositif-Fiction’ in 1985 and ‘Dispocitif-sculpture’ in 1981 each. As Suzanne Page mentioned “a formal and metal appatatus involve-ing the articulation of language and space progressively slipping into fiction as concealed under metaphorical appearances, pretenses and other forms of illusion”(Dispositif-Fiction, Ed. Musee d`art Modern de la ville de Paris, 1985, p.3) in the catalog of the exhibition, the notion of appa-ratus has been used in a qualified sense, or modified frequently by vari-ous users so far. The concept of apparatus tends to regulate the Subject by arranging and placing intentionally. It affects not only the language and the text which is nestled at the base of human reason, but also the concept of an object, space, environment, relationship. This concept of regulatory apparatus disappear its natural character in everyday life, making use of unusual tactics. It is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and cognition of Subject is confronted with the territory of the hypothetical and poten-tial apparatus where cross from here to other side by arranged thing, as Florence de Meredieu said that it is able to identify the icon on the screen for connecting the space on the other side mentioning Robert Ardien by name. In the contemporary art area, thinking about ‘apparatus’ is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and the Subject realiz-ing its perception, not considering about technology resulted of the development of the world where filled with the power of invisible apparatus. In line with this, the property of ‘non-dispositif’ means the charac-ter of ‘Bricoleur’ who is not professional leaning and incomplete personality. That is, this personality involving ‘non-dispositif’ does not imply negative properties regarding ‘dispositif. The ‘dispositif’ person-ality has been formed by the strategy of efficiency through modern educational system and institution. The controlled and regulated con-cepts of personality indicate not only dehumanization but also alienation. Furthermore, the concept of personalized ‘dispositif’ warns something dangerous within the framework of diversity of personalities. Above explanation ‘dispositif’(equipment, installation) of the Subject can apply on the exhibitional Subject from an exhibition based on the realistic artworks to exhibition rooted in virtual reality. Especially, the Subject` flow and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can bethe state and condition of ‘non-dispositif’. This mean may identify‘ligne de fuite’ as ‘the event on border’ and can be equal ananother pattern explaining the Subject` working. Also, it is the poin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audience, who standing on the line of Fuite, from viewer to interpreter, and this makes to open the opportunity to be able to overcome the apparatus. Finally, self-awareness and disenchantment of Subject`s fiction for removal of the device is thought to be the creative Subject of its own life in all areas of art and life.

      • KCI등재

        의료분야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의 품질관리

        조평곤(Pyong-Kon, Cho) 한국방사선학회 2021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5 No.2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는 영상의학과에서 인체 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진단장비 중 하나로 신뢰도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영상의학과 영역의 진단 검사 장비를 이용한 검사 건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검사 건수 증가는 장치의 빠른 노화를 불러일으키고 이로 인해 장치에 대한 정도관리(quality control, QC)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정도관리란 검사시작부터 검사가 끝날 때 까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사전에 알아내고 대처하여 신뢰가 확보된 영상을 획득하여 제공하는 과정에 있는 일련의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를 이용한 검사에서 정도관리에 대해보고 한다. The examination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is one of the most useful diagnostic equipment for identifying information in the human body in diagnostic radiology.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examinations has recently increased a lot. Increasing the number of examinations will accelerate the aging of the device. In addition, this makes them aware of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for the diagnostic x-ray device. Particularly, in a diagnostic x-ray device, quality control refers to an act of always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image quality by identifying and correcting all problems that may lead to reduction of the diagnosis area in advance. Therefore, this study summarizes and reports general information about quality control in examinations using diagnostic x-ray equipment.

