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율 주행 자동차의 인테리어 I.P(instrument panel) 디자인 관여 요인 고찰

        변영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4

        As the partial autonomous driving function has been spreading since the 2010s, various types of interior design have been proposed in response to the autonomous driving era. This study defines the principles and elements of the I.P(instrument panel)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that realizes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up to the level 4 or lower of autonomous driving defined by the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and analyzes and compares current development cases for autonomous driving. It derives a I.P design method that matches the driving function and suggests a direction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Specific research methods ar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I.P area is defined in autonomous vehicles and car interiors, and the composition principle and background are discussed. In addition, it analyzes the principle of I.P configuration of non-autonomous driving vehicles based on power train and analyzes factors for the configuration of I.P design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s, where the application of electrified power train is spreading.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ic plan for the I.P design development direction for autonomous vehicles, and a method to secure design competitiveness, optimize design implementation, and derive a layout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Second, the detailed elements of the interior I.P design of a car that implements the Level 4 autonomous driving function, the role of each device, and the design composition method and consideration factors will be discussed in detail. Third, this study analyzes I.P design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manufacturers including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developed so far. It analyzes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P design of the manufacturer, which is represented by the autonomous driving function in the automobile market. Fourth, focusing on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tudy, we will comprehensively discuss the key issues for the I.P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and draw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to maintain the I.P design of autonomous vehicles at an international level and secure continuous competitiveness. suggest possible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is study, the key elements and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the fusion of engineering elements of automobiles as above in the I.P design configura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Level 4 stage are confirmed. 2010년대부터 부분적 자율 주행 기능이 확산되면서 자율 주행 시대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식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SAE(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에서 정의한 자율 주행 Level 4 이하 단계까지의 자율 주행 기능을 구현하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instrument panel) 디자인 구성 원리와 요소들에 대해 정의하고 현재의 개발 사례를 분석 및 비교하여 자율 주행 기능에 부합하는 I.P 디자인방법을 도출하고 개발되어야 할 방향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은 아래의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자율 주행 자동차와 자동차 인테리어에 있어 I.P 영역에 대해 정의하고 구성 원리와 배경에 대해 논한다. 또한 파워트레인(power-train)에 기반을 둔 비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구성 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전동화 파워트레인의 적용이 확산되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부합하는 I.P 디자인의 구성을 위한 요인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디자인 개발 방향에 대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 디자인 경쟁력의 확보 및 최적화 된 디자인 구현 방법과 사용자의 선호 방식에 따른 레이아웃을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Level 4 단계의 자율 주행 기능을 구현하는 자동차 인테리어 I.P 디자인의 세부 구성 요소와 각 장치들의 역할, 디자인 구성 방법 및 고려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한다. 셋째, 현재까지 개발된 자율주행 기능이 포함된 국내 및 해외 제작사의 I.P 디자인 사례를 분석한다. 자동차 시장에 자율 주행 기능으로 대표되는 제작사의 I.P 디자인이 갖는 특징에 대한 장점 및 단점, 시사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 기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디자인 구성을 위한 핵심 사항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하고 향후 개발 방향을 도출하여 자율 주행 자동차의 I.P 디자인에 있어 국제적인 수준을 유지하며 지속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율 주행 Level 4 단계의 I.P 디자인 구성에 있어 위와 같은 자동차의 공학적 요소 융합에 기반한 핵심 요소와 개발 방향을 확인한다.

      • KCI등재

        감성적 경험을 위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 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권주영,주다영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1

