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보의 시에 나타난 ‘長安’ 그리고 場所愛(토포필리아)

        辛恩卿 ( Shin¸ Eun-kyu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장소애’란 지리상의 어느 한 지점으로서의 장소에 주관적 정서가 가미된 개념인데 두보에게 있어 그 대상이 되는 곳은 ‘낙양’과 ‘장안’이다. 이 글은 이 중 ‘장안’에 중점을 두고 ‘장소’ 및 ‘장소애’라는 관점에서 두보의 시를 살핀 것이다. 이를 위해 두보의 삶과 창작의 무대가 된 곳을 낙양권역, 장안권역, 제3권역으로 구분하였는데(Ⅱ장) 이중 장안과 무관한 낙양권역은 제외하고 나머지 두 권역에서 지어진 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텍스트 언어학의 ‘기능적 텍스트 구성법’의 이론을 차용하여 권역별 시에 장안이 어떻게 언어화되었는가를 살핀 다음(Ⅲ~Ⅳ장) 이에 근거하여 장안에 대한 장소애가 형성·정착되는 양상을 살폈다(Ⅴ장). 장안권역 전기 시에서의 장안은 求職 활동의 거점으로, 후기 시에서는 관리로서의 임무를 수행하는 장소로 그려진다. 장안권역 시에서는 장안이 지닌 ‘公的’인 성격이 부각되는 한편 제3권역 시에서는 장안이 ‘私的 空間化’되어 ‘고향’의 의미로 자리잡는 양상을 보인다. 이런 논의를 토대로 두보의 삶과 시에서 ‘장안’에 대한 장소애가 ‘형성’된 것은 제3권역 전기이고 확고하게 ‘정착’된 것은 제3권역 후기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The term topophilia introduced by geographer Yi-Fu Tuan is defined as the affective bond with one's environment or peculiar places. When working with Du Fu's poems, the objects of the topophilia would be Luoyang(洛陽) and Jangan. Among these, this article focusing on Jangan intends to explore how Jangan is expressed and embodied in his poems(ch.Ⅲ~Ⅳ) thereby showing the aspects of how and when the topophilia of Jangan is formed and settled down(ch.Ⅴ). For these purposes, I classified the places which could be the basis of Du Fu's lifehood and composition of poems into three areas: Luoyang area, Jangan area, and the third area. Further for the consideration of ch.Ⅲ~Ⅳ, I employed the terms "theme" and "rheme" of text linguistics. Jangan in the poems of early Jangan area is described as an arena for seeking employment and in those of late Jangan area as the location of the workplace for performing duties as a government official. Unlike in the poems of Jangan area which the "public" characteristic of Jangan comes to the fore, in those of the third area the "private" characteristic of Jangan is emphasized. Based on the discussions of the ch.Ⅲ~Ⅳ, we become to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topophilia of Jangan begins to "be formed" in the early third area and "takes root" in the late third area.