      • KCI등재후보

        Scaleup of Electrolytic Reactors in Pyroprocessing

        유재형,김정국,이한수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9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7 No.4

        Pyroprocessing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처리 과정에서 핵연료 물질은 전해정련장치, 전해환원장치, 전해제 련장치의 전해조에서 전극 표면에서의 전기화학반응과 전해질의 교반을 통해서 회수된다. 따라서 이 장치들 은 장차 pyroprocessing의 실용화를 위하여 규모 확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반을 수반하는 전해반응 장치를 대규모 장치로 확대코자 할 때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치규모 확대 기법을 고찰해 보았다. 장치 규모 확대에 있어 장치크기와 전극 표면적의 크기는 기하학적 유사성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그밖에 전해질의 유동특성을 좌우하는 기준 가운데 전해질의 단위체적당 에너지 투입량이 동일하다는 기준을 채택 할 경우 시행착오법에 의한 계산절차를 도출해내었으며, 이 계산법은 전해조에서의 적절한 교반속도를 구할수 있게 해 준다. 또 임의의 소규모 전해반응 시스템에 대하여 단위체적당 에너지 투입량이 동일하다는 기준 과 교반기 날개끝 속도가 동일하다는 기준을 적용할 경우 전해조의 규모 확대에 관한 일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들뢰즈의 장치론을 활용한 학습관리장치 개념 탐색 -주체화의 선 개념을 중심으로-

        이경림,김의태 한국평생교육학회 2023 평생교육학연구 Vol.29 No.2

        학습관리장치는 학습자를 특정한 방향으로 조건화하는 기제이다(강대중 외, 2017). 학습관리장치 개념을 활용한 경험연구가 축적되고 있으나, 학습관리장치 논의는 여전히 시론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들뢰즈의 장치론, 특히 ‘주체화의 선’ 개념을 활용하여 학습관리장치 개념을 보완하고 정교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사회과학 영역에서 장치는 이데올로기, 권력, 통치성을 매개하여 주체를 (재)생산하는 기제로 다루어졌다. 장치의 예속성을 통한 주체화에 주목한 교육/학습 연구는 교육/학습 실천이 학습자를 권력에 예속하여 (재)생산하는 장치로 작동함을 드러냈다. 하지만 들뢰즈는 장치를 이루는 주체화의 선이 그로부터 탈주함을 주목함으로써 장치의 예속성이 불완전함을 시사했다. 학습관리장치는 학습자를 조건화하는 예속의 기제이지만, 들뢰즈가 주목한 이 예속의 불완전성은 학습자의 새로운 주체성 발현을 배태할 수 있다. 학습관리장치에 내재하는 예속화와 새로운 주체성 발현이라는 상반된 특성은 학습관리장치의 유지, 변화, 생성, 또는 소멸을 이끄는 핵심 동력이다. 학습관리장치의 예속성과 그 불완전성을 들뢰즈의 장치론을 통해 설명한 이 연구는 교육/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변화를 학습자 (재)생산 측면에서 조망하게 하며, 교육/학습에서의 미시적, 중시적 차원에 주목하도록 한다는 의의가 있다.

      • 비상자동제동장치 적용 대형 버스의 전방 충돌 안전도 분석

        원정훈(Jeonghun Won),김준년(Junnyen Kim) 대한교통학회 2021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4 No.-

        비상자동제동장치는 차량 전면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전방충돌 상황을 감지하여 장애물과 거리를 측정하고, 주변 장애물 정보를 수집하여 운행 중 추돌 사고 위험이 있다고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거나 차량 스스로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감속 또는 정지하여 충돌을 완화하거나 회피하도록 보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형 버스가 시가지를 주행할 때 전방 충돌에 대한 안전도를 확인 및 평가하기 위하여 특정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9가지의 대형 차량속도별 비상자동제동장치의 성능 및 효과를 자동차안전도평가(KNCAP)에서 시행하는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한 시나리오는 대형 버스 앞에 정지하고 있는 차량이 있을 경우의 충돌을 조건으로 하였으며, 대형 버스의 속도를 자동차 안전도 평가 기준에 따라 10km/h부터 50km/h까지 5km/h 간격으로 변경ㆍ조정하며 실험하였고 추가로 비상자동제동장치 작동해제 시의 정차 시험을 진행하여 둘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해당 실험의 결과는 비상자동제동장치의 중요성과 편리성에 대해 알려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안전성을 보여줌으로써 운전자들 특히, 대형 버스의 운전자들에게 안전운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해당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한 교육자료로 또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적인 특성이 하악골 충격 시악골 및 두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유한요소분석