        The era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which can travel to their destination completely, is expected to arrive in the near future. The automobile industry will face a huge change in the near future. It makes the industry in the midst of a major turning point, since the automobile was born in the late 1800s. It is expected that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will be defined as a part of a living space beyond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However,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interior design of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method of interior space through analyzing in-vehicle activities, which is a fundamental design element that can satisfy user’s emotional experience suitable the concept of living space. For this purpose, the consumer’s consciousness about the in-vehicle activity of fully autonomous vehicle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domestic consumers perceived the needs of in-vehicle activities related to resting, listening and watching activities such as ‘sleeping and resting’, ‘watching TV and movie’, ‘listening to music’ among ‘self - centered’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will suggest a design method of interior design of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 leading research that suggests new ways of designing interior space by analyzing consumer’s needs in a quantitative method. 스스로 완벽하게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으로 예상되면서자동차 산업은 1800년대 후반에 자동차가 탄생한 이래 큰 변화를 꾀해야 할 중대한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완전자율주행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의 개념을 넘어 생활공간으로 정의되어지며, 앞으로 실내공간을 중심으로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으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에 대한 기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공간이라는 개념에 적합하도록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근본적인 디자인요소인 실내행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실내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소비자들은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내에서 ‘수면 및 휴식’, ‘TV 및 영화 시청’, ‘음악감상’ 등 개인 중심 행위 중에서도 휴식 및 감상 활동과 관련된 실내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연구는 소비자 니즈(needs)를 정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실내공간 디자인 방안을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한 선도적인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자율 주행 자동차의 조작부 디자인 개발을 위한 관여 요소 연구 -융합 기능 기반의 물리적 조작 장치 디자인 중심으로-

        변영준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was initiated by the need to establish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design a physical operating devices operated by a driver by converging the core functions of an autonomous vehicle.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physical operating devices are decreasing due to the nature of self-driving cars being digitized, but their importance is increasing as they are composed of core functions. In addition, since the driver's driving tasks are reduced due to the use of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an analysis of considerations for the design of physical operating devices are requir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without errors even with a reduced frequency of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design-related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physical operating devices that require acceptance of convergence functions among the interior design areas of autonomous vehicles, and to propose key points for implementati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ng devices including the convergence functions required by the driver in the fourth level or lower of autonomous driving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nterior layout of the vehicl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operating devices arranged according to the vehicle class and manufacturer. Second, the type of operating devices that perform the convergence function was defined, and among the design considerations, the factors involved in securing the driver's controllability based on factors such as interior layout, arrangement of control devices, size, shape, and protrusion were defined. 본 연구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핵심 기능을 융합하여 운전자의 물리적 조작 장치를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에 대한 정립 필요성에 의해 시작되었다. 전자화되고 있는 자율 주행 자동차의 특성상 물리적 조작 장치의 개수는 줄어들고 있지만, 핵심 기능 중심으로 구성되어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율 주행 기능의 활용으로 운전자의 운전 과업이 축소되므로 줄어드는 사용 빈도에도 오류 없이 차량을 조작할 수 있도록 물리적 조작 장치의 디자인을 위한 고려 사항의 분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 주행 자동차의 인테리어 디자인 영역 중 융합적 기능 수용이 요구되는 물리 조작 장치에서 고려해야할 디자인 관여 요소에 대해 정의하고 구현을 위한 핵심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 주행 4 단계 이하에서 운전자에게 필요로 하는 융합 기능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는 차량의 인테리어 레이아웃에 따라 구분할 수 있으며, 차급과 제조사에 따라 배치되는 조작 장치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둘째, 융합 기능을 하는 조작 장치의 유형에 대해 정의하고 디자인 고려 사항 중 인테리어의 레이아웃, 조작 장치의 배열, 크기, 형상, 돌출량 등의 요소에 기반하여 운전자의 조작성 확보를 위한 관여 요소를 정의했다.

      • KCI등재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있어서 문제 정의의 유형이 디자인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 ; 자율주행 자동차 디자인을 중심으로