      • KCI등재

        김소월과 장소의 시학

        이혜원 상허학회 2006 상허학보 Vol.17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eaning and aspects of "Place" in the poem of Sowol Kim, on the basis of the key notions and fundamantal view in anthropogeography. In this paper, I affirm the strong desire on real 'Place' and his high enthusiasm and recognition of real life on 'Place', through introducing the notion of place in his poem which has been mentioned in the view of place-conciousness during the previous analysis. Place is used to be defined as more reflecting the positive response of ego than 'space' in anthropogeography. Place in his poem realizes the image of emotion, responsing to the deep emotion directly, not fixing as background of emotion. His Topophilia is very special, in respects to the way which he adds general emotion to specific name of place. He makes a place to specialize adding concrete situation and rich feeling to the legend of place. Topophilia, in his poem, is used to be revealed as deficiency feeling through suffering deprivation of place than accord feeling with place. He is seems to recognize the reality which the traditional society was broken so fast, being caused by mordenization and colonization. The road which is used to be shown often in his poem reflects wandering and isolation caused by placelessness. He considers the real life under colonization as absolute wandering and status of ruins. He is try to show us it as tragedic love of place which is consistent of severe wandering. Sowol Kim must be a poet who has great talent of geography, considering his sharp recognition on deprivation of place and agreement with place. Talent of geography is capability of having an insight into the place and time of his age,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whole and part. In his age, tradition and nature is cashed by modernization and civilization under colonization. He realizes that standing against it must be a good way for recovering tradition and nature. He makes resistance voilence of colonization tacitly, persisting in very natural house and selfsufficient nature as a real place. 본고에서는 인문지리학의 기본 입장과 핵심 개념들에 착안하여 김소월의 시에 나타나는 '장소'의 양상과 의미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동안 공간의식의 측면에서만 거론되어 왔던 그의 시에 장소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장소에 대한 그의 각별한 애착과 선명한 현실인식, 진정한 장소에 대한 강한 욕망을 확인할 수 있다. 김소월 시에서 장소는 정서의 배경으로만 고정되어 있지 않고 내밀한 심층의 정서와 직접적으로 호응하면서 감정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김소월 시에서 주된 정조를 이루는 님에 대한 화자의 간절한 그리움은 장소를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관계'의 긴밀함을 보여준다. 그의 시에서 님은 장소애의 구심점에 해당하며 진정한 장소에 해당하는 최후의 거소를 의미한다. 그의 장소애는 구체적인 지명에 보편적인 감정의 이미지를 부가하는 방식으로도 각별하다. 그는 지명의 특성과 그곳의 전설에 구체적인 정황과 풍부한 정감을 부여함으로써 그곳을 독특하게 장소화 한다. 김소월의 시에서 장소애는 장소와의 행복한 일치감으로 나타나기보다는 장소의 상실로 인한 결핍감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근대화와 더불어 진행된 식민화로 인해 전통사회가 급격하게 파괴되는 현실을 그는 선명하게 자각한다. 그는 건강한 노동의 욕망이 실현될 수 없는 식민지의 현실을 극단적인 장소상실로 파악한다. 그의 시에 자주 나타나는 길은 장소상실로 인한 유랑의식과 고립감을 반영한다. 그는 식민치하의 현실을 절대적인 실향과 폐허의 상태로 파악했고 정처없는 방황으로 일관된 비극적 장소애로 그것을 보여준다. 장소와의 교감이나 장소상실에 대한 예리한 자각으로 볼 때 김소월은 지리적 능력이 뛰어난 시인이라 할 수 있다. 지리적 능력은 자신의 시대와 장소를 전체적으로 통찰하고 전체와 부분의 유기적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이다. 그는 근대와 문명이 전통과 자연을 파괴하는 식민지 현실에서 전통과 자연을 회복하는 길이 그에 역행할 수 있는 방편임을 자각한다. 그는 소박하고 순수하기 그지없는 원초적인 집과 자족적인 자연을 진정한 장소로 추구함으로써 식민 통치의 폭력성에 대해 암묵적인 부정을 행한다. 김소월이 보여주는 지리적 능력과 장소애는 그가 가장 비극적인 장소상실에 해당되는 식민 현실을 예리하게 자각하고 진정한 장소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지니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후보

        서석규 동화의 장소애 연구

        최명표(Choi, Myoung-pyo) 한국아동문학학회 2015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8