        강남현,김형섭,우이형,최대균,Kang, Nam-Hyun,Kim, Hyung-Sub,Woo, Yi-Hyung,Choi, Dae-Gy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6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 충격 시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적 성질에 따른 악골과 두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경질과 연질의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지는 구강보호장치를 두부외상이나 뇌질환 병력이 없고 정상교합과 자연치열을 가진 한국 성인 여성에게 제작하고, CT를 이용하여 악골과 두부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다. 이 유한요소모델은 두개골, 뇌, 상악골, 하악골, 관절원판, 치아와 구강보호장치를 포함하며 407,825개의 elements와 82,138개의 node로 구성되어 있다. 0.1초동안 하악골 3부위에서 800 N으로 사선 방향의 힘을 가하였을 때 두 가지 재료에 따른 상악 치아, 상악골 및 두개골의 응력분포를 평가하였고 동일한 조건하에서 두 재료에 따른 뇌의 변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치아에서 유효응력 값을 비교하였을 때 연질의 구강보호장치가 경질의 구강보호 장치보다 응력값이 유의차 있게 작게 나타났다 (P < .05). 2. 상악골과 두개골에서 응력값을 비교하였을 때 연질의 구강보호장치가 경질의 구강보호장치보다 응력값이 유의차 있게 작게 나타났다 (P < .05). 3. 경질의 구강보호장치에서 연질의 구강보호장치보다 상악치아 및 상악골과 두개골에 더 많은 응력집중부위를 보였다. 4. 경질의 구강보호장치와 연질의 구강보호장치 간에 하악 충격 시 뇌의 변위량은 연질의 구강보호장치 쪽이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악골 충격 시에 경질 및 연질 구강보호장치가 상악골과 두개골에서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양상을 알 수 있었지만, 아직도 이의 상관관계를 모두 파악하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많으리라 생각되며, 스포츠 외상에 따른 구강보호장치의 재료에 따른 상관관계에 대하여 보다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tatement of problem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outh guard material properties on the skull and brain when they were under impact loads on mandible. Material and methods: Two customized mouth protectors having different material propeerst ieach other were made for a female Korean who had no history of brain trauma, no cerebral diseases, nomal occlusion and natural dentition. The 3D finite element model of human skull and brain scanned by means of computed tomography was constructed. The FEM model of head was composed of 407,825 elements and 82,138 nodes, including skull, brain, maxilla, mandible, articular disc, teeth and mouth guard. The stress concentrations on maxillary teeth, maxilla and skull with two mouth guards were evaluated under oblique impact load of 800N onto mandibular 3 loading points for 0.1sec. And the brain relative displacement was compared in two different mouth guard materials under same condition. Result and Conclu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of von Mises stress on maxillary teeth, a soft mouth guard material had significantly lower stress values on measuring point than a hard mouth protector materials (P < .05). 2. In comparison of von Mises stress on maxilla and skull, A soft mouth protector material had significantly lower stress values on measuring point than a hard mouth protector materials (P < .05). 3. For impact loads on mandible, there were more stress concentrated area on maxilla and skull with hard mouth guard than soft with mouth protector. 4. For impact loads on mandible, brain relative displacement had little relation with mouth guard material properties. In results of this study, soft mouth guard materials were superior to hard mouth guard materials for mandible impact loads for prevention of sports injuries. Alth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not enough to figure out the roles of needed mouth guard material properties for a human head, we got some knowledge of the pattern about stress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n maxilla and skull for impact loads with soft or hard mouth protector. More studies are needed to substant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uth guard materials and sports injuries.