        정재희 ( Jaehee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2

        디자인 씽킹 방법론에서 고객 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분류하여 상위 개념으로 유형화하는 문제 정의의 단계는 디자이너의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문제 정의의 단계는 디자인 해결책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단계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르스트(Dorst)가 주장한 문제 정의의 두가지 프레이밍인 귀추법 1과 귀추법 2가 디자인 결과물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귀추법 1은 고객 가치와 작동 원리가 주어졌을 때 대상을 창조하는 것으로, 현재의 조건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선된 제품 또는 서비스를 디자인하는 것이고, 귀추법 2는 고객 가치만 주어졌을 때 그것의 대상과 작동 원리를 모두 다 새롭게 창조하는 것으로, 전혀 새로운 혁신적 디자인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은 산업디자인학과 3~4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디자인”을 주제로 4회의 아이디에이션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귀추법 1과 귀추법 2의 문제 정의의 방식을 사용하여 총 163개의 아이디어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아이디어를 유창성, 유연성, 희귀성, 독창성, 유용성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귀추법 2는 귀추법 1보다 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유리하였다. 본 연구는 독창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한 효과적인 문제 정의의 방식을 증명해 보임으로써 디자인 씽킹의 방법론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In the define phase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designers classify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consumer research into abstract themes using their subjective judgment. Although problem definition is a strategically important activity tha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the design solution, research on this topic has been minimal, until recently. This study examined how Abduction-1 and Abduction-2, two alternate approaches to problem definition formulated by Kees Dorst, can affect the quality of design outcomes. On the one hand, Abduction 1 is the approach to create objects when customer values and operating principles are given, deriving relatively improved products or services while accepting the current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Abduction 2 is the approach to create both objects and working principles when only customer values are given, deriving completely new innovative design solutions. The author conducted four ideation workshops with 25 thirdand fourth-grade students, majoring in industrial design. A total of 163 ideas were derived from the ideation workshop using Abduction-1 and Abduction-2. The ideas were then evaluated in terms of fluency, flexibility, infrequency, subjective originality, and usefulness. In conclusion, Abduction-2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Abduction-1 in deriving more original ideas. This study concluded that Abduction-2 is the more effective approach to problem definition for better design outcome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elaboration of design thinking methodology.

      • KCI등재

        자율 주행 자동차에서 직무 유형 세그먼테이션 연구 -레벨 4/5단계에 해당되는 자율주행차와 오피스 및 이동 업무의 UX 중심으로-

        신용환(Shin, Yonghwan),황성걸(Hwang, Sung-Gul)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현재 자율주행차의 UX 디자인 선행연구는 라이프 스타일이라는 추상적 범위를 다루고 있다. 세부적인 특정 범위에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의 목적 중 업무를 중심으로 한다. 완전 자율주행차는 승객당 연간 수백의 잉여 시간을 발생시킨다. 특히 국내는 수도권 초집중화로 OECD 중 가장 많은 출퇴근 시간이 소요된다. 이동 중 생산적 업무는 경제 및 환경 등 사회적 현안을 해결할 수 있다. 연구 범위와 방법은 완전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한다. 직무는 오피스 업무와 이동이 필요한 모바일 워커를 중심으로 한다. 직무분류의 개념 및 분석 방법론을 통해 다양한 직무 면접 인터뷰를 한다. 이를 통해 이동 업무의 유형을 예측 및 세분화한다. 연구 결과는 4가지 업무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장소에 따른 오피스 및 이동 업무, 인원에 따른 개인 및 그룹 업무이다. 각각 세그먼테이션에 따른 UX 가이드 라인이 요구되었다. 같은 직무에서도 연차 및 직급 또는 회사의 규모나 인프라에 따라 오피스 및 이동 업무 비중이 다르게 도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업무용 자율주행차의 직무별 선수요 및 활용성, 그리고 소비자 니즈를 유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선행 자율주행차 디자이너들에게 가이드라인 및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rior research on UX design for autonomous vehicles currently deals with the abstract scope of lifestyle. Specific study is needed to a detailed specific scope. This study focuses on the job among the purposes of autonomous vehicles. Fully autonomous vehicles frees hundreds of hours per passenger per year. In particular, Korea takes the most commuting time among OECD countries due to the hyper-central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Allowing travelers to work productively while travelling can solv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issues.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re focused on fully autonomous vehicles. The job is centered on office work and mobile workers who need to travel. Numbers of job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using the concept of job classification and analysis methodology. Through this, the types of mobile work are predicted and subdivided. The study results were analyzed into four types of jobs; office and mobile work according to location, and individual and group work according to number of workers. UX guidelines according to each segmentation were required. Even in the same job, the proportion of office and mobile work was der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years of service and position or the size or infrastructure of the company. In conclusion,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demand for and usability of autonomous vehicles for business purposes for each job, and consumer need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and methodology for autonomous vehicle designers.