        이 논문은 서석규의 동화에 나타난 장소애를 살펴본 것이다. 그것은 그가 산골 출신으로 일찍 출향한 작가라는 개인사적 사실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의 동화에는 특정 장소들이 자주 출현하는 바, 그 동기는 서석규가 전후 작가로서 전쟁의 야만성을 고발하는 장치로 향토적 공간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그가 즐겨 설정한 ‘한티골’과 섬들이 궁벽한 장소라는 점에서 전쟁으로 인한 내상을 치유할 만한 공간으로 그곳을 설정한 까닭이 분명해진다. 그곳은 그의 동화적 출발점이자 귀의처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장소애는 서석규의 휴머니즘적 시선을 드러내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가 설정한 공간들이 깊은 산골 마을이란 사실은 전쟁으로 인해 부모를 잃어버린 고아로 하여금 자신의 몸에 각인된 전흔을 위무하도록 돕는다. 산중 고을이 세상으로부터 격절되어 있듯이, 고아는 인간 관계로부터 단절된 존재이다. 작가는 전쟁의 상처를 온몸으로 감당하는 고아와 전란의 소용돌이에 난자당한 국토의 유사한 처지를 세상에 드러내고 위로하고 싶었던 셈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opophilia found in Seo, Seog-gyu’s children’s stories. It is closely related with his personal profile that he was born in a mountain village and left it at his early age. In his children’s stories, particular places often appear, and it seems that it is because Seo, Seog-gyu as a post-war writer borrowed local space as a device to report the brutality of war. Especially at the point that ‘Hantigol’ and islands which he often adopted is a remote place, we can see that he chose the place as a space that can cure the inner wounds resulted from war. It is the starting and also the returning point of his children’s stories. This topophilia contributes to revealing Seo, Seog-gyu’s humanitarian sight. The fact that the spaces he sets up are deep mountain villages helps orphans who lost their parents during war soothe the traces of war carved on their body. Just like a mountainous village isolated from the world, an orphan is a being disconnected from human relations. The writer meant to reveal the similar situations of the orphans bearing all the wounds from the war with their whole body and the land deteriorated by the spirals of the war and also console them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오장환 시의 장소성 연구

        윤수하(Yoon Su-ha)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인문 지리학은 근대 사회이론의 비판과 대안으로서 의미가 있다. 장소는 타자와의 관계가 형성되는 곳이자,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터전이다. 또 존재의 조건을 형성시키고 의미를 각인시키기도 한다. 장소는 삶에서 일정한 체험을 하고 있는 주체에게 한정된 의미로 형성되며 오랜 시간 꾸준한 감정교류를 통해 깊은 의미를 얻을 수도 있다. 이 연구는 오장환의 시에서 특정한 장소를 통해 느끼게 되는 장소애와 장소혐오를 비롯한 장소에 대한 감정을 살펴보았다. 먼저 공간과 장소성 이론을 검토하고 오장환 시의 장소애와 장소혐오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오장환 시에서 장소애의 대상은 고향으로 안정감을 부르는 원형적 공간이다. 오장환 시에 나타나는 장소 상실은 <향수>나 <북방의 길>과 같은 시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장소성 이론을 적용한 다른 시들과 오장환 시가 다른 양상을 띠는 부분은 장소에 대한 혐오를 갖는 시들을 찾을 수 있다는 부분이다. 이 연구에서는 오장환 시에서 장소혐오를 느끼는 대상을 ‘도시’로 보고 오장환 시에 나타나는 도시의 어두운 이면과 야만성을 탐색했다. 1930년대 활동했던 많은 시인들의 작품들 중에서 특히 오장환의 시는 다양한 변모의 양상을 띠고 있다. 이 연구에서 인용한 오장환의 시 이외에 장시<수부>나 시집 『붉은 기』의 작품들도 장소감을 연구하는 적절한 텍스트라고 보며 미흡한 부분은 다음 연구로 미룬다. The anthropo-geography whi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has its significance as the criticism and alternative of modern social theory. A place is the spot where a relationships with others is formed and the base where men live their lives. In addition, it also forms the conditions of existence and imprints meaning. A place is formed as a meaning limited to the subjects that have certain experiences in life. A deep meaning may be obtained through long-term and steady emotional ex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eelings about a place, including topophilia and topophobia that are felt through a particular place in Oh Jang Hwan"s poetry. First, the theory of space and place-ness was reviewed to look into the aspects of topophilia and topophobia in Oh Jang Hwan"s poetry. The subject of topophilia in Oh Jang Hwan"s poetry is the archetypal space that calls in the sense of security to home. The place-lessness appearing in Oh Jang Hwan"s poetry may be found in the poems such as 〈Hyangsoo〉 or 〈Bukbangeui Gil〉. The area where Oh Jang Hwan"s poetry assumes different aspects from other poetry applying the theory of place-ness is that the poems that have disgust for a place can be found. This study explored the dark side and savagery of the city appearing in Oh Jang Hwan"s poetry by considering a "city" as the subject for which topophobia is felt. Of the works of many poets who worked in the 1930s, Oh Jang Hwan"s poetry particularly assumes the aspect of various transformations. In addition to the poems by Oh Jang Hwan cited in this study, the poems like 〈Sooboo〉, a long poem, and 『Bulgeun-gi』, a collection of poems, are considered as the texts that are appropriate to study place-ness, and the study for the insufficiently investigated parts will be deferred until the next study.