      • KCI등재

        연결잠금장치를 활용한 연속성 디자인의 시스템 주얼리 디자인 연구 개발

        최이란(Choi, Lee Ran),최승욱(Choi, Seung Wook)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주얼리는 신체 착용을 위한 제품으로 장식적 표현수단과 인간의 미적 가치를 표출하고자 하는 목적의 제품이다. 주얼리 제품에 구조는 미적인 디자인의 역할을 하는 장식과, 그 장식을 착용하기 위해 연결과 고정을 목적한 잠금장치, 이렇게 크게 두 가지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주얼리 제품에서의 디자인 장식과 장치는 어느 한쪽도 생략할 수 없고 각각의 장식과 장치가 조화롭게 결합되어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결합된 제품은 소비자 사용 시 디자인의 만족과 실용성, 기능성, 안전성이 충족되어 완성되어야만 한다. 현재 주얼리 제품에서의 연결 및 잠금장치는 디자인 및 구조에서 발전되지 못한 채 차별화 없이 거의 모든 주얼리에 똑같이 사용되고 있다. 시중에서 쉽게 판매되고 있는 연결 잠금장치들의 일률적인 반복과 사용은 주얼리 산업에서 당연시 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발전성 없는 반복적 상황이 결국 주얼리 디자인의 독창성을 보여 줄 수 없을뿐더러 제품과 기업의 경쟁력을 상실하게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그러나 모든 주얼리 업체가 이러한 위기의 심각성을 인지 못한 것은 아니다. 주얼리 ‘R’업체에서는 연결잠금장치를 연구 개발하여 가변형의 장식을 특허출원하였고 경쟁력을 높이고자 노력하며 대처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아이디어의 연구 개발된 장치의 기술만으로는 소비자에게 선보이기 어렵고 제품화를 위한 디자인적인 방향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발된 장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실용적인 시스템주얼리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고자 시행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단순히 연결잠금장치의 역할 뿐 아니라 디자인의 연속성을 가진 주얼리 장식과 장치의 일체화, 단순한 주얼 리가 아닌 시스템화 되어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주얼리 디자인을 연구 개발하는 것이다. 진행하고자 하는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연결잠금장치와 REX다이아몬드에서 특허 출원한 연결잠금장치의 구조를 파악하고 적절한 활용 방법을 연구하였다. 둘째, 가변이 가능한 연결 장금장치의 구조 활용을 위하여 기본 목걸이의 길이를 계산, 분할을 통해 팔찌 등 연출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계획하였다. 또한 디자인의 느낌이 단절되지 않도록 조화롭게 디자인의 연속성을 가지도록 연구하였다. 셋째, 개발된 연결잠금장치를 활용하여 소비자 스스로 가변하고 자유롭게 연출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된 주얼리 방식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연구 진행은 업체의 기술력 활용뿐아니라 새롭고 차별화된 주얼리 시장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함은 물론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Jewelry is product to be worn on the body, and the purpose of decorative expression as well as human`s esthetic value. The structure of jewelry products largely consists of ornaments that play the aesthetic design role and the locking device for connecting and locking purposes. Neither the design elements nor the devices in jewelry products can"t be omitted, and each design element and device are combined harmoniously. Such product should satisfy consumers in terms of design, practicality, functionality and safety. Connecting and locking device in jewelry products are used in almost all jewelry without distinction, not showing any improvements in terms of design and structure. The repeated use of locking devices that are easily found in the market is considered natural in the jewelry industry. This study began from the thought that such repeated situation without improvement can`t display the creativity of jewelry design and will result in the loss of product competitiveness of company. However, not all jewelry manufacturers are unaware of the severity of this crisis. Rex Diamond Co., Ltd. developed a locking device and applied for the patent of flexible device and attempted to improve competitiveness. But the device that was newly developed can`t be easily offered to the end-consumers just with the technology, and requires researches in design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practical system jewelry design for the efficient use of this device, and to develop an economic jewelry design with sequence, and a systemized and efficient economic jewelry design. The method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es of common locking device and patented locking device by Rex Diamond were examined and the appropriate usage was examined. Second, the length of basic necklace was calculated for the use of flexible locking device to be used for other types of jewelry, such as bracelet, through division. Also, the continuity of design was studied so the jewelry design isn`t broken. third, using the newly developed locking device, a systemized jewelry method was applied so the consumers can freely adjust and use the jewelry. This study of design would not only use the company"s solid technology, but would als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the new and differentiated jewelry industry. It would serve as the opportunity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due to continued economic depression, as well as improving the brand awareness.