      • KCI등재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핸들 디자인에 관한 융합적 연구 - 상호작용 디자인을 중심으로 -

        송광철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2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0 No.5

        In this study, an interaction model was studied as a theoretical basis to derive the steering wheel design of an autonomous driving electric vehicle. In particular, we tried to derive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steering wheel of an autonomous electric vehicle and the icons in terms of information design that perform each important function. In addition, the design concept of the steering wheel of an autonomous driving electric vehicle was proposed using visual information technology and haptic adjustment technology. Finally,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systematically the various interaction design functions of self-driving electric vehicl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핸들 디자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론적 근간으로 상호작용 모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자율주행 전기자동차의 핸들형태와 구조 그리고 각각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정보 디자인적인 측면에서의 아이콘들은 무엇인지를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각적 정보기술과 햅틱 조정 기술을 사용하여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핸들의 디자인 개념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자율주행전기자동차의 다양한 상호작용 디자인 기능을 보다체계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연구

        이덕찬 ( Lee Deokch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자율주행 자동차 시대에서 실내공간의 의미는 기존의 운전자 중심의 안전한 이동을 위한 공간에서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또한 미래의 모빌리티는 운전이 아닌 탑승 경험을 중시한 서비스가 될것이며 제품 하나하나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도시전체가 하나로 이어진 다양한 서비스들의 거대집합이며 디자이너는 이러한 역할에 맞춘 자율주행 실내공간 시나리오를 제안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잘 알려진 서비스 디자인 방법의 하나인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기반으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통한 적합성의 확인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래 모빌리티의 필수 요소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완성차 업계에서 발표한 미래 모빌리티 콘셉트에 맞춰 비교, 분석하여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디자인 프로세스에 필요한 세 가지 내용적 요소와 세 가지 방법적 요소를 정의한다. 다양한 사용자 경험의 제공, 사용자의 탑승 경험을 중시한 서비스, 그리고 도시 전체와 자율주행 실내공간의 연결성이 정의된 세 가지 내용적 요소이다. 세 가지 방법적 요소는 대규모 개발 및 기존의 사고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 다양성을 존중하는 전략적이며 더 큰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여러 전문가들과 협업을 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의된 여섯 가지 요소에 기반하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의 적합성을 선행 사례 고찰 및 문헌연구를 통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적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콘셉트 발굴 사례 연구를 진행한다. (결과)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를 활용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워크샵을 진행하여 여섯 개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고 결과 분석을 통하여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의 문제 해결 및 창의적인 해결책을 제안할 수 있는 아이디어 생성 툴로서의 역할과 시각화 툴로서의 역할을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에 적용하면 미래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공간 시나리오 개발의 핵심이 되는 세 가지 내용적 요소와 세 가지 방법적 요소를 충족시키는 방법으로의 적합함을 사례조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론) 레고 시리어스 플레이는 협업을 통한 콘셉트 발굴을 위한 도구이고, 이것을 통해 발굴된 콘셉트의 행동예측을 하기 위해 레고시리어스 플레이를 눈높이에서 찍은 스토모션, 혹은 1:1 모델을 통해 직접 시연하는 등 축소형 스케일 개념모델을 통하여 행동예측이 가능한 방법으로 정교화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 the meaning of interior space is being reinterpreted as a space that can provide various user experiences rather than safety focused driver-centered space. The mobility of the future will be a service that emphasizes human-centered experience and is a huge collection of various services that lead to the entire city rather than offering product or stand alone services, and designers should suggest scenarios for autonomous vehicle’s interior design tailored to these roles.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esign process based on Lego Serious Play, one of the well-known service design methods, and to confirm suitability through case studies. (Metho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the essential elements of future mobility a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future mobility presented by the automotive industry to define the three content elements and three methodical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the design process of future autonomous vehicle interior space. The provision of various user experiences, the service that values the user's boarding experience,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entire city and the vehicle interior space are three content elements. There are three method factors: how to get away from conventional thinking, how to present a strategic and greater solution to respect diversity, and how to embrace collaboration with various experts. Based on the six defined factors, the suitability of Lego Serious Play is confirmed through prior case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Results) Based on the process using Lego Serious Play, six scenarios were developed. Private business space for level 3, and 4 vehicle, family mover for level 3, and 4 vehicle, personalized learning space for level 4 vehicle, and lastly leisure/preference matching space for level 4 vehicle are the six scenarios. Through the results analysis, the role of Lego Serious Play as idea generation tool to solve problems and propose creative solutions, and the role of visualisation tool were applied to th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to confirm the suitability of meeting the three content elements and three methodical elements that were key to the development of future scenarios for Interior space of autonomous vehicle. (Conclusions) Lego Serious Play is a tool for exploring concepts through collaboration, and in order to predict the behavior of concepts discovered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Lego Serious Play in a way that can be predicted through a scaled-down concept model, such as stop motion by demonstrating it at eye level or directly through a 1:1 model.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여행 서비스 제안-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중심으로