      • KCI등재

        임옥인 소설의 장소애와 헤테로토피아

        김주리(Jue-lee Kim)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bject of topophilia ane search the meaning of inclination for ‘another place’(heterotopia) in Lim, Ok-in’s novels. In her novels, the significant place which one’s identity based on is a kitchen which arouse her childhood hometown and a garden fresh and beautiful. The sense of kitchen and household effects which connected a woman’s domestic duties raises a question to the present patriarchy. And the sense of garden and earth which connected the dream for place development involves the desire of an intellectual. As a Utopia, the garden is appeared not a completed place but a delayed palce, and a stopped place just under design in Lim Ok-in’s novels. Besids, the kitchen arouses the feeling of fullness from the childhood hometown so it showes an aspect of heterotopia. Her novels narrates an ‘another place’ full of sisterhood in which wemen share own life, chatting and rest and sympathize, comfort with each other. 본고는 월남지식인여성작가 임옥인의 소설 속 장소애의 대상을 분석하고 ‘다른 공간’(헤테로토피아)에의 지향이 지닌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임옥인의 소설에서 자아 정체성의 근거로서 의미 있는 장소는 유년의 고향을 환기하는 ‘부엌’이나 맑고 아름다운 ‘동산’으로 집약된다. 임옥인에게 부엌과 세간이 여성의 가사노동과 결부된 장소로 현실 가부장제에 대한 문제제기와 이어진다면, 동산과 대지의 장소성은 공간 개발의 꿈과 연결되며 지식인의 욕망을 내포한다. 유토피아로서 동산은 임옥인 소설에서 건축물로서 완성된 것이 아니라 지연되는 공간, 설계만 이루어진 채 멈춰진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와 달리 부엌세간에 대한 지향성은 유년의 고향이 주는 충만함을 환기하며 헤테로토피아의 성격을 나타낸다. 임옥인의 소설에서는 여성들이 타자로서 서로의 운명에 대한 공감과 위로, 수다와 안식을 나누는 ‘다른 공간’이 자매애의 충만함으로 서사화하는 것이다.

      • KCI등재

        새로운 도시난민 공동체의 탄생 -「피에로들의 집」에 나타난 장소애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우신영 ( Woo Shin-young ) 우리어문학회 2017 우리어문연구 Vol.59 No.-