      • KCI등재

        착륙장치 내추락 장치 설계개발시험

        신정우(Jeong Woo Shin),김태욱(Tae-Uk Kim),황인희(In-Hee Hwang),조정준(Jeong Jun Jo),이정선(Jeong-Sun Lee),박총영(Chong-Yeong Park)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4 No.1

        비상착륙상황에서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내추락 설계는 회전익기 설계 개발에 있어 필수적이다. 특히, 추락 시 착륙장치는 상대적으로 많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내추락 설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군사규격에서는 착륙장치의 에너지 흡수능력 뿐만 아니라, 파손 후 동체를 뚫고 들어가 승객에게 2차 피해를 주지 않아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군사규격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파손장치와 같은 내추락 장치를 마련하여, 착륙장치가 파손 후 안전하게 붕괴되어 동체를 뚫고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전익기 착륙장치에 필수적인 파손장치의 설계 및 설계개발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착륙장치가 동체를 뚫고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붕괴 과정을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파손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부품인 파손 핀을 설계하였고, 설계기준을 만족하도록 2가지 강도 범위로 설계되었다. 최종적으로 설계개발시험을 통해 파손장치 설계를 성공적으로 검증하였다. To improve occupants' safety in an emergency, crashworthy design is necessary to rotorcraft design and development. Especially, landing gear has the important role for crashworthy design because landing gear absorbs relatively large energy for the crash landing. In addition, military specifications require failure of landing gear shall not increase danger to any occupants by penetration of the airframe. To meet the specification requirements, crashworthiness device like failure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so that landing gear is collapsed safely and doesn't penetrate the airframe. In this study, design and design development test of the failure mechanism which is necessary for the rotorcraft landing gear was performed. First, collapse scenario was determined for the landing gear not to penetrate the airframe. Then, the failure pi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failure mechanism was designed with 2 strength range in order to meet design criteria. Finally, design of the failure mechanism was verified successfully by design development test.

      • KCI등재

        경북 지역 의원급의 X선 발생장치 정도관리 실태

        박정규(Jeong-Kyu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X선 발생장치의 정도관리는 의료기관의 설립형태에 따라 가장 큰 차이가 있으며, 장치의 보유율은 1차 의료기관에서 가장 많이 보유한 반면 정도관리에 대한 인식과 관리는 소홀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9월 3일까지 경북 지역을 4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각 시별로 4곳을 임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16곳에 있는 의원급 의료기관 중 10년 이상 된 X선 발생장치를 보유한 8곳과 10년 이하의 X선 발생장치를 보유한 8곳를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도관리의 필수 항목 5가지를 시험하였다. 접지 설비 확인시험에서는 10년 이상 된 X선 장치를 보유한 한 곳이 별도의 접지선을 구비하지 않았으며(6.25%), 외장 누설전류시험에서는 모두 적합 하였다. 조사선량 재현성 시험에서는 10년 이상 된 X선 발생장치를 보유한 4곳(25%)과 10년 이하의 X선 발생장치를 보유한 1(6.25%)곳이 부적합 하였다. 관전압의 정확도 시험에서는 10년 이상 된 X선 발생장치를 보유한 5곳(31.25%)과 10년 이하의 X선 장치를 보유한 2곳(12.5%)이 부적합 하였다. 관전류와 관전류량 시험에서는 10년 이상 된 X선 장치를 보유한 3곳(18.75%)과 10년 이하의 X선 장치를 보유한 1곳(6.25%)이 부적합 하였다. 본 연구 결과 10년 이하의 X선 발생장치를 보유한 의원급 의료기관 보다 10년 이상 된 의원급 의료기관의 X선 발생장치의 정도 관리 실태는 심각한 수준 이였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적, 기술적인 조치들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의원급의 사업주나 장치 담당자들의 의식 전환이 필요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오래된 장비이거나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장비일수록 정기검사주기를 1∼2년 단위로 개정하여야 하고, 정기적인 정도 관리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Quality management of an x-ray unit drastically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 of establishment of medical institutions. Many primary medical institutions have it, but they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quality management. In the study, Gyeongbuk area has been divided into four zones from January 4, 2010 to September 3, 2010, and four places were designated by city. Among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at a total of 16 sites, the target was 8 plac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10 years or more in use as well as 8 plac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less than 10 years in use. The 5 essential items of quality control were tested. In the test that checked for equipment it was found that sit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10 years or more in use didn’t have ground connection (6.25%) while all of them passed the current leak test. In the exposure dose reproducibility test 4 sit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10 years or more in use (25%) and 1 site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less than 10 years in use didn’t pass the test. In the KVp accuracy test 5 sit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10 years or more in use (31.25%) and 2 sit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less than 10 years in use (12.5%) didn’t pass the test. In the tube current and tube current amount test 3 sites with X-ray emission equipment 10 years or more in use (18.75%) and 1 site with less than 10 years in use (6.25%) didn’t pass the tes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quality control at medical institutions with X-ray equipment 10 years or more in use was poorer than medical institutions with X-ray equipment less than 10 years in use. In this regard, administrative and technical measures need to be taken as soon as possible. In addition, owners of medical clinics or unit managers need to raise awareness, a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 regular test cycle every year or every two years if they have old equipment or if the equipment is not used on a frequent basi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for quality management.