        박정은,유영재,홍승혜,이승훈,최준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자율주행 자동차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서 신뢰도 문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지만, 이는 단순히 고도화된 기술만으로는 해결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 중심의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완성도에 초점을 맞춘 현재 자동차산업의 방향에 새로운 초점을 제시하고자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에 따른 사용자의 감성적 경험 중심 여행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1:1 인터뷰, 퍼소나, 사용자 여정 지도(Journey map) 기법을 통해 카렌디피티(Carendipity) 컨셉의 자율주행 서비스 시나리오를 도출하고 구체화하였다. 해당 컨셉은 개인 맞춤 케어 서비스, 맥락 기반 주행 및 여정 변경, 여정 몰입감을 위한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지속사용을 위한 여정 공유 플랫폼까지 총 네 가지 요소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서비스를 통해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Human’s trust against the autonomous driving is the most important to resolve. Providing a trustful autonomous driving experience is essential to expand a base of autonomous vehicle usage. Improving the sophisticated technology of autonomous vehicle would not be sufficient without advanced user-centered research. According to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is paper explores challenges to present a new aspect on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of automotive industry. 1:1 Interviews, Persona and Journey Map have been used to derive and materialize the self-driving service scenario of Carendipity concept. The concept included a total of four elements: personalized care services, context-based driving and travel changes, entertainment for travel immersion, and a shared platform for continuing use. These services ultimately aim to increase users' trust in self-driving cars.

      • KCI등재

        반자율주행 차량의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효율적 정보 제공 방식에 관한 연구

        박천규,김동환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4

        At the current stage of a semi-autonomous vehicle,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the vehicle has to request take-over control to the driver quickly. However, current self-driving cars use only simple messages and warning sounds to notify drivers when handing over control, so they do not adequately convey consideration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explanations of various emergent situa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nd the efficacy of drivers in self-driving cars can improve efficient take-over requests between the car and the driver. We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river's cognitive load, reliability, safety, usability, and usefulnes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ree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provided in the experiment of the take-over request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sign self-driving vehicles that can communicate more safely and efficiently with drivers in urgent control transition situations. 4단계 이전의 자율주행은 반자율주행 단계로 차량이 주행을 하다가 운전자에게 빠르게 제어권을 넘겨야 하는 상황이 반복적으로 벌어진다. 하지만 지금의 자율주행 차량은 제어권을 넘길 때 일괄적으로 간단한 메시지와 경고음만을 사용해 운전자에게 알림을 주고 있어 개개인의 특성에 대한 고려나 다양한 위급 상황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차량의 판단에 대한 시·청각 정보 제공 정도와 운전자의 운전 효능감이 제어권 전환 요청 상황에서 운전자의 판단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제어권 전환 요구 시 제공된 시·청각 정보 조합 방식에 따른 운전자의 인지 부하, 신뢰도, 안전감, 사용성 및 유용성의 설문 항목에서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운전자의 운전 효능감에 따라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요청을 전달하는 효율적인 정보 제공 방식이 달라진다는 인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었다. 급박한 제어권 전환 상황에서 운전자의 특성을 고려한 요청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전자와 소통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을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