        이 연구는 윤대녕의 소설 세계에서 공간과 관계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러한 변화의 기저에 2000년대 한국의 망탈리테가 존재한다고 본다. 11년 만에 발표된 그의 장편소설 「피에로들의 집」을 중심으로 윤대녕적 문학의 변화, 나아가 2000년대 한국소설의 현실응전 방식의 변화를 가늠해보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기존 윤대녕의 작품들이 일상과 신성의 공간을 이항대립적으로 분리하고, 시원으로의 회귀를 통해서 인간의 본래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관점을 보인 것과 달리 「피에로들의 집」은 전면적인 차이를 가진다. 윤대녕 자신이 밝혔듯 2000년대 신(新) 도시난민에 대한 관심이 이 작품을 추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윤대녕 문학의 변곡점인 동시에 2000년대 현대소설의 현실 응전 방식을 보여주는 소설이기도 하다. 작중인물 김명우는 기존 윤대녕 소설의 남성군(群)과 유사해보이지만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빈번하게 표현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가진다. 그는 대중매체에 의해 설 자리를 잃은 극작가이자 자본권력에 의해 연인을 잃어버린 남성이며, 그런 까닭에 무자비한 자본주의 체제의 육식성과 피에로적 삶에 대항해나간다. 「피에로들의 집」은 2000년대 한국의 비-장소성과 비진정성의 기원을 계보학적으로 추적해나가며 정치적 대립과 이념 논쟁, 참혹한 전란의 경험까지 생존주의의 기원으로 소급해나간다. 그러한 생존주의로 인해 우리가 상실한 윤리와 선의를 회복하는 길은 ‘마마’와 그녀가 불러들인 도시난민들의 연대를 통해 모색된다. 그들의 치명적 상실과 결락감을 치유해주는 것은 결국 서로를 타자로서 인정하고 시간을 들여 관계를 맺으려는 노력이다. 윤대녕의 전작들에 등장하는 남성인물들이 대개 여행 중에 만난 피상적 여성과 단발적/성적 접촉을 통해 성장하려는 것과 뚜렷이 대별되는 지점이다. 생물학적 여성이라기보다 대지모에 가까운 마마의 존재와 그녀의 보살핌(care)은 도시난민들에게 전염되면서 확장된다. 상처받은 인물들이 돌봄 받고, 그 돌봄을 다시 다른 이들에 대한 돌봄으로 연쇄시켜 나가면서 일종의 감성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성공동체는 그 어느 때보다 강고하게 ‘집’이라는 공간에 뿌리박고 있다. <은어낚시통신>을 비롯한 윤대녕의 초기작들에서 집은, 바다와 같은 시원적 공간과 대비되는 일상의 속악함을 표상하지만, 「피에로들의 집」에서 ‘집’은 관계의 원점이자 유동적인 삶을 버티게 해주는 부동점(不動點)으로 기능한다. 무-장소에서 유랑하던 도시난민들이 비로소 자신의 적소를 발견하고 그곳과 정서적으로 연루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소애를 통해 도시난민들은 미래의 삶을 기획하고 자신, 타자 나아가 공동체의 존엄함을 발견한다. 따라서 이 소설은 2000년대 무-장소에 처한 한국의 도시난민들이 모색할 수 있는 새로운 ‘집’의 가능성을 조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ed to establish the phase of the pirate edition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publishing system and the emergence of pirated editions of liberation period.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d the changing aspects of the publication environment and the appearance of a pirated version of novels. And this paper researched their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with copyright. Also, it wanted to present the details of pirate editions, illustrating the specific aspect of the novel.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copyright issues, publishing markets, and changes in the system. Analyzing the matters related to publications, which are closely linked to the results of the pirate editions, will help to shed light on the literary value and meaning of a pirated version of novels. This paper sought to cla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pirate editions and matters related to publications. It will help illuminate the literary value and meaning of pirate editions that remains unknown realm. Also, this paper presents latest discussions of pirated novels, and compiling it. This paper analyzed the details and aspects of pirate editions based on the author's name, title, and text with the novels of Chae Mansik, Lee Giyoung, Lee Taejun, and Kim Dongin. Through such reasoning and synthesis, this paper wanted to consider the literary meaning and status of pirate editions.