      • KCI등재

        정동의 장치와 주체화 연구방법 - 미디어 비오그라피

        강진숙(Jin-Suk Kang) 한국언론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정동의 장치와 주체화에 대한 사유들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적 자원들을 탐색하는 데 있다. 정동의 장치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두 가지 측면에서 제기된다. 한편으로, 디지털 환경의 발전에 따라 점차 정서의 변이 장치들이 세분화되어 작동한다는 점에 기인한다. 즉 슬픔, 기쁨, 욕망의 다양한 정서들을 표현하고 이용자들 간에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디지털 장치들이 증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 이러한 정동의 장치가 일정한 방식에 따라 개인의 감성을 포함/배제하는 과정을 통해 이용자의 미디어 생애사를 구성한다는 점이다. 즉 정서와 감성의 분할 장치들이 이용자의 생애사적 경험들을 지배하거나 혹은 새로운 저항적 주체화의 가능성을 낳을 수 있는 것이다. 영화와 드라마의 영웅들을 모방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과정은 이러한 미디어 생애사 과정을 탐구함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이론적 자원으로서 우선 푸코의 장치와 주체화 논의, 아감벤의 장치와 세속화에 대한 사유, 그리고 들뢰즈의 배치와 차이의 생성에 대한 사상적 흐름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론적 자원들을 활용하여 미디어교육의 질적 연구방법인 미디어 비오그라피의 이론적 특성과 방법론의 구체적 특징들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미디어교육과 질적 연구방법론의 경계를 넓히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to analyze theoretically the thinking of affectus apparatuses and subjectivation for finding methodological resources of media education. The reason of the interest to affectus apparatus can be suggested in two sides. One side is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emotional and sentimental fragmentation apparatuses are operated segmental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nvironment. Thus, the digital apparatuses that express and deliver diverse emotions such as sadness, happiness, and desire are multiplied. On the other side, this affectus apparatuses constitute to the user’s media life history through the process of including and excluding the personal emotions in regular method. In other words the fragmentation apparatuses of emotions and sentiments can invade the life history experiences of the user or give birth to the possibility of new resistant subjectification. The identity creation procedure of children and teenagers that imitate the heroes of movies and dramas can be understood more clearly by studying this media life history procedure. First, for this research, the discussion on Foucault’s apparatus and subjectivity, the thinking of Agamben’s apparatus and secularization, and the ideological flow of Deleuze’s arrangement and creation of difference will be looked through as the theoretical resource. Using these theoretical resource,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and methodology of media biography which i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media education will be studied.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 to provided the basic data to broaden the boundary of media education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