      • KCI등재

        장소에 새긴 노래, 노래에 새긴 장소 - 동물원의 김창기론 -

        박애경 ( Park Ae-kyung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2 No.-

        김창기와 그가 활동했던 그룹 ‘동물원’은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매우 독특한 지위를 가진 음악인이자 음악 모임이다. 소심하고 나약한 청년들의 일상을 담백하게 묘사한 그들의 음악은 흔히 아마추어리즘의 미덕을 발휘한 음악이라고 평가되지만 그들이 거둔 음악적 성취를 이러한 평가를 뛰어 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동물원의 음악세계를 일군 실질적 설계자로 김창기를 주목하고, 그의 노래를 ‘장소’와 ‘장소성’ 그리고 ‘장소애’라는 점에 주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중음악 분석에서 공간이나 장소에 대한 논의는 주로 창작과 전승 등 주로 음악적 행위나 실천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집중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일상적, 정서적 경험이 축적된 ‘장소’, 기억이 각인된 ‘장소’에 주목함으로써, 장소를 통해 표현된 주체의 정서, 지향, 가치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의 노래에서는 주체의 처소로서의 ‘방’, 청년의 일상과 경험이 이루어지는 도시의 거리와 골목 등 특정한 장소에서 영감을 얻고, 장소에 얽힌 경험과 정서를 일정한 내러티브로 완성한 노래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김창기의 노래가 베이붐 세대의 성장과 시대적 징후가 서울이라는 도시의 ‘장소’를 통해 초점화되고 서사화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김창기의 노래에 나타난 장소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동물원의 데뷔 앨범에 실린 타이틀 곡 <거리에서>는 주체의 처소인 방에서 세상으로 나온 청년이 바라본 세상을 나직한 독백으로 그려내고 있다. 또한 ‘골목길’을 통해 유년기의 추억을 소환하고, 사라져 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 변화하는 존재의 이면을 드러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김창기는 생의 주요한 국면을 관통한 장소를 서울의 특정 지명을 소구한 노래로 그려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김창기의 노래에 나타난 장소를 유년기의 기억을 소환한 <혜화동>과 골목길, 청년기의 치열한 경험이 투영된 신촌과 다운타운 그리고 중년의 일상이 영위되는 강남으로 나눠 살펴보고, 장소성과 장소애를 분석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at drawing up the critic review on the works of singer-songwriter Kim, Changki with a focus on the place and placeness. Kim, Changki and the band Dongmulwon he worked for occupy unique position in the fields of Korean popular music. Dongmulwon, a band with seven college students could be categorized the descendant of the campus band in terms of the music style and their attitude. Even though the music of the band Dongmulwon is appriciated as the demonstrating the virtues of amateurism, their musical acievement and impact on the Korean popular music scene could not be defined in this limits with the fact that the title song of their debut album < In the street > had big hit on the box office in the year of 1988 and their debut album 2nd album were selected as Korean 100 great albums in the year of 2008.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designer who constructs the tone and manner of the Dongmulwon is singer-songwriter Kim, Changki and inqires into his characteristics of works focusing on the 'Place' and 'Placeness'. It is remarkable that his representative songs including < In the Street >, < Hyehwa-dong > and < In the subway station of City Hall > evoke the special feeling of place in the city and construct the narrative of the place. At this point, this paper tries to analyze how the place is composed and imagined and then how the main momentums of his life are projected into the place using the main concepts of human geography.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focused on the Hyehwa-dong and alleys in his childhood, Sinchon and downtown in his youth and finally Gangnam where daily life of the middle aged man is managed. Through this analysis, 'Topophillia' as the origin of his creaticity could be revealed.

      • 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홍순애(Hong, SunA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硏究 Vol.24 No.-

        본 논문에서는 ‘길’의 모티프와 크로노토프chronotope를 중심으로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과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을 분석하였다. 문학적인 모티프들이 인간 존재의 기본적 삶의 유형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에서 ‘길’의 모티프 는 인간과 공간을 결합시키는 관계인 동시에 장소적 표상체계로 기능한다. 또한 문학 속에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의 본질적 연관성이라 정의되는 크로노토프는 텍스트간의 장르적 변별점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승옥의 「서 울 1964년 겨울」은 유랑하는 소시민의 장소 상실과 광장공포증agoraphobia으로 재현된다. 장소 없음에 대한 강박은 소설의 서두에서부터 자본의 역학, 즉 ‘돈’에의해 연결될 수밖에 없는 필연성으로 제시된다. 이에 인물들 간의 관계는 ‘돈’을 소비는 동시에 ‘시간’을 소비하는 소모적 관계로만 머물게 된다. 소설은 길의 모티프와 크로노토프를 통해 소통이 전제되어 있지 않은 비인간적 도시를 은유하는 동시에, 죽음이 방치 될 수밖에 없는 비정한 현실을 보여주는 하나의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황석영의 「삼포가는 길」은 귀향, 고향의 유토피아적 공간 지향과 장소애topophilia를 재현한다. 이 소설에서 귀향의 여정은 ‘길’을 통해 제시되고, 고향은 소설에서 인물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하는 장소로 설정된다. 또한 소설에 서 인물들은 동일한 경험과 감정의 전이로 인한 동화의 관계를 형성한다. 인간의 이미지는 본질적으로 항상 크로노토프와 관계하며, 문학 속에 재현된 크로노토프는 이 두 소설에서 ‘길’의 모티프를 통해 도시와 농촌, 인관관계의 이질성과 동질 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s the novel Seoul 1964 winter by Kim Seungok and The Road to Sampo by Hwang Sok yong, focusing on the ‘Road’ motif and Chronotope. The motif of ‘Road’ in novels functions both as a system of relationship that combines humans and space and a system of spatial representation, in that literary motifs prove the basic types of life of human existence. Chronotope, which is defined as an essential relation of time and space expressed in literature with an artistic manner, is important in that it presents the differences of the world view of texts and distinctive points of genres. Kim Seungok s Seoul 1964 winter is reproduced with agoraphobia of wandering petit bourgeois. The obsession with placelessness is presen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novel as the inevitability that must be connected by the dynamics of capital, money. Th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remains only as a consuming relationship that consumes ‘money’ and consumes ‘time’. The novel is interpreted as an allegory that depicts the unreasonable reality in which death is neglected, at the same time as there is a metaphor of dehumanization that is not presumed to be communicated which is shown through the motif of the road and the Chronotope. Hwang Sok yong s The Road to Sampo reproduces the utopian spatial orientation and topophilia of homecoming and hometown. In this novel, the journey of homecoming is presented through the ‘Road’ and the hometown is set as the place where the characters ultimately want to reach. The characters form a relationship of assimilation resulting from the transfer of the same experiences and emotions. The human image is essentially always related to and the Chronotope reproduced in literature shows the human life based on the homogeneity principle of heterogeneity of city and rural commun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the motif of ‘road’ in the case of these two novels.

      • KCI등재

        박용래 시의 장소 표상과 로컬리티

        한상철(Han, Sang-chul) 한국비평문학회 2015 批評文學 Vol.- No.58

        박용래 시에 등장하는 수많은 정경들은 주로 ‘집-고향’과 ‘고향-마을’ 표상의 이중적 계열화에 따라 장소로 전환된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집, 고향, 마을’을 둘러싼 반모더니티적 표상들이다. 이들은 조형적 공간으로 설계된 것이기보다 체험적으로 감지된 세계감의 장소로 구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박용래의 장소 표상이 지니는 본질적 의미는 단지 향토적 서정의 세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반모더니티 체험에 근거한 로컬리티적 장소애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정은 대략 세 가지의 논지로 구체화된다. 첫째, 그의 시에 등장하는 집과 고향은 주인이 부재하는 정경으로 묘사되지만, 동시에 현대적 삶에서 소외된 다양한 ‘손님’들로 채워져 있다. 시인은 이 반모더니티적 존재들이 만들어내는 유기적 관계망을 통해, 집-고향에서 고향-마을로 이어지는 배경 공간을 복합적인 세계의 비의가 담긴 장소애의 공간으로 탈바꿈시킨다. 둘째, 그의 장소 표상은 반모더니티 정서에 기원을 둔 망향 의식을 구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작동하는 시적 주체의 세계감은 식민지 말기부터 한국 전쟁으로 이어진 전쟁 체험, 강경상고 졸업 후 시작된 은행원 시절의 대도시 체험 등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다. 동 킹만 전시회 체험 등에서 나타나는 그의 예술관은 이러한 사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다. 셋째, 집-고향-마을 표상에 내재하는 반모더니티적 성격은 그의 장소 표상을 전통적 서정성이나 향토성의 구현에만 머무르게 하지 않고, 반근대, 반문명이라는 비판적 로컬리티의 속성과 연결시켜 시적 세계감을 확장시키는 기제로 변화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representations of places in poetry of Yongrae Park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eeling of the world.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al locality in his poems. Places in his poems represent home, home town, and village. These representations mean not formative spaces but experiential places. Topophilia is embodied in the process of the representation of ‘home-home town-village’. Furthermore, it forms the basis of anti-modernity and anti-civilization in poems of Yongrae Park. There are three main points in the body. First, the poet makes space of multiple topophilia through relational networks with anti-modernity. Second, the representation of place in his poems embodies nostalgic consciousness originating with anti-modernity. In this process, the feeling of the world as the main agent in the poem is related to the experience of war and big cities directly and indirectly. Third, anti-modernity inherent in the representation of ‘home-home town-village’ ambivalently changes the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 of place in his poems. It is not only implementation of traditional lyricism and local color but it is also connect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critical locality which include anti-modernism and anti-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